KR19990037248A - 스티어링 유지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유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248A
KR19990037248A KR1019980044055A KR19980044055A KR19990037248A KR 19990037248 A KR19990037248 A KR 19990037248A KR 1019980044055 A KR1019980044055 A KR 1019980044055A KR 19980044055 A KR19980044055 A KR 19980044055A KR 19990037248 A KR19990037248 A KR 19990037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lock bolt
bracket
steering
adjust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호시
Original Assignee
유아사 히로시
히노지도샤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아사 히로시, 히노지도샤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유아사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90037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종래 일반적인 스티어링 유지구조를 개조,변경하지 않고 충돌시에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을 확대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페달브라켓(12)에 락볼트(4)를 관통하여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칼럼샤프트(1)를 고정한 칼럼브라켓(2)과, 락볼트(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페달브라켓(12)에 마주 접한 제 1조절 플레이트(5)와, 락볼트(4)를 관통시켜 제 1조절 플레이트(5)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한 제 2조절 플레이트(6)와, 락볼트(4)에 나합하여 칼럼브라켓(2)을 페달브라켓(12)에 체결락하는 조절넛트(8)를 갖춘 스티어링 유지구조에 있어서, 칼럼샤프트(1)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한 충격하중이 가해졌을 때 파단이 일어나도록 제 2조절 플레이트(6)의 락볼트 관통공(6a)에 시아부를 마련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유지구조
본 발명은 충돌시에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을 확대하도록 한 스티어링 유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스티어링 유지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후방향의 장공(12a)을 갖는 페달브라켓(12)에 상하방향의 장공(3)을 갖고 칼럼샤프트(1)를 고정한 칼럼브라켓(2)을 상기 장공(12a)(3)에 락볼트(4)를 관통하여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고, 도 8에도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락볼트(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장공(5a)과 요철(5b)을 갖고 상기 페달브라켓(12)에 마주 접한 제 1조절 플레이트(5)와, 도 9에도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락볼트(4)를 관통하는 구멍(6a)과 요철(6b)을 갖고 상기 제 1조절 플레이트(5)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한 제 2조절 플레이트(6)와, 상기 락볼트(4)에 끼워장착된 스토퍼(7)와, 상기 락볼트(4)에 스프링(8)을 통해 나합한 조절 넛트(9)와, 이 조절 넛트(9)에 감합하여 넛트(11)로 체결한 레버(10)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종래의 스티어링 유지구조는 레버(10)의 조작에 따라서 조절 넛트(9)로 락볼트(4)를 조절하며, 락볼트(4)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칼럼브라켓(2)은 장공(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제 1조절 플레이트(5)의 장공(5a)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조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칼럼브라켓(2)에 고정되어있는 칼럼샤프트(1)를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락볼트(4)를 죄이면 제 2조절 플레이트(6)가 제 1조절 플레이트(5)에 조여져 요철(5b)(6b)로 제 1조절 플레이트(5)에 대한 제 2조절 플레이트(6)의 슬라이드를 규제하고, 또한 페달브라켓(12)을 칼럼브라켓(2)에 압접하여 칼럼브라켓(2)의 움직임을 규제하며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조정한 위치에서 칼럼샤프트(1)를 락한다.
