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888A - 격자형 블럭재 - Google Patents

격자형 블럭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888A
KR19990035888A KR1019980700549A KR19980700549A KR19990035888A KR 19990035888 A KR19990035888 A KR 19990035888A KR 1019980700549 A KR1019980700549 A KR 1019980700549A KR 19980700549 A KR19980700549 A KR 19980700549A KR 19990035888 A KR19990035888 A KR 1999003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attice
wires
frame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리럭 조나단
Original Assignee
조나단 아에로스페이스 매티리얼즈 유럽 에이비
조나단 아에로스페이스 매티리얼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나단 아에로스페이스 매티리얼즈 유럽 에이비, 조나단 아에로스페이스 매티리얼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조나단 아에로스페이스 매티리얼즈 유럽 에이비
Publication of KR1999003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8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hree-dimensional form by connecting wire networks, e.g. by projecting wires through an insula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8Manufacturing of metallic grids or mats by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22Nets, wire fabric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건자재는 격자형 구조의 와이어로서, 짜개틀상에 놓여져 짜여지게 되는 연속적인 와이어로 제작될 수 있다.
와이어가 평행한 와이어의 배열로서 감겨지게 되면, 소정의 장치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단편으로 와이어를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 단편은 프레임에 배열된다.
상기 프레임에 배열된 와이어는 메트릭스, 그물망, 망사형으로 형성되도록 서로 일정각을 이루며 배열된다.
최종 단계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단조 프레스등과 같은 수단으로 서로 접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작되는 자재는 단편의 와이어를 한 쌍의 프레임에 우선 고정시킨 다음, 서로 접합시킴으로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는 독립적으로 또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격자형 블럭재
재료기술 분야에서, 더욱 견고하고 가벼운 재료를 연구 개발하는 것은 많은 기간동안 주요 목적이 되어 왔다.
현재 상기 분야에서는 주로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을 사용하여 연구 개발하고 있다.
상기 연구 개발은 정확한 기술의 개선이 따라야 하고, 현대사회의 경제적인 요건과 급변하는 기술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재료 및 방법을 이끌어 내야 한다.
가장 최근의 상기 연구 개발 활동은 중량비에 대한 강도를 보다 좋게 하는 특성에 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바, 주로 화학적인 처리에 관련되고 탄화수소를 기초로 한 폴리머를 집중 연구하고 있다.
심지어는 어떤 조건하에서 상기 연구를 기반으로하여 개발된 상기 재료와 방법이 편리하고 유용하며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상기 재료와 방법은 수준 높은 건축 구조를 개선하는 문제점과 관련되어지지 않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탄소가 기초로 된 화학적으로 공식화된 기술을 사용한 금 속의 반복 또는 재현성, 기계적인 특성들은 여전히 상기 재료와 방법의 개발 목적으로 남게된다.
따라서 상기 많은 재료들은 유용한 금속 건자재 또는 건축 요소와 비교해볼때 명목적인 개선만을 해오고 있다.
본 발명은 1993년 3월 18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08/033,111를 근거로 하고, 또한 상기 출원에 관련되어 출원된 부분 연속 출원을 근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자재 또는 건축용 구성요소들과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치수의 격자 구조를 갖는 건축용 자재와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본질에 대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도면의 설명을 하는 바, 상세한 설명과 참조 도면에 대한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자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상의 건자재를 나타내는 바, 도 1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물결 모양 또는 홈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적층되는 상태로서 본 발명의 건자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합된 상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를 제작하기 위한 프레임 또는 직물 등을 짤 수 있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실시되는 본 발명의 최초 방법을 나타내며 슬라이딩 풀리와 와이어가 각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를 제작하기 위한 짜개틀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실시되는 본 발명의 최초 방법을 나타내며 와이어가 슬라이딩 풀리의 일면 상에서 짜여지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A와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실시되는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작은 예각을 갖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된 평평한 격자형을 나타낸다.
도 10은 접힘 과정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구조물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바람직한 접힘각을 갖는 접힘 격자형의 평면도로서, 일면의 교차점이 사각 격자로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짜여진 자재로부터 제작된 격자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 및 경량의 유용한 건자재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는 와이어 격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와이어 격자형은 3차원상에서 일정하게 적층된 피라미드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 피라미드는 8개의 와이어 단편으로 구성되는데, 이 8개의 와이어 단편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 단편은 연속적으로 이어진 와이어의 일부분이고, 상기 건자재는 육안으로 보기에는 견고하고 단단하게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얇은 와이어의 3차원상의 그물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는 동이나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자재는 대략 0.005인치-0.1인치(0.1mm-2.5mm)의 직경과 0.03인치-0.09인치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자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과 재질에 제한받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와이어' 라는 용어는 단지 금속 와이어로 귀착되는 것은 아니며, 구성되는 재질에 상관없이 모든 형태의 인장된 필라멘트로 인식하여야 하고, 사용처의 실제 목적에 따라 재료의 선택이 달라진다.
"또한 상기 금속 와이어보다 기계적으로 더 약한 재료를 사용하여서도 균등하게 굳은 재료로 만든 기존의 건자재외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건자재는 중량대비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의 바람직한 규정 직경 범위는 1/10의 오차율에서 이하로 또는 이상으로 벗어날 수 있다.
심지어는 10㎛-250㎛의 직경 범위내의 매우 얇은 와이어를 사용하여 응용하는 해당 분야에서는 상기 와이어가 가볍고 얇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정된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와이어로 제조된 자재는 강도는 거의 동등하고 대략 고체 금속의 1/15정도의 밀도를 갖는다.
상기 자재의 특징은 다수의 인자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예를들어 자재상에 가해지는 힘은 일정 크기를 갖는 종래의 지지 구조물, 틀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달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미세 단면적은 표면적:부피의 비이다.
더욱이 상기 자재의 인자중에 절연은 자재상의 결점과 크랙의 증대를 감소시키고, 하중의 일정한 전달과 분배에 기여하게 된다.
상기 자재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단면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강도 특성을 지닐 수 있는 0.01인치(0.25mm)이하이고, 그 이유는 와이어의 미세한 크기가 상기 크랙의 증대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의 상기 자재는 3차원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주핵심은 사용되는 자재의 화학적/물리적 특성이 적다는데 있다.
본질적으로 건축용 자재 구조물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는 무게 대비 굽힘 강도 또는 경도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건축용 자재로 제조되는 상기 와이어는 물론 인장 및 압축 강도가 양호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는 금속재로 제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용접에 의한 접합 및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잘되는 플라스틱 또는 천연섬유로도 구성 제작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건자재는 금속 와이어로 고강도을 갖도록 제작되지만, 반면에 플라스틱, 천연섬유로 제작된 건자재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금속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들은 경량화를 달성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바, 적어도 3개의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 묶음(비금속 재료도 포함)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동시에 서로 겹쳐지게 되며, 서로 10°- 90°사이의 각으로 배열되어 3개의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의 묶음이 각 교차점에서 접합 또는 접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평평한 형상의 자재는 서로 동일면적에 걸쳐 적층되면서 상기 3개의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는 서로 인접하는 삼각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자재는 동일한 간격으로 연장된 라인을 따라 접힘 가능하고, 접힘 라인이 정해지는 와이어는 상기 3개의 묶음중에 하나의 와이어이다.
