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886A - V형 엔진 - Google Patents

V형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886A
KR19990036886A KR1019980041795A KR19980041795A KR19990036886A KR 19990036886 A KR19990036886 A KR 19990036886A KR 1019980041795 A KR1019980041795 A KR 1019980041795A KR 19980041795 A KR19980041795 A KR 19980041795A KR 19990036886 A KR19990036886 A KR 19990036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oling water
cylinder
top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299B1 (ko
Inventor
아키히코 기아히다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1999003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02B75/221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with cylinder banks in narrow V-arrangement, having a single cylind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7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f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32Number of cylinders 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형 엔진의 2개의 기통열간의 계곡부(valley part)를 유효하게 활용함과 동시에, 엔진 본체(실린더 블록)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V형 엔진의 계곡부(11)를 끼고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제 1, 제 2 뱅크(B1, B2)의 측벽(W1)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천판(12)과, 계곡부(11)의 저벽(D)보다 돌출하여 천판(12)에 상단이 결합되며, 저벽(D)과 천판(12)과의 사이에 기통열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공간인 냉각수 통로(R1) 및 브리져실(breather room)(R2)을 형성하는 벽체(22)를 설치한다.

Description

V형 엔진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V형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V형 엔진은 그 2개의 기통열의 내측벽을 천판에 의해 결합하며, 실린더 블록의 보강을 행하는 것이 있다.
예를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V형 엔진은, 계곡부에 설치된 공간을 냉각수 통로(100)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실린더 블록(101)의 2개의 기통열(102, 103)의 각 워터 쟈켓(water jacket;104)내로부터 모여진 냉각수가 도시생략된 서모스타트(thermostat)나 라디에이터를 거쳐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수 통로(100)의 한쪽측에 유입하며, 도시생략된 물 펌프로 유도되고 다시 엔진각부로 토출된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도 13에 나타내듯이 냉각수 순환계를 구비한 V형 엔진에서는, 그 실린더 블록(101)의 계곡부 하부에 냉각수 통로(100)를 형성하기 위해, 양기통열의 내측벽을 천판(105)로 결합한다. 여기에서, 천판(105)을 비교적 높은 위치로 배치하면 실린더 블록(101)의 강성 업의 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냉각수 통로(100)의 용적이 지나치게 되며, 이 경향은 특히 뱅크각(bank angle)이 크며, 예를들면, 90°뱅크의 V형 엔진에서 현저하게 된다. 이 경우, 냉각수량이 많게되며, 중량증가를 초래하기 쉬우며, 특히, 난기 지연을 발생하기 쉽게되며, 배기가스가 악화하는 운전영역이 길게되는 문제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V형 엔진의 2개의 기통열간의 계곡부를 유효하게 활용함과 동시에 실린더 블록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는 V형 엔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크랭크 샤프트를 중심으로서 1쌍의 기통열을 거의 V자형상으로 배치한 엔진 본체를 갖는 V형 엔진에 있어서 상기 1쌍의 기통열의 측벽간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1쌍의 기통열간의 계곡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천판과, 상기 계곡부의 저부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상기 천판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기통열에 따라서 연재되어 상기 폐쇄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벽체를 설치하였다.
이것에의해 엔진본체의 계곡부에 기통열에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공간을 유로나 배선수용영역으로서 다목적으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벽체의 상단과 결합된 천판이 2개의 기통열의 측벽을 강고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엔진본체의 강성을 충분히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기통열에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공간을 상호 완전하게 격리하면 공간의 하나를 배관으로서 다른 하나는 배선 수용영역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배관과 배선은 오나전히 독립한 공간내에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보호를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상기 엔진본체와 별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엔진본체의 주조시의 중자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상기 기통열의 측벽 및 상기 벽체의 상단에 밀폐되어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나 기체를 공간내에 저장 또는 유통시켜도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기통열에 따라서 병렬로 2개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벽체에 의해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엔진의 냉각수 통로로 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벽체와 각 기통열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공간을 엔진의 크랭크실과 연통하는 브리져실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통로와 브리져실을 적당한 용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브리져실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계곡부의 공간내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양 브리져실이 짧은 거리에서 상호 연통되기 때문에 압력 밸런스를 적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통로의 단부에, 상기 냉각수 통로와 연통하여 냉각수 통로내의 냉각수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펌프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통로와 펌프가 짧은 거리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냉각수의 흡입배송시의 저항을 작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곡부의 저부 아랫측의 엔진 본체내에 엔진오일의 통로를 매설하며, 상기 냉각수 통로는, 상기 엔진오일 통로의 윗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통로의 냉각수에 의해 엔진본체의 냉각과 함께 엔진오일의 냉각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V형 엔진의 개략 후방측면도.
