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60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605A
KR19990031605A KR1019970052388A KR19970052388A KR19990031605A KR 19990031605 A KR19990031605 A KR 19990031605A KR 1019970052388 A KR1019970052388 A KR 1019970052388A KR 19970052388 A KR19970052388 A KR 19970052388A KR 19990031605 A KR19990031605 A KR 1999003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er
telephone number
call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605A/ko
Publication of KR1999003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60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출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 번호 및 국번을 생략하고 호출했을 시에 완성된 호출 번호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호출하고 호출의 응답이 없을 시에 다른 연락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호출자 정보의 제공없이 호출전화번호만 수신하므로 호출전화번호 외의 다른 연락 정보를 제공할 수 없고 지역 번호 및 국번을 생략하여 호출했을 시에는 서비스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호출 시에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해 호출자 정보를 검색하므로써, 해당 검색을 통해 불완전한 전화 번호의 입력 시에도 완전한 전화 번호로 갱신하여 콜 백 기능을 수행하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없을 시에도 다른 연락 정보로 호출하여 연락 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출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 번호 및 국번을 생략하고 호출했을 시에 완성된 호출 번호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호출하고 호출의 응답이 없을 시에 다른 연락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페이저(Pager)의 무선 호출 신호를 이용한 일예로서, 무선 호출망을 이용하여 전송된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호출자와 자동적으로 전화 연결시켜 주는 CT-2 플러스의 기능 중의 하나인 미트 미(Meet Me) 기능이 있는데, 해당 미트 미 서비스는 임의의 발신자가 CT-2 가입자의 무선 호출기를 호출하고 수화기를 계속적으로 들고 있으면 해당 호출된 무선 호출기의 CT-2 가입자가 전화를 다시 걸어 CT-2 착신 교환기를 통해 2개의 호가 스위칭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해당 미트 미 서비스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해당 미트 미 서비스를 위한 구성 요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11)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2)와, 착신 교환기(13)와, VMS(Voice Message Service; 14)와, 무선 호출망(15)과, 착신자 단말기(16)와, 기지국(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미트 미 서비스에 대한 동작은 먼저 PSTN 가입자, CT-2 가입자, 셀룰라 가입자 등의 임의의 가입자가 해당 전화 단말기(11)를 통해 CT-2 착신자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면, 해당 PSTN(12)에서 CT-2 서비스 식별 코드를 번역하고 해당 번역된 정보를 해당 착신 교환기(13)로 루팅(Routinng)한다. 이때, 임의의 발신 가입자는 VMS(14)에서 제공하는 음성 안내 방송을 해당 착신 교환기(13)를 통해 듣고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한다.
만약, 해당 발신 가입자가 CT-2 가입자와 통화하기를 원하는 경우, 해당 착신 교환기(13)는 CT-2 가입자 번호를 착신자의 페이저 번호로 변환시킨 후에 무선 호출망(15)을 통해 차신자 단말기(16)를 호출하게 된다.
이에, 착신자가 해당 단말기(16)의 기능키를 누르면, 해당 단말기(16)에 디스플레이된 번호를 간단하게 자동으로 다이얼링하게 되며, 해당 단말기(16)에 디스플레이된 번호는 기지국(17)과 PSTN(12)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착신 교환기(13)로 루팅한다.
이에 따라, 해당 착신 교환기(13)는 대기하고 있는 발신자와 착신자를 스위칭하여 호를 연결시켜 준다.
그리고, 종래 CT-2 단말기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0(Hz)의 RF무선 수신부(21)와, 중간 주파수 생성부(22)와, 변별부(23)와, 주파수 변조부(24)와, 디코더(25)와, CPU(26)와, 페이저 식별 번호인 캡 코드(CAP-Code)를 저장하고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27)와, 입출력 제어부(28)와, LCD(29)와, 경고음 발생부(30)와, 램프(31)와, 메모리부(32)와, 910 ~ 914(MHz)의 RF무선 송출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CT-2 단말기의 오작을 살펴보면, 먼저 가입자의 호출 정보를 해당 RF무선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중간 주파수 생성부(22)에 인가한다.
이에, 해당 중간 주파수 생성부(22)는 455(KHz)의 중간 주파수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중간 주파수를 증폭하여 해당 변별부(23)에 인가하며, 해당 변별부(23)는 해당 증폭된 중간 주파수를 복조화하고 해당 복조화된 데이타를 해당 주파수 변조부(24)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해당 주파수 변조부(24)는 해당 변별부(23)를 통해 복조된 데이타를 구형파로 변환시켜 해당 CPU(26)에 접속되어 있는 해당 디코더(25)에 인가하면, 해당 디코더(25)는 해당 구형파를 복호화하고 해당 복호화된 데이타를 해당 CPU(26)에 인가한다.
