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096A - 서랍식 개폐기기 및 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서랍식 개폐기기 및 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096A
KR19990030096A KR1019980039697A KR19980039697A KR19990030096A KR 19990030096 A KR19990030096 A KR 19990030096A KR 1019980039697 A KR1019980039697 A KR 1019980039697A KR 19980039697 A KR19980039697 A KR 19980039697A KR 19990030096 A KR19990030096 A KR 1999003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device
plug
guide member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115B1 (ko
Inventor
다카시 오오기
코이치 시치다
아키노리 가와타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3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15B1/ko

Links

Landscapes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잠금장치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고, 잠금장치의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안내부재에 따라 이동가능한 기기본체(4)의 이동을 구속해서 잠그는 잠금장치는, 기기본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장의 판상의 잠금장치를 사용해서 이루어지고, 이 잠금장치에 상기 안내부재와의 계합에 의해 기기본체의 이동을 잠거주는 이동잠금부와, 고정플러그에 가동플러그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와,
상기 고정 및 가동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접속보존부와, 상기 기기본체가 이동했을 때,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하는 요동구속부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서랍식 개폐기기 및 그의 잠금장치
본 발명은, 주로 폐쇄 배전반내에 조립되는 서랍식 개폐기기 및 이 개폐기기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쇄 배전반은, 접지금속제의 상자체로 구성된 외부상자의 내부를 접지금속 또는 절연재로 되는 격벽에 의해 서로 칸막이 하여 여러개의 컴퍼트멘트를 형성하고, 이들 컴퍼트멘트의 각각에, 공통 모선에 접속된 모선측 분기도체, 다른 전기실, 부하기기 등의 부하에의 송전을 위한 송전케이블에 접속된 부하측도체, 양도체를 접리하는 차단기를 사용해서 된 개폐기기, 감시제어에 필요한 제어기기를 수납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같은 폐쇄배전반에서는 상기 컴퍼트멘트의 각각의 내부 점검에서, 내부기기의 잔류, 전압에 의한 점검작업자의 감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점검전에 내부기기를 무전압화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일본국특개평4-5480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기를 이 개폐기기를 수납하는 컴퍼트멘트내에 배치되는 소정의 길이의 안내부재를 따라 시험위치에서 운전위치까지 이동자재롭게 하고 내부 점검때에는 컴퍼트멘트에서 상기 개폐기기를 안내부재에 따라 시험위치로 빼내고, 모선측 분기도체와 부하측 도체를 확실하게 단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이 종래의 서랍식 개폐기기를 도 8∼도 15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서랍식 개폐기기의 정면도, 도 9는 측면도, 도 10은 접속플러그 근방을 표시하는 부분확대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X-X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고정플러그에 가동플러그를 접속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개폐기기를 이동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종래의 서랍식 개폐기기 E는, 개폐회로 및 이 개폐회로에 접속되는 고정플러그 F가 설치되고, 소정의 길이의 안내부재 G를 따라, 도 9(a)에 표시한 시험위치로부터 도 9(b)의 운전위치까지 이동가능한 기기본체 H와, 이 기기본체 H의 이동을 구속해서 잠그는 잠금장치(J)를 구비하고 있다.
기기본체(H)의 전면우측 하부에는 상기 고정플러그(F) 및 잠금장치(J)가 설치되고, 기기본체(H)의 배면에는 상기 모선측 분기도체 및 부하측도체에 접속된 접촉자 Y, Y와, 접리가 자유롭게 접속되는 접촉자 Z, Z가 설치되어있다.
또, 기기본체 H의 정면 좌우하부에는 상기 안내부재 G에 따라 전동이 자유로운 차륜 K, K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고정플러그 F에는 상기 제어기기에 접속된 가동플러그 L가 기기본체 H의 정면측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어있다.
또. 고정플러그 F의 상하면에는 ㄷ자형의 플러그 훅 M가 지지되고, 상기 가동플러그 L의 고정플러그 F에 대한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잠금장치 J는 기기본체 H의 우측면에 하나의 횡축 N를 통해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훅형상의 잠금장치 O 및 플러그커버 P와, 상기 잠금장치 0를 요동방향 한쪽에 작동하는 작동스프링 Q와, 기기본체 H로부터 돌출설치된 지지장식에 가로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잠금해제 막대 R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잠금해제막대 R는, 상기 고정플러그 F에 가동플러그 L가 접속되었을 때, 잠금장치 0의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해제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상기 잠금장치 0에 돌출설치된 돌기 0 1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고정플러그 F의 내부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잠금해제 막대기 R의 타단과 계합가능한 압압부 S가 상기 가동플러그 L에 설치되어있다.
