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367A -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367A
KR19990030367A KR1019980053353A KR19980053353A KR19990030367A KR 19990030367 A KR19990030367 A KR 19990030367A KR 1019980053353 A KR1019980053353 A KR 1019980053353A KR 19980053353 A KR19980053353 A KR 19980053353A KR 19990030367 A KR19990030367 A KR 1999003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afety mat
safety
fal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0251B1 (ko
Inventor
서상국
Original Assignee
서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국 filed Critical 서상국
Priority to KR101998005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2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화재나 비상시에 계단으로 나올수 없어 건물위에서 뛰어내릴때에 지면에 설치하여 떨어지는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명을 구조하는 구조장비로는 로프와 사다리 및 지면의 상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떨어지는 인명을 구조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가 있었다.
이러한 구조장비중 로프나 사다리는 고층에 고립되어 있는 사람이 직접 건물에 설치한후 이를 사용하여 지상으로 탈출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로프나 사다리는 고층건물의 외벽에 설치를 하고자 할 때에는 인명구조를 위한 안전교육을 받아야만 설치가 가능하고 급박한 상황에서는 이를 설치를 제대로 하지를 못하여 인명구조를 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를 주입하여 지면에 설치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는 지면에 전문가가 설치를 함으로 공포에 시달리던 사람이 설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를 제대로 할수 있었다.
그러나 고층에서 떨어지는 인명을 구조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는 통상 6면체로 이루어져 있고, 가로와 세로 및 기둥부분이 동일한 굵기의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떨어지는 사람이 충격을 최소로 하여 다치지 않도록 하고는 있으나, 고층건물에서 떨어지게 되는 사람이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의 측면부분에 떨어지게 되면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안전매트의 튜브내에 있던 공기가 순간적으로 타측방향의 튜브로 이동을 하게 되어 안전매트의 측면상부에 떨어진 사람이 안전매트에 의해 감싸여져 인명을 구조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안전매트의 측면부분인 지면으로 떨어지게 되어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으로 창작된 것으로 골격을 이루게 되는 골격튜브중 기둥을 이루는 기둥튜브의 상부측이 내측으로 절곡이 되도록 하여 측면상부 부분으로 떨어지는 사람이 지면으로 굴러떨어지지 않고 중앙상부측으로 구루도록 함과 동시에 떨어진 사람을 안전매트의 상부측이 감싸이도록 함으로 안전하게 인명을 구조할수 있도록 하고, 골격튜브의 가로튜브와 세로튜브 및 기둥튜브간에 안전격판을 설치하여 튜브내의 공기흐름을 억재하여 순간적으로 공기가 이동을 할수 없도록 함으로 떨어질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최대로 흡수할수 있도록 하여 인명을 구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화재나 비상시에 계단으로 나올수 없어 건물위에서 뛰어내릴때에 지면에 설치하여 떨어지는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명을 구조하는 구조장비로는 로프와 사다리 및 지면의 상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떨어지는 인명을 구조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가 있었다.
이러한 구조장비중 로프나 사다리는 고층에 고립되어 있는 사람이 직접 건물에 설치한후 이를 사용하여 지상으로 탈출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로프나 사다리는 고층건물의 외벽에 설치를 하고자 할 때에는 인명구조를 위한 안전교육을 받아야만 설치가 가능하고 급박한 상황에서는 이를 설치를 제대로 하지를 못하여 인명구조를 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를 주입하여 지면에 설치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는 지면에 전문가가 설치를 함으로 공포에 시달리던 사람이 설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를 제대로 할수 있었다.