상술한 내용에 대해 축소 또는 제한없이, 상기 와이어는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이 용어(와이어)는 비금속 재료 또는 유사한 비금속 수단을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격자형은 6각 모양의 콘서티나를 이루는 묶음들중에 인접된 와이어 하나만이 접혀지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3개의 평행한 묶음으로 제작된다.
상기 접혀지는 격자형은 상부 및 하부면으로 형성된 두 개의 평행한 접힘라인을 가지며 측면에서 보았을때 지그 재그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상기 삼각형의 격자형의 구조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각은 특정각을 갖게 된다.
상기 접힘각은 두 개의 평면 사이의 각으로서,상기 두 개의 평면중에 일평면은 접힘 라인중의 하나와 교차되고, 다른 평면은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접힘 라인과걸쳐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상기 접힘각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각 인접되는 접힘 라인의 간격과, 또한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인접된 접힘 라인의 간격이 각 접힘라인을 따라 형성된 와이어의 교차점의 간격에 따라 정해지게 되고, 또는 접힘과 교차점의 간격이 서로 정수 관계를 갖도록 한다.
상기 두 개의 접혀진 격자형은 서로 적층될 수 있는데, 서로에 대하여 90°가 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적층된 격자형중 하부의 격자형의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교차점 또는 전체 교차점은 적층된 상부의 격자형의 상부면에 형성된 교차점과 일치하게 되는 바, 상기 인접된 각 격자형의 연결은 교차점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은 3차원상으로 안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격자형은 동일한 삼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예를들어 3개의 와이어 묶음은 서로 60°의 각으로 교차되고, 즉 상기 각은 평행한 와이어중의 3번째 와이어가 2개의 와이어 묶음들의 교차점을 따라 정확하게 연장 배열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의 경우는 필수적으로 할 필요성은 없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일평면의 인접된 각 접힘 라인의 간격에서의 바람직한 접힘각은 접힘 라인을 따라 형성된 교차점의 간격과 동일하고, 대략 51.3°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사용 상태에 따라 상기 3개의 와이어 묶음은 서로 비평행하게 배열되고,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초가 되는 와이어 묶음의 측단은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하면, 두 개의 와이어 묶음이 60°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며 교차되고, 반면에 3번째 와이어 묶음은 상기 두 개의 와이어 묶음과 60°이상의 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와이어 묶음의 최초 교차점을 따라 걸쳐지게 된다.
상기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상기 3번째 와이어 묶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혀지면서 3차원 상으로 양면이 없는 피라미드가 만들어지도록 한 접힘 라인이 형성된다.
이 구현예의 바람직한 접힘각에 있어서, 이 접힘각은 만들어지는 피라미드의 높이가 높고 날카롭게 되고, 상술한 동일한 삼각형으로 구성된 것보다 상부면과 하부면의 간격이 더 크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는 두 개의 격자형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서로 적층 가능하며, 교차점이 서로 일치하여 연결되며, 바람직한 접힘각은 평평한 격자형상의 정확한 삼각형 형상에 따라 유지된다.
상기 두 개의 접혀진 격자형의 연결은 서로 십자형으로 엇갈리게 되어 배열되므로서, 상기 만들어지는 피라미드는 4방이 완전한 면을 갖으며 만들어지게 된다.
적층되는 접힘 격자형들에 상관없이, 상기 평평한 격자형은 상기 접힘 격자형과 접착될 수 있는데, 상기 평평한 격자형은 접힘 격자형의 상부 및 하부면의 교차점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삼각형의 격자형은 상부 및 하부면의 각각의 접힘을 통하여 직사각형의 격자형 구조와 바람직한 접힘각을 가지며 제작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는 다수의 접혀진 격자형의 층으로 제작되고, 선택적으로는 예를들어 사각 격자형인 평평한 층의 조합으로 서로 결합된다.
만일 상기 평평한 격자형이 상기 두 개의 접혀진 격자형 사이에 배열된다면, 상기 접혀진 격자형이 90° 회전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바람직한 접힘각이 유지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기초 요소로서의 특수 제조품에 관한 것으로서, 즉, 최종적으로 격자형 블럭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층으로 접혀짐 가능하게 연결된 평평한 격자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평평한 격자형을 제작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현예에 의하면 평평한 또는 짜여진 재료가 사용되는데, 예를들어 드릴링, 에칭, 펀칭과 같은 과정으로 상기 짜여진 재료의 일부가 제거된다. 따라서 일부가 제거된 후의 상기 짜여진 재료는 결합력을 지닌 그물망 또는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구현예의 관점으로 보면 각 단편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와이어"로 형성된다.
전술한 구현예와 비교하여 볼 때, 상기 후자의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평평한 격자형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동일한 바, 예를들어 "와이어"의 "교차점"의 두께는 각 교차점 사이의 두께와 동일하다.
2. 제작함에 있어서는 평행한 와이어로 된 몇 개의 와이어 묶음을 배열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서로 교차시켜 적층한 후, 이 교차점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로 완료된다
상기 연결은 결합력이 있는 짜여진 재료에는 이미 이루어진 상태이다.
3. 상기 짜여진 재료상에 홀을 형성하는 펀칭과 에칭 작업후에 남게되는 결합력을 지니며 짜여진 재료의 십자형 단편 또는 "와이어"는 직선의 길다란 선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짜여진 면에서의 각 교차점이 서로에 대하여 이미 일정 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묶음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이 3개의 평행한 묶음으로 배열되는데 있어 필수적인 사항이 아니며, 실제적으로 각 교차점이 평행한 직선 라인을 따라 배열되어야 하고, 가능한 3개 이상의 평행한 묶음이 필요한 바, 이는 상기 3개의 평행한 와이어 묶음으로 제작된 자재와 비교하여 각 교차 라인의 간격 또는 교차점의 위치는 작거나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더욱 복잡한 구조물이 다음예와 같이 제작되는데, 동일한 삼각형을 형성하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작에 있어서, 서로 교차되는 와이어 묶음중에 두 개는 정확하게 직선으로 걸쳐지는 것이 아니고, 얇은 지그재그 라인이 형성되도록 걸쳐지게 되는 바, 동시에 각 교차점에서 일정각이 형성되고, 동일한 묶음상의 인접된 와이어들도 정확하게 반대 방향의 각을 이루게 된다. 이는 한 개의 묶음상에 주어진 각 와이어가 동일한 지그재그 라인을 따라 평행하게 걸쳐지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삼각형 격자형은 더 이상 동일한 삼각형으로 구성되지 않고, 사변각을 갖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지만, 배율이 더 커지면 대칭의 정삼각형이 이루어진다.
4. 짜여진 재료를 사용하여 격자형으로 제작된 상기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는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단면을 갖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어 교차점의 단면은 강도가 보강되도록 다소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은 실현예를 갖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그물망 또는 평평한 격자형 건자재의 구조는 더욱 향상된 개발 가능성을 갖는다.
상기 건자재는 접힘 가능한 짜여진 재료를 따라 평행한 교차 라인을 가지고, 접힘 후에 상기 교차 라인은 두 개의 평행한면으로 정해지며, 이 평행한 면의 연결은 연결면 상에 양립하는 교차 구조를 갖는 다른 격자형과 이루어진다.