잠금장치 0는 상기 안내부재 G와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판체 D의 일단부 d와의 계합에 의해 기기본체 H의 이동을 잠거버리는 凹상의 이동잠금부 02가 설치되어있다.
플러그커버 P는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기본체(H)에의 지지부와 반대측 단부로 구부려 형성되고, 상기 고정 및 가동플러그 (F),(L)의 접속상태를 보존하는 접속보존부 P1과, 상기 기기본체 H가 이동했을 때, 상기 플러그커버 P의 요동을 구속하는 요동구속부 P2와, 상기 고정판재(D)의 일단에 돌출설치된 돌기부 D1과 맞닿는 당접부 P3와 기기본체에 돌설된 안내핀을 받아들이는 원호상의 안내공 P4가 설치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서랍식 개폐기기 E는 시험위치로 빼내어저 있는 개폐기기 E의 고정플러그 F에 가동플러그 L를 접속하면, 압압부 S가 잠금해제 막대 R를 눌러, 잠금장치 0가 작동스프링 Q에 반해서 가로축 N을 중심으로 해서 도 11 시계방향으로 요동해서, 도 12의 상태가 된다(접속검출, 잠금해제).
다음, 개폐기기 E를 안내부재 G에 따라 운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이 이동에 따라 플러그커버 P의 당접부 P3가 도 12에 표시한 대로 고정판체 D의 돌기부 D1과 당접하고 플러그 커버 P는 가로축 N를 중심으로 해서 도 12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시험위치에서 운전위치로의 이동도중에서는 도 13에 표시한 상태가 되고, 가동플러그 L의 전면을 플러그커버 P의 접속보존부 P1이 덮고, 가동플러그 L의 접리가 구속된다(접리방지).
또, 시험위치에서 가동플러그 L를 접속하지 않고 개폐기기 E를 운전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잠금장치 0는 도 11과 같이 고정판체 D측에 작동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 이동잠금부 02가 고정판체 D의 일단부 d와 당접하고 개폐기기 E의 이동은 구속된다(잠금).
또, 이상과 같이 시험위치로 빼내어져 있는 기기본체 H의 고정플러그 F에 가동플러그 L를 접속한 경우, 상기 플러그 훅 M를 도 14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서 가동플러그 L의 핀을 플러그 훅 M의 계합공에 널어 록할 수가 있다.
가동플러그 L를 플러그 훅 M로 록한후, 개폐기기 E를 운전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면 플러그 훅 M의 조작부는 시험위치로부터 이동직후로부터 운전위치까지의 범위에서 록커버 U에 의해 덮어진 상태가 되고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랍식 개폐기기 E의 잠금장치 J는 잠금장치 O와, 플러그 커버 P와, 잠금해제 막대 R를 구비한 구조이므로 부품점수가 많다. 따라서, 가공 및 조립 작업성이 나쁘고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사정에 따라 된 것으로, 기기본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장치에, 이동잠금부와, 잠금해제부와, 접속보존부와, 이동구속부를 설치함으로써, 잠금장치의 기능을 잃지않고, 잠금장치의 부품점수를 적게할 수 있고, 가공 및 조립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고 값싸게 구성할 수 있는 서랍식 개폐기기 및 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에 관한 서랍식 개폐기기는, 가동플러그가 착탈자유롭게 접속되는 고정플러그 및 이 고정플러그에 접속되는 개폐회로가 설치되고, 소정의 안내부재에 따라 서랍 이동이 가능한 기기본체와, 이 기기본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이 잠금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장치를 사용해서 되고, 이 잠금장치에는 상기 안내부재와의 계합에 의해 기기본체의 이동을 구속하고, 잠그는 이동잠금부와, 상기 고정플러그에 상기 가동플러그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부와, 상기 고정 및 가동플러그의 접속상태를 보존하는 접속보존부와, 상기 기기본체가 이동했을 때,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하는 요동구속부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 관한 서랍식 개폐기기는, 상기 잠금체가 한장의 판체 또는 하나의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 관한 서랍식 개폐기기의 잠금장치는, 가동플러그가 착탈자유롭게 접속되는 고정플러그 및 이 고정플러그에 접속되는 개폐회로가 설치되고, 소정의 안내부재에 따라 서랍이동이 가능한 서랍식 개폐기기에 장착되어서, 이 개폐기기를 잠그는 잠금장치는, 상기 개폐기기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이 잠금장치에는 상기 안내부재와의 계합에 의해 기기본체의 이동을 구속해서 잠그는 이동잠금부와 상기 고정플러그에 상기 가동플러그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부와, 상기 고정 및 가동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접속유지부와, 