도 2는 도 1의 V형 엔진의 냉각수 순환계의 배관도.
도 3은 도 1의 V형 엔진의 오일 순환계의 배관도.
도 4는 도 1의 V형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V형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평면도.
도 6은 V형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개략 정면도.
도 7은 도 1의 V형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중앙 종단면도.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V형 엔진의 계곡부에 고정되는 천판의 평면도.
도 11은 천판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된 V형 엔진의 변형예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린더 블록의 계곡부의 저벽에 형성되는 냉각수 통로 및 브리져실의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V형 엔진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V형 엔진 2 : 실린더 블록
5 : 실린더 헤드 11 : 계곡부
12 : 천판 22 : 벽체
D : 저벽 X : 기통열 방향
R1 : 냉각수 통로 R2 : 브리져실
B1 : 제 1뱅크 B2 : 제 2뱅크
W1 : 측벽
도 1,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V형 엔진(1)을 나타내었다. 이 V형 엔진은 V형 8기통 엔진이며, V형의 실린더 블록(2)과, 그 하부에 결합되는 크랭크 케이스(3) 및 오일팬(4)과, 실린더 블록(2)의 상부에 결합되는 1쌍의 실린더 헤드(5) 및 헤드커버(6)를 구비하며, 이것들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에의해 엔진 본체가 형성된다. 이 엔진 본체내에는 후술하는 오일 순환계(OR) 및 냉각수 순환계(WR)를 장비한다.
V형의 실린더 블록(2)은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기통열인 제 1, 제 2뱅크(B1, B2)를 구비하며, 각 뱅크를 윗측으로 향해 상호 좌우방향(Y)으로 이간하도록 배치되며, 그 하부측은 상호 결합되며, 크랭크 케이스(3)와 일체화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2)의 하단부 및 크랭크 케이스(3)의 내부에는 기통열 방향(X)(좌우방향(Y)과 직교하는 전방방향과 동일)으로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7)(도 3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7)의 회전 중심선(L1)(도 1참조)에 대하여 양 뱅크의 각 기통의 중심선(L2)이 각각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이것들 제 1, 제 2뱅크(B1, B2)의 각 기통의 중심선(L2)이 상호 대향하는 대향각(θ)이 여기에서는 90°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린더 블록(2)의 하단부, 크랭크 케이스(3) 및 오일팬(4)의 상부에 의해 크랭크실(8)(도 1참조)이 형성된다. 도 5, 도 7에 나타내듯이, 크랭크실 (8)의 윗측영역은 크랭크 샤프트(7)를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9)의 지지실(201)에 의해 구분되며, 기통열방향(X)에 복수의 분할공간(801)을 형성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상호 대향하는 제 1, 제 2뱅크(B1, B2)의 내측벽(w1)사이에는 V형의 계곡(11)이 형성되며, 계곡부(11)의 저벽(D)과 동 저벽을 덮는 천판(12)(도 10, 도 11참조)과의 사이에 후술하는 냉각수통로(R1) 및 그 통로(R1)의 좌우에 병설되는 브리져실(R2)이 설치된다. 