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608Y1 - 비상탈출용 캡슐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608Y1
KR200278608Y1 KR2020020006779U KR20020006779U KR200278608Y1 KR 200278608 Y1 KR200278608 Y1 KR 200278608Y1 KR 2020020006779 U KR2020020006779 U KR 2020020006779U KR 20020006779 U KR20020006779 U KR 20020006779U KR 200278608 Y1 KR200278608 Y1 KR 200278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scape
emergency
presen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창
Original Assignee
정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창 filed Critical 정연창
Priority to KR202002000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608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재난이 발생될 때에 비상구난 탈출을 위한 비상탈출용 캡슐(capsu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성과 완충기능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수지 등으로 이중벽과 사이에 에어충진된 캡슐 내에 탈출자가 인입하여 건물 외부로 낙하함으로 안전한 비상탈출을 할 수 있고 낙하되는 캡슐은 완충작용에 의해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캡슐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에서의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일시에 많은 사람들이 출구를 찾아 피난하게 됨으로 비좁은 출구는 원활한 비상출구로서의 기능이 마비되고 또는 중간층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부층에서의 탈출로가 막히게 됨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의 높은 신축성으로 충격흡수와 부피의 신축 및 고열에 대한 단열효과의 표면성질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수지 등을 이용한 캡슐을 제시함과 함께 상기 캡슐에는 충격완화를 증대하기 위한 신축형 충격완화봉과 에어충진 및 내부 탈출자의 안전을 높이기 위한 안전 개폐문과 확인창을 구성하는 비상탈출용 캡슐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캡슐{A capsule of an emergency escape}
본 고안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재난이 발생될 때에 비상구난 탈출을 위한 비상탈출용 캡슐(capsu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성과 완충기능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수지 등으로 이중벽과 사이에 에어충진된 캡슐 내에 탈출자가 인입하여 건물외부로 낙하함으로 안전한 비상탈출을 할 수 있고 낙하되는캡슐은 완충작용에 의해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캡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대의 고도문명화된 도시사회에서는 고층빌딩이 많이 건축되고 건축물에 많은 인력이 수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에서의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일시에 많은 사람들이 출구를 찾아 피난하게 됨으로 비좁은 출구는 원활한 비상출구로서의 기능이 마비되고 또는 중간층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부층에서의 탈출로가 막히게 됨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폐단에 의해 고층건물에는 여러 종류의 비상탈출기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상기 탈출구 중 완강기는 건물에 고정되는 감속기에 로우프를 1~2회 권선시켜 풀림을 제어함으로서 탈출자가 로우프를 이용하여 하강할 때에 고속낙하됨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탈출은 탈출자가 노출되어 건물벽과의 충돌 및 외부로 나오는 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탈출지점에서부터 지면까지 직물지 등을 박음하여 관으로 구성되는 탈출기는 10층 이상에서는 길이의 확장에 따른 중량에 의해 자체 하중으로 쉽게 파손되는 단점과 불에 의해 소손되는 단점과 함께 최근의 초고층 일예로 20층 이상에서는 상기한 탈출기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설치 및 탈출에서도 위험성이 크게 작용하므로서 상기 탈출기와 함께 기타의 구성이 실용화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낙하산을 이용하려는 탈출기가 본 고안인의 선등록고안과 함께 유사한 구성들이 다수 알려진 바 있으나, 낙하산은 바람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 건물을 따라 상승기류, 돌풍이 발생되어 낙하산이 하강이 아닌 상승되려는 작용이 발생되고 또한 건물과의 충돌과 걸림으로 인한 문제점이 노출되며 화재로 인한 비상물체들(유리파편 등)이 낙하산과 함께 탈출자에게 위해를 입히게 되면서 특히 위험에 노출된 탈출자가 불과 비상물체들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고층건물에서의 비상구난장비가 개선되고 있지 못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높은 신축성으로 충격흡수와 부피의 신축성 및 고열에 대한 단열효과의 표면성질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수지 등을 이용한 캡슐을 제시함과 함께 상기 캡슐에는 충격완화를 증대하기 위한 신축형 충격완화봉과 에어충진 및 내부 탈출자의 안전을 높이기 위한 안전개폐문과 확인창을 구성하는 비상탈출용 캡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의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캡슐 11; 내부캡슐 12; 외부캡슐
13; 격벽 14; 출구 15; 확인창
16; 개폐문 17; 충격흡수봉 18; 고리
19; 에어주입부 20; 압축가스충진장치 21; 개폐로우프
30; 보조낙하산 31; 탈출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3의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층에서 낙하와 함께 지면과의 충격에서 탈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충격흡수 기능이 높고 가벼워 낙하속도를 줄이고 충돌시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내화학성, 내열성과 압축후의 복원성이 뛰어나고 또한 충격흡수, 반복사용이 가능한 완충부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등의 발포성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캡슐(11)과 외부캡슐(12)을 구성되는 캡슐(10)로 구성하되, 상기 내부캡슐(11)과 외부캡슐(12)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의 격벽(13)과 내부캡슐(11)로 출입하기 위한 출구(14)와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5)이 구성된다.
