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629Y1 -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 Google Patents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29Y1
KR0138629Y1 KR2019960056007U KR19960056007U KR0138629Y1 KR 0138629 Y1 KR0138629 Y1 KR 0138629Y1 KR 2019960056007 U KR2019960056007 U KR 2019960056007U KR 19960056007 U KR19960056007 U KR 19960056007U KR 0138629 Y1 KR0138629 Y1 KR 0138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cloth
ground
refractio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902U (ko
Inventor
이종암
Original Assignee
이종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암 filed Critical 이종암
Priority to KR2019960056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화재발생 등 긴박한 상황에서 비상탈출을 할 때에 고가사다리에서 쉽고 안전하게 피난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한 굴절고가 사다리 소방차의 비상탈출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굴절고가 사다리차에 의해 구난작업을 하게되면 피난자는 먼저 구급대원의 안내를 받아 굴절고가 사다리의 바스켓으로 이동하게되고 피난자를 빌딩의 외부로 안내한 구급대원은 굴절사다리를 작동하여 굴절사다리의 바스켓을 지상으로 하향 이동시켜 바스켓으로 피난한 피난자를 지상으로 대피시키게 된다.
이때의 활강포는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다. 즉 활강포가 지면과 일치되지 않게 되면 피난자는 낙하중에 지면과의 충격으로 사망과 함께 크게 다치게되는 페단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굴절사다리의 보조발판에 구비된 활강포 체결구에 착탈하도록 하되 상기 활강포를 일정한 크기를 분리 제작하여 필요한 높이에 따라 체결시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의 장점을 가진 고안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활강포의 끝단에 출구와 함께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낙하자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함도 함께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scription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체결구성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축포 11 : 내포
12 : 외포 13 : 신축링
14 : 방화포 15 : 바스켓
16 : 발판 17 : 체결수단
20 : 활강포 20-1 : 제1활강포
21 : 체결고리 22 : 체결구
23 : 연장부 30 : 착신부
31 : 탄성부 32 : 출구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화재발생 등 긴박한 상황에서 비상탈출을 할 때에 안전하게 지상으로 낙하 피난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구난용 고가소방차의 도움으로 탈출할 때에 고가사다리에서 쉽고 안전하게 피난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한 굴절고가 사다리 소방차의 비상탈출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명이 발달하여 도시화 되면서 도시에는 많은 고층빌딩이 건축되고 많은 사람들이 고층건물에서 생활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에서 화재와 각종재난으로 비상탈출을 하게될 때를 대비하여 비상탈출용 사다리가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탈출 사다리는 피난자자 외부로 노출되어 화재의 불길이 피난자를 위협하는 문제와 함께 긴박하고 두려움에 있는 피난자가 사다리의 하나 하나의 지지봉을 잡고 안전하면서 쉽게 탈출을 시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선출원으로 등록한바 있는 피난용 구조대를 고안함으로서 고층빌딩에서의 피난시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1992년 제2945호 및 제7192호는 고층빌딩에 고정된 원통형의 활강포로 구성되어 피난자가 원통형내로 낙하하게됨으로서 효과적인 탈출과 두려움에 쌓인 피난자가 쉽고 안전하게 탈출을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화재나 긴박한 재난으로 위급한 상황에서 피난도구가 있는 장소에까지 가지못함과 함께 피난도구를 이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로 피난자는 위급상황에서 먼저 외부와 가까운 빌딩의 창으로 이동하게된다.
따라서 출동한 소방차의 굴절고가 사다리차가 빌딩의 외부에서 창가의 피난자를 굴절고가 사다리로 피난시켜 안전하게 탈출시키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굴절고가 사다리차에 의해 구난작업을 하게되면 피난자는 먼저 구급대원의 안내를 받아 굴절고가 사다리의 바스켓으로 이동하게 되고 피난자를 빌딩의 외부로 안내한 구급대원은 굴절사다리를 작동하여 굴절사다리의 바스켓을 지상으로 하향 이동시켜 바스켓으로 피난한 피난자를 지상으로 대피시키게된다.
이와 같이 굴절사다리를 굴절하여 고층에서 지상으로 이동하고 또 지상에서 고층으로 굴절사다리를 작동함에는 매우 어려움이 있다.
즉, 굴절사다리는 그 크기가 매우 크고 하중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바스켓에 피난자와 구급대원 및 소화물 발사기등이 구비되어서 바스켓부분에 하중이 많게 된다.