도 4, 도 7에 나타내듯이 실린더 블록(2)의 기통열 방향(X)의 전단(도 4에서 좌측)에는 물펌프(13)(도 2참조)의 케이싱(131) 및 후술이 펌프측 연결종벽(1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후단(도 4에서 우측)에는 후술하는 흡입측 연결종벽(15)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6, 도 7에 나타내듯이, 물펌프(13)의 케이싱(131)은 그 외측돌출단이 실린더 블록(2)의 다른 전단벽면(f1)과 동일면에 형성되며, 이 전단벽면(f1)에는 도시생략된 물펌프 커버가 쌓여지며, 볼트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날개차(도 2참조)(16)를 추착하는 펌프실(132) 및 좌우의 토출로(18, 19)가 형성된다. 좌우의 토출로(18, 19)는 양뱅크(B1, B2)의 실린더 블록(2)내의 워터쟈켓(J)에 연통되며, 상기 쟈켓(J)은 도시생략된 구멍을 통해 실린더 헤드(5)내의 워터쟈켓에 연통한다. 또한, 좌우의 실린더 헤드(5)의 전후방향(X)에서의 후단부측벽에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집합 파이프(24, 25)의 죠인트부(241, 251)가 연결되며, 이것에 의해 좌우의 실린더 헤드(5)의 도시생략되는 워터쟈켓에 집합파이프(24, 25)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펌프(13)의 구동시에 후술하는 냉각수 통로(R1)로부터의 냉각수는, 물펌프(13)를 거쳐 좌우의 토출로(18, 19)로부터 제 1, 제 2뱅크(B1, B2)의 실린더 블록(2)내의 워터쟈켓(J)에 공급된다. 실린더 블록(2)내의 워터쟈켓(J)을 순환한 냉각수는 실린더헤드측의 워터쟈켓에 유입되며, 그 위에서 좌우의 집합파이프(24, 25)를 거쳐 후술하는 합류로(26)(도 2참조)에 유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내듯이, 계곡부(11)를 통해 상호 대향하는 제 1, 제 2뱅크(B1, B2)의 내측벽(w1)에는 고정단부(21)가 기통열 방향(X)으로 연속형성된다. 이들 양 고정단부의 안, 전단(도 4에서 좌측)의 부위는 펌프측 연결종벽(14)에 의해, 후단(도 4에서의 우측)의 부위는 흡입측 연결종벽(15)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이들 고정단부(21) 및 양 연결종벽(14, 15)는 그 전체가 평면으로 보아서 고리형상으로 연결되며, 또한, 그 내측영역은 2개의 벽체(22)에 의해구획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고정단부(21), 양 연결종벽(14, 15) 및 벽체(22)는 함께 그 높이가 일치하도록 절삭가공이 시행되어 있다.
여기에서 2개의 벽체(22)는 고정단부(21)의 내측의 기통열 방향(X)에 따라서 병행하게 연장되며, 그 한단측이 펌프측 연결종벽(14)에 결합하지만, 다른측은 흡입측 연결종벽(15)에 맞닿지 않고, 동일한 흡입측 연결종벽과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호 내측연결 종벽(23)을 통해 일체 결합된다. 이와같은 양 고정단부(21), 양 연결종벽(14, 15)2개의 벽체(22) 및 내측 연결종벽(23)의 각 윗면(fO)에는 기통열 방향(X)에 따라서 긴 소정폭(B)의 천판(12)(도 10, 도 11)이 중첩되며, 상호 형성된 볼트구멍(101, 102)을 통해 도시생략된 볼트에 의해 복수개소에서 고정 장착된다. 이 때문에, 천판(12)과 계곡부(11)의 저벽(D)의 사이에는 중앙의 공간과, 그 중앙의 공간을 둘러싸는 좌우의 공간 및 그것들을 상호 연통하는 연통부(r)가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중앙의 공간이 냉각수통로(R1)을 이루며, 좌우의 공간 및 연통부(r)로부터 이루어지는 평면으로보아 U자형 공간이 브리져실(R2)을 각각형성한다. 여기에서, 냉각수통로(R1)는 엔진 본체내의 냉각수 순환계(WR)의 일부를 이루며, 브리져실(R2)은 엔진본체내의 오일 순환계(OR)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냉각수통로(R1)는 그 통로폭(S)(도 4참조)이 비교적 좁으며, 높이(H)(도 7참조)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며, 냉각수 통로(R1)의 용적은 높이(H)의 비율은 과도하게 크게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냉각수 순환계(WR)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제 1, 제 2뱅크(B1, B2)의 각 실린더 블록(2)의 각 워터 쟈켓(J) 및 각 실린더 헤드(5)내의 워터쟈켓(도시생략)과, 이 실린더 헤드(5)내의 워터쟈켓에 연통된 각 집합파이프(24, 25)와, 이들 집합 파이프의 합류로(26)와, 