그리고, 해당 CPU(26)는 해당 디코더(25)로부터 인가되는 복호화된 데이타와 해당 EEPROM(27)으로부터 판독한 페이져 식별 번호를 상호 비교하고 해당 비교한 결과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디코더(25)로부터 인가되는 복호화된 데이타를 해당 입출력 제어부(28)를 통해 해당 LCD(29)에 표시하도록 하며, 경보음 발생부(30) 또는 램프(31)를 통해 경고음 또는 램프를 점등시킨다. 또한, 해당 디코더(25)로부터 인가되는 복호화된 데이타를 해당 메모리부(32)에 저장시키며, 해당 메모리부(32)에 저장된 데이타는 특정 기능 키의 입력을 통해서 해당 CPU(26)에서 다시 판독하여 해당 RF무선 송출부(33)를 통해 송출된다.
그런데, 상기 미트 미 서비스는 호출한 사람에 대한 정보도 없이 연락을 취해야 한다는 점과 호출자가 지역 번호, 국번 등을 생략한 채 호출 번호를 입력했을 경우에 연락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호출 후의 응답이 없을 경우에 기타 연락 가능한 정보를 알 수 없도록 되어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호출자 정보의 제공없이 호출전화번호만 수신하므로 호출전화번호 외의 다른 연락 정보를 제공할 수 없고 지역 번호 및 국번을 생략하여 호출했을 시에는 서비스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 무선 호출 시에 호출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어떤 호출자인지를 알 수 있므로써, 지역 번호 및 국번을 생략하고 호출했을 시에도 완성된 호출 번호로 자동 생성시켜 호출하며 해당 호출에 대한 응답이 없을 시에도 다른 연락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미트 미 서비스를 위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T-2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 : RF무선 수신부 42 : 중간 주파수 생성부
43 : 변별부 44 : 주파수 변조부
45 : 디코더 46 : CPU
47 : 메모리부 48 : 입출력 제어부
49 : LCD 50 : RF무선 송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은 가입자의 무선 호출 시에 해당 호출자의 호출 정보를 인가받아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호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호출 정보가 지역 번호, 국번 등을 생략한 불완전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가 불완전 전화 번호인 경우에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의 전화 번호를 참고하여 완전한 전화 번호로 갱신한 후, 해당 갱신한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가 완전 전화 번호이거나 상기 완전한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상기 완전 전화 번호 또는 갱신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호출자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완전 전화 번호 또는 갱신한 전화 번호와 해당 호출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호출자와 접속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미확인 호출 정보임을 디스플레이하고, 특정 기능 키의 입력 시에 상기 호출자와 접속시키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출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 번호 및 국번을 생략하고 호출했을 시에도 자동적으로 완성된 호출 번호를 생성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써 사용자에게 편리를 도모하고자 함인데,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전화 번호, 페이저 번호, 휴대폰 번호 등에 대한 개인 정보(Phone Book)를 저장해 둔 메모리를 별도로 할당하여 관리하므로 페이저 수신 시에 해당 메모리를 자동 검색하여 호출자에 대한 정보를 LCD 상에 표시해 주고 호출 번호의 미완성 체계를 자동으로 완성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무선 수신부(41)와, 중간 주파수 생성부(42)와, 변별부(43)와, 주파수 변조부(44)와, 디코더(45)와, CPU(46)와, 메모리부(47)와, 입출력 제어부(48)와, LCD(49)와, RF무선 송신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RF무선 수신부(41)는 가입자로부터의 호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중간 주파수 생성부(42)는 상기 RF무선 송신부(41)로부터 인가되는 호출 정보를 455(KHz)의 중간 주파수로 생성시켜 증폭하며, 상기 변별부(43)는 상기 중간 주파수 생성부(42)로부터 인가되는 증폭된 중간 주파수를 복조화하며, 상기 주파수 변조부(44)는 상기 변별부(43)로부터 인가되는 복조된 데이타를 구형파로 변환시키며, 상기 디코더(45)는 상기 주파수 변조부(44)로부터 인가되는 구형파를 복호화하며, 상기 CPU(46)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에 따른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부(47)는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입출력 제어부(48)는 상기 CPU(46)의 제어에 따라 데이타의 입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LCD(49)는 상기 CPU(46)의 제어에 따라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RF무선 송신부(50)는 상기 CPU(46)의 제어에 따라 데이타를 호출자에게 송출한다.
무선 호출 시에 도 3에 도시된 별도의 메모리부(47)에 저장된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는데, 즉 해당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동일한 전화 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해당 전화 번호에 대한 제반 정보를 사용자에게 도 3에 도시된 LCD(49)에 표시해 줌과 동시에 호출자가 지역 번호, 국번 등을 생략한 불완전 전화 번호의 입력 시에도 완성된 전화 번호로 생성시켜 해당 기능을 이용하여 미트 미 서비스 등의 콜 백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을 도 4의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먼저, 가입자가 무선 호출할 경우에 RF무선 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호출자의 호출 정보를 중간 주파수 생성부(42)에서 455(KHz)의 중간 주파수로 생성시키고 해당 생성된 중간 주파수를 증폭하여 변별부(43)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변별부(43)는 상기 중간 주파수 생성부(42)로부터 인가되는 증폭된 중간 주파수를 복조화하여 해당 복조화된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부(44)에 인가하면, 해당 주파수 변조부(44)는 상기 변별부(43)로부터 인가되는 복조된 데이타를 구형파로 변환시켜 디코더(45)에 인가하며, 해당 디코더(45)는 해당 구형파를 복호화하여 CPU(46)에 인가한다.