그러나 고층에서 떨어지는 인명을 구조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는 통상 6면체로 이루어져 있고, 가로와 세로 및 기둥부분이 동일한 굵기의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떨어지는 사람이 충격을 최소로 하여 다치지 않도록 하고는 있으나, 고층건물에서 떨어지게 되는 사람이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의 측면부분에 떨어지게 되면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안전매트의 튜브내에 있던 공기가 순간적으로 타측방향의 튜브로 이동을 하게 되어 안전매트의 측면상부에 떨어진 사람이 안전매트에 의해 감싸여져 인명을 구조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안전매트의 측면부분인 지면으로 떨어지게 되어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으로 창작된 것으로 골격을 이루게 되는 골격튜브중 기둥을 이루는 기둥튜브의 상부측이 내측으로 절곡이 되도록 하여 측면상부 부분으로 떨어지는 사람이 지면으로 굴러떨어지지 않고 중앙상부측으로 구루도록 함과 동시에 떨어진 사람을 안전매트의 상부측이 감싸이도록 함으로 안전하게 인명을 구조할수 있도록 하고, 골격튜브의 가로튜브와 세로튜브 및 기둥튜브간에 안전격판을 설치하여 튜브내의 공기흐름을 억재하여 순간적으로 공기가 이동을 할수 없도록 함으로 떨어질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최대로 흡수할수 있도록 하여 인명을 구조하도록 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골격튜브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도 1 의 A - A선 종단면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을 사용할 때의 작동상태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를 사용할때의 작동상태종단면도.
도 7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종단면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를 사용할때의 작동상태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종단면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를 사용할때의 작동상태종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가로튜브 2)12) 세로튜브 3) 기둥튜브 4) 절곡부 5) 보강편 9) 외피 10) 골격튜브 13) 안전격판 14)97) 통공 15) 내부공간 21) 상부고리 22) 밴드 23) 하부고리 91) 상판 92) 하판 94) 격벽 95) 상부공간 96) 하부공간 100) 안전매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91)과 하판(92) 및 상부측으로 통공(92)을 갖는 측판(93)으로 이루어진 외피(9)를 감싸는 골격튜브(10)로 형성하여 내측으로 내부공간(15)이 이루어지는 안전매트(100)에 있어서, 상기 골격튜브(10)를 외측은 수직형태이고 내측이 안으로 들어가서 요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요홈형태로 이루어진 내측으로 보강편(5)을 형성하는 절곡부(4)를 상부측으로 형성하는 기둥튜브(3)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기둥튜브(3)의 상부측에 기둥튜브(3)간을 연통하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가로튜브(1)와 세로튜브(2)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튜브(3)의 하부측으로 각각의 기둥튜브(3)간이 연통이 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하는 가로튜브(11)와 세로튜브(12)를 형성하되 가로튜브(11)나 세로튜브(12)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11,12)에 주입구(6)와 안전밸브(7) 및 배출구(8)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기둥튜브(3)와 가로튜브(1,11) 및 세로튜브(2,12)간이 연결설치되는 측의 내측으로 중앙에 통공(14)을 갖는 안전격판(13)을 접착고정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5 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4)의 내측으로 고정설치한 보강편(5)에 의해 기둥튜브(3)의 내측으로 상부고리(21)를 설치고정하고, 상기 상부고리(21)에 유동이 되도록 결합하고 양측끝이 상판(91)의 중앙 하부와 하판(92)의 중앙 상부측에 고정설치하는 다수개의 밴드(22)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매트(100)의 내부 하부측으로 각각 기둥튜브(3)와 측판(93)의 내측으로 외주연을 고정하는 격벽(94)을 고정설치하여 각각 상부공간(95)과 하부공간(96)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91)의 중앙하부와 상기 격벽(94)의 중앙상부에 각각 양측끝을 고정설치하는 다수개의 밴드(22)를 보강편(5)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상부고리(21)에 결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매트(100)의 내부 하부측으로 각각 기둥튜브(3)와 측판(93)에 외주연을 고정하는 격벽(94)을 고정설치하여 상부공간(95)과 하부공간(96)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22)의 양측끝을 상기 상판(91)의 중앙하부와 상기 격벽(94)의 중앙하부에 각각 고정설치하며, 상기 기둥튜브(3)의 상부측에 고정설치하는 보강편(5)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상부고리(21)와 기둥튜브(3)의 하부내측으로 고정편(24)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하부고리(23)에 다수개의 상기 밴드(22)를 결합하여구성한다.