상기 격자형 구조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격자형의 인접된 격자면의 교차점 이 서로 일치되도록 동일한 대칭 형상과 "양립되는"으로 간주되는 교차점 사이의 동일한 간격을 갖거나, 인접된 격자형의 교차점의 상당 부분이 예를들어 10%정도의 부분이 일치되어 연결되도록 적어도 상기와 같은 교차점의 간격과 대칭 형상을 갖는다.
서로 연결된 인접된 격자형의 교차점이 아니고, 다른 격자형의 두 개의 인접된 교차점간의 연결 십자 단편을 갖는 격자형의 교차점일 때 상기 동일한 방법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적용된다.
대칭과 간격의 특정 조건이 다음과 같이 실현되어야 하는데, 연결점이 연결면에 가능한 일정하게 배열되고, 자재에 가해지는 힘도 일정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되도록 해야 한다.
이하 평평한 격자형, 동일한 삼각형의 구성, 접힘 격자형을 제작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슬라이딩 풀리가 배열되는 짜개틀과 다수의 슬라이딩 풀리를 갖는 장치의 사용을 포함한다.
다음으로는 얇은 와이어가 짜개틀에 감겨지게 된 다음 짜여지게 된다.
상기 짜는 작업후에는 상기 와이어를 서로 접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로 부터의 얻어진 짜여진 재료 또는 본래 짜여진 재료를 물결 모양으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설정된 성형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재는 조립식의 접합 건축물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장된 마디로 제작된다.
상기 신장된 마디는 원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또는 물결 모양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각각의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방법으로서 설명하면, 제 1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 또는 직물 등을 펼 수 있도록 한 프레임과 다수의 슬라이딩 풀리가 설치된다.
상기 장치는 장력을 갖는 와이어가 접합 이전에 정확한 배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물 등을 펼 수 있도록 한 프레임은 120°간격으로 배열된 'T'형 절개부를 갖는 3개의 마주보는 짜개 세트를 갖는 평평한 링이다.
상기 직물 등을 펼 수 있도록 한 프레임 또는 레일 또는 짜개에 꼭 맞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풀리는 와이어를 정확하게 유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홈을 갖는다.
다음 단계로서, 회전 삼각틀상에 3개의 홈을 갖는 지지대로 구성된 짜개틀이 장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짜개틀은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와이어가 짜개틀로부터 도출되기 전에, 슬라이딩 풀리가 잠금되도록 한 위치의 면을 갖는 3개의 칼럼 또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짜개틀과 지지대가 회전하게 되면, 1회전 후, 와이어가 지지대에 형성된 홈중 다음 차례의 즉, 아래쪽의 다음 홈에 감겨지도록 상기 와이어는 슬라이딩 풀리의 홈을 경유하여 하방향으로 계속 도출되어 진다.
상기 와이어가 짜개틀에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는 슬라이딩 풀리의 옆으로 분리되어 진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 풀리는 이미 장착되어 있던 프레임에 장착되고, 따라서 상기 와이어는 그물망 또는 메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트릭스 형상을 이룬 와이어의 교차점 즉, 와이어가 서로 겹쳐져 이루어진 점이 단조 프레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단조 프레스는 상기 각 교차점이 접합되도록 상기 각 교차점에 일정한 압력과 열을 공급한다.
상기 모든 교차점이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교차 상태의 와이어는 슬라이딩 풀리와 짜개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상기 평평한 와이어는 건축재로서 절연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평한 와이어는 프레스 또는 프레스 램, 다이, 톱니 롤러 세트에 통과시킴 등을 사용하여 굽힘 또는 비틀림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는 짜여진 상태에서 물결 모양 또는 육각형상에서 접힘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물결 또는 접힘된 상태의 와이어 재료는 3차원 상에서 더 두터운 형상으로 이룰 수 있도록 개개가 적층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법으로서, 먼저 상기 와이어 세트가 제 2 고정 프레임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는 제 1 고정 프레임에 배열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프레임은 서로 반대 위치가 되며 이송되는데, 이는 제 2 고정 프레임상의 와이어가 제 1 프레임상에 와이어에 대하여 대략 60°의 각을 가지며 배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각 교차점에서, 제 2프레임의 와이어는 제 1 프레임 상의 와이어와 접합되어진다.
상기 접합은 낱개의 와이어, 또는 묶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합 작업이 끝나게 되면, 상기 제 2 프레임상의 와이어는 하방향으로 도출되는 바, 따라서 제 1 프레임상의 와이어가 인접된 다음 홈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프레임상의 와이어는 제 1 프레임에 배열되고, 접합 작업이 재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절차 단계는 2개의 접합 와이어 세트로 원하고자 하는 크기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음 단계에 있어서, 3번째 와이어 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 구조물에 대하여 접합된다.
상기 와이어는 제 1 고정 프레임에 차례로 배열된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고정 프레임은 모든 와이어가 대략 60°의 각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놓이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다수의 동일한 삼각형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교차점에서 상기 와이어는 서로 차례대로 접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합은 전적으로 원하고자 하는 형상에 맞게 낱개의 와이어 또는 묶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의 접합이 완료되면, 최종 와이어 제품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서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상기 자재는 건물, 건축자재 또는 구조물의 재료인 절연체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자재는 물결 모양 또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프레스 또는 프레스 램, 다이, 톱니 롤러셋에 통과시킴, 등을 사용하여 굽힘 또는 절개 시킬 수 있다.
상기 평평하게 짜여진 와이어 자재를 3차원상에서 더욱 두터운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적층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격자형 자재를 제작하는 또 다른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평행한 와이어가 묶여진 상기 와이어 묶음간의 각은 60°에 국한되지 않고, 격자형 자재를 세로 방향으로 평행한 접합 장치에 의하여 제작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제 1 와이어 묶음이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이드 또는 묶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와이어 묶음에 관해서 일정각 즉, 10°- 90°사이의 각으로 연장된 평행한 제 2 와이어 묶음용 가이드 및 묶음 장치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장치는 10°- 90°사이의 각, 바람직하게는 제 1 묶음에 대한 동일한 각에서 제 2 묶음이 제 1 묶음과 형성되도록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 1 묶음에 대하여 연장되도록 배열된 평행한 제 3 와이어를 수단으로 하는 상기 제 3 가이드 인자 및 묶음 장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및 묶음 수단은 3개의 와이어 묶음이 교차 또는 겹쳐지는 점을 갖도록 배열된다.
접합은 다음과 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우선 제 1과 제 2 묶음 사이와, 제 2 및 제 3 묶음의 와이어 사이가 접합된다.
그러나 접합 작업은 개개의 와이어 또는 3개의 묶음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로부터 제거되고, 접합 장치의 작업 범위에 내의 일정 거리상으로 이동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와이어의 묶음은 서로 적층되도록 배열시킬 수 있고, 원하고자 한다면 서로 짜여지도록 할 수 있지만, 더욱 복잡한 제작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안점을 기반으로하여, 평평한 건자재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예를들어 튜브등과 같은 3차원상으로 곡면 처리된 목적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들어, 상기 접힘 격자형이 각각 제작된 다음, 튜브 형태로 굽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접힘 격자형 또는 그밖에 하나 또는 두 개의 평평한 격자형이 굽힘 후에 튜브 형태로 된 상기 접힘 격자형의 상하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우에 있어서, 주의 할점은 굽혀지고 접혀진 격자형의 안쪽면에 형성된 교차점상의 만곡된 간격이 바쪽면의 만곡된 간격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주의점의 해결 수단으로서, 평평한 격자형과 접힘 격자형이 다른 격자 측정 수단으로 제작되는 바, 튜브 다이어메타가 상기 굽혀지고 접혀진 격자형의 각 교차점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접힘 격자형과 평평한 격자형을 제작할 수 있도록 고정형 튜브 다이어메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이고 특수한 목적은 각 구성상의 설명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절차 단계, 각 구성상의 특징, 상기 절차 단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구성상의 배열과 결합들을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예와, 청구항에 제시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법과 장치를 갖는다.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 도 1-8을 참조로 하면 도면 부호 10은 본 발명에 의해 실현되는 건자재를 나타낸다.
