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616B1 -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 Google Patents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616B1
KR102058616B1 KR1020180015109A KR20180015109A KR102058616B1 KR 102058616 B1 KR102058616 B1 KR 102058616B1 KR 1020180015109 A KR1020180015109 A KR 1020180015109A KR 20180015109 A KR20180015109 A KR 20180015109A KR 102058616 B1 KR102058616 B1 KR 10205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jacket
inspection unit
broken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739A (ko
Inventor
김도균
임경훈
Original Assignee
디에스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6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에 있어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슬링자켓과; 상기 슬링자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고 수십 내지 수백회 권선한 후 말단을 서로 연결한 슬링본체와; 상기 슬링본체보다 적은 갯수로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고 권선한 후 상기 슬링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유지 또는 파단되는 점검부와; 일단은 상기 점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슬링자켓의 외부로 노출된 라벨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부의 타단을 당겨 상기 점검부가 유지 또는 파단된 것을 확인하며, 상기 점검부의 상태 확인을 통해 상기 슬링본체의 안전점검 여부를 파악 가능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슬링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점검부가 파단되고, 점검부와 연결된 라벨부를 당겨 점검부의 파단을 확인하여 슬링의 안전점검 여부를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Safety-checkable sling}
본 발명은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링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점검부가 파단되고, 점검부와 연결된 라벨부를 당겨 점검부의 파단을 확인하여 슬링의 안전점검 여부를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에 관한 것이다.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고자 하는 경우 기중기의 후크와 물체를 연결하기 위해 슬링(sling)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슬링은 라운드 슬링(round sling), 로프 슬링(rope sling) 등이 있다. 슬링은 코어재료가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기중기의 후크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라운드 슬링은 취급하는 물체의 하중에 따라 코어재료로 섬유를 수십 회 고리 형태로 감은 후 양측 말단을 연결하고, 외부에 자켓을 결합하여 마찰 등에 의한 코어재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라운드 슬링은 중량물을 취급하는데 사용하게 되므로 손상이 발생하여 코어재료의 일부가 끊어진 라운드 슬링을 계속 사용하는 경우 사용 중 중량물이 추락하는 사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 전후에 라운드 슬링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라운드 슬링은 코어재료의 외부를 자켓으로 감싸고 있어 육안으로 코어재료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5-0094918호 로프 안전 경보 장치'에서는 로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로프의 탄성 한도에 따라 단선되는 인장검지선 및 마모검지선, 인장검지선 및 마모검지선과 전기적 연결관계를 통해 단선 여부를 확인하거나 단선되면 경보음을 송출하는 경보기로 구성되어 안전사고 예방 및 로프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인장검지선 및 마모검지선이 전기가 통하는 전선으로 파단시 전기 흐름을 통해 손상여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는 소재로 형성되어야 하며, 로프가 파단되더라도 인장검지선 및 마모검지선이 파단되지 않아 로프의 안전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장검지선 또는 마무검지선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단면적이 감소하여 정확한 저항값을 측정하기 어려우며,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측정기를 작업자가 들고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인장검지선 및 마모검지선이 전기가 통하는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양용으로 적용시 재료의 부식이나 수분에 전류의 흐름으로 사용상 점검의 한계가 따른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5-0094918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0-0086539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4054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링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점검부가 파단되고, 점검부와 연결된 라벨부를 당겨 점검부의 파단을 확인하여 슬링의 안전점검 여부를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슬링자켓과; 상기 슬링자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고 수십 내지 수백회 권선한 후 말단을 서로 연결한 슬링본체와; 상기 슬링본체보다 적은 갯수로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여 상기 슬링본체 보다 저강도를 가지며, 권선한 후 