또한 각각에 수직으로 형성한 기둥튜브(3)를 다수개 형성하여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다각형(3각, 5각, 6각, 7각, 8각등등)으로 이루어지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설치하고자 하는 고층건물의 하부인 낙하지점의 지면에 본 발명인 안전매트(100)를 상판(91)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로튜브(12)의 주입구(6)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각각의 가로튜브(1,11)와 세로튜브(2,12) 및 기둥튜브(3)내에 공기가 주입이 되고, 주입되는 공기가 과다하게 주입이 되면 세로튜브(12)에 형성한 안전밸브(7)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상으로 주입되는 공기는 자동적으로 배출이 된다.
이와 같이 가로튜브(1,11)와 세로튜브(2,12) 및 기둥튜브(3)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가 주입이 되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모양으로 펼쳐지게 되고, 입체모양으로 펼쳐진 안전매트(100)위로 고층건물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상판(91)위에 떨어지게 되면 기둥튜브(3)의 상부측인 병목형상으로 형성한 절곡부(4)가 내측으로 절곡이 됨으로 상판(91)의 중앙부분이 깊숙하게 들어가고 기둥튜브(3)인 외측부분은 절곡부(4)의 높이만큼 됨으로 상판(91)위로 떨어진 사람이 안전매트(100)에 의해 안전하게 구조가 된다.
이때에 각각의 가로튜브(1,11)와 세로튜브(2,12) 및 기둥튜브(3)내의 공기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브(1,2,3,11,12)의 양측으로 통공(14)을 갖는 안전격판(13)이 고정설치되어 있음으로 튜브(1,2,3,11,12)내의 공기가 좁게 형성한 통공(14)을 통하여 이동을 하여야만 함으로 공기의 흐름이 억재를 하게 되어 압력을 만이 받는 기둥튜브(3)가 형성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굵기가 좁은 절곡부(4)측이 절곡이 된다.
그러므로 안전매트(100)의 일측으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떨어진 사람이 상판(91)의 중앙으로 굴러들어가게 됨으로서 떨어진 사람을 안전하게 구조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떨어지는 충격이 강하여 기둥튜브(3)자체가 절곡되는 압력으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절곡부(4)에서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 상태와 떨어지는 사람을 감싸는 상태에서 2차적으로 기둥튜브(3)가 절곡이 됨으로 기존에 공기의 흐름이 빠르게 이루어져 안전매트(100)가 일측부터 절곡이 되어 떨어진 사람이 지면으로 굴러떨어져서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하게 고층건물에서 떨어지는 사람을 안전하게 구조를 하는 안전매트(100)의 다른실시예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5 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튜브(3)의 상부내측으로 상부고리(21)를 형성하고, 상,하판(91,92)의 상,하부측으로 밴드(22) 양측끝을 고정설치함으로서 고층에서 안전매트(100)의 상판(91)에 떨어지게 되면 1차적으로 기둥튜브(3)의 절곡부(4)가 절곡이 되어 떨어지는 사람이 외부로 굴러떨어지지 않도록 감싸 안전하게 떨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2차적으로 상판(91)의 중앙하부에 고정설치한 밴드(22)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겨지게 됨으로서 타측끝이 고정되어 있는 하판(92)의 중앙부분이 위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므로 당겨지는 밴드(22)에 의해 상판(91)에 떨어지게 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되고, 하판(92)이 순간적으로 중앙부분이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되어 하판(92)과 지면사이가 순간적인 진공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상판(91)에 떨어지는 사람을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튜브(3)의 상부내측으로 상부고리(21)를 형성하고, 안전매트(100)의 내부하부측으로 격벽(94)을 형성하며, 상판(91)의 중앙하부측과 격벽(94)의 중앙상부측에 밴드(22)의 양측끝을 고정설치함으로서 고층에서 안전매트(100)의 상판(91)에 떨어지게 되면 1차적으로 기둥튜브(3)의 절곡부(4)가 절곡이 되어 떨어지는 사람이 외부로 굴러떨어지지 않도록 감싸 안전하게 떨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2차적으로 상판(91)의 중앙하부에 고정설치한 밴드(22)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겨지게 됨으로서 타측끝이 고정되어 있는 격벽(94)의 중앙부분이 위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므로 당겨지는 밴드(22)에 의해 상판(91)에 떨어지게 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되고, 격벽(94)이 순간적으로 중앙부분이 들리게 되어 격벽(94)과 상판(91) 사이의 상부공간(95)은 순간적으로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격벽(94)과 하판(92)의 사이인 하부공간(96)은 진공상태가 됨으로서 상판(91)에 