상기 출구(14)에는 탈출자가 인입후 충격 등으로 튕겨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문(16)을 구성시켜 안전성을 높인다.
상기 외부캡슐(12) 외주면에는 지면과의 출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봉(17)을 전체적으로 돌출하고 보조낙하산(30)이나 탈출기(31)에 체결되는 고리(18)를 다수 구성시켜 낙하속도를 감속시키는 다른 보조수단에 연결되어 안전낙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캡슐(12)에는 에어주입부(19)를 구성하여 에어주입과 내측에 압축가스충진장치(20)를 구성시켜 비상시 개폐로우프(21)에 의한 개폐로 내부에 고압을 충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팽창된 캡슐(10)이 낙하속도 감속과 낙하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 보다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외주면에 미도시된 날개막을 다수 구성하여 낙하시에 바람의 저항을 증대하여 낙하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3의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기능이 높고 가벼워 낙하속도를 줄이는 한편 충돌시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수지재의 캡슐(10)로 구성된 본 고안은 공지와 같이 고층건물의 특정 장소 즉, 비상계단이나 비상탈출이 가능한 창문 근처에 보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지재로 구성된 신축성에 의해 압축 또는 절첩에 의해 부피가 축소되어 소형화시켜 보관된다.
이에 따라 고층건물에서 화재, 지진 등 위급한 재난이 발생되어 생명이 위태롭게 될 때에 비상계단 등을 이용한 탈출을 할 수 없고 비상계단 또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창문 근처에 비치된 본 고안을 이용하여 탈출하게 된다.
즉, 상기에 비치된 본 고안을 포장대 등에서 분리하여 캡슐(10)을 펼치면 도 1과 같은 사각형상의 캡슐(10)로 구성되고 이때에 캡슐(10)의 탄성과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주입구(19)에 에어펌프 등을 이용하여 충진하게 된다.
또는 상기 캡슐(10) 일측에 구성된 개폐로우프(21)를 당겨 내측의 압축가스 충진장치(20)를 작동함으로서 충진된 압축가스가 캡슐(10) 내로 방사되고 이러한 압축가스는 캡슐(10) 내에 충진되어 캡슐(10)을 팽창시킨다.
이때에 개폐로우프(21)는 내부 탈출자가 작동하기 편리한 위치에 구성시켜 탈출자의 개폐작용과 또는 상기 개폐로우프(21)를 건물에 고정하여 낙하로 인한 당김에 의한 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가 충진된 상태에서 출구(14)의 개폐문(16)을 열고내부캡슐(11)로 탈출자가 들어간 후 상기 개폐문(16)을 잠그고 건물 밖으로 낙하함으로서 위급에서 탈출을 하게 되며 상기에서 낙하되는 캡슐(10)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가벼우면서 탄성력이 양호하여 공기와의 마찰로 낙하속도를 줄이면서 지면에 착지하게 되며 이때에 지면과 충돌을 하는 캡슐(10)은 외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충격흡수봉(17)이 지면과 충돌에서 신축에 의한 1차 충격력을 흡수함과 함께 캡슐(10) 외부가 2차의 충격흡수와 에어충진에 의한 3차 및 내외부 캡슐 간의 격벽(13)과 내부 캡슐(11)에 의한 4차의 충격흡수로 내부의 탈출자에게 오는 충격을 감쇠시켜 탈출 자를 보호하게 됨으로서 피해를 저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캡슐(10)이 지면에 안착하면 구급자는 상기 캡슐(10)에 형성된 확 인창(15)을 통해 내부 탈출자의 안전 등을 확인하고 빠른 출구(14)의 개방으로 캡슐(10) 내의 탈출자를 구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에어가 충진되고 고탄성의 신축성과 가벼워 낙하중에 공기저항에 따른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면서 탄성에 의한 지면과의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시켜 내부 탈출자를 보호하게 됨으로 고층빌딩에서의 피난을 보다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내열성과 압축후의 복원성이 뛰어나며 특히 충격흡수기능 효과적인 폴리프로필렌 발포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하는 신축성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출구(14)의 개폐는 슬라이서파스터와 매직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빠른 개폐와 안전성을 증대하며 확인창(15)은 1 이상 구성하여 탈출자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외부캡슐(12)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리(18)를 형성시켜 보조낙하산(30)이나 탈출기(31)에 체결되는 고리(18)를 다수 구성한다.
