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361A -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361A
KR19990033361A KR1019970054692A KR19970054692A KR19990033361A KR 19990033361 A KR19990033361 A KR 19990033361A KR 1019970054692 A KR1019970054692 A KR 1019970054692A KR 19970054692 A KR19970054692 A KR 19970054692A KR 19990033361 A KR19990033361 A KR 19990033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pe
tension
rop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361A/ko
Publication of KR19990033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361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교체시점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량물을 호이스트에 견인시키는 데 사용되는 와이어로프(10)가 변형되어 위험구간에 도달되는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로프(10)의 파단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자,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에 따라 함께 인장되도록 코일스프링(24)이 내장된 스프링드럼(22)에 감겨져서 상기 스프링드럼(22)쪽 구간에 스위치접점편(32)이 결합된 한편 반대편 단부가 와이어로프(10) 적소에 결합고정된 인장철사(30)와; 상기 인장철사(30)가 인장 진행되어 위험구간까지 진행 도달되면 상기 인장철사에 결합되어 있는 스위치접점(32)과 스위칭될 수 있도록 철사통과구멍(28)이 관통형성된 내측 적소에 전원접점(28)이 각각 결합되어 전선(26)을 통해 연결되는 한편, 외측 적소에는 상기 전원접점(28)을 통해 스위칭되어 통전된 전원부(28)에 의해 발광되어 와이어로프(10)의 교체시점이 표시될 수 있도록 경고램프(34)가 설치된 철사하우징(20)과; 상기 철사하우징(20) 외측에 상기 인장철사(30) 반대쪽으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10) 적소에 결합고정된 고정철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A device for confirming a change point in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호이스트에 견인시키는 데 사용되는 와이어로프가 변형되어 위험구간에 도달되는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로프의 파단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는 몇 개의 철사를 꼬아서 1줄의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다시 6가닥의 스트랜드를 1줄의 마로프 중심으로 꼬아서 로프를 만든 것으로, 케이블카나 크레인과 같은 하중이 큰 구조물의 이동연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와이어로프(110)를 이용해서 호이스트(120)에 중량물(130)이 견인되어 들어 올려지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중량물(130)의 견인 연결수단으로 사용된 종래의 와이어로프(110) 구조를 상세 도시한 것으로, 견인할 중량물(130)을 상기 와이어로프(110)의 양족 꼬임부(112)를 이용하여 걸어 연결시킨 상태에서 크레인의 호이스트(120)를 상기 와이어로프(110)에 걸어 해당 위치로 들어올려 견인작업하였다.
그런데, 와이어로프(110)의 허용 인장력이 훨씬 넘을 정도의 무게가 큰 중량물(130)을 견인할 경우에, 상기 와이어로프(110)가 계속적으로 사용되면서 견인되는 중량물(13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이 일어나 최종적으로 와이어로프(110)의 파단이 발생되거나 늘어나는 것을 사전에 발견하지 못해 와이어로프(110)의 파단에 의한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엇다.
물론, 작업자가 수시로 와이어로프(110)의 변형상태를 점검할 수도 있으나, 육안으로 변형정도가 용이하게 측정되지 않는 와이이로프(110)를 수시로 정확하게 측정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가 사실상 어려웠으며,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숙련감각에 의존하여 와이어로프(110)를 사용하는 관계로 안전점검이 소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대단히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량물을 호이스트에 견인시키는 데 사용되는 와이어로프가 변형되어 위험구간에 도달되는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로프의 파단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인장 정도에 따라 함께 인장되도록 코일스프링이 내장된 스프링드럼에 감겨져서 상기 스프링드럼쪽 구간에 스위치접점편이 결합된 한편 반대편 단부가 와이어로프 적소에 결합고정된 인장철사와, 상기 인장철사가 인장 진행되어 위험구간까지 진행 도달되면 상기 인장철사에 결합되어 있는 스위치접점과 스위칭될 수 있도록 철사통과구멍이 관통형성된 내측 적소에 전원접점이 각각 결합되어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한편 외측 적소에는 상기 전원접점을 통해 스위칭되어 통전된 전원부에 의해 발광되어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이 표시될 수 있도록 경고램프가 설치된 철사하우징과, 상기 철사하우징 외측에 상기 인장철사 반대쪽으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 적소에 결합고정된 고철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와이어로프가 계속적으로 무거운 하중의 중량물을 견인시키는 데 사용되면서 점차 인장되어 파단되는 교체시점에 도달되면, 철사하우징 내부의 스프링드럼에 감겨져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인장 정도에 함께 인장되는 인장철사에 의해 상기 철사하우징 내측에 설치한 전원접점과 상기 인장철사에 결합시킨 스위치접점편이 스위칭되면서 상기 철사하우징 외측에 설치된 경고램프가 자동으로 발광됨으로써, 작업자가 철사하우징에 설치된 경고램프의 발광신호를 보고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시점 확인장치가 와이어로프의 중간 적소에 결합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에 설치되는 교체시점 확인장치 상세구조도.