떨어지는 사람을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튜브(3)의 상,하부내측으로 상,하부고리(21,23)를 형성하고, 안전매트(100)의 내부하부측으로 격벽(94)을 형성하며, 상판(91)의 중앙하부측과 격벽(94)의 중앙하부측에 밴드(22)의 양측끝을 고정설치함으로서 고층에서 안전매트(100)의 상판(91)에 떨어지게 되면 1차적으로 기둥튜브(3)의 절곡부(4)가 절곡이 되어 떨어지는 사람이 외부로 굴러떨어지지 않도록 감싸 안전하게 떨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2차적으로 상판(91)의 중앙하부에 고정설치한 밴드(22)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겨지게 됨으로서 타측끝이 고정되어 있는 격벽(94)의 중앙부분이 아래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므로 당겨지는 밴드(22)에 의해 상판(91)에 떨어지게 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되고, 격벽(94)이 순간적으로 중앙부분이 아래로 당겨지게 됨으로 격벽(94)과 하판(92)의 사이인 하부공간(96)은 압축상태가 되어 압력이 상승한 상태가 됨으로서 상판(91)에 떨어지는 사람을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층에서 떨어지게 되는 사람이 안전매트(100)의 중앙상부가 아닌 측면측으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기둥튜브(3)의 절곡부(4) 부분이 먼저 절곡이 되어 떨어지는 사람을 안전매트(100)의 상판(91)의 중앙으로 구르도록 함과 동시에 상판(91)에 의해 감싸이도록 함으로서 떨어진 사람이 지면에 떨어져서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1차적인 상판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밴드(22)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며, 3차적으로 상,하부공간(95,96)의 진공 및 압력 상태가 되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 안전하게 인명을 구조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하는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안전매트의 일측으로 떨어지더라도 기둥튜브의 상부측인 절곡부 부분이 내측으로 먼저 절곡이 됨으로서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떨어진 사람이 안전매트의 중앙으로 구르게 됨으로 지면에 굴러떨어지게 되어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둥튜브의 상부측이 절곡이 됨으로 안전매트위에 떨어지는 사람을 측판과 상판에 의해 감싸이게 됨으로서 안전하게 인명을 구조할수 있으며, 충격흡수를 위한 밴드를 안전매트의 내측에 설치를 함으로서 안전매트의 전체로 떨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게 됨으로서 떨어지는 사람에게 올수 있는 충격을 최소로 하여 충격에 의해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상판(91)과 하판(92) 및 상부측으로 통공(92)을 갖는 측판(93)으로 이루어진 외피(9)를 감싸는 골격튜브(10)로 형성하여 내측으로 내부공간(15)이 이루어지는 안전매트(100)에 있어서, 상기 골격튜브(10)를 외측은 수직형태이고 내측이 안으로 들어가서 요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요홈형태로 이루어진 내측으로 보강편(5)을 형성하는 절곡부(4)를 상부측으로 형성하는 기둥튜브(3)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튜브(3)의 상부측에 기둥튜브(3)간을 연통하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가로튜브(1)와 세로튜브(2)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튜브(3)의 하부측으로 각각의 기둥튜브(3)간이 연통이 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하는 가로튜브(11)와 세로튜브(12)를 형성하되 가로튜브(11)나 세로튜브(12)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11,12)에 주입구(6)와 안전밸브(7) 및 배출구(8)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튜브(3)와 가로튜브(1,11) 및 세로튜브(2,12)간이 연결설치되는 측의 내측으로 중앙에 통공(14)을 갖는 안전격판(13)을 접착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매트를 형성함에 있어 절곡부(4)의 내측으로 고정설치한 보강편(5)에 의해 기둥튜브(3)의 내측으로 상부고리(2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리(21)에 유동이 되도록 결합하고 양측끝이 상판(91)의 중앙 하부와 하판(92)의 중앙 상부측에 고정설치하는 밴드(2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매트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안전매트(100)의 내부 하부측으로 각각 기둥튜브(3)와 측판(93)의 내측으로 외주연을 고정하는 격벽(94)을 고정설치하여 상부공간(95)과 하부공간(96)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91)의 중앙하부와 상기 격벽(94)의 중앙상부에 각각 양측끝을 고정설치하는 밴드(22)를 보강편(5)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상부고리(21)에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매트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안전매트(100)의 