상기 건자재(10)는 아주 얇은 와이어 단편(12)이 망사형 도는 격자형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 와이어 단편은 각 와이어 단편의 교차점(14)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얇은 와이어 단편(12)은 연속적으로 이어진 와이어(16)의 일부이다.
도 1 -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자재는 격자형의 얇은 와이어 단편(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자재(10)는 설계된 기술 적용으로 단면하여 보면, 판 또는 물결 또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좀 더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자재(10)는 3차원상에서 일정하게 적층된 피라미드로 구성된 적층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각 피라미드(18)는 8개의 와이어 단편(12)으로 구성되는 바, 각 와이어 단편은 교차점(12)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단편(12)은 통상적으로 동,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EMD 와이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12)는 0.005인치 - 0.001인치(0.125-0.254mm)사이의 직경을 가지고, 또한 0.02인치 - 0.1인치(0.5-2.5mm)사이의 길이를 가진다.
현재 바람직한 와이어 재료는 직경이 0.08인치(대략 0.2mm)을 가지며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고 있다.
본 발명은 건자재(10)의 제작을 위한 방법이 고려된 것으로서, 첫번째 방법은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프레임 또는 직물 등을 펼수 있도록 한 프레임 구조물(22)과 직물 등을 짜는 짜개틀(26)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도 8A와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료를 제작하기 위하여 고정 프레임(70,(72)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를 제작하기 위한 첫번째 방법으로서, 프레임(22)이 설치되는데, 상기 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풀리(24)가 배열되도록 설계된다.
부수적으로 짜는 작업을 시작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풀리(24)가 배열될 수 있도록 짜개틀(26)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음 단계는 상기 연속적으로 이어진 와이어(16)가 짜는 작업을 위하여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16)는 상기 짜개틀(26)로 당겨지게 되고, 원하는 모양으로 짜여지게 된다.
상기 짜는 작업 다음으로 와이어(16)는 상기 프레임(22)에 위치되어 와이어 단편(12)의 각 교차점에서 통상의 접합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의 결과로 짜여진 와이어 직물 또는 천은 적층 건자재로 제작하기 위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제작 절차 단계를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첫번째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22)과 슬라이딩 풀리(24)가 장착된다.
도 6과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는 와이어 또는 와이어 필라멘트(16)가 접합전에 장력과 정확한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레임(22)은 평판형 링(28)으로서, 두 개씩 서로 마주보게 되는 레일 또는 가이드(30) 3쌍을 가지고, 'T'자 형상의 절개부(35)를 갖는다.
상기 레일(30)은 서로 120°의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각도를 일정하게 하는 이유는 펼쳐짐 가능하게 와이어 또는 와이어 필라멘트(16)를 갖는 3쌍의 슬라이딩 풀리(24)가 상기 프레임(22)에 배열되었을 때, 서로 겹쳐지게 되는 상기 와이어 단편(12)이 다수의 등삼각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딩 풀리(24)는 와이어(16)가 감겨져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한 다수의 평행한 홈(34)을 갖는 표면인 케이스상의 제 1 구획면(32)을 갖는다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풀리(24)의 보이는 면으로서 배열된 제 2 표면(37)은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상기 짜개틀(26)의 지지대(38)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슬라이딩 풀리(24)는 제 1 구획면과 일치되어 구성되는 제 2구획면(36)을 갖는다.
상기 제 2 구획면(36)은 짜는 작업이 이하 설명되는 바과 같이 완료되었을 때, 와이어를 끌어 당길 수 있도록 한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구획면과 제 2 구획면(32),(36)은 예를들어 스크류, 볼트, 또는 전문 기술자에게 친숙한 다른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삼각틀(40)상에 세 개의 지지대(38)로 구성된 짜개틀(26)이 제작 또는 구비된다.
상기 수직의 지지대(38)는 와이어(16)가 짜개틀(26)로 당겨지기 전에 슬라이딩 풀리(24)의 제 1 구획면(32)이 체결되도록 한 소정의 체결면(42)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38)상의 소정의 체결면(42)은 슬라이딩 풀리(24), 바깥쪽으로 형성된 홈을 갖는 표면(33)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움직임면에서 보면, 상기 슬라이딩 풀리(24)상의 제 1 구획면(32)의 제 2 표면(37) 각각은 짜개용 짜개틀(26)을 장착하기 위하여 지지대(38)중의 하나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열된다.
상기 슬라이딩 풀리(24)는 스크류, 볼트, 전문 기술자에게 친숙한 다른 체결 수단으로 상기 지지대(38)와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음 단계로서, 상기 짜개틀(26)과 지지대(38)는 슬라이딩 풀리(24)의 홈(34) 위쪽으로 와이어(16)가 도출되도록 회전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26)은 와이어(16)가 각 슬라이딩 풀리(24)의 보다 오목한 그 다음의 홈(34)에 끼워진 상태가 되는 회전주기후에 회전된다.
상기 절차 단계는 슬라이딩 홈(24)의 모든 홈(34)에 와이어(16)가 삽입될때까지 계속된다.
짜개 작업을 하는 동안에 상기 와이어 필라멘트(16)는 0.05-0.2온스(1.4-6g)사이의 인장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방법이 진행시에, 와이어(16)는 상기 전체 지지대(38)사이에 평행한 영역을 차지하며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가 짜개틀(26) 또는 평행한 배열의 스풀 프레임상에 배열될 때, 상기 각 슬라이딩 풀리(24)의 제 2 구획면(36)이 상기 각 제 1 구획면(32)위로 배열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16)는 다음 처리 단계를 위하여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의 와이어(16)를 분리시키게 되는데, 즉, 와이어(16)를 지지대(38)를 따라 접합 토치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절단시킨다.
상기 절차 단계에서 와이어 마디(48)의 각 끝단에 상기 슬라이딩 풀리(24)가 부착된 3개의 자립면(46)이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 풀리(24)는 상기 소정의 체결면(42)에서 분리되는 동시에 프레임(22)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다음 단계는 상기 슬라이딩 풀리(24)와 와이어 마디(48)가 프레임(22)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마디(48)는 단조 프레스를 사용하여 서로 열결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풀리(24)는 레일(30)의 'T'형 절개부(35)에 위치되어 진다.
같은 형상의 'T'형 절개부(35)와 슬라이딩 풀리(24)와 와이어 마디(48)는 서로 120°각을 이루며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 와이어 단편(12)은 삼각형의 격자 모양으로 제작되는 바, 상기 와이어 단편은 다수의 동일한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든 와이어 단편(12)의 방향이 정확하게 정해지면, 당분야의 전문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단조 프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각 교차점(14) 동시에 열간 압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스는 화씨 1250°의 온도와 대략 1인치당 50파운드의 가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 단편(12)의 접합은 바람직하게는 진공 조건에서 진행시킨다.