이에, 상기 CPU(46)는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복호화된 데이타인 호출자의 호출 정보를 인가받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단계 S1),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를 분석하는데, 즉 상기 메모리부(47)의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고(단계 S2)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상기 메모리부(47)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만약, 상기 제3단계(S3)에서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상기 메모리부(47)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CPU(46)는 입출력 제어부(48)를 제어하여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를 해당 입출력 제어부(48)를 통해 상기 LCD(49)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4).
그리고, 상기 CPU(46)는 자동으로 무선 호출자와 통신을 연결시켜 주기 위해서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가 지역 번호, 국번 등을 생략한 불완전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
이 때, 상기 제5단계(S5)에서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가 불완전 전화 번호이라면, 상기 CPU(46)는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47)의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전화 번호들을 참고하므로써, 지역 번호가 없는 전화 번호는 지역 번호를 삽입하고 국번이 없는 전화 번호는 국번을 삽입하여 해당 불완전 전화 번호를 완전한 전화 번호로 갱신한다(단계 S6). 이에, 상기 CPU(46)는 해당 갱신한 전화 번호를 상기 입출력 제어부(48)를 통해 상기 LCD(49)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7).
그리고, 상기 제5단계(S5)에서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가 완전 전화 번호이거나 상기 제7단계(S7)에서 완전한 전화 번호를 표시한 후에, 상기 CPU(46)는 해당 완전 전화 번호 또는 갱신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기타 연락 가능한 전화 번호, 페이저 번호, 휴대 전화 번호 등의 정보인 호출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47)의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에서 판독하며(단계 S8), 해당 완전 전화 번호 또는 갱신한 전화 번호 또는 호출자 정보를 바탕으로 RF 무선 송신부(50)를 제어하여 해당 RF무선 송신부(50)를 통해 데이타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호출자와 접속시킨다(단계 S9).
한편, 상기 제3단계(S3)에서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상기 메모리부(47)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CPU(46)는 입출력 제어부(48)를 제어하여 상기 디코더(45)를 통해 인가받은 호출자의 호출 정보가 미확인 정보임을 상기 LCD(49)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10). 해당 미확인 정보임을 표시한 후에는 종래 기술의 동작과 동일하게 특정 기능 키의 입력을 통해서 상기 CPU(46)에서 해당 RF무선 송신부(50)를 통해 데이타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호출자와 접속시킨다(단계 S1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호출 시에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해 호출자 정보를 검색하므로써, 해당 검색을 통해 불완전한 전화 번호의 입력 시에도 완전한 전화 번호로 갱신하여 콜 백 기능을 수행하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없을 시에도 다른 연락 정보로 호출하여 연락 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가입자의 무선 호출 시에 해당 호출자의 호출 정보를 인가받아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호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호출 정보가 지역 번호, 국번 등을 생략한 불완전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가 불완전 전화 번호인 경우에 개인 정보 관리 데이타베이스의 전화 번호를 참고하여 완전한 전화 번호로 갱신한 후, 해당 갱신한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가 완전 전화 번호이거나 상기 완전한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상기 완전 전화 번호 또는 갱신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호출자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완전 전화 번호 또는 갱신한 전화 번호와 해당 호출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호출자와 접속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미확인 호출 정보임을 디스플레이하고, 특정 기능 키의 입력 시에 상기 호출자와 접속시키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KR1019970052388A 1997-10-13 1997-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KR19990031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388A KR19990031605A (ko) 1997-10-13 1997-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388A KR19990031605A (ko) 1997-10-13 1997-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605A true KR19990031605A (ko) 1999-05-06

Family

ID=6604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388A KR19990031605A (ko) 1997-10-13 1997-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6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304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전화 단말장치의 지역번호 자동변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304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전화 단말장치의 지역번호 자동변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483B1 (ko) 페이저가 장착된 핸드셋들간의 원격 지점간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6804507B2 (en) Mobile paging telephone with an automatic call back function
KR2000005131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007134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JP3542494B2 (ja) 電話機における受信文字の表示方法
KR20010016700A (ko) 휴대폰의 통화지역 위치 표시 제어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99900316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자 정보 제공 방법
US6292658B1 (en) Method for forwarding call in high penetration notification mode in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08814B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문자 및 음성 메시지원격 출력장치 및 방법
JP2003169127A (ja) 通信端末機器および非常通報システム
KR20020037216A (ko)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KR20020055238A (ko) 단말기에서의 발신자 식별 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20010017386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통화 대기 상태 제어 방법
JPS6351728A (ja) ダイヤル音発生装置
JPH02159859A (ja) 自動車電話移動機の着信表示制御装置
KR100379368B1 (ko) 유선망 서비스의 지역번호와 상호 연계되는 이동 단말의 통신방법
JPH11308323A (ja) 電話機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EP0512787A2 (en) Automatic communications device disablement
JPH11150597A (ja) 電話装置
KR200262507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문자 및 음성 메시지원격 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