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216A -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216A
KR20020037216A KR1020000067255A KR20000067255A KR20020037216A KR 20020037216 A KR20020037216 A KR 20020037216A KR 1020000067255 A KR1020000067255 A KR 1020000067255A KR 20000067255 A KR20000067255 A KR 20000067255A KR 20020037216 A KR20020037216 A KR 20020037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terminal
wireless data
incoming
vo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701B1 (ko
Inventor
장한식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6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7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701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를 사용하는 중에도 착신되는 음성 호에 대한 통지를 자동으로 해 주도록 한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로의 음성 호를 교환국에서 수신하는 제 1과정; 현재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중임을 확인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확인 과정에 따라 상기 교환국에서 기 약속된 호착신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해당 착신측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하여, 무선 데이터 사용중에 음성 호가 착신되었을 경우 이를 표시판넬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품의 품질 및 사용상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method of notifying received voice call in using wireless data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사용중에 제 3자로부터의 호출 음성 호의 착신을 자동으로 통보해 주도록 한 방법 및 음성 호 착신 통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데이터 제공 서비스는 팜탑(palmtop) 또는 랩탑(laptop) 등 휴대용 데이터 단말기나 무선데이터 통신용 전용 데이터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문자나 숫자 등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서비스이다.
무선데이터 제공 서비스는 도보나 차량으로 이동중인 영업 사원 및 서비스 요원이 사내외 데이터베이스 조회, 새로운 정보의 입력 등을 차량내 또는 고객 앞에서 실시간으로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신속한 업무 처리와 편리성 도모로 대고객 서비스 향상, 매출액 증대 및 업무 개선을 통한 경비 절감 등 기업 경쟁력 강화가 기대되는 서비스이다.
근래에 들어 세계적으로 사용자들간에 이동성이 있는 통신 서비스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 구현 방식중 셀룰러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 데이터 통신은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완전한 이동성이 보장된다.
이와 같은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가 탑재된 이동 단말기에게로 전화를 걸게 되면 그 착신측 이동 단말기가 현재 무선 데이터를 사용중인 경우에는 발신측에게는 전화중 음(비지톤)이 들리고, 상기 착신측에서는 음성 호가 왔음을 알 수 없다.
그리고, 통화중 대기 모드를 내장한 이동 단말기이라 하더라도 무선 데이터 사용중에 음성 호가 오게 되면 통화대기 표시가 안 될 뿐만 아니라 통화중 대기 모드 동작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에게 전화가 왔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선 데이터를 사용하는 중에도 착신되는 음성 호에 대한 통지를 자동으로 해 주도록 한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데이터를 사용하는 중에도 착신되는 음성 호에 대한 통지를 자동으로 처리해 주도록 한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표시판넬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호착신 메시지의 일예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2 : 이동 단말기12, 24 : 기지국
14, 26 : 제어국16, 28 : 교환국
18 : 인터워킹 기능부20 : 홈 위치 등록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은, 현재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로의 음성 호를 교환국에서 수신하는 제 1과정; 현재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중임을 확인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확인 과정에 따라 상기 교환국에서 기 약속된 호착신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해당 착신측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가 기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1과정; 상기 기 지정된 문자열인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중 호 착신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고 소정시간동안 사용자의 통화요청 여부를 감시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통화요청 여부에 따라 착신호에 대해 응답하여 통화로를 개설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의 구성도로서, 이동 단말기(10)과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12), 상기 기지국(12)과 연결되고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며 가입자가 이동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켜 주는 제어국(14), 상기 제어국(14)과 연결되고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시켜 주며 인터워킹 기능부(18)를 통해 타통신망(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국(16), 이동 단말기(22)과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24), 상기 기지국(24)과 연결되고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며 가입자가 이동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켜 주는 제어국(26), 상기 제어국(26)과 연결되고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시켜 주며 타통신망(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국(28),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 22)로 착신호를 연결시켜 주거나 그 밖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이동 단말기(10, 22)의 모든 영구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홈 위치 등록기(2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국(14, 26)은 해당 교환국(16, 28)의 통화상태를 기억 및 저장한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20)는 상기 교환국(16)과 교환국(28)에서 공유한다.
그리고, 상기 교환국(16, 28)에는 소정의 호착신 단문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고, 그 호착신 단문 메시지에는 별도의 식별코드(예를 들어, 기 약속된 "#CALL"과 같은 단문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교환국(16, 28)은 최초에 해당 이동 단말기가 호요구하는 호 시작(Call Originating) 메시지에 있는 서비스 옵션의 값으로부터 해당 이동 단말기가 음성 통화(서비스 옵션 = 1)를 요청한 것인지 아니면 데이터 통신을 요청한 것인지를 알게 된다.
상기 음성 통화가 요청되었을 때 이미 데이터 통화 요청에 의한 통화중임을 교환국이 인식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에 호 착신이 이루어지면 음성 호 착신 통보 동작이 행해진다.
상기 호착신 단문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 22)에서 무선 데이터를 사용하는 중에 음성호가 착신되었을 경우에 이를 통보해 줄 수 있는 메시지이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 22)내에는 상기 식별코드(예를 들어, 기 약속된 "#CALL"과 같은 단문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임의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를 조작하여 기지국(12) 및 제어국(14)을 통해 교환국(16)을 거쳐 인터넷망에 접속한 후 증권 정보 또는 여행 정보 등을 조회해 보는 중(단계 S10)에 다른 이동 단말기(22)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로 전화를 걸게 되면(단계 S12에서 "Yes") 상기 이동 단말기(22)에서 기지국(24)으로 접속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하여 발신 메시지(신호)를 보낸다.