말단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슬링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가해지는 하중의 강도에 따라 유지 또는 파단되는 점검부와; 일단은 상기 점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슬링자켓의 외부로 노출된 라벨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부의 타단을 당겨 상기 라벨부의 인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점검부가 유지 또는 파단된 것을 확인 가능하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라벨부의 타단은 점검자가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검부와 연결된 일단 보다 두꺼운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검부는 상기 슬링본체보다 섬유의 합사 갯수가 0.05 내지 0.5배이며, 상기 점검부는 상기 슬링본체가 견디는 하중에 대해 40 내지 60%의 하중에서 파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링본체와 상기 점검부는 동일한 소재의 섬유를 이용하여 합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링자켓의 내부에 존재하며, 상기 점검부가 파단되면 상기 슬링자켓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라벨부의 타단에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링자켓은, 상기 슬링본체가 내부에 배치된 제1슬링자켓과; 상기 제1슬링자켓의 외부에서 상기 제1슬링자켓을 감싸도록 이중 구조로 형성된 제2슬링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슬링자켓과 상기 제2슬링자켓의 사이 공간에 상기 점검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슬링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점검부가 파단되고, 점검부와 연결된 라벨부를 당겨 점검부의 파단을 확인하여 슬링의 안전점검 여부를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링의 내부확대도이고,
도 3은 점검부의 파단에 따른 라벨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링(100)은, 슬링자켓(110), 슬링본체(130), 점검부(150) 및 라벨부(170)를 포함한다.
슬링자켓(110)은 기중기의 후크 또는 연결되는 물체와의 마찰로부터 슬링(100)의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 외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일측에 개방부(111)가 형성된다. 개방부(111)는 슬링자켓(110)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라벨부(170)가 이러한 개방부(111)를 통해 슬링자켓(11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배치된다.
슬링본체(13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슬링자켓(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 용도에 따라 로프 슬링 또는 라운드 슬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링본체(130)는 복수의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고 수십 내지 수백회 권선한 후 합사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슬링본체(130)는 물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주요 구성요소로, 일반적으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있어 슬링본체(130)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의 10 내지 20%정도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사용된다.
여기서 슬링본체(130)를 이루는 섬유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HMPE), 폴리케톤(polyketone), 나일론(nylo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백트란(vectran), 아라미드(aramid), 폴리에스터스판(polyester spun),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탄소 섬유(carbon fiber)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부(150)는 슬링본체(130)와 마찬가지로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고 이를 권선하여 형성되며, 이때 슬링본체(130)의 섬유보다 적은 갯수로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한다. 이러한 점검부(150)는 슬링본체(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슬링(100)에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유지 또는 파단된다.
점검부(150)는 슬링본체(130)보다 섬유의 합사 갯수가 0.05 내지 0.5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섬유의 합사 갯수가 0.05배 미만일 경우 슬링(100)에 적은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바로 파단될 수 있으며 0.5배를 초과할 경우 슬링본체(13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파단되지 않아 슬링(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슬링본체(130)의 섬유 합사 갯수가 40 내지 80합일 경우, 점검부(150)는 5 내지 10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갯수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점검부(150)는 슬링본체(130)와 동일한 소재의 섬유를 이용하여 합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점검부(150)가 슬링본체(130)와 다른 소재의 섬유일 경우 슬링본체(130) 및 점검부(15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화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슬링본체(130)가 점검부(150)보다 저강도의 연질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하중에 의해 슬링본체(130)는 파단될 수 있지만 점검부(150)는 파단되지 않아 안전점검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슬링본체(130)와 