상기 모든 교차점(14)이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완성되는 건자재(10)를 상기 프레임(22)과 슬라이딩 풀리(24)로 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를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70),(72)을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70)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70)의 표면(76)에는 다수의 절개홈(74)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74)의 직경은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의 제작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자에게는 잘알려진 사실이다.
상기 절개홈(74)은 상기 표면(76)상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홈(74) 사이의 이격 거리는 만들고자 하는 건자재와 격자형 모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절개홈(74)은 서로 간에 대략 0.03인치와 0.07인치(0.75mm-1.8mm)의 이격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홈(74)은 서로간에 대략 0.05인치(1.27mm)의 이격을 이루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78)의 전극접합(도시되지 않음)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70)의 끝단(80)에 절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72)은 서로 관련된 각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는 다변형이다.
상기 고정 프레임(72)상의 각각의 면(82),(84)사이의 각은 다음과 같은 와이어에 따라 결정되는 바, 즉, 와이어가 상기 프레임(72)상에 배열되었을 때, 상기 고정 프레임(70)상에 배열된 와이어 대비 대략 60°의 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에 의하여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72)은 다수의 홈(86)을 가지고, 이 홈(86)은 프레임(72)의 표면(88)중의 어느 한면에 절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86)의 크기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건자재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와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홈(86)은 상기 표면(88)상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홈(86)간의 간격은 만들고자 하는 격자형 건자재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홈간의 이격거리는 대략 0.03인치-0.07인치(대략 0.75-1.8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86)간의 이격거리는 0.05인치(대략 1.27mm)이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스크류(92)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플랜지(90)가 고정 프레임(72)의 표면(88)의 일부분에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90)와 스크류(92)는 서로 보완관계로서, 프레임(70)상에 배열된 와이어와 체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법으로서, 우선, 제 1 와이어 세트가 상기 프레임(72)의 홈(86)에 배열된다.
상기 와이어가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90)는 상기 배열된 와이어 위로 배열되고 스크류(92)가 사용되어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절개홈(74)에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70)의 끝단(80)에 삽입되어 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70),(72)은 와이어가 겹쳐지는 동시에 서로 60°의 각으로 배열되도록 서로 인접되어 접촉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72)에 고정된 와이어에 상기 프레임(70)에 고정된 와이어가 겹쳐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는 각 교차점에서 접합되는데, 이 접합은 만들고자 하는 의도에 의하여 와이어 한가닥 또는 묶음으로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72)에 배열 고정된 와이어의 접합 작업이 완료되면, 프레임의 일부분 또는 하부가 이송되어 지는데, 그 이유는 상기 홈에 남아 있는 프레임(70)의 와이어가 상기 끝단(80) 또는 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재차 접합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끝단(80)에 삽입되도록 하며 새로운 와이어를 상기 홈(74)에 배열시킨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0)에 배열 고정된 연속적으로 이어진 와
이어가 상기 프레임(72)에 고정된 와이어 위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음 단계로서, 와이어의 세 번째 세트는 와이어의 하부 구조상에 배열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된다.
상기 구성 절차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와이어는 상기 끝단(80)에 삽입되면서 재차 상기 홈(74)에 배열된다.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70),(72)은 모든 와이어가 서로 겹쳐지는 동시에 대략 60°의 각으로 배열되도록 재차 서로 인접되어 접촉되도록 이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는 각 교차점에서 서로 접합되고, 이 접합은 와이어 한가닥 또는 묶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의 접합 작업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상기 건자재(10)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건자재(10)는 필요 조건에 따라 가공 처리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상기 건자재(10)는 절연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한 상기 건자재를 예를들어 프레스, 프레스 램과 다이, 또는 톱니 롤러를 통과시킴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결 또는 접혀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자재(10)가 물결 또는 접혀진 형상으로 형성된 구현예는 압연기에 통과시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판형 건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압연기는 평평한 돌출부와 복원력을 지닌 곡면부를 갖는다.
상기 복원력을 갖는 곡면부는 일직선을 따라 접선으로 상기 평평한 돌출부와 접촉된다.
움직임면에서 보면, 상기 건자재(10)는 프레스의 돌출 및 복원부와 사이의 접선을 따라 굽힘된다.
상기 건자재(10)는 서로 당겨지게 되면 굽힘 또는 비틀림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상기 건자재는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를 적층할 수 있고, 보다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여러개가 층을 이룬 평판형 건자재(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물결 또는 접혀진 형상의 건자재(1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건자재를 만들기 위한 적층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서로 적층되어지고, 다음으로 적층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은 건자재(10)를 단조 프레스에 배열시키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건자재(10)를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접합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를 제작하는 절차 단계로서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작 절차를 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와이어 마디는 도 8B에 도시한 제 2 고정 프레임의 표면에 절개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싱글 와이어는 도 8A에 도시한 제 1 고정 프레임의 제 1 홈에 배열된다.
상기 각 프레임에 배열된 와이어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직경는 0.008인치(0.2mm)이며, 메샤츄세츄 힝검에 위치한 올 스테인레스 회사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다.
다음으로 평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서 약 0.01인치로 넘어서도록 인장시켜 배열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프레임에 배열된 와이어는 제 1 프레임에 배열된 싱글 와이어와 접촉되어진다.
특히, 상기 제 2 프레임의 와이어가 제 1 프레임의 와이어에 대하여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와이어들이 방향 측정된다.
다음 절차 단계에 있어서, 전극봉이 상기 제 1 프레임의 싱글 와이어와 제 2 프레임의 와이어를 접촉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 교차점에서 전극봉은 각 와이어에 5파운드의 가압력을 가하면서 위치되어 진다.
상기 전극봉은 1% 전극관의 1% 에서 90%의 범위의 공칭 전류의 규정치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1 싸이클의 단계의 1에서 70싸이클 범위에서 60헤르쯔 싸이클의 규정치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원과 연결된다.
상기 전원을 사용하여, 표준 공칭 전류의 55%에 해당되는 전류가 1 싸이클 동안에 교차점에 공급되어 진다.
상기 절차 단계는 모든 교차점이 접합될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구성 절차의 최종 단계는 제 1 과 제 2 와이어의 일부분이 제 2 프레임에 재차 배열된 다음, 제 3 프레임이 제 1 프레임에 배열된다.
상기 각 교차점에서 전극봉이 각 와이어상에 5파운드의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와이어와 접촉되어 배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을 사용하여, 표준 공칭 전류의 대략 65%의 전류가 1 싸이클 동안에 상기 교차점에 공급된다.
상기 절차 단계는 와이어의 모든 교차점이 서로 접합될때까지 반복된다.
상술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설명에 의하여 명백하게 달성된 모든 방법중에 하나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움직임과 제작 절차와 상기 제작된 구조물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상기 설명에 포함되는 모든 구성은 단지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한정적인 의미로 이해하면 안된다.