상기 기기본체가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하는 요동구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기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기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기의 작동과정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기가 내장된 폐쇄배전반을 모식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기의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기의 실시의 형태 3를 표시하는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도 8은 종래 예를 표시하는 개폐기기의 정면도
도 9는 종래 예를 표시하는 개폐기기의 측면도
도 10은 종래 예를 표시하는 접속플러그 근방을 표시하는 부분확대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X-X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고정플로그에 가동플러그를 접속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도 12의 개폐기기를 이동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14는 고정플러그 및 가동플러그 부분만의 평면도
도 15는 플러그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안내부재 3: 고정플러그
4: 기기본체 5: 잠금장치
6: 가동플러그 50, 50A, 50B: 잠금장치
51, 51A, 51B: 이동잠금부 52, 52A, 52B: 잠금해제부
53, 53A, 53B: 접속보존부 54, 54A, 54B: 요동구속부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도면에 의해 상술한다. 도 1은 개폐기기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도 2는 개폐기기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도 3은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작동과정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5는 개폐기기가 내장된 폐쇄배전반을 모식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폐쇄배전반은,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형상자형을 이루는 금속제의 외부상자(1)의 내부가 접지금속 또는 절연재제의 격벽에 의해 모선실(1a)과 케이블실(1b)과, 개폐기기실(1c)과, 제어기기실(1d)로 구분되어, 모선실(1a)에는 모선측 분기도체 A가 배치되고, 케이블실(1b)에는 부하측도체 B가 배치되고, 개폐기기실(1c)에는 개폐기기(C)가 이동자유롭게 배치되고, 제어기기실(1d)에는 제어기기(도시않음)가 수납되어있다.
또, 개폐기기실(1c)에는 상기 개폐기기(C)를 시험위치에서 운전위치까지 이동자유롭게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부재(2), (2)가 가로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있다.
이들 안내부재(2), (2)는 상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상부안내부편(21) 및 하부안내부편(22)과, 이들 상부안내부편(21), 하부안내부편(22)을 연결하는 연결부편(23)에 의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있다.
우안내부재(2)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상부안내부편(21) 및 연결부편(23)을 도려내어 절결부(2a)가 설치되어있다.
개폐기기 C는, 계폐회로 및 이 개폐회로에 접속되는 고정플러그(3)가 설치된 기기본체(4)와 이 기기본체(4)의 시험위치로부터 운전위치에의 이동을 구속해서 잠그는 잠금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플러그(3)에는 상기 제어기기에 접속된 가동플러그(6)가 기기본체(4)의 정면측으로부터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어있다.
또, 고정플러그(3)의 상하면에는 ㄷ자형의 플러그 훅(31)이 회동자유롭게 부착되고, 상기 가동플러그(6)의 고정플러그(3)에 대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기본체(4)의 정면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플러그(3) 및 잠금장치(5)가 설치되고, 또 정면 좌우하부에는 상기 안내부재(2),(2)에 따라 전등이 자유로운 차륜(7),(7)이 설치되어, 이들 차륜(7),(7)에 의해 기기본체를 이동자유롭게 하고 있다.
잠금장치(5)는, 기기본체(4)의 우측면에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편(4a),(4a)사이에 가설된 세로방향의 지지축(8)을 통해서, 요동자유롭게 지지되는 하나의 잠금장치(50)를 사용해서 된다.
이 잠금장치(50)는 상기 지지축(8)에 감겨있는 코일상태의 작동스프링(9)에 의해 도 4(a)의 시계방향으로 작동되고 있다.
