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054B1 -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054B1
KR100763054B1 KR1020060087493A KR20060087493A KR100763054B1 KR 100763054 B1 KR100763054 B1 KR 100763054B1 KR 1020060087493 A KR1020060087493 A KR 1020060087493A KR 20060087493 A KR20060087493 A KR 20060087493A KR 100763054 B1 KR100763054 B1 KR 10076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everage container
guide
ope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안
양성혁
Original Assignee
양성안
양성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안, 양성혁 filed Critical 양성안
Priority to KR102006008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7Action for opening container linearly sliding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8Means for preventing dust contacting pouring opening, e.g. a cover over the tear panel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캔형태로 제공되는 음료용기의 대부분은 따개손잡이를 파지하는 과정이 불편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간편하게 음료용기를 개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는 음료용기와;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가 개봉부의 금속박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

Description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The opening of beverage vessel with stop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형상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봉돌기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7은 종래 음료용기 개봉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용기
11 : 장공
2 : 안내돌기
21 : 가이드 돌기 22 : 개봉부
23 : 금속박 24 : 요철부
3 : 가이드편
31 : 개봉돌기 32 : 파지돌기
33 : 고정돌기 34 : 빨대 삽입부
4 : 고정레일
5 : 주름형 마개
51 : 고정리벳 52 : 파임자국
53 : 지지대
6 : 슬라이딩부재
61 : 걸림돌편 62 : 레일공
63 : 리벳공 64 : 산형돌부
65 : 고정공
7 : 따개손잡이부재
71 : 컷팅부 72 : 누름부
73 : 미끄럼방지부 74 : 걸림홈
75 : 고정돌기
본 발명은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캔이나 병의 형태로 밀봉되어 판매되는 음료용기의 개봉구조 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최소한의 힘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음료와 같은 밀봉 형태의 음료용기는 대부분 용기 상부에 밀봉되게 결합되어 있는 뚜껑의 상면 일측에 따개손잡이가 별도의 고정핀으로 뚜껑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따개손잡이를 잡아당겨 올리면 일측단부위의 눌러지는 압력에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음료수 유출구가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를 떼어내어 유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따개손잡이는 손가락의 끝 부분을 걸어 당겨서 마개를 떼어내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손톱에 무리를 주어 손톱을 손상시키게 되고, 작은 크기의 음료용기라도 한 손으로 음료용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따개 손잡이를 잡아당겨서 마개를 떼어내야 하므로 양손을 동시에 사용해야하는 불편함과, 음료용기의 내용물을 마실 때 따개손잡이가 코에 닿는다거나 유출구의 개방면적이 커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유출되므로 별도로 빨대 등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용기 개방구조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개발되고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존의 캔을 대체하는 기술의 보급은 미미한 수준이다.
도 7은 종래 음료용기 개봉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종래 기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6-0005743호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의 구성은 밀봉형태로 된 음료용기 뚜껑에 마개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좁고 길게 리벳형으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레일(4);
상기 고정레일(4)의 일측 뚜껑에는 주름형의 박판으로 절곡형성되어 일측 상면에 종방향으로 좁고 길게 돌출된 고정리벳(51)과, 주름형의 골에 파임자국(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벳(51)과 대응되는 저면에 하향돌출된 지지대(53)를 구비한 주름형 마개(5);
상기 주름형 마개(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레일(4)에 삽입되어 이를 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작동되고, 상기 고정레일(4)에 의해 잠금 역할을 하는 좌,우측 걸림돌편(61)을 구비한 레일공(6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벳(51)이 대응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벳공(63)과 산형 돌부(64) 및 다수개의 고정공(65)이 구비되어 절곡형성된 슬라이딩부재(6);