다음에 서술되는 청구항은 모두 본 발명의 고유한 것들이고, 특유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물론 실시예를 토대로 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또는 서술된 모든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3은 일정한 삼각 격자형의 구조가 형성되도록 평평하게 짜여진 재료에 에칭 또는 펀칭을하여 절개시킨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절개되어 제거된 부분은 평명도상에 보았을 때 대략 각 꼭지점이 곡면된 동일한 삼각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각 교차점 또는 교차면이 교차되어지는 필라멘트에 대하여 강도 보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격자형이 비틀림 또는 접혀짐 가능한 부위는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짜여진 재료의 오목한 부위는 모든 구조가 평행한 와이어 묶음으로 제작되고 뿐만아니라 더 복잡한 격자형과 그물망 구조로 제작되도록 원하고자 하는 형상과 배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평평한 격자형 또는 그물망의 건자재는 접혀질 수 있고, 유사한 격자형과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르게 접혀지거나 블럭재로 제작할 수 있도록 평평한 격자형이 적층될 수 있다.
도 9는 평평한 격자형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3개의 와이어 묶음(1),(2),(3) 각각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묶음(2),(3)은 서로 대략 40°의 각도를 이루도록 교차되며, 상기 묶음(1)은 상기 묶음(2),(3)의 양쪽에 대하여 대략 70°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접혀진 격자형이 상기 묶음들에 의하여 제작된다면, 상기 접혀지는 라인은 와이어의 제 1 묶음을 따라 접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의 제 2, 3 묶음을 접으면 피라미드 구조가 형성된다.
도 10은 접혀진 격자형의 상부 및 하면(4),(4')의 구조가 접혀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0에서 동일한 삼각형으로 구성된 평평한 격자형으로 보여지는 것이 하부 왼쪽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평행한 와이어 묶음중에 상기 와이어(1),(1')는 접혀지는 선으로 결정된 것이다.
상기 접힘은 굽힘할 수 있는 장치 또는 프레스, 롤러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도 10에서 상부 왼쪽의 것은 상기 접혀지는 격자형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1)는 격자형의 상부면(4)을 나타내고, 와이어(1')는 격자형의 하부면(4')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의 상부 좌측에 도시된 것을 보면, 상기 접힘각 α는 두 개의 교차면의 각으로 정해진 것으로서, 즉, 접힘선중에 하나의 선이 교차되는 면과, 인접된 두개의 접힘 라인이 지나게 되는 반대쪽의 다른면에 의하여 이루어진 각이다.
도 10의 우측에 도시된 것은 상기 접힘 격자형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평평한 격자형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부면(4)상에 정해진 와이어(1)의 4개의 격자점을 원형부로 도시함으로써. 평평한 격자형임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상기 동일한 원으로 표시된 격자점은 접힘 라인들(1)의 일방향에서 이들의 간격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상기 접힘 격자형의 우측에서 보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간격은 상기 접힘 라인(1),(1')에 대하여 수직이 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접힘 격자형의 수평 간격은 접힘각α에 의해 정해진다.
동일한 크기의 삼각형 구조와 6각형 구조를 동시에 가지는 평평한 격자형에서 도 1에 도시된 상기 격자점의 수평 간격은 대략 51.3°의 접힘각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동일한 면(4),(4')에 접하는 접힘 라인의 간격은 접힘선(1),(1')상의 격자점의 간격(b)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에 도시한 경우도 그러하다.
도 11에서 접혀진 격자형은 바람직한 각도로 접혀진 후에 격자형의 상부면 교차점이 사각형을 형성되어 지고, 원형으로 표시된 격자판의 하부면의 교차점도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3차원 구조로 설명하면, 격자형 하부면의 접힘 라인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피라미드 형상의 측단을 포함하는 격자형 상부면의 접힘 라인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도시된 도면 부호 5는 도 12에 다시 확대하여 도시되고 있다.
도 12에서 와이어(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지점으로서 보이는 전체 피라미드수는 12개이고, 동시에 이 경우에 하부면(4')의 와이어(1')는 피라미드의 하부면 측단에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된 구조는 일방향의 굽힘력에 저항력을 가지고, 상기 접힘 라인과 수직 위치인 면(4),(4')으로 이어진 중심선에 대한 굽힘력에 높은 저항력을 갖는다.
그러나, 처음에는 상기 격자형이 접힘 라인과 평행한 중심선에 대한 굽힘력에 약한 저항력을 지니게 되는데, 그 이유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이어진 피라미드들의 하부단면이 없기 때문이다.
만일 동일하게 접혀진 격자형을 얻어내고자 하려면, 도 11과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격자형을 90°로 회전시키며, 그 다음에 첫 번째 제작된 격자형 위에 올려 놓으면, 첫 번째 격자형의 접힘 라인이 격자형의 접힘라인(1),(1')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이되면서 두 개의 격자형이 서로에 대하여 배열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피라미드의 꼭지점과 하부 각 꼭지점을 형성시키는 교차점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태에서, 만일 상기 격자형이 서로 접합되면, 피라미드의 꼭지점 및 하부 각 꼭지점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구조물은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진다.
상기 다수의 적층물은 서로 접합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하여 90°의 각으로 엇갈리게 된다.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층은 피라미드의 하부 꼭지점으로서 이루어지게 되는 크기의 격자형을 갖는 사각 단판으로 접합될 수 있고, 또는 접힘 라인(1')에 대하여 수직으로 인장된 평행한 와이어의 단묶음일 수 있으며, 교차점의 하부면(4')위로 접합된 접힘 라인(1')(피라미드의 하부 각 꼭지점과 만나는)이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는다.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상기 블럭 격자형의 가장 상부층의 피라미드 꼭지점 과, 사각 격자형 또는 평행한 와이어 묶음으로서 서로 수평으로 연결된 와이어(1)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피라미드의 각 꼭지점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한 것이 용이하게 달성되도록 각각의 피라미드의 하부 꼭지점은 역피라미드의 꼭지점으로 공유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피라미드의 상부 꼭지점의 연결은 피라미드의 하부 꼭지점의 연결과 동일한 절차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접힘 격자형이 서로 연결될 때, 물론 모든 격자점이 정확하게 배열되고, 따라서 인접된 접힘 격자형의 인접면(4),(4')내의 교차점이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배열되어 진다.
격자형의 접힘은 미리 정확한 방법으로 일치시켜야 한다.
두 개의 격자형이 서로 정확하게 배열되었을 때, 두 개의 격자형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 단조 프레스에 의하여 피라미드의 꼭지점내의 격자형의 각각의 일면 이 수용되며 접합된다.
그러나 상기 다수의 층중에 상층 구조물의 움직임은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
만일 격자형이 매우 정확하게 제작되고, 정확하게 일치되는 방법으로 서로 배열되었다면, 상기 접합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자형의 양쪽 외부면에 넓은 면적을 갖는 전극봉을 배치시킨후, 적절한 서지 전류를 통과시키면 상기 두 개의 격자형은 다른 부분보다 더 큰 전기적인 저항으로 규정되는 각 교차점에서 서로 접합된다.
