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960U - 시트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960U
KR19990031960U KR2019970044709U KR19970044709U KR19990031960U KR 19990031960 U KR19990031960 U KR 19990031960U KR 2019970044709 U KR2019970044709 U KR 2019970044709U KR 19970044709 U KR19970044709 U KR 19970044709U KR 19990031960 U KR19990031960 U KR 19990031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retractor
spool portion
fixe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960U/ko
Publication of KR19990031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960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고, 본 고안은 리트랙터 케이스와 시트벨트 권취용 스풀부 및 권취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풀림 및 권취스프링의 권취력으로 감김이 이루어지는 상기 스풀부(13)의 양쪽에 와이어(19)(2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19)(20)의 각각 타단은 시트벨트(11) 선단에 고정되는 브래킷(21)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인출되지 않는 부분은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스풀부의 안전한 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압박감을 해소시키며, 시트벨트의 불필요한 낭비를 억제시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리트랙터
본 고안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가 리트랙터의 스풀부에 직접적으로 권취 및 인출되지 않고 와이어 전달수단에 의해 권취 및 인출되어지도록 하여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압박감을 해소하고 권취 및 인출에 따른 시트벨트간의 접촉 저항감을 해소시키며 시트벨트의 불필요한 낭비를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리트랙터(seat-belt retract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에 따라 이동되는 탑승자를 본래 위치로 억제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시트벨트를 스프링력으로 권취시켜 인출시 이를 복귀시키는 리트랙터와, 상기 리트랙터에서 인출되는 시트벨트를 차실내로 안내하는 디링(D-ring), 및 시트 측면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버클, 그리고 탑승자의 흉부 및 허리를 감싼 상태로 시트벨트를 인출시켜 상기 시트벨트 버클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텅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트랙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시트벨트(2)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풀부(3), 및 상기 스풀부(3)를 회전시키므로써 시트벨트(2)를 권취시키는 권취스프링(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 리트랙터 스풀부에 권취되는 시트벨트는, 일정면적을 가지며 스풀부에 반복적으로 권취 및 인출되어짐에 따라 시트벨트 간에 서로 감김 및 풀림저항이 발생되어져 작동력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인출되는 시트벨트의 재권취시에 리턴 스프링에 많은 힘이 요구됨에 따라,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객은 흉부 및 복부에 심한 압박감의 부담을 받게 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승객은 시트벨트 디링에 시트벨트 구속수단을 구비하지만 차량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더 큰 상해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게 된다.
그리고, 권취되는 시트벨트는 차실내로 인출되어져 탑승객을 구속시키는 부분에서부터 필러 내부를 거쳐 하단부의 리트랙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풀부에 고정되는 부분까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탑승객을 구속시키는 않는 부분 즉, 필러내부에 제공되는 부분이 불필요하게 사용되어져 가격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실내로 인출되지 않는 부분은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 전달수단을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스풀부의 안전한 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압박감을 해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리트랙터의 스풀부에 시트벨트가 감겨지지 않게 하여 리트랙터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부품 절감에 따른 라인 작업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리트랙터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트랙터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면도,
도 3 은 도 2 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시트벨트 12: 리트랙터 케이스 13: 스풀부 14: 권취스프링 15: 스풀 역회전수단 16: 충돌감지센서 17: 필러 18: 체결보올트 19,20: 와이어 21: 브래킷 22: 제1기어 23: 모터 24: 제2기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리트랙터 케이스와 시트벨트 권취용 스풀부 및 권취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스풀부의 양쪽에 와이어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의 각각 타단은 시트벨트 선단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상기 스풀부에 고정되는 와이어의 간격보다 시트벨트 브래킷에 고정되는 와이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스풀부의 일측에는 충돌감지센서의 신호값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스풀부를 역회전 시키도록 스풀 역회전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리트랙터 및 시트벨트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시트벨트(11)와, 리트랙터 케이스(12)와, 스풀부(13)와, 권취스프링(14), 및 스풀 역회전수단(15), 그리고 충돌감지센서(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의 필러(17) 내측에는 리트랙터 케이스(12)가 체결보올트(18)로서 고정되고, 상기 리트랙터 케이스(12)의 양쪽 내측에는 상기 스풀부(13)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스풀부(13)는 상기 권취스프링(14)의 권취력으로 회전후 리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풀부(13)에는 피아노선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와이어(19)(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와이어(19)(20)는 일단이 각각 상기 스풀부(13)의 양측단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스풀부(13)는 