상기 슬라이딩부재(6)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호형으로 형성되고 하단 중앙에 컷팅부(71)가 형성된 누름부(72)와, 이의 타측 상면에 요철을 이루는 미끄럼방지부(73)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슬라이딩부재(6)의 산형 돌부(64)가 밀착되게 걸리는 걸림홈(74)과, 상기 슬라이딩부재(6)의 고정공(65)에 대응되게 억지끼움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75)를 구비한 따개손잡이부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안의 음료를 섭취하기 위하여 따개손잡이부재(7)의 누름부(72)에 압력을 가하여 눌린 다음 따개손잡이부재(7)의 미끄럼방지부(73)를 파지하여 밀면, 박판으로 절곡형성되어 뚜껑에 일체로 밀폐되게 형성된 주름형 마개(5)의 좌측 단부를 따개손잡이부재(7)의 컷팅부(71)가 눌러주게 되어 뚜껑으로부터 주름형 마 개(5)의 좌측 둘레부가 떼어지게 되고, 따개손잡이부재(7)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부재(6)에 고정되어 있는 주름형 마개(5)가 뚜껑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떼어내어짐과 동시에 슬라이딩부재(6)의 산형 돌부(64) 저부로 접혀지면서 위치하게 되어 뚜껑에 유출구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음료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누름부(72)를 누르고 미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용기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에 다수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누르고 미는 동작은 종래와 비교하여 상당부분 간편하게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그 동작이 두 번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간소화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료용기의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를 보다 간소화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간결한 동작으로 마개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는 음료용기와;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가 개봉부의 금속박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편의 상면에는 손가락으로 가이드편을 밀 경우 미끄러짐을 줄이도록 하는 다수의 파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돌기의 가이드 돌기로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양측면에는 전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가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편의 상기 요철부에 상응하는 내측에는 상기 요철부에 따라 후방으로는 미끄러지되 전방으로의 진행이 억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은 반구형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 및 가이드편은 상기 반구형에 상응하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봉돌기는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는 음료용기(1)와;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22)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23)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2)와;
상기 안내돌기(2)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21)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22)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를 나타내었다.
즉 상기 구조는 사용자가 가이드편(3)을 미는 동작을 하면 안내돌기(2)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일측으로 밀어냄으로서 개봉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평상시에는 음료용기(1) 내부의 압력 팽창에 의하여 상기 금속박(23)이 손상되는 경우를 가이드편(3)이 밀착되어 덮음으로 해결된다.
또한 상기 금속박(23)은 소재에 따라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얇은 막의 형상으로도 가능하나 음료용기(1)의 소재가 금속인 경우에는 금속막(23)이 접착성이 용이할 것이며, 반대로 용기가 합성수지일 경우에는 금속박(23)을 합성수지제로 하는 것이 가장 무난할 것이다.
또 상기 음료용기(1)와 안내돌기(2)는 일체로 성형하는 것(;일반 캔의 형상이면 상면을 이루는 원형 판과 일체로 성형하게된다.)이 공정이 단순해지며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편(3)의 상면에는 손가락으로 가이드편(3)을 밀 경우 미끄러짐을 줄이도록 하는 다수의 파지돌기(32)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미는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형상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안내돌기(2)와 가이드편(3)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1에 제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도 가능하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뾰족한 돌출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곡선으로 처리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안내돌기(2)의 가이드 돌기(21)로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양측면에는 전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24)가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편(3)의 상기 요철부(24)에 상응하는 내측에는 상기 요철부(24)에 따라 후방으로는 미끄러지되 전방으로의 진행이 억제되는 고정돌기(33)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개봉된 가이드편이 쉽게 움직임으로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힘 이상에서만 움직이도록 하였으며 특히 다시 닫는 방향으로는 더 많은 힘이 요구되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기존의 원통형 형상에서 개선되어 상기 음료용기(1)의 상단은 반구형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2) 및 가이드편(3)은 상기 반구형에 상응하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반구형 구조는 음료용기(1)의 형상이 기존의 것과 차별되는 디자인을 가지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빨대가 아닌 직접 입으로 마시기에도 용이한 구조이다.