이와 같이 길고 그 끝단부에는 많은 하중이 있는 사다리는 서서히 작동하여 이동되는 무게의 중심을 잡으면서 하향 또는 상향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이동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그러나 다른 피난자는 긴급을 요하는 상태에서 이러한 많은 시간을 기다릴 수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굴절사다리에서는 바스켓 선단에 보조발판을 구성하고 이 보조발판에는 원통형의 활강포를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구난작업시 상기 발판에 마련된 고정수단에 의하여 활강포를 부착하고 피난자를 구난한 구급요원은 피난자를 활강포로 안내하게 되면 피난자는 원통형의 활강포를 통해 지상으로 낙하 하향된다. 따라서 굴절사다리의 조작에 의한 시간의 낭비를 줄임과 함께 신속하게 많은 피난자를 구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의 활강포는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다.
즉, 굴절사다리의 높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화재의 위치가 틀린경우 즉, 굴절사다리의 높이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피난자가 낙하시에 지면에 바로 낙하되는 위험이 있고, 또 나머지의 활강포를 통과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활강포의 길이가 작을 때에는 지면상측에 출구가 위치되어 낙하자가 안전하게 지상에 도달되지 못하는 폐단이 야기된다.
이와 같이 활강포가 지면과 일치되지 않게 되면 피난자는 낙하중에 지면과의 충격으로 사망과 함께 크게 다치게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본 고안을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굴절사다리의 보조발판에 구비된 활강포 체결구에 착탈하도록 하되 상기 활강포를 일정한 크기를 분리 제작하여 필요한 높이에 따라 체결시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의 장점을 가진 고안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활강포의 끝단에 출구와 함께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낙하자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함도 함께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체결수단을 보인 절결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포(11)와 외포(12)사이에 신축링(13)을 구성한 신축포(10)를 구성하고 외부에 방염처리된 방화포(14)로 구성한 활강포(20)상단에 굴절사다리의 바스켓(15) 발판(16)에 체결되는 체결수단(17)을 구성하여서 되는 통상의 비상탈출용 활강포에 있어서,
상기 활강포의 길이를 약 3m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되 신축포(10) 하부끝단에 다수의 체결고리(21)를 고정하고 상단에는 체결고리(21)에 체결되는 체결구(22)를 형성시켜 각각의 활강포(20)를 착탈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방화포(14)끝단이 연장되어 체결부를 가리도록 연장부(23)를 구성함과 함께 제1활강포(20-1)상단부에는 굴절사다리의 바스켓(15) 발판(16)에 체결되는 체결수단(17)이 마련되고 끝단측의 활강포(20)에는 탄성부재가 충진된 탄성부(31)와 출구(32)를 구성한 착신부(30)를 구성하여서 되는 구성인 것이다.
미설명부호 33은 착신부의 출구 벌림용 또는 안정되게 잡아줄 수 있는 손잡이를 표시한 것이며, 34는 봉착포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므로 공지와 같이 고층빌딩에 화재가 발생되면 빌딩에 있는 피난자를 구난하기 위하여 굴절사다리 소방차가 출동함과 함게 굴절사다리를 작동시켜 고층에서 구난을 요청하는 피난자를 사다리의 바스켓(15)으로 안내하여 구조를 하게된다.
이때에 구조된 피난자를 지상으로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하여서는 바스켓(15)의 발판에 마련된 활강포로 안내 낙하 하도록 유도시켜 탈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활강포는 한정된 길이의 활강포를 가지고 있으므로 화재의 위치가 높거나 낮을 대에 매우 불편하고 위험이 있어 왔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활강포(20-1) 상단에 구성된 체결수단(17)을 공지와 같이 굴절소방차의 사다리 바스켓(15)에 체결하고 상기 제1활강포(20-1)하단부의 신축포(10)에 구성된 다수의 체결고리(21)에는 제1활강포(20-1)와 연결되는 활강포(20)의 상단에 구성된 체결구(22)로 상기 체결고리(21)에 체결시켜 연결된 활강포(20)가 바스켓(15)과 지면의 높이로 연결구난위치의 높이로 연속연결하게된다. 그리고 마지막의 활강포(20)에는 출구(32)와 탄성부(31)가 구성된 착신부(30)을 상기와 같이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한 연결구성에서는 상기한 체결고리(21)와 체결구(22)의 연결구성이 효과적이라 할 것이나 슬라이더파스너와 끈체결수단도 같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실시도 본 고안의 요지에 있다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본 고안의 활강포는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사다리의 높이와 동일하여 피난자가 낙하할 때에 지면과의 충격을 방지함과 함께 안전하게 착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피난자를 구난하여 사다리의 바스켓(15)으로 피난한 피난자를 구급요원의 안내로 발판(16)에 체결된 제1활강포(20-1)내로 안내하여 활강포내에서 낙하 하도록 한다.