도 1∼도 4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1의 잠금장치(50)는, 한 장의 판체에 의해 형성되고, 그 전휴방향 중앙부의 상하단에는 한쌍의 굴곡면(5a),(5a)가 돌출설치되고, 이들 굴곡편(5a),(5a)에 뚫여있는 관통공에 상기 지지축(8)에 끼워져 있다.
판체를 사용해서 된 점금장치(50)에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후 하단부에 지지위치보다도 하방에 돌출해서 상기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 안내부편(21)에 당접가능한 이동잠금부(51)가 설치되고,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 전상단부에 지지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해서, 고정플러그(3)에 접속된 가동플러그(6)의 한측면과 접촉해서 잠금장치(50)의 작동스프링(9)에 의한 요동을 구속하는 잠금해제부(52)와, 이 잠금해제부(52)의 전단에서 상기 고정플러그(3)측에 굴곡하는 접속보존부(53)가 설치되고,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전 하단부에 지지위치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해서, 상기 안내부재(2)의 상안내부편(21)의 선단면(21a)과 접촉가능한 요동구속부(54)가 설치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서랍식 개폐기기 C는 안내부재(2)에 따라 시험위치로 끌어내진 기기본체(4)의 고정플러그(3)에 가동플러그(3)에 가동플러그(6)를 접속하지않고, 개폐기기(C)를 운전위치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잠금장치(50)는 작동스프링(9)에 의해 도 4(a)와 같이, 안내부재(2)측에 작동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그 이동잠금부(51)가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안내부편(21)에 당접해서 개폐기기(C)의 이동은 구속된다(잠금).
또, 시험위치로 끌어나와 있는 개폐기기(C)의 고정플러그(3)에 가동플러그(6)를 접속하는 경우, 도 4(b)와같이 잠금장치(50)를 작동스프링(9)에 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접속보존부(53)를 가동플러그(6)의 접속경로로부터 후퇴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가동플러그(6)를 고정플러그(3)에 쉽게 접속할 수가 있다. 또, 잠금장치(50)를 작동스프링(9)에 반해서 도 4(b)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킬 때 안내부재(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절결부(2a)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요동구속부(54)가 안내부재(2)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시킬 수가 있다.
이 가동플러그(6)의 접속후, 잠금장치(50)는 작동스프링(9)의 힘으로 도 4(b)의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잠금해제부(52)가 도 4(C)와 같이 가동플러그(6)의 한측면에 접촉해서 잠금장치(50)의 작동스프링(9)에 의한 요동이 구속되고, 이 잠금장치(50)는 안내부재(2)와 평행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잠금부(51)가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 안내부편(21)에 당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기기본체(4)를 안내부재(2)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접속검출, 잠금해제).
이 경우, 도 4(C)와 같이 접속보존부(53)가 가동플러그(6)의 접속경로에 들어가 가동플러그(6)의 전면과 대향하게 되므로, 가동플러그의 빼내기는 방지할 수 가 있고, 고정플러그(3) 및 가동플러그(6)의 접속상태를 보존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가동플러그(6)를 고정플러그(3)에 접속한 경우, 잠금장치(50)의 작동스프링(9)에 의한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을 해제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개폐기기(C)를 안내부재(2),(2)에 따라 시험위치로 부터 운전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개폐기기(C)의 이동에 따라 요동구속부(54)가 안내부재(2)의 상부안내부편(21)의 선단면(21a)과 접촉해서, 잠금장치(50)의 요동이 안내부재(2)에 의해 구속되므로, 고정플러그(3) 및 가동플러그(6)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도 6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2는 잠금장치(50)를,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세로방향의 지지축(8)을 통해서 요동자유롭게 지지하는 대신에,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지지축(8A)을 통해서 요동자유롭게 지지한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으므로 공통점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2는, 기기본체(4)의 우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설된 지지축(8A)를 통해서 요동자유롭게 지지되는 하나의 잠금장치(50A)를 사용하고 있다.
이 잠금장치(50A)는, 한 장의 대략 3각형상의 판체에 의해 형성되고, 그 상하 중도부에 뚫린 관통공에 상기 지지축(8A)이 끼워지고, 잠금장치(50A)과 기기본체(4)사이에 작동스프링(9A)을 개재시키고 있다.
