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663A -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663A
KR19990035663A KR1019970057496A KR19970057496A KR19990035663A KR 19990035663 A KR19990035663 A KR 19990035663A KR 1019970057496 A KR1019970057496 A KR 1019970057496A KR 19970057496 A KR19970057496 A KR 19970057496A KR 19990035663 A KR19990035663 A KR 1999003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ear seat
sleeve
fold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663A/ko
Publication of KR1999003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663A/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빙가이드(WEBB'G GUIDE)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후방시트에 기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만을 이용하여 웨빙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폴딩 슬리브의 일측에는 연장부(11)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11)는 시트백에 장착되는 안전벨트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연장하부(14), 이 연장하부(1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곡부(12), 이 절곡부(12)에서 더욱 연장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걸림부(13)등으로 구성하여 웨빙가이드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트백의 원상 복귀시에 안전벨트가 차체와 후방시트의 시트백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시트백을 전방으로 젖히고져 할 때에도 안전벨트가 고정되어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웨빙이가이드의 추가적인 체결작업에 따른 시간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본 발명은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빙가이드(WEBB'G GUIDE)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후방시트에 기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웨빙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 및 에어백등이 설치되어 있다. 승용차의 경우 안전벨트는 전방시트 뿐만아니라, 후방시트에도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가 장착된 후방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방시트에 앉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시트의 일측부에 안전벨트(6)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안전벨트(6)의 일단부에는 클립(2)이 배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 상부의 일측부에는 슬리브(8) 및 폴딩노브(9) 등이 설치되어 있있는데, 상기 슬리브(8) 및 폴딩노브(9) 등은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접기위하여 필요한 일종의 버튼이다.
즉, 자동차 후방에 위치한 트렁크에 어떠한 길이가 긴 물체 등을 안치시키고져 할 때에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을 전방을 향하여 접어 놓음으로써 안치작업을 완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접어놓고져 할 때에 그 작업을 보다 신속 편안히 할 수 있도록, 일종의 잠금버튼인 폴딩노브(9) 등을 설치하였다. 상기 폴딩노브(9)는 숫고정부(4)가 삽입되는 구멍을 지닌 슬리브(8)와 함께 제공되는 부품으로써, 상기 숫고정부(4)는 암고정부(5)에 삽입된다.
상기 암고정부(5)는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7)에 삽입고정되는 부품으로써, 도시된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젖히고져 할 때에 상기 후방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6)를 고정시키지 못하여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었고, 상기 시트백을 원래의 위치로 회복토록 하여도 안전벨트(6)가 차체와 후방시트(1)의 시트백 사이에 끼어 있어 잠금상태 불량이 초래되는바, 웨빙가이드의 설치가 필요한 실정 이었다.
상기한 웨빙가이드를 추가로 설치하고자 할 때에 그에 따라 추가적인 생산비 상승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상기한 웨빙가이드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한 안전벨트가 차체와 후방시트의 시트백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시트백을 전방으로 젖히고져 할 때에도 안전벨트가 고정되어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데에 관심을 가져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 및 관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빙가이드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트백의 원상 복귀시에 안전벨트가 차체와 후방시트의 시트백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시트백을 전방으로 젖히고져 할 때에도 안전벨트가 고정되어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가 장착된 후방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가 장착된 후방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후방시트 4: 숫고정부
5:암고정부 6:안전벨트
7:구멍 10:슬리브
11: 연장부 12: 절곡부
13: 걸림부 14: 암고정부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후방시트의 시트백 일측상부에 장착되어 시트백의 전방 회전 및 원위치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폴딩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폴딩 슬리브의 일측에는 연장부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시트백에 장착되는 안전벨트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연장하부, 이 연장하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곡부, 이 절곡부에서 더욱 연장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가 장착된 후방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10)는 크게 암고정부(16), 연장부(1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1)는 연장하부(14) 절곡부(12) 걸림부(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방시트(1)에 앉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 일측부에 안전벨트(6)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안전벨트(6)의 일단부에는 클립(2)이 배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 상부의 일측부에는 슬리브(10) 및 폴딩노브(9) 등이 설치되어 있있는데, 상기 슬리브(10) 및 폴딩노브(9) 등은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접기위하여 필요한 일종의 버튼장치이다.