물론, 예를들어 골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반도체 칩의 연결과 같은 기계적인 연결 기술도 사용 가능하다.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평평한 격자형 대신에 플레이트 또는 포일을 접힘 격자형의 상기 피라미드 꼭지점들 위로 접합 및 접착제로 접착시킬 수 있는 바, 단층 또는 다수층 격자형의 가장 외부층에 더 많은 격자형을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건자재는 콘테이너 또는 가스와 유체가 새지 않는 격 벽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격자형의 중간부 공간은 합성수지 또는 유동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견고한 재료를 채우고, 동시에 그 재료가 표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Claims (35)

  1.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 구조는 연속적인 와이어 마디로 이루어진 제 1, 제 2, 제 3의 묶음을 갖는 특정의 얇은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마디는 각 교차점에서 서로 접합되며, 적어도 두개의 제 1 묶음과 제 2 묶음, 또는 제 3 묶음의 와이어 단편은 다른 묶음 와이어열에 대하여 대략 60°의 각으로 배열되며, 상기 와이어 단편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제 2, 제 3 묶음을 열을 이루는 다수의 동일한 삼각형을 갖는 연속적인 삼각 구조 영역이 형성되도록 서로 고정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와이어 단편의 열은 동, 스테인레스 스틸, EDM 와이어중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와이어 단편의 열로 제작된 자재는 대략 0.005인치에서 0.01인치(0.125mm - 2.5mm)사이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와이어 단편의 열로 제작된 자재는 대략 0.008인치(0.2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와이어 단편의 열의 교차점간의 간격은 대략 0.01인치에서 0.1인치 사이(0.25mm -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 구조.
  6. 상기 특정의 얇은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을 제작하는 방법.
    a) 적어도 3개의 마주보는 레일 세트을 가지는 환형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레일은 슬라이딩 풀리가 장착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주보는 레일 세트는 서로 120°의 각도로 배열된다.
    b) 제 1 표면상에 평행한 다수의 홈이 형성된 제 1 구획면을 갖고, 동시에 제 1 구획면과 맞물림되도록 형성된 제 2 구획면을 갖는 슬라이딩 풀리가 구비된다.
    c) 회전 삼각틀상에 형성된 홈에 장착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대를 갖는 짜개틀을 구비하는 바, 상기 지지대는 확고한 고정 방법으로 관련된 측벽의 일면중의 하나의 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소정의 체결면을 갖는다.
    d) 슬라이딩 풀리의 제 1 표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짜개틀로 얇은 와이어 필라멘트가 당겨진다.
    e) 슬라이딩 풀리의 제 1 구획면의 제 1 표면과 맞물리게 되는 슬라이딩 풀리의 제 2 구획면이 배열되므로서, 슬라이딩 풀리상의 와이어가 고정되고, 슬라이딩 풀리에 인접된 와이어는 분리된다.
    f) 와이어 필라멘트로부터 와이어 메트릭스가 형성되도록 프레임상의 마주보는 레일 세트의 슬라이딩 풀리가 고정되고, 슬라이딩 풀리가 상기 프레임상에 고정됨으로서, 와이어는 대략 120°각도에서 서로 교차되며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바, 와이어는 동일한 삼각형 구조물로 형성된다.
    g) 상기 와이어를 평평한 구조인 와이어 격자형이 형성되도록 서로 접합시킨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물결 구조 또는 접힙되는 와이어 격자형이 되도록 와이어를 굽히는 절차 단계가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을 제작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평평한 구조의 와이어 격자형의 제 1 구획면이 상기 물결 또는 접힘 와이어 격자형의 일면상에 접합되도록 하는 절차 단계가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을 제작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평평한 구조의 와이어 격자형의 제 2 구획면이 물결 또는 접힘 구조를 갖는 상기 와이어 격자형의 제 2면상에 접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물결 모양을 갖는 상기 와이어 격자형의 제 2면은 상기 물결 구조를 갖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 1면과 마주보게 되도록 하는 절차 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격자형을 제작하는 방법.
  10. 와이어 격자형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격자형을 제작하는 방법.
    a) 얇은 와이어로 된 제 1 묶음이 삽입되도록 한 다수의 홈을 갖는 제 1 프레임이 구비된다.
    b) 얇은 와이어로 된 제 2 묶음이 삽입되도록 한 다수의 홈을 갖는 제 2 프레임이 구비된다.
    c) 상기 제 2 프레임의 홈들에 상기 와이어 묶음이 배열되는 동시에 각각의 해당 홈 위치에서 상기 와이어의 묶음이 고정된다.
    d) 상기 제 1 프레임의 홈에 와이어 단편이 배열된다.
    e) 상기 제 2 프레임상의 와이어 묶음이 제 1 프레임의 와이어 단편에 대하여 60°의 각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서로 접촉 이동된다.
    f) 상기 제 1 프레임상의 와이어 단편과 상기 제 2 프레임상의 와이어 묶음이 서로 접합된다.
    g) 접합 와이어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프레임상에 와이어 단편이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상의 와이어 묶음에 와이어 단편이 접합된다.
    h) 제 2 프레임에 접합된 와이어의 구조물이 배열되는 동시에 제 2 프레임에 와이어 묶음을 갖는 상기 구조물이 고정되고, 제 1 프레임에 와이어 단편이 고정된다.
    i) 제 1 프레임에 와이어 단편이 배열된다.
    j) 와이어 단편을 갖는 와이어의 일부 구조는 제 1 프레임에 배열된다.
    k) 평평한 구조로 와이어 격자형이 형성되도록 제 1 프레임에 와이어 단편이 연속적으로 삽입되고, 접합된 와이어의 일부 구조를 갖는 상기 와이어 단편이 접합된다.
    l)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와이어 격자형이 제거된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물결 또는 접힘 구조를 갖는 와이어 격자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와이어 격자형을 굽힐 수 있는 절차 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격자형을 제작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평평한 구조를 갖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 1 구획면이 상기 물결 또는 접힘 구조를 갖는 와이어 격자형의 일면상에 접합되도록 하는 절차 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평평한 구조를 갖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 2 구획면이 상기 물결 모양을 갖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 2 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물결 구조를 갖는 상기 와이어 격자형의 제 2 면이 상기 물결 구조를 갖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 1 면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배열되도록 하는 절차 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격자형의 제작 방법.
  14. 다수의 평행한 와이어의 묶음을 갖는 와이어 격자형은 서로 평행한 적어도 3개의 와이어 묶음을 갖고, 상기 다수의 와이어 묶음은 서로 최소 10°에서 최대 90°의 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들은 각 교차점에서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와이어 묶음의 각각으로 부터의 낱개의 와이어가 각 교차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묶음의 와이어간의 각도와 각 묶음내의 와이어의 간격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은 6각형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라인은 평행한 교차점의 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라인에 대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정해지는 접힘부의 길이와 접힘각은 상기 접힘 격자형의 일면상에 위치되는 교차점의 격자 크기는 접히지 않은 즉 평평한 격자형의 교차점의 격자 크기와 일치되도록 조절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접힘 격자형의 일면상의 교차점의 격자 크기는 평평한 격자형의 교차점의 격자 크기에 대하여 정수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
  20. 제 16 항 또는 16항 이전의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격자형의 서로 다른 두개의 와이어 묶음간의 각은 60°이고, 평행한 와이어 묶음의 와이어들를 따라 접힘 라인이 형성되는 바, 접힘 라인상의 교차점의 간격은 접혀지는 꼭지점 또는 골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접힘 라인의 접혀지는 각도는 대략 5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
  21. 평행한 묶음으로 배열된 필라멘트와 서로 최소 10°에서 최대 90°의 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격자형 구조는 상기 필라멘트의 최소 부분이 짜여진 재료의 규칙적으로 배열된 영역으로 제거함으로서 평평하게 짜여진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격자형 자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영역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삼각형의 각 꼭지점 부위는 곡면으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자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은 적어도 두 개의 묶음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 개의 묶음내의 삼각형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두 묶음 간의 차이로서 다른 묶음에 대한 삼각형은 180°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자재.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에 있어서, 최초로 제작되는 격자형은 적어도 금속 재료의 판으로 제작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자재.