여기에 설치되는 서모스타트(27)와, 합류부(26)의 출구에 연결되는 흡입파이프(28)와, 서모스타트(27)의 우회로(b)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29)와, 흡입 파이프(28)에 연통하는 저벽(D)위의 냉각수통로(R1)와 냉각수통로(R1)를 물펌프(13)에 연통하는 펌프 흡입구(30)(도 7참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서모스타트(27)는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밸브체(271)를 단락로(a)를 개방하는 상태로 변환하며, 냉각수 온도가 높으면 우회로(b)를 개방하는 상태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저벽(D)위의 냉각수 통로(R1)는 그 한쪽단(도 7에서 좌측)이 펌프측 연결종벽(14)에 대향하며, 이 펌프측 연결종벽에 형성된 펌프흡입구(30)를 통해 물펌프의 케이싱(131)내에 연통한다. 냉각수 통로(R1)의 다른쪽 단(도 7에 있어서 우측)은 내측 연결종벽(23)과 대향되어 있으며, 그 부위의 근방의 천판(12)에 형성된 개구(121)에 연통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천판(12)은 냉각수 통로(R1)와의 대향부에 개구(121)를 형성하며, 그 개구에 연통하는 만곡 가이드관(122)을 윗쪽으로 늘어나오게 형성하고 있다. 막곡 가이드관(122)의 선단부에는 죠인트부(123)가 형성된다. 죠인트부(123)의 내주벽에는 흡입 파이프(28)가 도시생략된 밀폐재를 끼워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오일 순환계는, 도 3, 도 9에 나타내듯이, 오일팬(4)과 그 오일팬내의 오일을 가압하는 오일펌프(34)와, 상기 펌프의 가압유를 오일필터(35)를 통해 받는 메인 갤러리(main galleuy;36)와 메인 갤러리(36)로부터 분기되어 제 1, 제 2뱅크(B1, B2)측의 실린더 헤드(5)(도 3에는 한쪽의 뱅크(B1)만 도시하였다)로 향하는 각 분기주로(38)와, 그들 분기주로에 연통하며, 각 뱅크측의 실린더 헤드의 캠축(여기에서의 운동밸브계는 DOHC타입이며 급배기 캠축을 갖는다)(39, 40) 및 각 래시 어져스터(lash adjuster;41)에 압력유를 공급하는 캠축 유로(42) 및 어져스터 유로(43)와, 각 실린더 헤드(5)측의 저압유를 오일팬(4)으로 복귀하는 실린더 블록(2)내의 복수의 외측종 유로(44)와, 각 실린더 헤드측의 저압유를 브리져실(R2)로 흘러내기게 하여 내측종 유로(45)와 브리져실(R2)과 크랭크실(8)을 연통하는 복수의 오일 차단로(46)를 구비한다.
도 7, 도 9에 나타내듯이 실린더 블록(2)의 하부영역은 지지벽(201)에 의해 복수의 분할실(801)로 구획되며, 그 윗측의 브리져실(R2)과 복수의 오일 차단로(46)를 통해 연통된다. 브리져실(R2)은 평면으로 보아 U자형(도 4참조)의 구성을 채용하며, 다수의 오일 차단로(46)에서 연통되어 있으며, 그 용량이 충분히 확대되어 있기 때문에 브리져실(R2)과 크랭크실(8)과의 연통상태가 안정되며, 오일 차단작용을 안정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도 8에 나타내듯이 메인 갤러리(36)는 계곡부(11)의 저벽(D)내에 기통열 방향(X)에 따라서 매설되며, 상기 메인 갤러리부의 유입단은, 도 6에 나타내듯이 실린더 블록(2)내에 형성된 고압유로(47)를 통해 오일펌프(34)에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유체단은 분기되어 제 1, 제 2뱅크(B1, B2)의 실린더 헤드(5)에 따른 분기주로(38)(도 4참조)에 연통한다. 게다가 도 7에 나타내듯이 메인 갤러리(36)는 크랭크 샤프트(7)의 각 베어링부(9)로 향해 늘어나오는 베어링 유로(37)를 구비하며, 이것들 베어링 유로의 하단에서 유출하는 오일이 각 베어링부(9)의 윤활을 행하며, 저압화된 오일은 크랭크 샤프트(7)를 통해 비산되며, 오일팬(4)으로 복귀된다. 또한, 여기에서의 메인 갤러리(36)는, 계곡부(11)의 중앙의 저벽(D)을 통해 윗쪽의 냉각수 통로(R1)와 대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냉각수통로(R1)가 오일쿨러로서 기능하며, 냉각수 통로내의 냉각수에 의해 메인 갤러리(36)를 유동하는 오일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V형엔진의 작동시의 냉각수 및 오일의 순환작동을 설명한다.