점검부(150)는 동일한 소재의 섬유를 사용하되, 과도한 하중을 받을 경우 점검부(150)가 파단되어 작업자가 점검부(150)를 통해 안전점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링(1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슬링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100%로 할 경우 이에 대해 약 20%의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슬링(100)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슬링(100)이 노후되거나, 특수한 경우 일반적으로 슬링(100)에 적용되는 20% 하중보다 높은 수치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높은 하중이 가해지거나 슬링(100)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슬링(100)이 노후되어 견딜 수 있는 하중이 감소한 경우, 즉 슬링(100)에 40 내지 60%의 높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점검부(150)가 하중에 의해 파단된다. 이와 같이 점검부(150)가 파단이 되면 슬링본체(130)의 상태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는 것을 작업자가 인식하게 되며, 이는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라벨부(170)는 긴 섬유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일단은 점검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은 개방부(111)를 통해 슬링자켓(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점검부(150)가 파단되지 않고 권선된 상태로 존재할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부(170)의 타단을 당겨도 일단이 점검부(15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부(170)가 빠져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슬링(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과해져 점검부(150)가 파단될 경우 라벨부(170)의 타단을 작업자가 당기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단된 점검부(150)에 의해 라벨부(170)는 슬링자켓(110)의 개방부(1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라벨부(170)를 당겼을 때 라벨부(170)가 빠져나오지 않으면 점검부(150)가 파단되지 않은 것이며, 라벨부(170)와 함께 점검부(150)가 빠져나오게 되면 점검부(150)가 파단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라벨부(170)의 타단을 당겨 점검부(150)가 유지 또는 파단된 것을 확인하며, 점검부(150)의 상태 확인을 통해 슬링본체(130)의 안전점검 여부를 파악 가능하다.
이때 라벨부(170)의 타단에는 경고부(171)를 포함하는데, 점검부(150)가 파단되지 않을 경우 슬링자켓(110) 내부에 존재하지만 점검부(150)가 파단되어 라벨부(170)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면 내부에 존재하던 경고부(17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고부(171)는 붉은색의 라벨로 이루어지거나 경고 메세지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라벨부(170)를 작업자 당겨 점검부(150)의 상태를 확인하기 때문에 라벨부(170)의 타단은 작업자가 당기기 용이하도록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라벨부(170)의 타단은 일단보다 두꺼운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이 또한 작업자가 당기기 용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슬링자켓(110)은 슬링본체(130)가 내부에 배치된 제1슬링자켓과, 제1슬링자켓의 외부에서 제1슬링자켓을 감싸도록 이중구조로 형성된 제2슬링자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링자켓(110)이 이중구조일 경우 제1슬링자켓과 제2슬링자켓의 사이 공간에 점검부가 배치되며, 제2슬링자켓에 형성되는 개방부(111)를 통해 라벨부(170)의 일단은 점검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슬링의 하중을 확인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 점검부를 사용하여 저항 측정을 통해 점검부의 파단을 확인하거나, 광섬유를 사용하여 광투과 측정을 통해 점검부의 파단을 측정하는 기술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저항 측정을 하거나 광투과 측정을 하기 위해 별도의 측정부를 작업자가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측정을 위해서 숙련된 작업자가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슬링(100)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점검부(150)가 파단되고, 점검부(150)와 연결된 라벨부(170)를 당겨 점검부(150)의 파단을 확인하여 슬링(100)의 안전점검 여부를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을 뿐더러 안전점검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00: 슬링
110: 슬링자켓
111: 개방부
130: 슬링본체
150: 점검부
170: 라벨부
171: 경고부

Claims (5)

  1.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에 있어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슬링자켓과;
    상기 슬링자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고 수십 내지 수백회 권선한 후 말단을 서로 연결한 슬링본체와;
    상기 슬링본체보다 적은 갯수로 섬유를 꼬아 합사를 형성하여 상기 슬링본체 보다 저강도를 가지며, 권선한 후 말단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슬링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가해지는 하중의 강도에 따라 유지 또는 파단되는 점검부와;
