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160Y1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160Y1
KR200237160Y1 KR2020010008406U KR20010008406U KR200237160Y1 KR 200237160 Y1 KR200237160 Y1 KR 200237160Y1 KR 2020010008406 U KR2020010008406 U KR 2020010008406U KR 20010008406 U KR20010008406 U KR 20010008406U KR 200237160 Y1 KR200237160 Y1 KR 200237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unter
locking lever
connecto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에트너아힘
룩쓰마르쿠스
슈타인하우저우베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1)와 카운터 플러그(10) 및 상기 플러그(1)에 배치되어 카운터 플러그(10)와 협동하는 록킹 장치(4)로 구성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1)에 관한 것이다.
폐쇄 및 개방 과정 동안 그리고 록킹 상태에서 록킹 장치(4)를 둘러싸는 록킹 레버(5)가, 카운터 플러그(10) 상에 횡으로 배치되어 이 카운터 플러그로부터 안내된 볼트 형태의 돌출 부품(13)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 부품(13)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품은 플러그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플러그 결합 방향(14)과 돌출 부품(13)의 길이방향 연장부가 이루는 각도(15)를 90o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커넥터{Electrical plug connector}
본 고안은 플러그 하우징을 가지며 카운터 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서 플러그 하우징 상에 회전 및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록킹 레버를 둘러싸는 록킹 장치와, 카운터 플러그에 제공되며 록킹 레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슬롯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형 돌출 부품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서는 록킹 장치가 하나의 록킹 레버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상기 록킹 장치는 플러그 하우징의 외벽에 배치되는 레그를 가지며, 이 외벽에서 지지 부품에 의하여 회전 및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는 하나의 U형상 록킹 레버를 둘러싼다.
플러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록킹 레버는 개방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플러그 결합 방향의 단부에서 볼 때 플러그의 단부 상에서는, 그리고 록킹 레버의 레그의 양 단부들 각각에서는 대향 플러그에 배치된 돌출 부품과 플러그가 결합한 후에 협동하는 돌출 슬롯이 자유로운 상태로 놓이게 된다. 또한, 록킹 레버가 폐쇄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볼트 형태로 형성된 돌출 부품이 록킹 레버의 회전 운동 동안 기둥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는 것과, 록킹 레버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한 후에, 플러그가, 예를 들면 플러그 상에 작용하는가속에 따라 카운터 플러그로부터 불가피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볼트형 돌출 부품은 카운터 플러그의 외벽과 수직하게 연장하는데, 이것은 돌출 부품이 실질적인 플러그 결합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됨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돌출 부품의 구조에서는, 특히 회전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플러그나 카운터 플러그의 내부에서 서로 매우 밀집된 형태로 배치된 접촉 부품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록킹 레버 혹은 이 록킹 레버에 배치된 기둥이 돌출 부품으로부터 튀어나옴으로써 안정된 플러그 결합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특히, 플러그가 카운터 플러그 내에 삽입되어 접근하기 곤란한 공간이 형성되면, 노치 형성 기둥이 접촉 부품 내에서 활주하는지 아니면 노치 형성 기둥이 접촉 부품 내에서 활주함으로써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문제시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형 돌출 부품을 카운터 플러그의 외부 하우징과 수직하게 배치하였던 종래의 방법 대신에 돌출 부품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때, 경사 방향은 플러그 결합 방향과 돌출 부품의 길이방향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적어도 90o이상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로 인하여, 돌출 부품은 카운터 플러그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고, 따라서 특히 플러그가 결합할때 록킹 레버와 돌출 부품 상에 작용하는 반력이 상승하면서 록킹 레버를 돌출 부품으로부터 튀어 오르지 않게 하고 오히려 항상 카운터 플러그의 하우징의 외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와 카운터 플러그 사이에 항상 강제 끼워 맞춤식의 결합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플러그 커넥터 상에서의 가속, 예를 들어 진동 가속에서 기능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록킹 장치를 구비한 플러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 부품들이 제공된 카운터 플러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카운터 플러그를 플러그 결합 방향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록킹 장치의 록킹 레버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플러그 장치를 도 4의 선 V-V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록킹 장치의 록킹 레버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 2: 플러그 커넥터
3: 플러그 하우징 4: 록킹 장치
5: 록킹 레버 6: 레그
7: 횡방향 부품 8: 지지 부품
9: 노치 형성 기둥 10: 카운터 플러그
11: 하우징 14: 플러그 결합 방향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 1에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커넥터(2: 도 4)는 플러그(1)와 카운터 플러그(10: 도 2)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는 플러그 하우징(3) 및 이 플러그 하우징(3)에 배치된 록킹 장치(4)를 포함한다.
록킹 장치(4)는 두 개의 레그(6: 도 1에서는 단지 하나만을 도시함)와 양 레그와 결합된 횡방향 부품(7)으로 구성된 록킹 레버(5)를 둘러싼다. 횡방향 부품(7)은 지지 부품(8)에 지지된 록킹 레버(5)를 폐쇄 위치(S: 도 1과 도 6)로부터 개방 위치(O: 도 4)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작동 아암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록킹 레버(5)는 노치 형성 기둥(9)을 가지며, 이 노치 형성 기둥(9)은 한쪽 단부가 개방된 추가의 구멍(17)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카운터 플러그(10)에는 외벽에 돌출 부품(13)들이 배치된 하우징(11)이 제공된다.
상기 돌출 부품(13)들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이 돌출 부품(13)들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외벽과 수직하게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외벽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때 경사 방향은 플러그 결합 방향(14)에 따른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결합 방향(14)과 돌출 부품(13)의 길이방향 연장부(종축(16)) 사이의 각도(15)는 90o이상이다. 상기 각도는 95o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돌출 부품(13)은 플러그 결합 방향을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형태에 비하여 5o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플러그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록킹 레버(5)는 개방 위치 O(도 4)에서 설치되며, 이때 록킹 레버(5)의 구멍(17)은 카운터 플러그(10)의 돌출 부품(13)이 플러그 결합 방향(14)으로 삽입된 후에 록킹 레버(5)의 노치 형성 구멍(9)과 협동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된다.
플러그 커넥터(2)를 기능적으로 안정되게, 그리고 강제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록킹 레버(5)가 곡선 화살표(18: 도 4)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위치 S에 도달한다.
도 6에 도시한 폐쇄 위치 S에 정확하게 도달한 후에, 록킹 레버(5)의 양 레그는 플러그 하우징(3)에 직접 안착되는데, 이것은 플러그(1)와 카운터 플러그(10) 사이에 작용하는 반력과 돌출 부품(13)의 기울림(플러그 결합 방향(14)과 돌출 부품(13)의 길이방향 연장부(종축: 16) 사이에 형성된 각도(15))으로 인하여 양 레그(6)들이 플러그 하우징(3)의 외벽에 직접 접촉하고 더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돌출 부품(13)에 의해서 가능한 튀어 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카운터 플러그(10)의 돌출 부품(13)의 형상에 기초하여, 특히 전기 플러그 커넥터, 예를 들면 케이블 구조의 플러그에 있어서, 록킹 레버(5)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할 때 록킹 레버(5)의 힘이 더 크게 작용할 때에도 양 부품들 사이에서 항상 기능적으로 안정된 플러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Claims (2)