엔진 구동시에는 제 1, 제 2뱅크의 각 기통이 소정 점화순서 아래에서 연소 등의 4사이클 내연기관으로서의 구동을 행하며, 이것과 동시에 냉각수 순환계(WR) 및 오일 순환계(OR)가 구동한다.
냉각수 순환계(WR)의 물펌프(13)는 도시생략된 벨트 전도기구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7)에 구동되며, 냉각수 통로(R1)측으로부터 냉각수를 흡입하며, 좌우의 제1, 제 2뱅크(B1, B2)의 각 워터쟈켓(J)에 냉각수를 유입한다. 각 워터쟈켓 및 그것에 연통하는 양 뱅크의 실린더 헤드측의 워터쟈켓내를 순환하여 고온화한 냉각수는 각집합 파이프(24, 25)를 통과하여 합류로(26)의 서모스타트(27)에 도달한다. 서모스타트(27)는 난기전에서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단락로(a)를 개방하며, 난기후에서 냉각수 온도가 높으면 라디에이터(29)측으로 도는 우회로(b)를 개방하고, 어느것 인가를 유동한 냉각수는 흡입파이프(28)를 통해 냉각수 통로(R1)로 유입한다. 냉각수 통로(R1)를 유동하는 냉각수는 그 주위의 브리져실(R2)의 오일이나 메인 갤러리(36)의 오일의 냉각을 한 상태에서 다시 펌프 흡입구(30)를 통과하여 물펌프(13)내로 공급된다.
한편, 오일펌프(34)는 크랭크 샤프트(7)로 구동되며, 오일팬(4)의 오일을 가압하며, 가압유를 오일필터(35)를 통해 메인 갤러리(36)측으로 공급한다. 메인 갤러리(36)의 고압 오일은 크랭크 샤프트(7)의 각 베어링부(9)의 윤활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 1, 제 2뱅크(B1, B2)의 분기 주로(38) 및 캠축 유로(42) 및 어져스터 유로(43)를 거쳐 캠축(40) 및 래시 어져스터(41)로 공급된다. 이들 운동밸브계를 윤활한 후의 저압유는 양 뱅크의 복수의 외측종 유로(44)를 거쳐 크랭크 케이스(3)의 하부의 오일팬(4)으로 복귀되며, 혹은 복수의 내측종 유로(45)를 거쳐 브리져실(R2)로 유하되며, 그 상태에서 브리져실(R2)과 크랭크실(8)을 연통하는 복수의 오일차단로(46)를 거쳐 아래쪽의 오일팬(4)으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엔진 구동시에는 분할실(801)에 블로바이 가스가 대류되며, 비산오일과 혼합되며, 이것이 복수의 오일 차단로(46)를 거쳐 비교적 대용량의 브리져실(R2)로 유입한다. 브리져실(R2)에 도달한 대부분의 오일은 블로바이 가스와 분리되며, 그 블로바이 가스는 복수의 내측종 유로(45)를 거쳐 실린더 헤드(5)측으로 유동하며, 그 상태에서 도시생략된 엔진의 흡기로측으로 흡입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천판(12)과 계곡부(11)의 저벽(D)의 사이에 냉각수 통로(R1) 및 평면으로 보아 U자형의 브리져실(R2)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도 12에 나타내듯이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양 고정단부(21), 전단의 펌프측 연결 종벽(14), 후단의 흡입측 연결 종벽(15)가 고리형상으로 연결되며, 그 내측영역은 기통열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벽체(22)에 의해 구획되며, 천판(도시생략)에 의해 이것들은 폐쇄된다. 여기에서, 2개의 벽체(22)의 한 단측이 펌프측 연결종벽(14)에 다른 단측은 흡입측 연결종벽(15)에 일체 결합된다. 여기에서는, 저벽(D)과 천판(12)과의 사이에 기통열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냉각수 통로(R1)를, 그 통로(R1)의 좌우에 상호 독립한 브리져실(R2')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중앙의 냉각수 통로(R1)는 냉각수 순환계(WR)의 일부로서 기능하며, 좌우의 브리져실(R2')은 오일 순환계(OR)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는 브리져실(R2')이 좌우로 상호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도 1의 V형엔진과 동일하게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게다가 이 경우, 흡입측 연결 종벽(15)의 냉각수 통로(R1)과의 대향부에 흡입파이프(28')(2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으며, 천판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도 1의 V형 엔진에서는, 천판(12)과 계곡부(11)의 저벽(D)의 사이에 기통열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3개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것을 냉각수 통로(R1) 및 브리져실(R2)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3개의 공간인 중앙의 하나를 배관으로 하며, 다른 2개를 배선 수용영역으로서 사용하여도 좋으며, 반대로 중앙의 하나를 배선 수용영역으로서, 다른 2개를 배관으로서 하여도 좋으며, 이것들의 경우도 계곡부(11)의 복수의 공간을 다목적으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의 배관이나 배선의 보호를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를 중심으로서 한쌍의 기통열을 V자 형상으로 배치한 엔진 본체를 갖는 V형 엔진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기통열의 측벽간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한쌍의 기통열간의 계곡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천판과,
    상기 계곡부의 저부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상기 천판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기통열에 따라서 연재하여 상기 폐쇄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벽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상기 엔진 본체와 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상기 기통열의 측벽 및 상기 벽체의 상단에 밀폐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기통열에 따라서 병열로 2개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벽체에 의해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엔진의 냉각수 통로로 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벽체와 각 기통열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공간을 엔진의 크랭크실과 연통하는 브리져(breather)실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브리져실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계곡부의 공간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통로의 단부에, 상기 냉각수 통로와 연통하여 냉각수 통로내의 냉각수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펌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곡부의 저부 아래쪽의 엔진 본체내에 엔진오일의 통로를 매설하며,