  25.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을 위한 방법은 3개의 평행한 와이어의 묶음이 서로 겹쳐지게 되거나 서로 짜여지게 되는데, 한 개의 와이어 묶음과 또다른 와이어 묶음이 적어도 10°와 최대 90°각에서 서로 배열되고, 상기 서로 다른 와이어 묶음을 각각의 교차점에서 접합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배열은 각 교차점이 서로 다른 와이어 묶음들의 각각의 것인 3개의 와이어를 갖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와이어는 6각형의 형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평평한 또는 접혀진 격자형은 서로 다수의 층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각 접촉점의 적어도 한 부분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격자형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용접 접합으로 서로 연결되고, 접힘 배열을 위해 서로 90°의 각으로 회전 배열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30. 제 21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짜여진 재료상에 규칙적을 배열된 영역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짜여진 재료상에 펀칭 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상기 짜여진 재료상에 에칭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으로 형성된 영역의 구조는 사진 석판 기술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34. 제 30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료의 판은 짜여진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35. 제 30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짜여진 재료는 설계된 영역의 제거후에 그물망 구조 또는 격자형으로 남겨지게 되는 바, 인접하는 교차점의 연결 라인을 따라 형성된 그물망 또는 격자형의 평행한 교차 라인을 따라 접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와이어의 제작 방법.
KR1019980700549A 1995-07-30 1996-04-25 격자형 블럭재 KR19990035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27618 DE19527618A1 (de) 1995-07-30 1995-07-30 Gitterblockmaterial
DE19527618.3 1995-07-30
DE19542510A DE19542510A1 (de) 1995-07-30 1995-11-15 Gitterblockmaterial
DE19542510.3 1995-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88A true KR19990035888A (ko) 1999-05-25

Family

ID=2601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549A KR19990035888A (ko) 1995-07-30 1996-04-25 격자형 블럭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842000A1 (ko)
JP (1) JPH11514928A (ko)
KR (1) KR19990035888A (ko)
CN (1) CN1192173A (ko)
AU (1) AU5647796A (ko)
BR (1) BR9610090A (ko)
CZ (1) CZ23498A3 (ko)
DE (2) DE19527618A1 (ko)
HU (1) HUP9802346A3 (ko)
IL (1) IL118177A0 (ko)
MX (1) MX9800799A (ko)
NO (1) NO980397L (ko)
PL (1) PL324801A1 (ko)
SK (1) SK12298A3 (ko)
WO (1) WO1997004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0792A1 (de) * 1997-05-17 1998-11-19 Hans Hoffman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reidimensional gitterartigen Struktur und ein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dreidimensional gitterartige Struktur
DE19721586A1 (de) * 1997-05-23 1998-11-26 Jonathan Aerospace Materials E Dreidimensionale Gitterstruktur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ihrer Herstellung
DE19853576A1 (de) * 1998-11-20 2000-05-25 Jonathan Aerospace Materials E Verfahren zum Gießen von Strukturen mit stabförmigen Elementen und damit hergestelltes Gußteil
DE19927670C2 (de) * 1999-06-17 2001-08-16 Akzo Nobel N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Geogitters durch Falten eines zweidimensionalen, gitterförmigen Flächengebildes sowie danach hergestelltes dreidimensionales Gitter
JP4568728B2 (ja) * 2003-11-07 2010-10-27 全南大学校産業財団 連続ワイヤーで直接織られた3次元の多孔質軽量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FR2932705B1 (fr) * 2008-06-19 2011-02-11 C T I F Ct Tech Des Ind De La Fonderie Preforme et procede pour la fabrique, par moulage, d'un materiau solide a structure cellulaire
DE102008063289A1 (de) 2008-12-30 2010-07-01 Kieselstein Gmbh Dreidimensionale Drahtstruktur in Leichtbauweis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2079006A (zh) * 2010-10-18 2011-06-01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中凸模轮成型网碰焊焊接制作工艺
CN106033844B (zh) * 2015-03-20 2020-10-13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陶瓷基超材料及其制造方法
JP6059841B1 (ja) 2016-05-16 2017-01-11 則之 加納 2次元スチール製織物と一体化した樹脂構造体の成形方法
CN108539365B (zh) * 2018-03-28 2020-07-14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星载网状天线网面
CN115556437A (zh) * 2022-10-08 2023-01-03 上海兰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用的底护板及电池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4157A (en) * 1942-04-03 1945-09-04 Edmund P Burke Multitrussed unit
US3298402A (en) * 1965-02-15 1967-01-17 Jesse R Hale Method for fabricating space structures
NL6905376A (ko) * 1969-02-10 1970-10-12
DE2720278C2 (de) * 1977-05-05 1985-03-21 Nippon Seisen Co., Ltd., Hirakata, Osak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stärkten Metallfilters
DE3702916C2 (de) * 1987-01-31 1996-05-09 Dieter Prof Dr Ing Wuestenberg Leichtbau - Konstruktion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647796A (en) 1997-02-26
JPH11514928A (ja) 1999-12-21
DE19542510A1 (de) 1997-05-22
CZ23498A3 (cs) 1999-04-14
SK12298A3 (en) 1998-08-05
DE19527618A1 (de) 1997-02-06
CN1192173A (zh) 1998-09-02
MX9800799A (es) 1998-11-29
NO980397D0 (no) 1998-01-29
HUP9802346A3 (en) 1999-07-28
EP0842000A1 (de) 1998-05-20
NO980397L (no) 1998-03-26
HUP9802346A2 (hu) 1999-02-01
IL118177A0 (en) 1996-09-12
BR9610090A (pt) 1999-01-05
WO1997004897A1 (de) 1997-02-13
PL324801A1 (en) 199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9467A (en) Lattice block material
US5527590A (en) Lattice block material
KR19990035888A (ko) 격자형 블럭재
US5364491A (en) Grid structures
US3884646A (en)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US767052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urved beam from composite material
US8745958B2 (en) 3-dimensional lattice truss structure composed of helical wi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1994017993A1 (en) Formable cellular material
RU256848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с ферменным заполнителем
US4584226A (en) Load transf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298402A (en) Method for fabricating space structures
JP2017529471A (ja) 軽量構成要素用のハニカム、特に変形可能なハニカム、対応する生産方法、及びサンドイッチ構成要素
US5024874A (en) Three dimensional fabric with a linkage structure
KR20130100143A (ko) 메쉬 형상의 금속 매트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040078670A (ko) 보강장치
GB2182703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tructural sandwich sheet material comprising two face sheets and two core sheets
JPH08193993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われ検知方法
JP2002516200A (ja) 蜂の巣構造体及び蜂の巣構造体の製造方法
US6251809B1 (en) Composite materials with highly aligned discontinuous fiber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JP2920769B2 (ja) 光ファイバー素線の最密結束方法
KR20080076284A (ko) 3차원 트러스형 규칙 다공질 금속 제조용 금속망의 절곡장치 및 절곡 방법
JPH06182712A (ja) 展開竹平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S60111733A (ja) 強化材料マツ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54066A (ko) 이중 선체 선박의 보강재 제조방법
JPH09206954A (ja) 波型鉄筋マ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