원통형상으로 양쪽 단부의 폭은 시트벨트(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실내로 인출되는 시트벨트(11)의 후단은 브래킷(2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브래킷(21)의 좌우 단부에는 상기 스풀부(13)의 양측단부에 고정되는 와이어(19)(20)의 타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9)(20)는 최대 인출시 필러(17) 내에서 인출되는 시트벨트(12)를 따라 차실내로 인출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풀부(13)의 일측에는 스풀부 역회전수단(15)이 구비되며, 상기 스풀부 역회전 수단(15)은, 상기 스풀부(3)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22)와, 상기 제1기어(22)와 결합되며 상기 리트랙터 케이스(12)의 내벽에 고정되는 모터(23)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24)로 이루어져, 차량에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충돌감지센서(16)의 신호값을 입력받은 모터(23)가 제2기어(24)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상기 제2기어(24)는 제1기어(22)를 회전시켜 상기 스풀부(13)를 역회전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탑승객이 시트벨트(11)를 인출시키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시트벨트(11)는 브래킷(21)에 고정되는 와이어(19)(20)를 잡아당기면서 차실내로 인출되어지고, 당겨지는 와이어(19)(20)의 타단은 스풀부(13)를 회전시키면서 풀림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스풀부(13)는 권취스프링(14)의 탄성력으로 회전되며, 감겨진 상기 와어어(19)(20)를 풀게되는 것이다.
이후, 시트벨트(11) 착용을 해제시키고자 시트벨트 텅을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면, 상기 스풀부(13)가 권취스프링(14)의 복원력으로 감겨지며 인출된 상기 와이어(19)(20)를 감게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19)(20)는 시트벨트 브래킷(21)에 각기 고정된 와이어(19)(20)의 폭보다 상기 스풀부(13)의 폭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19)(20)가 겹쳐지면서 감기지 않고 내측으로 서로 밀착되면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벨트(1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돌감지센서(16)가 충돌신호값을 모터(23)로 전달시키고, 충돌값을 입력받은 상기 모터(23)는 회전되어 제2기어(24)를 회전시키며, 회전되는 제2기어(24)는 상기 스풀부(1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기어(22)를 회전시켜 상기 스풀부(13)를 역회전 시킴에 따라 리트랙터는 프리텐셔너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실내로 인출되지 않는 부분은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 전달수단을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스풀부의 안전한 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압박감을 해소시키며, 시트벨트의 불필요한 낭비를 억제시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리트랙터 케이스와 시트벨트 권취용 스풀부 및 권취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풀림 및 권취스프링의 권취력으로 감김이 이루어지는 상기 스풀부의 양쪽에 와이어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의 각각 타단은 시트벨트 선단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부에 고정되는 와이어의 간격보다 시트벨트 브래킷에 고정되는 와이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부의 일측에는 충돌감지센서의 충돌 신호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모터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가 상기 스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스풀부를 역회전 시키는 스풀 역회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19970044709U 1997-12-31 1997-12-31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99900319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709U KR19990031960U (ko) 1997-12-31 1997-12-31 시트벨트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709U KR19990031960U (ko) 1997-12-31 1997-12-31 시트벨트 리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60U true KR19990031960U (ko) 1999-07-26

Family

ID=696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709U KR19990031960U (ko) 1997-12-31 1997-12-31 시트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96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2326B1 (en) Passenger restraining protective system
KR20060100476A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CA2316510A1 (en) Pretensioner integrated with a force transferring apparatus of a seat belt retractor
WO2005097560A1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30592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KR19990031960U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EP0237503B1 (en) A seat belt tensioning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s
WO2002024495A1 (en) A safety-belt arrangement
JPH0246420B2 (ko)
CN213473063U (zh) 一种汽车安全带带感锁止机构
JPH0345446A (ja) プリテンショナー装置付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200173968Y1 (ko) 자동차의 리트렉터
KR100384034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구조
JPS6261468B2 (ko)
KR100602663B1 (ko) 차량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JP2868952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KR100456565B1 (ko) 차량용 로드 리미터
KR10031001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설치구조
KR100386032B1 (ko) 자동차용 시트밸트 로드 리미트장치
JPS6112287Y2 (ko)
KR0175245B1 (ko) 자동차 시트 벨트용 프리텐션의 구조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20014342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9980051173U (ko) 시트 벨트의 원심력 감응형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