즉, 자동차 후방에 위치한 트렁크에 어떠한 길이가 긴 물체 등을 안치시키고져 할 때에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을 전방을 향하여 접어 놓음으로써 안치작업을 완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접어놓고져 할 때에 그 작업을 보다 신속 편안히 할 수 있도록, 일종의 잠금버튼인 폴딩노브(9) 등을 설치하였다. 상기 폴딩노브(9)는 숫고정부(4)(도1참조)가 삽입되는 구멍을 지닌 슬리브(10)와 함께 제공되는 부품으로써, 상기 숫고정부(4)는 암고정부(16)에 삽입된다.
상기 암고정부(16)는 상기 후방시트(1)의 시트백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고정되는 부품으로써, 도시된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0)의 상부면 일측에는 연장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1)의 연장하부(14) 안전벨트(6)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부하부(14)의 상부에 위치하는 걸림부(13)는 상기 안전벨트(6)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장하부(14)와 걸림부(13)사이에는 절곡부(12)가 형성되어 있어, 결국 상기 연장하부(14), 절곡부(12), 걸림부(13) 등이 이루는 정면 형상은 대략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U자형의 연장부(11)의 내부에 상기 안전벨트(6)가 삽입됨으로써, 별도의 웨빙가이드가 필요치 않게 되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리브(10)는
슬리브 본연의 기능인 폴딩노브(9)의 고정상태 유지 및 웨빙가이드의 기은인 안전벨트(6)의 가이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에 웨빙가이드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트백의 원상 복귀시에 안전벨트가 차체와 후방시트의 시트백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시트백을 전방으로 젖히고져 할 때에도 안전벨트가 고정되어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웨빙가이드의 추가적인 체결작업에 따른 시간을 감소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도 기대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자동차 후방시트의 시트백 일측상부에 장착되어 시트백의 전방 회전 및 원위치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폴딩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폴딩 슬리브의 일측에는 연장부(11)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11)는 상기 시트백에 장착되는 안전벨트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연장하부(14), 이 연장하부(1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곡부(12), 이 절곡부(12)에서 더욱 연장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걸림부(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KR1019970057496A 1997-10-31 1997-10-31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KR19990035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96A KR19990035663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96A KR19990035663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63A true KR19990035663A (ko) 1999-05-15

Family

ID=6608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496A KR19990035663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6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4979B1 (en) Motor vehicle seat featuring two seat belts
GB2236082A (en) Air bag system cover.
KR19990035663A (ko) 자동차 후방시트의 폴딩슬리브
GB2301016A (en) Rear seat belt arrangement
US3241882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KR10042788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장치
KR10043538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좌굴 방지 구조
KR100208615B1 (ko) 자동차용 뒷좌석
KR0124363Y1 (ko) 자동차용 후방 시트의 안전 벨트 버클 수납 장치
JPH0352219Y2 (ko)
KR01145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9990029824U (ko) 자동차용 시트백 접힘 구조
KR200148253Y1 (ko) 위치 변화가 가능한 자동차 시이트 벨트 앵커
JPH0729007Y2 (ja) 自動車用幼児保護座席
KR19980057814A (ko) 자동차용 시트
JP3087806B2 (ja) シートベルトの引出口構造
CN117043018A (zh) 具有计划变形的安全带紧固和引导板件
KR0116309Y1 (ko) 더블폴링 시트용 버클 수납장치
KR19980031176U (ko) 접이식 헤드 레스트
KR100205892B1 (ko) 승용차 뒷좌석 록킹기구
KR200205665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접힘 구조
KR0133481Y1 (ko)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가이드 브래킷
KR0117327Y1 (ko) 자동차용 보조거울
KR100210303B1 (ko) 승합 차량의 시트 벨트지지 기구
KR0113402Y1 (ko) 자동차용 옷걸이 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