도 3은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해서 호이스트에 중량물이 견인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와이어로프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와이어로프 12 : 꼬임부
20 : 철사하우징 22 : 스프링드럼
24 : 코일스프링 26 : 전선
28 : 철사통과구멍 30 : 인장철사
32 : 스위치접점편 34 : 경고램프
36 : 전원접점 40 : 고정철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가 와이어로프 중간 적소에 결합된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10)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에 따라 함께 인장되면서 와이어로프(10)의 교체시점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인장철사(30)가 고정철사(40)와 함께 스프링드럼(22)이 내장된 철사하우징(2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로프(10) 중간 적소에 각각 연결고정된다.
상기 인장철사(30)는 코일스프링(24)이 내장된 스프링드럼(22)에 감겨져서 철사하우징(20) 내부에서 인출되어 그 단부가 와이어로프(10) 적소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에 따라 함께 인장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스프링드럼(22)에 감겨져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에 따라 서서히 철사하우징(20) 외부로 인장되면서 인출되는 인장철사(30)는 상기 스프링드럼(22)쪽 구간에 스위치접접편(32)이 결합구성되어 상기 철사하우징(20) 내측 적소에 설치된 전원접점(36)과 스위칭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드럼(22)이 내장된 철사하우징(20)은 상기 스프링드럼(22)에 감겨진 인장철사(30)가 통과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철사통과구멍(28)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철사통과구멍(28)이 관통형성된 내측 적소 양쪽으로는 상기 인장철사(30)의 스위치접점편(32)이 스위칭될 수 있도록 전원접점(3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철사통과구멍(28)을 중심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양쪽의 전원접점(36)은 전원부(28)가 설치된 전선(26)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장철사(30)의 스위칭접점편(32)이 스위칭될 때에 통전되어 경고램프(34)가 발광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양쪽의 전원접점(36)이 스위칭될 때에 자동으로 발광작동되는 경고램프(34)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철사하우징(20) 외측 적소에 부설된다.
또한, 철사하우징(20) 외측에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에 따라 함께 인장 진행되는 인장철사(30) 반대쪽으로 고정철사(40)가 연결되고, 상기 철사하우징(10)에 연결고정된 상기 고정철사(40)는 그 단부가 상기 인장철사(30) 반대편의 와이어로프(10) 적소에 연결고정된다.
한편, 스프링드럼(22)에 감겨져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에 따라 함께 인장 진행되면서 철사하우징(20) 내측에 설치된 전원접점(36)과 접촉되어 스위칭되도록 인장철사(30)에 결합된 스위치접점편(32)은 상기 철사하우징(20)의 전원접점(36)과 대략 60㎜ 정도 떨어진 이격상태를 이루게 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1m 길이의 와이어로프(10)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 와이어로프(10)의 허용 인장범위가 6%인 것을 감안한 것이며, 이때 60㎜ 이격구간을 기준으로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구별 표시하여 주위구간 및 경고구간으로 세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장철사(30)가 인장되면서 스위칭되어 발광동작되는 경고램프(34)는 알람부저로 대체하여 작업자가 발광신호 대신에 경고음을 듣고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교체시점 확인장치는, 와이어로프(10)가 계속적으로 무거운 하중의 중량물(도 3의 130)을 견인시키는 데 사용되면서 점차 인장되면, 우선적으로 철사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는 인장철사(30)의 파란색 구간이 나타나며 작업자는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가 진행되므로 주의하게 된다.