이러한 고리(1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낙하산(30)을 체결시켜 낙하함으로서 낙하속도를 감속시키는 효과로 보다 안전한 착지를 이룰 수 있고 또한 통상의 탈출기(31) 등을 이용한 탈출로서 보조수단에 의한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과 상기 외부면에 미도시된 비상용 날개를 구성시켜 낙하속도를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하여 상기 충진된 에어를 제거함과 함께 압축하거나 가지런히 접으며 신축성에 의하여 소형으로 절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하여 비상위치에 비치하게 됨으로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층빌딩에서의 재난시에 빠르고 안전한 탈출을 위하여 내외부 캡슐로 구성시켜 에어가 충진되고 충격흡수봉과 낙하산 등 보조수단을 연결하여 낙하속도 저하와 지면과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 탈출자를 보다 안전하게 피난시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탈출자가 캡슐 내에 있으므로 비상물체인 유리와 건물의 돌출부 등에 의한 피해방지 및 외부와 단절됨으로서 공포를 유발하지 않아 보다 안전한 효과를 발휘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특징을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3)

  1. 내부캡슐(11)과 외부캡슐(12)로 구성되는 캡슐(10)로 구성하되, 상기 내부캡슐(11)과 외부캡슐(12)을 격벽(13)으로 지지하고 내부캡슐(11)로 출입하기 위한 출구(14)와 내부 확인창(15)을 구성함과,
    상기 외부캡슐(12) 외주면에는 에어주입부(19)와 충격흡수봉(17)을 전체적으로 돌출하고 체결고리(18)를 구성시켜 보조수단과 연결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캡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0) 내에 압축가스충진장치(20)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캡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0) 외측에 비상날개막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캡슐.
KR2020020006779U 2002-03-07 2002-03-07 비상탈출용 캡슐 KR200278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79U KR200278608Y1 (ko) 2002-03-07 2002-03-07 비상탈출용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79U KR200278608Y1 (ko) 2002-03-07 2002-03-07 비상탈출용 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608Y1 true KR200278608Y1 (ko) 2002-06-20

Family

ID=7311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779U KR200278608Y1 (ko) 2002-03-07 2002-03-07 비상탈출용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6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29B1 (ko) * 2018-11-27 2020-03-10 훈쏟쎄타 에어백 장치
CN111437534A (zh) * 2020-05-14 2020-07-24 朱曾华 一种火灾紧急避难逃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29B1 (ko) * 2018-11-27 2020-03-10 훈쏟쎄타 에어백 장치
CN111437534A (zh) * 2020-05-14 2020-07-24 朱曾华 一种火灾紧急避难逃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903B1 (ko) 고층의 대상체에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한 개인용 응급 장치
JP5792835B2 (ja) 高層施設から救出する装置
US4068739A (en) Disaster evacuation air cushion
CN103301583B (zh) 一种充气式多囊应急逃生装备
KR20170119945A (ko)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US5058831A (en) Emergency escape unit
US6598703B1 (en) Externally concealable, modular high-rise emergency evacuation apparatus with pre-qualified egress
KR200278608Y1 (ko) 비상탈출용 캡슐
WO2008127143A1 (fr) Dispositif permettant d'évacuer d'urgence un individu d'un objet situé en hauteur, mécanisme amortisseur de ce dispositif, structure d'appui d'un sac de ce dispositif et système de remplissage d'une chambre gonflable de ce dispositif
CN203227218U (zh) 气袋式高楼火灾逃生器
KR100723047B1 (ko)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US2009013979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lowing descent
US20030116380A1 (en) Wind chute escape system
RU23055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RU25583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ания людей при пожарах
KR200318383Y1 (ko) 인명 구조용 낙하장치
RU792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го спуска человека с высотного объекта, демпфе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ранца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истема наполнения надувных камер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CN105107098A (zh) 高楼救援器
WO2004067879A1 (en) Safety cushion apparatus
RU75685U1 (ru) Подоконник с вмонтирова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101105333B1 (ko) 낙하산 구명 장비
RU662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го спуска человека с высотного объекта
CN204972732U (zh) 高楼救援器
CN211675933U (zh) 一种高空逃生救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