판체를 사용해서 된 잠금장치(50A)에는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후 하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 안내부편(21)에 당접가능한 이동잠금부(51A)가 설치되고,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전 상단부에, 고정플러그(3)측에 굴곡하고, 고정플러그(3)에 접속된 가동플러그(6)의 전면과 접촉해서 잠금장치(50A)의 작동스프링 9A에 의한 요동을 구속하는 잠금해제부(52A) 및 접속보존부(53A)가 설치되어있고,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 전하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의 상부안내부편(21)의 상면과 접촉가능한 요동구속부(54A)가 설치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2의 서랍식 개폐기기(C)는, 안내부재(2)에 따라 시험위치에 인출된 개폐기기(C)의 고정플러그(3)에 가동플러그(6)를 접속하는 일 없이 개개기기(C)를 운전위치에 이동시키고저 할 때, 잠금장치(50A)는 작동스프링(9A)에 의해 도 6의 위치, 즉 이동잠금부(51A)가 상기 안내부재(2)의 절결부(2a)내에 들어가는 위치에 작동보존되어있는 상태이므로, 그 이동잠금부(51A)가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안내부편(21)에 당접하고, 개개기기의 이동은 구속된다(잠금).
또, 시험위치에 인출되어있는 개폐기기의 고정플러그(3)에 가동플러그(6)를 접속하는 경우 잠금장치(50A)을 작동스프링(9A)에 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접속보존부(53A)를 가동플러그(6)의 접속경로로 부터 후퇴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가동플러그(6)를 고정플러그(3)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가 있다. 또, 잠금장치(50A)를 작동스프링(9A)에 반해서 도 6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킬 때, 안내부재(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절결부(2a)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요동구속부(54A)가 안내부재(2)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잠금장치(5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시킬 수가 있다.
이 가동플러그(6)의 접속후, 잠금장치(50A)는 작동스프링(9A)의 힘으로 요동하고 잠금해제부(52A) 및 접속보존부(53A)가 가동플러그(6)의 전면에 접촉해서 잠금장치(50A)의 작동스프링(9A)에 의한 요동이 구속되고, 이 잠금장치(50A)의 하단은 안내부재(2)와 평행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잠금부(51A)가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안내부편(21)에 당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개폐기기(C)를 안내부재(2)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접속검출, 잠금해제).
이 경우, 잠금해제부(52A) 및 접속보존부(53A)가 가동플러그(6)의 전면과 대향하게 되므로, 가동플러그(6)의 뽑아짐을 방지할 수가 있고, 고정플러그(3) 및 가동플러그(6)의 접속상태를 보존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가동플러그(6)를 고정플러그(3)에 접속한 경우 잠금장치(50A)의 작동스프링(9A)에 의한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을 해제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개폐기기(C)를 안내부재(2)에 따라 시험위치에서 운전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개폐기기(C)의 이동에 따라 요동구속부(54A)가 안내부재(2)의 상부안내부편(21)의 상면과 접촉해서 잠금장치(50A)의 요동이 안내부재(2)에 의해 구속되므로 고정플러그(3) 및 가동플러그(6)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도 7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3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3은, 가로방향의 지지축(8A)을 통해서 기기본체(4)에 요동자유롭게 지지한 잠금장치(50A)를 실시의 형태 2와 같이 한 장의 판체로 형성하는 대신에,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선재의 구부림에 의해 형성한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 및 2와 같으므로, 공통점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3은 기기본체(4)의 우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지지축(8A)를 통해서 요동자유롭게 지지되는 하나의 잠금장치(50B)를 사용하고 있다.
이 잠금장치(50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동방향 전후에 배치되는 제1막대기부편(55) 및 제2 막대기부편(56)과, 제1 막대기부편(55)의 상단 및 제2 막대기부편(56)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막대기부편(57)을 구비하고, 이 연결막대기부편(57)의 중도부에 지지편(58)이 설치되고, 이 지지편(58)에 뚫린 관통공에 상기 지지축(8A)이 끼워지고, 연결막대기부편(57)과 기기본체(4)사이에 상기 작동스프링(9A)을 개재시키고 있다.