계속해서,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가 진행되어 파단 직전까지 대략 60㎜ 정도 인장하게 되면, 스프링드럼(22)에 감겨져서 상기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와 함께 인장 진행되면서 철사하우징(20) 내측에 설치된 전원접점(36)에 스위치접점편(32)이 접촉되어 스위칭되며, 동시에 철사하우징(20) 외측에 설치된 경고램프(34)가 자동으로 발광작동되면서 작업자는 철사하우징(20)에 설치된 상기 경고램프(34)의 발광신호를 보고 와이어로프(10)의 교체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에 의하면, 중량물을 호이스트에 견인시키는 데 사용되는 와이어로프가 변형되어 파단 직전의 위험구간에 도달되는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파단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와이어로프(10)의 인장 정도에 따라 함께 인장되도록 코일스프링(24)이 내장된 스프링드럼(22)에 감겨져서 상기 스프링드럼(22)쪽 구간에 스위치접점편(32)이 결합된 한편 반대편 단부가 와이어로프(10) 적소에 결합고정된 인장철사(30)와; 상기 인장철사(30)가 인장 진행되어 위험구간까지 진행 도달되면 상기 인장철사에 결합되어 있는 스위치접점(32)과 스위칭될 수 있도록 철사통과구멍(28)이 관통형성된 내측 적소에 전원접점(28)이 각각 결합되어 전선(26)을 통해 연결되는 한편, 외측 적소에는 상기 전원접점(28)을 통해 스위칭되어 통전된 전원부(28)에 의해 발광되어 와이어로프(10)의 교체시점이 표시될 수 있도록 경고램프(34)가 설치된 철사하우징(20)과; 상기 철사하우징(20) 외측에 상기 인장철사(30) 반대쪽으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10) 적소에 결합고정된 고정철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KR1019970054692A 1997-10-24 1997-10-24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KR19990033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692A KR19990033361A (ko) 1997-10-24 1997-10-24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692A KR19990033361A (ko) 1997-10-24 1997-10-24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61A true KR19990033361A (ko) 1999-05-15

Family

ID=6604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692A KR19990033361A (ko) 1997-10-24 1997-10-24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3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776B1 (ko) 리프트용합성섬유케이블이마모되어폐기될때를인식하기위한장치
JP4599024B2 (ja) サスペンションロープ摩耗検出器
JP4371515B2 (ja) 合成繊維ロープのロープシースへの損傷の検知
JP4864965B2 (ja) ラウンドスリングおよびそのための予測され得る破壊の事前警告インジケータ
US10421647B2 (en) Device for monitoring operating data and/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state of wear of a cable during use on lifting apparatuses
JP2929431B2 (ja) 環状スリング
US20180305864A1 (en) High-Strength Fiber Rope for Lifting Devices Such as Cranes
US20150197408A1 (en) Rope pre-failure warning indicator system and method
KR102557243B1 (ko) 계선삭 감시 시스템, 계선 관리 시스템, 계선삭 감시 방법, 및 계선 관리 방법
JP2008050140A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JP2003206085A (ja) 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KR19990033361A (ko) 와이어로프의 교체시점 확인장치
CN206985442U (zh) 用于电梯的曳引带及包括该曳引带的电梯
CN218345015U (zh) 一种防止拉断起重机拖缆的装置
CA3050161C (en) Wire rope coupling for elevator
KR19990033360A (ko) 와이어로프 변형측정장치
KR20190095739A (ko)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KR200180821Y1 (ko) 천정기중기의 보권와이어 탈선 경보장치
KR102109415B1 (ko) 직물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로프의 교체 마모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
CN220364060U (zh) 一种具备钢丝绳断绳检测装置的卸船机
JP3616740B2 (ja) ブレードロープ
CN108861954A (zh) 用于电梯的曳引带及包括该曳引带的电梯
CN109357806B (zh) 一种矿用无极绳绞车张力监测装置
KR20220038420A (ko) 섬유 종단을 검사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CN111033202A (zh) 安全过载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