  1. 플러그 하우징(3)을 갖는 플러그(1)와 이 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는 카운터 플러그(10)를 구비한 장치로서,
    상기 플러그(1)는 플러그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러그 하우징 상에 회전 및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며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록킹 레버(5)를 둘러싸는 록킹 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 플러그(10)에는 록킹 레버(5)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돌출 슬롯과 협동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형 돌출 부품들이 제공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부품(13)들은 플러그 결합 방향(14)과 돌출 부품(13)의 길이방향 연장부가 이루는 90o이상의 각도(15)로 카운터 플러그(1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결합 방향(14)과 돌출 부품(13)의 길이방향 연장부가 이루는 각도(15)는 95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20010008406U 2000-03-29 2001-03-27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02371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5650.9 2000-03-29
DE10015650A DE10015650A1 (de) 2000-03-29 2000-03-29 Elektrische Steckverbi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160Y1 true KR200237160Y1 (ko) 2001-10-10

Family

ID=763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406U KR200237160Y1 (ko) 2000-03-29 2001-03-27 전기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080632U (ko)
KR (1) KR200237160Y1 (ko)
DE (1) DE10015650A1 (ko)
FR (1) FR2807222B3 (ko)
IT (1) ITMI20010175U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07222B3 (fr) 2002-03-22
FR2807222A3 (fr) 2001-10-05
JP3080632U (ja) 2001-10-05
ITMI20010175V0 (it) 2001-03-27
DE10015650A1 (de) 2001-10-04
ITMI20010175U1 (it) 200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2222A (en) Plug connection device for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electronic units
US20150162671A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20080057191A (ko)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KR101174552B1 (ko) 에어백 커넥터
JPH08250216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50061582A (ko) 편평형 유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4782243A (en) Pulse generator
JP4387023B2 (ja) 電気的開閉装置とケーブル式連動装置とを備えた設備
JPH01286270A (ja) 導体接続装置
US6459354B2 (en) Breaker apparatus
EP0660451B1 (en) Connector
KR200237160Y1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US578554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actuating slide
US6544053B2 (en) Plug connector arrangement
KR19980032404A (ko) 스위치 접속 구조
JPH08306265A (ja) ブレーカスイッチ
FI106821B (fi) Sähkökytkin
KR100337115B1 (ko) 서랍식개폐기기및그의잠금장치
JPH09306270A (ja) 電気スイッチ
WO201720750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lider
EP1050087B1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an actuating slide
CN116057781A (zh) 接线端子
EP0986136B1 (en) Safety connection device, particularly for modular electrical devices
JP2006297968A (ja) 駐輪機用ロック装置
CN115917882A (zh) 接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