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731U -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731U
KR19990034731U KR2019990004302U KR19990004302U KR19990034731U KR 19990034731 U KR19990034731 U KR 19990034731U KR 2019990004302 U KR2019990004302 U KR 2019990004302U KR 19990004302 U KR19990004302 U KR 19990004302U KR 19990034731 U KR19990034731 U KR 199900347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ntainer lid
contain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호
Original Assignee
임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흥호 filed Critical 임흥호
Priority to KR2019990004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731U/ko
Publication of KR199900347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73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뚜껑의 상부에 구성되는 개폐구를 슬라이드방식으로 구성하여 개폐구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통해서 널리 실용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따른 용기뚜껑은, 상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폭을 갖고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공이 통공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는 수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돌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폭을 제외한 나머지 폭 상단에단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와, 상단면에 돌기들이 다수개 돌출되고, 양측면에가이드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패킹이 내장된 개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은, 개폐구가 슬라이딩식으로 구성되어져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하고 개폐구의 마모가 없어 샴푸나 린스등의 리필제품에 더욱 큰 기대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의 상단면에 돌기들이 다수개 돌출되어져 손의 슬립을 방지함으로써, 개폐구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미는데에 전혀 문제점이 없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구 및 개폐구 상단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들이 상기 용기뚜껑의 상단외주에 형성된 단턱내로 수용되기 때문에용기를 거꾸로 뒤집어도 용기가 넘어지거나 하는 제반사항을 일시에 해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용기뚜껑{CONTAINER CAP}
본 고안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뚜껑의 상부에 구성되는 개폐구를 슬라이드방식으로 구성하여 개폐구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통해서 널리 실용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용기뚜껑(9)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용기내의 수용물을 밖으로 인출하기 위해서 상단에 개폐구(91)가 구성되어져 있는 바, 상기 개폐구(91)는, 양측에 평행한 절취선들(92)(92)이 형성되고 이 절취선(92)(92)들의 양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절곡선(93)이 형성되어져 상,하로 유동되어 개폐가 가능토록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뚜껑(9)의 개폐구(91)는 오래 사용함에 따라 절취선들(92)(92)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절곡선(93)이 용기뚜껑(9)과 떨어져 나가게 됨으로써 용기뚜껑(9)을 장기간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샴푸나 린스등과 같이 리필(refill)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에는 적용하여 실용화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슬라이딩구조로 이루어진 것이있으나, 이것은 뚜껑의 중심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의 주연으로 테이퍼진 돌부와 다수의 통공 및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패킹이 끼워진 고정봉을 삽입후 고정부 일단에 레버를 체결구로써 체결조립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레버를 테이퍼진 돌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에 패킹에 의해서 다수의 통공을 개폐시킴으로써 용기입구를 개폐하여 용기내의 수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기뚜껑은 복잡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증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공정에 의해서 널리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뚜껑들이 지닌 여러 가지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샴푸나 린스등의 리필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작업공정을 단순화 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옴으로써 널리 실용화 될 수 있는 용기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 단면도 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5는 종래 용기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몸체 3 : 개폐구
5 : 페킹 22 : 단턱
23 : 수납부 23a : 슬라이드돌부
23b : 배출공 31 : 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용기내의 수용물을 용기뚜껑을 통해 밖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폭을 갖으며,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공(23b)이 통공된 수납부(23)를 갖으며, 상기 수납부(23)의 폭을 제외한 나머지폭 상단에 단턱(22)을 갖는 몸체(2)와;
상단면에 돌기(31)들이 다수개 돌출되고, 양측면에 가이드홈(32)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패킹(5)이 내장된 개폐구(3)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부(23)는 횡방향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돌부(23a)가 더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의 작용 및 효과를,바람직한 일실시예를 토대로 하여 도시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몸체(2)의 상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양간에 걸쳐 일정의 폭을 갖고 횡방향으로이루어지며, 양측 아래에 슬라이드돌부(23a)가 역시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된 수납부(23)에, 상단면에 다수개의 돌기들이 돌출된 개폐구(3)가 끼움 구성된다.상기 구성에 있어서, 개폐구(3)가 수납부(23)에 끼움 구성될 때에 개폐구(3)의 양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2)에, 상기 수납부(23) 아래의 양측면에 돌출된 슬라이드돌부(23a)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개폐구(3)의 자유로운 슬라이드운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은, 사용함에 있어서 용기뚜껑상부의 수납부(23)에 끼움 구성된 개폐구(3)를 일측으로 밀게되면 수납부(23)의 일측에 통공된 배출공(23b)이 개방되어져 용기내의 수용물이 용기뚜껑을 통해서 밖으로 인출된다.
또한, 용기내의 수용물을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상기 용기뚜껑상부의 개폐구(3)를 타측으로 밀어 상기 수납부(23)의 일측에 통공된 배출공(23b)을차단하여 용기내의 수용물이 용기 밖으로 인출되어짐을 막는다.