상기 기지국(24)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22)에서 송신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이 갖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ESN, 전화번호, 공유 비밀 데이터 등과 비교하여 그 값이 같으면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에 의해 통화 채널 및 기지국의 메시지를 보낼 호출 채널을 결정한 후, 호출 채널을 통하여 통화 채널을 할당하고 전화번호를 교환국(28)으로 전송한다.
상기 교환국(28)에서는 상대방(즉, 이동 단말기(10))을 호출하기 위해 해당 교환국(16)에 상대방을 호출 연결하도록 지시한다.
그에 따라, 상기 교환국(16)에서는 제어국(14) 및 기지국(12)을 통해 상기이동 단말기(10)를 호출하면서 기 약속된 소정의 호착신 단문 메시지(예를 들어, "#CALL"의 문자 스트링)을 상기 이동 단말기(10)로 보낸다(단계 S14).
상기 착신측인 이동 단말기(10)에서는 그 호착신 단문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약속된 단문 문자메시지를 인식하여 현재 임의의 발신자로부터의 전화가 걸려왔음을 의미하는 호착신 메시지를 표시판넬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10)의 표시판넬상에는 도 3 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호착신 메시지("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전화왔음""통화버튼을 누르세요" 등과 같음)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이를 알리는 아이콘이 점등된다(단계 S16). 상기의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기 약속된 문자열로 구성된 것이 아니면 이를 지워 버리거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만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10)의 통화 버튼이 일정시간내에 눌리어지지 않은 경우(단계 S18에서 "No" 및 단계 S20에서 "Yes")에는 착신측에서 전화를 받고 싶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10)의 표시판넬상의 호착신 메시지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사라진다(단계 S22).
그러나, 상기 일정시간내에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10)의 통화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단계 S18에서 "Yes")에는 임의의 발신자와의 전화통화를 희망하는 것이므로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10)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 데이터 채널을 해제하고(단계 S24), 상대방의 호요청에 응답호를 송신함으로써 전화통화를 하게 된다(단계 S26).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사용중에 음성 호가 착신되었을 경우 이를 표시판넬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무선 데이터 사용중에도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식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해주고 그로 인해 제품의 품질 및 사용상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현재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로의 음성 호를 교환국에서 수신하는 제 1과정;
    현재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중임을 확인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확인 과정에 따라 상기 교환국에서 기 약속된 호착신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해당 착신측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착신 단문 메시지에는 소정의 식별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3.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가 기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1과정;
    상기 기 지정된 문자열인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중 호 착신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고 소정시간동안 사용자의 통화요청 여부를 감시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통화요청 여부에 따라 착신호에 대해 응답하여 통화로를 개설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를 처리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소정시간내에 통화버튼 조작신호가 없게 되면 상기 표시판넬상의 음성 호 착신 표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00-0067255A 2000-11-13 2000-11-13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KR10040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255A KR100401701B1 (ko) 2000-11-13 2000-11-13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255A KR100401701B1 (ko) 2000-11-13 2000-11-13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216A true KR20020037216A (ko) 2002-05-18
KR100401701B1 KR100401701B1 (ko) 2003-10-17

Family

ID=1969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255A KR100401701B1 (ko) 2000-11-13 2000-11-13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7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64A (ko) * 2001-12-19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수신 중 음성 호 모니터링 방법
KR20030091424A (ko) * 2002-05-28 2003-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중 호 대기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04766A (ko) * 2002-07-05 2004-01-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데이터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과 이를 구현한휴대전화기
KR100649134B1 (ko) * 2003-12-15 2006-11-24 박용한 기기 사용중 외부 데이터의 수신 보류 기능을 갖는무선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3700B1 (ko) * 2003-02-18 2010-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용모드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499B1 (ko) 2004-06-18 201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 수신중의 음성호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80C (zh) * 1995-10-17 2003-06-0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在无线电通信环境中进行切换和漫游的方法
KR0173908B1 (ko) * 1996-05-14 1999-04-01 서정욱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데이터 서비스 방법
KR0169593B1 (ko) * 1996-05-30 1999-02-01 양승택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통화중(사용중)인 단말기로 단문 서비스 제공방법
KR100269692B1 (ko) * 1998-01-12 2000-10-16 구자홍 데이타 통신 중 착신호 응답 및 수신음성 확인방법
KR100268224B1 (ko) * 1998-09-03 2000-10-16 윤종용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착신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40874A (ko) * 1998-12-21 2000-07-05 전주범 인터넷 접속상태에서의 호접속시 수신 음성의 처리 방법
KR200198801Y1 (ko) * 2000-05-02 2000-10-02 박경 영상 메시지 송수신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64A (ko) * 2001-12-19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수신 중 음성 호 모니터링 방법
KR20030091424A (ko) * 2002-05-28 2003-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중 호 대기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04766A (ko) * 2002-07-05 2004-01-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데이터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과 이를 구현한휴대전화기
KR100953700B1 (ko) * 2003-02-18 2010-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용모드 운용 방법
KR100649134B1 (ko) * 2003-12-15 2006-11-24 박용한 기기 사용중 외부 데이터의 수신 보류 기능을 갖는무선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701B1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36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401701B1 (ko)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KR2002003267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101978241B1 (ko) 듀얼 심 카드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JPH11308668A (ja) メッセージ通知方式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122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JP2003134233A (ja) 留守番電話システムとそのサービス方法、およ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JP2014220725A (ja) 電話システム及び接続制御方法
JPH06335047A (ja) システム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725130B1 (ko) 지능망을 이용한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4706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전환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20050023853A (ko) 타인의 단말을 이용한 지정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JP282296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H0733676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462043B1 (ko) 사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내선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44035B1 (ko) 부가서비스 지원 여부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26518B1 (ko) 이동 가입자 상태 안내 서비스 방법
US20080125100A1 (en) Mobile device outbound personality portability
US777862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2261943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