따라서 활강포(20)로 낙하되는 피난자는 활강포(20)의 신축포(10)에 의하여낙하속도를 줄이면서 지상으로 낙하 하게된다.
이대에 낙하 하는 피난자가 지상에 닫기전에 활강포(20)의 끝단에 형성된 착신부(30)의 탄성부(31)에 낙하되면서 지면과의 충격을 감소시켜 충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게되고 특히 활강포(20)의 길이가 지면과 같이 형성되어져 활강포(20)의 길이가 크고 작음에서 오는 폐단이 시정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피난위치와 지면과의 높이에 맞게 활강포(20)의 길이를 조절하여 피난자가 안전하고 빠르게 피난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급상황에서 빠른시간에 보다 많은 피난자를 구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고안이다.

Claims (2)

  1. 내포(11)와 외포(12)사이에 신축링(13)을 구성한 신축포(10)를 구성하고 외부에 방염처리된 방화포(14)로 구성한 활강포(20)상단에 굴절사다리의 바스켓(15) 발판(16)에 체결되는 체결수단(17)을 구성하여서 되는 통상의 비상탈출용 활강포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로 형성한 신축포(10) 하부끝단에 다수의 체결고리(21)를 고정하고 상단에는 체결고리(21)에 체결되는 체결구(22)를 형성시켜 각각의 활강포(20)를 착탈 연결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의 방화포(14)끝단이 연장되어 체결부를 가리도록 연장부(23)를 구성함과 함께 제1활강포(20-1)상단부에는 굴절사다리의바스켓(15) 발판(16)에 체결되는 체결수단(17)이 마련되고 끝단측의 활강포(20)에는 탄성부재가 충진된 탄성부(31)와 출구(32)를 구성한 착신부(30)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의 활강포(20)와 착신부(30)을 체결연결함을 슬라이더 파스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KR2019960056007U 1996-12-24 1996-12-24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KR0138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007U KR0138629Y1 (ko) 1996-12-24 1996-12-24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007U KR0138629Y1 (ko) 1996-12-24 1996-12-24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902U KR19980042902U (ko) 1998-09-25
KR0138629Y1 true KR0138629Y1 (ko) 1999-04-01

Family

ID=1948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007U KR0138629Y1 (ko) 1996-12-24 1996-12-24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6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474B1 (ko) * 2018-07-03 2019-01-31 주식회사 디딤돌 옥외 탈출용 수직구조대
KR101952410B1 (ko) * 2017-10-27 2019-02-26 이주현 탈출용 구조대 및 이를 이용한 건물 탈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1252A (zh) * 2015-09-29 2015-12-16 烟台华洋救生装备制造有限公司 垂直式海上撤离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410B1 (ko) * 2017-10-27 2019-02-26 이주현 탈출용 구조대 및 이를 이용한 건물 탈출 방법
KR101944474B1 (ko) * 2018-07-03 2019-01-31 주식회사 디딤돌 옥외 탈출용 수직구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902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US7942242B1 (en) Urban emergency escape method and system
US20030071427A1 (en) Cart for transport of personnel and material in a hazardous environment
US5377778A (en) Emergency fire escape for multi-storied building
US4005762A (en) Rescue apparatus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US3977495A (en) Rescue apparatus
US4778031A (en) Escape chute
KR0138629Y1 (ko) 소방차용 비상탈출 구조대
US5056619A (en) Controlled descent device
US5375795A (en) Fixed rescue basket for helicopters
US6098747A (en) Rescue chute
US5871066A (en) Rescue device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1913091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US11541254B2 (en) Emergency slide system
US4553636A (en) Lifesaving apparatus for escaping from a building
KR102156937B1 (ko) 비상 상황시 나타나는 미끄럼틀 타입의 대피통로
RU184749U1 (ru) Трап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жарный
KR920007192Y1 (ko) 피난용 구조대
US4154320A (en) Life rescue evacuation unit
CN201959429U (zh) 高楼逃生保护装备
KR102303473B1 (ko) 건물의 비상탈출용 로프백
JP3024457U (ja) 自由落下速度緩和式滑走パイプ
KR100873784B1 (ko) 배낭형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