상기 수납부(23)의 일측에 통공된 배출공(23b)을, 상기 개폐구(3)가 차단할때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구(3)내에 내장된 패킹(5)이, 상기 배출공(23b)과 동일선상에 놓여지도록 구성되어짐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용기내의 수용물이 용기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3)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때에, 개폐구(3) 상단면에 다수개의돌기(31)들에 의해서 손이 미끄러짐 없이 쉽게 개폐구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내 수용물의 잔량이 얼마남지 않아서 수용물의 인출이 힘들게 되어 좀 더 수월하게 수용물을 인출하기 위해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놓는 경우가 많은다. 상기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놓을 때 용기는 좌우로 치우치지 않으며 넘어지지 않게되는바, 이것은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이 단턱(22)으로 형성되고, 이 형성된단턱(22)내로 개폐구(3) 및 개폐구(3)의 상단면에 돌출된 돌기(31)들이 수용되기때문에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놓는데에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이 상부에 구성된 용기는, 상기 용기뚜껑의 상부에 구성된 개폐구(3)가 슬라이딩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개폐구(3)의 마모가전혀없어 용기의 재활용이 항상 가능함으로써 샴푸나 린스등의 리필용에 더욱 확실하게 실용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은, 개폐구가 슬라이딩식으로 구성되어져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하고 개폐구의 마모가 없어 샴푸나 린스등의 리필제품에 더욱 큰 기대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의 상단면에 돌기들이 다수개 돌출되어져 손의 슬립을 방지함으로써, 개폐구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미는데에 전혀 문제점이 없으며, 뿐만아니라, 상기 개폐구 및 개폐구 상단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들이 상기 용기뚜껑의 상단외주에 형성된 단턱내로 수용되기 때문에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도 용기가 넘어지거나 하는 제반사항을 일시에 해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폭을 갖고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공(23b)이 통공된 수납부(23)와, 상기 수납부(23)의 내부에는 수납부(23)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돌부(23a)가 구성되고, 상기 수납부(23)의 폭을 제외한 나머지 폭 상단에 단턱(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2)와;
    상단면에 돌기(31)들이 다수개 돌출되고, 양측면에 가이드홈(32)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패킹(5)이 내장된 개폐구(3)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KR2019990004302U 1999-03-17 1999-03-17 용기뚜껑 KR199900347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02U KR19990034731U (ko) 1999-03-17 1999-03-17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02U KR19990034731U (ko) 1999-03-17 1999-03-17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31U true KR19990034731U (ko) 1999-09-06

Family

ID=5475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302U KR19990034731U (ko) 1999-03-17 1999-03-17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73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54B1 (ko) 2006-09-11 2007-10-02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IT202000011086A1 (it) * 2020-05-14 2021-11-14 Keepup Soc Benefit S R L Tappo di chiusura per un recipiente per sostanze liquide o semiliquide
CN114933269A (zh) * 2022-05-19 2022-08-23 王英明 一种化工用桶装原料的封装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54B1 (ko) 2006-09-11 2007-10-02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IT202000011086A1 (it) * 2020-05-14 2021-11-14 Keepup Soc Benefit S R L Tappo di chiusura per un recipiente per sostanze liquide o semiliquide
CN114933269A (zh) * 2022-05-19 2022-08-23 王英明 一种化工用桶装原料的封装设备
CN114933269B (zh) * 2022-05-19 2023-06-27 王英明 一种化工用桶装原料的封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868A (ko) 조미료 분배 용기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MXPA03001897A (es) Recipiente sellado llenado con agua para hacer hielo y empaque que comprende el mismo.
KR200363704Y1 (ko)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덮개
KR19990034731U (ko) 용기뚜껑
KR20030011299A (ko) 병원 및 농작물 폐기물 저장용기
KR20080047374A (ko) 컨테이너, 폐쇄 수단 및 이의 용도
KR200217611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20050098777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뚜껑의 구조
KR200438528Y1 (ko)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JP4853895B2 (ja) 蓋体付きキャップ
KR200422788Y1 (ko) 접철식 후지상자
KR910006061Y1 (ko) 화장품 용기
KR910006062Y1 (ko) 화장품 용기
KR200173961Y1 (ko) 보온병의 속뚜껑
KR200246139Y1 (ko) 손잡이 이탈방지용 돌기를 가지는 용기
JP4535317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08200988A (ja) 替芯ケース
KR100936301B1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의 밀폐구조
KR200262347Y1 (ko) 용기 뚜껑 부착 장치
KR870001365Y1 (ko) 용 기 마 개 체
KR200235156Y1 (ko) 식품포장용기
KR200326408Y1 (ko) 담배케이스
KR200252827Y1 (ko) 용기에 뚜껑을 체결하는 위조방지용 체결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