선재를 사용해서 되는 잠금장치(50B)에는,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후 하측이 되는 제1 막대기부편(55)의 하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안내부편(21)에 당접가능한 이동잠금부(51B)가 설치되고,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 전부상측이 되는 제2 막대기부편(56)의 상단부에 고정플러그(3)측으로 굴곡하고, 고정플러그(3)에 접속된 가동플러그(6)의 전면과 접촉해서 잠금장치(50B)의 작동스프링(9A)에 의한 요동을 구속하는 잠금해제부(52B) 및 접속보존부(53B)가 설치되고, 요동중심에 대해 이동방향전부 하측이 되는 제2 막대기부편(56)의 하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의 상부안내부편(21)의 상면과 접촉가능한 요동구속부(54B)가 설치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3의 서랍식 개폐기기(C)는 안내부재(2)에 따라 시험위치로 끌어내린 개폐기기 C의 고정플러그(3)에 가동플러그(6)를 접속하는 일 없이 개폐기기(C)를 운전위치로 이동시키려 할 때, 잠금장치(50B)는 작동스프링(9A)에 의해 도 7의 위치 즉, 이동잠금부(51B)가 상기 안내부재(2)의 절결부(2a)내에 들어가는 위치에 작동보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그 이동잠금부(51B)가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안내부편(21)에 당접하고, 개폐기기(C)의 이동은 구속된다(잠금).
또, 시험위치로 인출되어있는 개폐기기(C)의 고정플러그(3)에 가동플러그(6)을 접속하는 경우 잠금장치(50B)를 작동스프링(9A)에 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접속보존부(53B)를 가동플러그(6)의 접속경로로부터 후퇴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가동플러그(6)를 고정플러그(3)에 쉽게 접속시킬수가 있다. 또, 잠금장치(50B)를 작동스프링(9A)에 반해서 도 7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경우, 안내부재(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절결부(2a)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요동구속부(54B)가 안내부재(2)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잠금장치(5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시킬 수가 있다.
이 가동플러그(6)의 접속후, 잠금장치(50B)는 작동스프링(9A)의 힘으로, 요동하고 잠금해제부(52B) 및 접속보존부(53B)가 가동플러그(6)의 전면에 접촉해서 잠금장치(50B)의 작동스프링(9A)에 의한 요동이 구속되고, 이 잠금장치(50B)의 이동감금부(51B)가 안내부재(2)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잠금부(51B)가 안내부재(2)의 절결부(2a)의 상부안내부편(21)에 당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폐기기(C)를 안내부재(2)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접속검출, 잠금해제).
이 경우, 잠금해제부(52B) 및 접속보존부(53D)가 가동플러그(6)의 전면과 대향하게 되므로 가동플러그(6)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플러그(6) 및 가동플러그(6)의 접속상태를 보존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가동플러그(6)를 고정플러그(3)에 접속한 경우, 잠금장치(50B)의 작동스프링(9A)에 의한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해제의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개폐기기(C)를 안내부재(2)에 따라 시험위치에서 운전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개폐기기(C)의 이동에 따라 요동구속부(54B)가 안내부재(2)의 상부안내부편(21)의 상면과 접촉해서, 잠금장치(50B)의 요동이 안내부재(2)에 의해 구속되므로, 고정플러그(3) 및 가동플러그(6)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가 있다.
또, 이상의 실시의 형태 1∼3에서는 서랍형 차단기를 사용해서 되는 개폐기기(C)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에서의 개폐기기(C)는 단로기등의 개폐기기라도 된다.
제1발명에 관한 서랍식 개폐기기 및 제3 발명에 관한 잠금장치에 의하면, 기기본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장치에 기기본체의 이동을 잠그는 이동잠금부와,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해제로 하는 잠금해제부와,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보존하는 접속보존부와,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하는 요동구속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잠금장치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고 잠금장치의 부품수를 적게할 수 가 잇다.
따라서, 부품수가 많으므로 생기는 누적오차 및 고장율을 적게할 수 있고, 또 제조 및 조립 등의 작업을 간략화시킬 수가 있고 코스트도 저감시킬 수가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서랍식 개폐기기에 의하면 잠금장치를 판체의 성형 또는 선재의 구부림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할 수가 있고, 코스트를 한층 더 저감할 수가 있다.

