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672U - 박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박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672U
KR19990036672U KR2019980002618U KR19980002618U KR19990036672U KR 19990036672 U KR19990036672 U KR 19990036672U KR 2019980002618 U KR2019980002618 U KR 2019980002618U KR 19980002618 U KR19980002618 U KR 19980002618U KR 19990036672 U KR19990036672 U KR 199900366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oice coil
magnet
speaker
thin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충지
엘지씨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지, 엘지씨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지
Priority to KR2019980002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672U/ko
Publication of KR19990036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672U/ko

Links

Landscapes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이스 코일을 디스크 타입으로 형성시켜 진동판과 일체화 시킴으로 경량화 및 박형화를 구현하고, 또한 진동판의 균일한 모드 분포에 의해 왜율을 감소시킨 박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박형 스피커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된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일체화로 형성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양쪽 측면에 각각 접착된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저면의 프레임 내부 중앙에 부착되어 자기를 형성시키는 마그네트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박형 스피커
본 고안은 박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이스 코일을 디스크 타입으로 형성시켜 진동판과 일체화 시킴으로 경량화 및 박형화를 구현하고, 또한 진동판의 균일한 모드 분포에 의해 왜율을 감소시킨 박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마그넷으로부터 자계가 발생되어 플레이트 및 요크를 통해 자기루프가 형성되고, 자기회로 갭(gap) 내에 놓인 음성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 전류와 자계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성코일이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따라 음성코일에 결합된 진동판이 음의 소밀파(疏密波)를 발생하여 소리를 내게된다.
상기 동작을 이루는 종래의 스피커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중앙부가 돌출 형성된 원통형의 요크(6)와, 이 요크(6)의 외주상면에 부착된 마그네트(5)와, 이 마그네트(5)의 상면에 부착된 플레이트(4)와, 이 플레이트(4)의 상면에 결합된 프레임(3)과, 상기 요크(6) 및 플레이트(4)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된 권선부 및 보빈으로 구성된 보이스코일(7)과, 이 보이스코일(7)의 상부에 형성된 보빈의 측면에 각각 일단이 접착됨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프레임(3)에 결합된 진동판(1) 및 댐퍼(2)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이스코일(7)에 접착된 진동판(1) 및 댐퍼(2)의 위치는 보이스코일(7)의 권선부 상부에 구성된 보빈의 측면에 각각 접착되어 프레임(3)과의 결합을 이룬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스피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마그네트(5)로부터 발생된 자계가 플레이트(4)를 통해 자기회로 갭을 통과하여 요크(6)를 지나 자기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자기회로 갭 내에 놓인 보이스코일(7)에 전류가 흘러 구동력이 발생되어 진동판(1)에 전달되면, 이 진동판(1)은 상기 보이스코일(7)의 구동력에 대응되어 진동을 하게되고, 이 진동판(1)의 진동으로 결국 음의 소밀파가 발생되어 음파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암페어 법칙에 의해 솔레노이드(도 4의 부호 '8') 상에 자기장(도 4의 부호 '9')이 형성되며, 보이스코일(7)과 같이 조밀한 솔레노이드(도 4의 부호 '8')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이 형성되어 스피커 자기회로의 갭(Gap) 내에서 상하 운동으로 진행된다.
다시 말해, 보이스코일(7)과 진동판(1)이 본드로 결합되어 있어 보이스코일(7)의 운동이 진동판으로 전달되고, 이 진동판(1)은 매질(공기)을 진동시켜 매질의 밀, 소에 의해 소리로 전달된다.
보이스코일(7)에 전류가 흐르면 플레밍의 법칙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기장이 형성되고 스피커의 요크(6)와 플레이트(4) 사이에 이미 형성 되어있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상하운동을 하게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피커에 있어서는, 진동판(1)과 보이스코일(7)이 수직으로 네크부에서 본드로 접착되므로 과도특성에 의한 신뢰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스피커를 박형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네크 부위와 진동판 전체의 모드(Mode) 불균형에 의해 분할 공진을 일으켜 왜율(Oistortion)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이스코일은 와이어가 보빈과 접착제에 의해서만 결합되어 있으므로 와이어에 전류가 많이 흐르고 보이스 코일의 진동이 심해져 보이스 코일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와이어의 풀림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이스 코일을 디스크 타입으로 형성시켜 진동판과 일체화 시킴으로 경량화 및 박형화를 구현하고, 또한 진동판의 균일한 모드 분포에 의해 왜율을 감소시킨 박형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박형 스피커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박형 스피커의 진동판 평면도
도 4 는 솔레노이드 상에 자기장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보이스 코일에서 자기장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진동판 2 : 댐퍼
3 : 프레임 4 : 플레이트
5 : 마그네트 6 : 요크
7 : 보이스 코일 8 : 솔레노이드
9 : 자기장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박형 스피커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된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일체화로 형성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양쪽 측면에 각각 접착된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저면의 프레임 내부 중앙에 부착되어 자기를 형성시키는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이스코일은 얇은 도체판에 펀칭 및 에칭시킨 코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박형 스피커의 단면도로서, 디스크형으로 형성된 보이스코일(7)과, 이 보이스코일(7)에 일체화로 형성되어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진동판(1)과, 이 진동판(1)의 양쪽 측면에 각각 접착된 프레임(3)과, 상기 진동판(1) 저면의 프레임(3) 내부 중앙에 부착되어 자기를 형성시키는 마그네트(5)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디스크형 코일(7)을 진동판(1)과 일체형으로 형성시키고, 이 진동판(1)의 저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5)를 부착시켜 암페어 법칙에 의해 자기장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 자기장에 의해 진동판이 상하 운동을 일으키도록 하였다.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크형 코일과 진동판을 일체화시키고 진동판(1) 밑에 마그네트(5)를 부착시킴으로써 전류의 흐름에 의해 진동판은 자기장을 형성시켜 이로 인해 마그네트(5)의 영향을 받아 상하 운동을 일으킨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박형 스피커에 의하면, 진동판과 디스크형 코일을 일체화 시킴으로써, 경량화 및 박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제조상의 공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스피커의 경우, 보이스코일과 진동판을 수직으로 네크부에 본드로 접착되어 과도 특성에서의 신뢰성 문제와 분할진동에 의한 왜율(Disfortion)의 증가문제를 본 고안에서는 고른 모드 분포와 네크 부위가 없으므로 해결하였으며, 또한 보이스코일의 보빈과 와이어가 접착제로 접착되어 와이어 풀림 현상이 발생되던 것을 디스크형의 보이스코일과 진동판을 일체화 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형 스피커에 의하면, 기존의 진동판에서 네크 부위의 형상에 따라 고역 특성이 불안정하던 것을 개선시켰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스피커에 있어서,
    디스크형으로 형성된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일체화로 형성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양쪽 측면에 각각 접착된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저면의 프레임 내부 중앙에 부착되어 자기를 형성시키는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은 얇은 도체판에 펀칭 및 에칭시킨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스피커.
KR2019980002618U 1998-02-26 1998-02-26 박형 스피커 KR199900366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18U KR19990036672U (ko) 1998-02-26 1998-02-26 박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18U KR19990036672U (ko) 1998-02-26 1998-02-26 박형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72U true KR19990036672U (ko) 1999-09-27