    일단은 상기 점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슬링자켓의 외부로 노출된 라벨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부의 타단을 당겨 상기 라벨부의 인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점검부가 유지 또는 파단된 것을 확인 가능하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라벨부의 타단은 점검자가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검부와 연결된 일단 보다 두꺼운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상기 슬링본체보다 섬유의 합사 갯수가 0.05 내지 0.5배이며, 상기 점검부는 상기 슬링본체가 견디는 하중에 대해 40 내지 60%의 하중에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본체와 상기 점검부는 동일한 소재의 섬유를 이용하여 합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자켓의 내부에 존재하며, 상기 점검부가 파단되면 상기 슬링자켓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라벨부의 타단에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자켓은,
    상기 슬링본체가 내부에 배치된 제1슬링자켓과;
    상기 제1슬링자켓의 외부에서 상기 제1슬링자켓을 감싸도록 이중 구조로 형성된 제2슬링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슬링자켓과 상기 제2슬링자켓의 사이 공간에 상기 점검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KR1020180015109A 2018-02-07 2018-02-07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KR10205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09A KR102058616B1 (ko) 2018-02-07 2018-02-07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09A KR102058616B1 (ko) 2018-02-07 2018-02-07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739A KR20190095739A (ko) 2019-08-16
KR102058616B1 true KR102058616B1 (ko) 2019-12-23

Family

ID=6780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109A KR102058616B1 (ko) 2018-02-07 2018-02-07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48B1 (ko) 2019-12-20 2022-02-08 디에스알 주식회사 뫼비우스 루프 형상의 슬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478A (ja) * 1998-10-28 2000-05-09 Kito Corp 繊維スリング
JP2017500255A (ja) * 2014-01-13 2017-01-05 スリングマ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事前不具合警告インジケータを有するラウンドス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539A (ko) 2009-01-23 2010-08-02 디에스알 주식회사 손상 여부 확인 기능을 구비한 라운드 슬링
KR101240548B1 (ko) 2011-04-28 2013-03-18 디에스알 주식회사 수명 자가 점검용 슈퍼섬유 라운드 슬링
KR20150094918A (ko) 2014-02-12 2015-08-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로프 안전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478A (ja) * 1998-10-28 2000-05-09 Kito Corp 繊維スリング
JP2017500255A (ja) * 2014-01-13 2017-01-05 スリングマ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事前不具合警告インジケータを有するラウンドス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739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9431B2 (ja) 環状スリング
US10808355B2 (en) High-strength fibre rope for hoisting equipment such as cranes
US20180305864A1 (en) High-Strength Fiber Rope for Lifting Devices Such as Cranes
US7661737B2 (en) Sling with predictable pre-failure warning indicator
JP2000212885A (ja) 合成繊維ロープのロープシースへの損傷の検知
US7938468B2 (en) Lifting sling with excessive elongation warning indicator
CZ288156B6 (en) Equipment for determining when elevator synthetic fiber cables are ready to be replaced
US8256810B2 (en) Lifting sling with excessive elongation warning indictor
KR20070070204A (ko) 파이버 슬링 및 그 성능 평가 방법
CN113226910A (zh) 系泊索监视系统、系泊管理系统、系泊索监视方法及系泊管理方法
US6392551B2 (en) Synthetic fiber cable with temperature sensor
EP2972286B1 (en) Synthetic rope,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 testing thereof
KR102058616B1 (ko) 안전점검이 가능한 슬링
JP2010195580A (ja) 吊支持用ロープ
KR20100086539A (ko) 손상 여부 확인 기능을 구비한 라운드 슬링
US11220413B2 (en) Wire rope coupling for elevator
US1100870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state of wear of a rope made of a textile fibre material
KR101240548B1 (ko) 수명 자가 점검용 슈퍼섬유 라운드 슬링
KR102360148B1 (ko) 뫼비우스 루프 형상의 슬링
JP2020504246A (ja) スプライスされたロープシステム
KR102662415B1 (ko)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KR20220038420A (ko) 섬유 종단을 검사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CN108861954A (zh) 用于电梯的曳引带及包括该曳引带的电梯
KR20200102578A (ko) 라운드 슬링
MXPA00000699A (en) Detection of damage to the sheath of a synthetic fibre r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