Claims (3)

  1. 가동플러그가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고정플러그 및 이 고정플러그에 접속되는 개폐회로가 설치되고, 소정의 안내부재에 따라 서랍이동이 가능한 기기본체와 이 기기본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이 잠금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장치를 사용해서 되고, 이 잠금장치에는 상기 안내부재와의 계합에 의해 기기본체의 이동을 구속해서 잠그는 이동잠금부와, 상기 고정플러그에 상기 가동플러그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와, 상기 고정 및 가동플러그의 접속상태를 보존하는 접속보존부와, 상기 기기본체가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하는 요동구속부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개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한 장의 판체 또는 하나의 선재로 형성되어있는 서랍식 개폐기.
  3. 가동플러그가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고정플러그 및 이 고정플러그에 접속되는 개폐회로가 설치되고, 소정의 안내부재에 따라 인출이동이 가능한 서랍식 개폐기기에 장착되어서, 이 개폐기기를 잠그는 잠금장치는 상기 개폐기기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이 잠금장치에는 상기 안내부재와의 계합에 의해 기기본체의 이동을 구속해서 잠그는 이동잠금부와, 상기 고정플러그에 상기 가동플러그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해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부와, 상기 고정 및 가동플러그의 접속상태를 보존하는 접속보존부와, 상기 기기본체가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잠금장치의 요동을 구속하는 요동구속부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개폐기기의 잠금장치.
KR1019980039697A 1997-09-29 1998-09-24 서랍식개폐기기및그의잠금장치 KR100337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64613 1997-09-29
JP26461397A JP3792019B2 (ja) 1997-09-29 1997-09-29 引出式開閉機器及びその鎖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096A true KR19990030096A (ko) 1999-04-26
KR100337115B1 KR100337115B1 (ko) 2002-10-11

Family

ID=1740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697A KR100337115B1 (ko) 1997-09-29 1998-09-24 서랍식개폐기기및그의잠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92019B2 (ko)
KR (1) KR100337115B1 (ko)
CN (1) CN111891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61A (ko) 2015-03-11 2016-09-21 조성로 인명 구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7723A1 (ja) * 2007-01-18 2008-07-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電力用閉鎖配電盤
CN104577843B (zh) * 2015-01-12 2017-01-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高压成套设备上的手车连锁装置
DE112017006962T5 (de) * 2017-01-31 2019-10-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eistungsschalter
KR102208664B1 (ko) * 2019-04-11 2021-01-28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CN116995554B (zh) * 2023-08-02 2024-02-23 江苏国控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手车联锁装置及其开关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61A (ko) 2015-03-11 2016-09-21 조성로 인명 구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115B1 (ko) 2002-10-11
JP3792019B2 (ja) 2006-06-28
CN1213205A (zh) 1999-04-07
JPH11103509A (ja) 1999-04-13
CN1118913C (zh) 200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286A (en) Enclosed switchboard
US3783209A (en) Mechanism for holding and levering large draw out type circuit breakers
KR970004462B1 (ko) 인출형 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
KR910009073B1 (ko) 폐쇄배전반
JP3352753B2 (ja) 引き出し型低電圧遮断器
KR19990030096A (ko) 서랍식 개폐기기 및 그의 잠금장치
EP1227557B1 (en) A drawing apparatus for a drawer type electrical machinery
JPH1146410A (ja) 電気設備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5912444A (en) Switch racking mechanism with interlock
JP4515890B2 (ja) 配電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6333845B1 (en) Power-supply breaker apparatus
JP6764295B2 (ja) スイッチギヤ
EP0894920B1 (en) Lock for a vehicle door
KR200208223Y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JP3455074B2 (ja) 配電盤用引出形接地装置
JPH1146411A (ja) 閉鎖配電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3052769A (en) Fusible plug-in device
KR101793549B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212728Y1 (ko) 진공차단기/어싱스위치의 인터로크장치
KR102632384B1 (ko)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JP2000041309A (ja) 配電盤のユニット引出し装置
WO2020184323A1 (ja) スイッチギヤおよび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020080100A (ko) 배전반의 회로차단기용 크레이들
JPH0454807A (ja) 引出形遮断器の制御回路鎖錠装置
KR200237160Y1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