Family

ID=6971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618U KR19990036672U (ko) 1998-02-26 1998-02-26 박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6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19B1 (ko) * 2005-04-12 2007-08-30 크레신 주식회사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19B1 (ko) * 2005-04-12 2007-08-30 크레신 주식회사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894B1 (ko) 밸런스드 플레이트 방식의 전자석 스피커
US5299176A (en) Balanced armature transducers with transverse gap
EP1434463A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such a transducer
KR101596891B1 (ko) 전자기적 구동형 슬림 스피커
EP3570559A1 (en) High-quality electromagnetic speaker having improved accuracy of air gap
US20200389735A1 (en) Bridge-edge-type high-resolution electromagnetic speaker
KR102085840B1 (ko) 음향 변환 장치
KR19990036672U (ko) 박형 스피커
JPH11187484A (ja) スピーカ
KR100570857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JPH05122792A (ja) スピーカ
JP2000308194A (ja) スピーカ装置
KR20180055096A (ko) 전자기방식 고음스피커
JP2002300695A (ja) スピーカ
JP2000036997A (ja) スピーカ装置
JPS6216075Y2 (ko)
KR101339868B1 (ko) 음향변환장치
KR20220091807A (ko) 솔레노이드 음향변환기
JPS63103598A (ja) 動電型電気音響変換器
KR0169575B1 (ko) 초박형 스피커
JPH1155794A (ja) 電磁型レシーバ
WO2022110457A1 (zh) 发声器件
JPH11187485A (ja) スピーカ
JPH1132391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JPH10200992A (ja) 反発磁気回路型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