차량이 충돌할 때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을 확대하는 것이 안전면에 있어 필요하지만 상기 종래 일반적인 스티어링 유지구조에서는 그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차량의 충돌시에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을 확대하도록 한 기술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4-110672호나 일본국 특개평 8-142876호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그렇기 위해서는 신규 부가구조를 필요로 하여 부품점수가 늘어나므로 원가가 높아진다. 또 스티어링 지지강성이 저하하여 스티어링의 진동 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일반적인 스티어링 유지구조를 개조, 변경하지 않고 충돌시에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을 확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페달브라켓에 락볼트를 관통하여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칼럼샤프트를 고정한 칼럼브라켓과, 상기 락볼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페달브라켓에 마주 접한 제 1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락볼트를 관통시켜 상기 제 1조절 플레이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한 제 2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락볼트에 나합하여 상기 칼럼브라켓을 상기 페달브라켓에 체결락하는 조절넛트와, 이 조절넛트에 끼워부착한 레버를 갖추고, 상기 칼럼샤프트를 상기 칼럼브라켓을 통해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스티어링 유지구조에 있어서, 칼럼샤프트(1)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한 충격하중이 가해졌을 때 파단이 일어나도록 제 2어져스트 플레이트(6)의 락볼트 관통공(6a)에 시아부를 마련했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조절 플레이트에는 상기 시아부의 앞쪽에 공간부를 연재(延在)하고, 이 공간부의 연재단에 플레이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단면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단면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종래 일반적인 부재의 스티어링 유지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요부단면 평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제 2조절 플레이트의 내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칼럼샤프트 2: 칼럼브라켓
3: 장공 4: 락볼트
5: 제 1조절 플레이트 5a: 장공
5b: 요철 6: 제 2조절 플레이트
6a: 구멍 6b: 요철
7: 스토퍼 8: 스프링
9: 조절넛트 10; 레버
11: 넛트 12: 페달브라켓
12a: 장공 13: 시아부
14: 공간 15: 프레임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장공(12a)을 갖는 페달브라켓(12)에 상하방향의 장공(3)을 갖고 칼럼샤프트(1)를 고정한 칼럼브라켓(2)을 상기 장공(12a)(3)에 락볼트(4)를 관통하여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락볼트(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장공(5a)과 요철(5b)을 갖고 상기 페달브라켓(2)에 마주 접한 제 1조절 플레이트(5)와, 상기 락볼트(4)를 관통하는 구멍(6a)과 요철(6b)을 갖고 상기 제 1조절 플레이트(5)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한 제 2조절 플레이트(6)와, 상기 락볼트(4)의 끼워장착된 스토퍼(7)와, 상기 락볼트(4)에 스프링(8)을 통해 나합한 조절 넛트(9)와, 이 조절 넛트(9)에 감합하여 넛트(11)에 의해 체결한 레버(10)로 구성되어있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종래 일반적인 스티어링 유지구조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일반적인 스티어링 유지구조에 있어서, 칼럼샤프트(1)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한 충격하중이 가해졌을 때 파단이 일어나도록 상기 제 2 조절 플레이트(6)의 락볼트 관통공(6a)에 시아부(13)를 마련한 것이다.
이 시아부(13)의 파단력은 시아부(13)의 단면적으로 적당히 설정된다. 또 제 1조절 플레이트(5) 및 제 2조절 플레이트(6)는 연성이 적은 재료로서, 예를들면 소결합금이나 주철(鑄鐵)이 적당하다. 따라서 시아부(13)는 연성파괴가 아닌 취성(脆性)파괴에 의해 파단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2조절 플레이트(6)에는 상기 시아부(13)의 앞쪽에 공간부(14)를 연재하고, 이 공간부(14)의 연재단에 프레임(15)을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칼럼 샤프트(1)를 뒤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충돌 등에 의해 제 2조절 플레이트(6)의 관통공에 칼럼샤프트(1)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한 충격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는 파단하는 사아부(3)를 마련한 것이다.
이 작동하중은 시아부(13)의 파단력과 락볼트(4), 스토퍼(7) 및 칼럼브라켓(2)의 마찰력의 합이 된다. 따라서 작동하중은 시아부(13)의 단면적을 변경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다.
상기 시아부(13)의 파단에 의해 락볼트(4)는 칼럼브라켓(2)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L1)하고, 이에 따라 칼럼샤프트(1)가 앞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을 확대한다.