즉 상기 음료용기(1)의 음료가 배출되는 장공(11)을 반구형 상단에 위치하면 음료를 남김없이 전부 마시기에도 용이하고 이를 위하여 기울일 캔의 각도도 종래보다 적어 소비자가 보다 쉽게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봉돌기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사시도로서, 상기 개봉돌기(21)는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상기 금속박(23)은 적은 힘에는 일정 강도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최초 찢어서 개봉할 때 너무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고 잘 찢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봉돌기(21)의 형상을 한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편(3)이 닫혔을 때 상기 안내돌기(2)의 금속박(23)이 위치한 상부에는 빨대를 꽂아 관통할 수 있는 빨대 삽입부(34)가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빨대 삽입부(34)는 관통된 홀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빨대를 삽입하여 금속박을 직접 천공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빨대 삽입부(34) 부분을 빨대로 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얇게 형성하는 실시 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는 한 번의 동작으로 용기가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는 음료용기(1);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22)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23)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2);
    상기 안내돌기(2)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21)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22)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3);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돌기(2)의 가이드 돌기(21)로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양측면에는 전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24)가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편(3)의 상기 요철부(24)에 상응하는 내측에는 상기 요철부(24)에 따라 후방으로는 미끄러지되 전방으로의 진행이 억제되는 고정돌기(3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4.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는 음료용기(1);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22)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23)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2);
    상기 안내돌기(2)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21)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22)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3);을 구비하되,
    상기 음료용기(1)의 상단은 반구형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2) 및 가이드편(3)은 상기 반구형에 상응하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5.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는 음료용기(1);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22)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23)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2);
    상기 안내돌기(2)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21)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22)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3);을 구비하되,
    상기 개봉돌기(21)는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6.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는 음료용기(1);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22)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23)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2);
    상기 안내돌기(2)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21)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22)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3);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편(3)이 닫혔을 때 상기 안내돌기(2)의 금속박(23)이 위치한 상부에는 빨대를 꽂아 관통할 수 있는 빨대 삽입부(34)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7.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는 음료용기(1);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22)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23)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2);
    상기 안내돌기(2)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21)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22)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3);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돌기(2)는 개봉부(22) 상단에 저주파로 부착되는 금속박(23) 대신 개봉돌기(21)와 일체로 성형되는 합성수지 박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8.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에 의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진 내부와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는 음료용기(1);
    저면은 개방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양측 상단은 상호 반대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며, 정면과 상기 정면과 연결되는 상면 일부는 개방되는 개봉부(22)가 형성되어 저주파로 부착시키는 얇은 금속박(23)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11)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안내돌기(2);
    상기 안내돌기(2)의 상면 및 가이드 돌기(21)에 상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전면에는 상기 개봉부(22)의 전면의 형상을 가진 개봉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개봉돌기(31)가 개봉부(22)의 금속박(23)을 찢어 개방되도록 하는 가이드편(3);을 구비하되,
    상기 음료용기(1)와 상기 안내돌기(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1020060087493A 2006-09-11 2006-09-11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10076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493A KR100763054B1 (ko) 2006-09-11 2006-09-11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493A KR100763054B1 (ko) 2006-09-11 2006-09-11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054B1 true KR100763054B1 (ko) 2007-10-02

Family

ID=3941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493A KR100763054B1 (ko) 2006-09-11 2006-09-11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0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731U (ko) 1999-03-17 1999-09-06 임흥호 용기뚜껑
KR200419638Y1 (ko) 2005-03-22 2006-06-23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731U (ko) 1999-03-17 1999-09-06 임흥호 용기뚜껑
KR200419638Y1 (ko) 2005-03-22 2006-06-23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9198A (en) Covering cap with closable opening for bottle or other container
AU2013321880A1 (en) Storage container
JP3130875U (ja) 飲料容器用蓋
KR200419638Y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100763054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JP2005518314A (ja) ワンタッチで開閉する上部開口部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100789491B1 (ko) 음료용기 개방구조
KR20100007307U (ko)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JP4851408B2 (ja) コンパクトケース
KR200227219Y1 (ko) 일회용 화장품 용기
KR200365928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이중 체결 구조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20060069978A (ko) 캔용기 개폐장치
JP7213451B2 (ja) キャップ及び容器
KR200338762Y1 (ko) 화장품 용기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GB2383259A (en) A hand guard for carry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WO2007046727A1 (fr) Emballage pour produits alimentaires
KR200185919Y1 (ko) 개방이 용이한 팩용기
KR200221807Y1 (ko) 포장용 통의 개폐 구조
JP4882522B2 (ja) 容器
KR200401478Y1 (ko)
JP4008787B2 (ja) ガス抜き構造付き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