    상기 냉각수 통로는, 상기 엔진오일 통로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
KR1019980041795A 1997-10-08 1998-10-07 V형엔진 KR100343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75576 1997-10-08
JP27557697A JP3235541B2 (ja) 1997-10-08 1997-10-08 V型エンジ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86A true KR19990036886A (ko) 1999-05-25
KR100343299B1 KR100343299B1 (ko) 2002-10-19

Family

ID=1755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795A KR100343299B1 (ko) 1997-10-08 1998-10-07 V형엔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35541B2 (ko)
KR (1) KR100343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89B1 (ko) * 2000-12-20 2004-09-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브이형 내연 기관
US8358016B2 (en) 2009-03-06 2013-01-2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an internal cool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7356A1 (fr) * 1999-06-14 2000-12-21 Isuzu Motors Limited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de moteur en v
JP4635881B2 (ja) * 2006-01-20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型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
JP2009047110A (ja) * 2007-08-22 2009-03-05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
JP4858718B2 (ja) * 2007-12-13 2012-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冷却水通路構造
JP2010216405A (ja) * 2009-03-18 2010-09-30 Honda Motor Co Ltd V型内燃機関
JP6552096B2 (ja) * 2015-08-06 2019-07-31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エンジン
CN108331664B (zh) * 2018-02-07 2023-06-2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V型气缸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653A (ja) * 1992-03-23 1993-10-12 Mazda Motor Corp V型エンジン
JP3487043B2 (ja) * 1995-10-06 2004-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型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89B1 (ko) * 2000-12-20 2004-09-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브이형 내연 기관
US8358016B2 (en) 2009-03-06 2013-01-2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an internal coo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07770A (ja) 1999-04-20
KR100343299B1 (ko) 2002-10-19
JP3235541B2 (ja) 200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227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pressure lubrication by the dry sump principle
JP4657134B2 (ja) 4サイクル空油冷エンジンにおけるオイル通路構造
KR100343299B1 (ko) V형엔진
US5997372A (en) Marine propulsion device with an improved lubricant management system
JP3971690B2 (ja)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を搭載した船外機
JP2010500500A (ja) 内燃エンジン用クランクケース
EP0560402B1 (en)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024265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us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322769B2 (ja) 4サイクル空冷式内燃機関のシリンダヘッド冷却構造
JP2010216405A (ja) V型内燃機関
US8522742B2 (e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50003600A (ko) 2개의 실린더 열을 갖춘 내연 기관
JPH1077902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ック
JP4312139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温度検出手段配置構造
JP3817798B2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EP0134579A1 (en) Coolant jacket arrangement for vapor 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30017B2 (ja) 船外機の排気構造
JP3885259B2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EP3865687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op-down cooling
JPS6040806Y2 (ja) 内燃機関用潤滑装置
US6935298B2 (en) Lubricating device for motorcycle engine
JPH0437227Y2 (ko)
JP4407425B2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2694359B2 (ja) 油冷エンジン
KR0139269B1 (ko) 내연 기관의 윤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