또 시아부(13)의 앞쪽에 공간부(14)를 연재하고, 이 공간부(14)의 연재단에 프레임(15)을 마련한 경우, 시아부(13)가 파단하여 락볼트(4)가 앞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파단한 시아부(13)가 프레임(15)에 접촉하여 작동후도 칼럼브라켓(2)이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핸들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 및 도 5는 칼럼샤프트(1)를 전후방향으로 중앙부에 위치결정하고 있는 상태로서, 이 경우에도 충돌 등에 의해 칼럼샤프트(1)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한 충격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얻을 수 있지만 칼럼샤프트(1)를 전후방향으로 중앙부에 위치결정하고 있는 것 만큼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이 보다 크게 확대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일반적인 스티어링 유지구조의 기본구조를 개조, 변경하지 않고 충돌 등에 의해 칼럼샤프트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한 충격하중이 가해졌을 때 스티어링휠과 운전자의 공간을 확대하도록 했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티어링 칼럼의 지지강성을 고정하여 스티어링의 진동 등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작동하중의 조절도 용이하여 작동후에도 핸들조작에 문제가 없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페달브라켓에 락볼트를 관통하여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칼럼샤프트를 고정한 칼럼브라켓과,
    상기 락볼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페달브라켓에 마주 접한 제 1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락볼트를 관통시켜 상기 제 1조절 플레이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한 제 2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락볼트에 나합하여 상기 칼럼브라켓을 상기 페달브라켓에 체결락하는 조절 넛트와, 이 조절넛트에 끼워 장착한 레버를 갖추고 상기 칼럼샤프트를 상기 칼럼브라켓을 통해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한 스티어링 유지구조에 있어서,
    칼럼샤프트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한 충격하중이 가해졌을 때 파단이 일어나도록 상기 제 2조절 플레이트의 락볼트 관통공에 시아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유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조절 플레이트에는 상기 시아부의 앞쪽으로 공간부를 연재하고, 이 공간부의 연재단에 프레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유지구조.
KR1019980044055A 1997-10-29 1998-10-21 스티어링 유지구조 KR19990037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159397A JP3388158B2 (ja) 1997-10-29 1997-10-29 ステアリング保持構造
JP97-311593 1997-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48A true KR19990037248A (ko) 1999-05-25

Family

ID=1801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055A KR19990037248A (ko) 1997-10-29 1998-10-21 스티어링 유지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88158B2 (ko)
KR (1) KR19990037248A (ko)
CN (1) CN10811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2374B2 (ja) * 2000-11-08 2010-11-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4126955B2 (ja) * 2002-05-08 2008-07-30 日本精工株式会社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192502B2 (ja) * 2002-06-04 2008-12-10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WO2004007261A1 (ja) * 2002-07-10 2004-01-22 Nsk Ltd.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DE102005035009B3 (de) * 2005-07-22 2006-12-14 Thyssenkrupp Presta Ag Verstellbare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JP5158475B2 (ja) * 2007-07-24 2013-03-06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DE102010043778A1 (de) * 2010-11-11 2012-05-16 Zf Friedrichshafen Ag Lenkerelement mit Überlastsicherung
JP5776627B2 (ja) * 2011-08-23 2015-09-09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及び支持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KR20140090717A (ko) * 2012-12-21 2014-07-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US9481390B2 (en) 2013-10-04 2016-11-01 Nsk Americas, Inc.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CN113562063A (zh) * 2021-08-10 2021-10-29 坤泰车辆系统(常州)有限公司 两销式锁紧机构和转向管柱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3212D0 (en) * 1989-06-08 1989-07-26 Lotus Group Plc A wheeled vehicle steering system
US5613709A (en) * 1994-09-05 1997-03-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otatable steering gear box and collapsible steering column
JP3439548B2 (ja) * 1994-11-15 2003-08-25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キャブメン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144C (zh) 2002-03-20
CN1215678A (zh) 1999-05-05
JP3388158B2 (ja) 2003-03-17
JPH11129915A (ja) 199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278B2 (en) Steering gearbox mounting structure
US5605351A (en) Tilt type steering apparatus
US5251932A (en) Front body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KR19990037248A (ko) 스티어링 유지구조
EP1561638B1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US7810408B2 (en) Energy absorbing mechanism of steering column supporting apparatus
JP2003220914A (ja) ニープロテクタ
JP340952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EP1533201B1 (en) Steering column device
JP348838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保持構造
JP366909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JP3417811B2 (ja) パワープラントのマウント構造
EP0894063B1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JP2000016307A (ja) ステアリング保持構造
WO2022210235A1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取付構造
JP3560434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0072039A (ja) 自動車のステー構造
JPH06329032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389628B2 (ja) 車両用ニーパッド構造
JP3005724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構造
JP3651090B2 (ja) 衝突時における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落下防止構造
KR100204651B1 (ko) 캐빈 마운팅 브래킷 설치구조
JPH08230722A (ja) 車両のキャブマウント構造
JP2000108709A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の支持構造
JPH09123923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