내부 하부측으로 각각 기둥튜브(3)와 측판(93)의 내측으로 외주연을 고정하는 격벽(94)을 고정설치하여 각각 상부공간(95)과 하부공간(96)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22)의 양측끝을 상기 상판(91)의 중앙하부와 상기 격벽(94)의 중앙하부에 각각 고정설치하며, 상기 기둥튜브(3)의 상부측에 고정설치하는 보강편(5)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상부고리(21)와 기둥튜브(3)의 하부내측으로 고정편(24)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하부고리(23)에 상기 밴드(22)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19980053353A 1998-12-07 1998-12-07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0290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353A KR100290251B1 (ko) 1998-12-07 1998-12-07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353A KR100290251B1 (ko) 1998-12-07 1998-12-07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67A true KR19990030367A (ko) 1999-04-26
KR100290251B1 KR100290251B1 (ko) 2001-06-01

Family

ID=3751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353A KR100290251B1 (ko) 1998-12-07 1998-12-07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2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42B1 (ko) * 2005-09-15 2006-07-03 (주)한울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 수직벽 면처리 공법
KR100723047B1 (ko) * 2006-01-20 2007-05-30 (주) 서한에프앤씨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1128980B1 (ko) * 2009-10-01 2012-03-23 곽순이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89A (ko) * 2001-06-12 2002-12-18 박재국 고층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0849712B1 (ko) 2007-05-23 2008-08-01 양건이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차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42B1 (ko) * 2005-09-15 2006-07-03 (주)한울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 수직벽 면처리 공법
KR100723047B1 (ko) * 2006-01-20 2007-05-30 (주) 서한에프앤씨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1128980B1 (ko) * 2009-10-01 2012-03-23 곽순이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0251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7778A (en) Emergency fire escape for multi-storied building
KR100290251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EP0983776B1 (en) Building safety system
KR100723047B1 (ko)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1128980B1 (ko)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KR101183058B1 (ko) 고층건물탈출용 피난장비
KR20000019333U (ko) 팬식 공기 안전 매트
KR20000019121U (ko)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KR0109433Y1 (ko) 구난용 에어쿳션
KR100314634B1 (ko) 구명용 공기 안전 매트
KR101125512B1 (ko) 인명구조 그물망이 구비된 사다리차용 탭 박스
KR101447141B1 (ko) 공기주입형 인명구조매트
KR102219131B1 (ko) 인명구조용 매트
RU2150980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ируемых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объектов
TWI747631B (zh) 充氣式緊急避難裝置及緊急避難組件
KR102486515B1 (ko) 추락방지용 와이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KR0138629Y1 (ko)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KR200318383Y1 (ko) 인명 구조용 낙하장치
KR200251835Y1 (ko) 비상구조매트의3차충격방지구조
KR200278608Y1 (ko) 비상탈출용 캡슐
KR20230109454A (ko) 전주 추락방지용 매트
CN211675933U (zh) 一种高空逃生救援设备
JPS6220640Y2 (ko)
CN216061721U (zh) 一种消防逃生装置
RU2126281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вакуации из мног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