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552B1 - 에어백 커넥터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552B1
KR101174552B1 KR1020107005479A KR20107005479A KR101174552B1 KR 101174552 B1 KR101174552 B1 KR 101174552B1 KR 1020107005479 A KR1020107005479 A KR 1020107005479A KR 20107005479 A KR20107005479 A KR 20107005479A KR 101174552 B1 KR101174552 B1 KR 10117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socket connector
cpa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658A (ko
Inventor
밀로스 핀도락
마렉 시에자렉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ir Bag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소켓 커넥터(1)와, 상기 소켓 커넥터의 단락 요소(13)의 단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6) 및 장착 이전 위치에 있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소켓 커넥터에 걸어 체결하고 상기 커넥터들(1,2)이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로킹하기 위한 CPA 부재(7)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2)를 포함하는 에어백 전기 커넥터 조립체이다. 상기 CPA 부재(7)는 한 쌍의 로킹 레그(70)와 스프링 암(73)을 포함한다. 로킹 레그는 래치암(22)과 플러그 돌출부(21) 사이의 인터스페이스(24)를 통하여 로킹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CPA 부재(7)의 각각의 스프링 암(73)의 자유단은 상기 커넥터(1,2)들의 장착 이전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의 멈춤 벽 수단에 지지되는 지지면(74a) 및 상기 스프링 암(73)을 편향하여 상기 멈춤 벽 수단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상기 소켓 커넥터의 내측 인서트 벽(17)과 협동 작용 작용하고 상기 멈춤 벽 수단 뒤에서 걸려 체결되기 위한 상기 러그(74)의 제1 경사면(74c) 및 제2 경사면(74b)을 가진 단일 러그(74)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커넥터 {AIRBAG CONNECTOR}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위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은 에어백 측에 콘센트 또는 소켓 커넥터를 그리고 제어 유닛 측에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을 사용한다. 상기 커넥터들은 전기적 안전(에어백 측의 전기 단자 단락)과 기계적 안전(체결된 커넥터들 사이의 견고한 연결)에 관련된 안전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체결되어야 한다.
에어백용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0 591 948 B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단락 인서트를 가진 소켓 커넥터와, 커넥터들이 체결되었을 때 단락 구성요소를 비 단락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전 래치 구성요소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 래치 구성요소는 체결된 전기 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로킹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안전 상호체결을 구비한 전기적 연결 시스템에 관한 또 다른 개발이 있다. 미국 특허 제6,364,683 B1호는 테이퍼진 면을 가진 리브를 구비한 유전체 하우징과,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빔을 갖고 임시 위치에 로킹 장치를 고정하는 리브(rib)를 체결하기 위하여 유전체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한다. 다른 문서에서, 상기 로킹 장치는 또한 "2차 로킹 장치" 또는 "CPA 부재"(Connector Position Assurance)로 불린다. 상기 소켓 커넥터는 빔이 리브의 멈춤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빔의 테이퍼진 면과 협동 작용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이로써 로킹 장치가 완전히 로킹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로킹 장치는 완전히 로킹된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걸려 체결되는 래치암(latch arm)과, 하우징의 보스에 의해 소켓 커넥터 하우징의 래치 홈으로 들어가도록 구부러지는 로킹암(locking arm)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로킹암은 커넥터가 결합될 때 응력을 받는 상태인데, 이 상태는 특정 응용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포지티브 로크(positive lock)를 가진 단락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유럽 특허 제1 160 934 B1호에 개시되어 있고,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장치와, 커넥터가 완전히 체결되어 있을 때 소켓 커넥터의 단락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 장치로부터 분리 및 독립된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상기 로킹 장치는 로킹 이전의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래치암의 지지면에 위치하는 후크 모양의 단부를 가진 로킹 암을 포함하고, 커넥터가 완전히 체결될 때 로킹암은 구부러져서 지지면을 넘고 소켓 커넥터의 리세스로 스냅 결합한다. 상기 작동 장치는 긴 핑거 및 이에 평행하고 짧은 래치를 구비한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로킹 이전 위치의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에 의해 형성된 채널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력은 특정한 응용예, 특히 50N보다 또는 심지어 80N보다 큰 고정력이 요구되는 응용예에서는 충분히 크지 않다.
또 다른 알려진 전기 커넥터 조립체(미국 특허 제6,402,540 B1호)에서, 소켓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평행으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견부를 가진 리세스를 가지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슬리브이며 소켓 커넥터의 접촉 핀을 지지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가이드 견부를 가진 암을 둘러싸는 T 형상의 슬롯을 형성하는 L 형상의 암을 가진다. 두 개의 설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돌출부와 평행하게 뻗어있고 커플링부의 적절한 리세스에서 걸려 체결되는 노우즈(nose)를 가진다. 2차 로킹 메카니즘은 커넥터 조립체의 장착 이전의 위치에서 가로 버팀대에 지지되는 단부면을 가진 한 쌍의 레그를 포함한다. 체결 과정 중, 상기 가로 버팀대는 가로 버팀대가 아래 방향으로 가압 되도록 가이드 견부에 의해 2차 로킹 장치의 경로 밖으로 밀려진다.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조립체의 장착 이전 상태에서 2차 로킹 장치의 안정된 고정이 불가능하도록 심지어 체결 과정이 시작될 때에도 가로 버팀대를 밀어내는 베벨 면을 가진 특별한 소켓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2차 로킹 장치를 가진 또 다른 플러그 커넥터가 미국 특허 제6,530,799 B2에 개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돌출부의 단부에 고정되고 위로 뻗어 있으며 로킹암과 플러그 돌출부 사이의 슬롯을 형성하는 로킹암을 가진 플러그 돌출부를 가진다. 2차 로킹 장치는 몇 개의 레그를 갖는데, 그 중에는 로킹 레그, 단락 해제 레그 및 계단부와 돌출부를 가진 스프링 암이 있다. 장착 이전의 위치에서, 스프링 암의 계단부는 로킹암으로부터 돌출되는 웨지형 정상부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로킹 돌출부에 위치한다.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으로 삽입되는 동안, 스프링 암은 상기 계단부에 대항하여 작동하는 로킹 돌출부에 의해 편향되어 스프링 암이 구부러지고, 이로써 상기 계단부는 로킹 돌출부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이것은 2차 로킹 장치를 더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스프링 암의 돌출부가 소켓 커넥터 안에서 슬라이드하고 스프링 암이 구부러져서 커넥터들의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안전 부재의 구부러진 상태는 특정 응용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다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미국 특허 제7,108,540 B2 및 독일 특허 제10 2004 034321 B3호에 개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2차 로킹 장치가 조립 이전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목적을 위한 멈춤 레그를 가진 2차 로킹 장치를 위한 스프링 멈춤 장치를 포함한다. 커넥터들을 체결하기 위하여, 2차 로킹 장치는 스프링 멈춤 장치의 스프링 저항에 맞서 소켓의 벽 영역의 슬라이딩 가이딩 작용을 통해 차단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스프링 멈춤 장치를 회전하기 위하여 아래로 가압된다. 2차 로킹 장치는 소켓 커넥터의 단락 구성요소의 단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딩 레그를 일체로 가진다. 단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2차 로킹 장치를 액추에이터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제거하는 자동차 에어백 구속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된 CPA 부재와 액추에이터가 상기 체결된 소켓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로킹된 위치로 될 때까지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소켓 커넥터의 단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CPA 부재와 액추에이터를 가진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PA 부재와 액추에이터가 커넥터 조립체의 장착 이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자동차용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에는, 50N 또는 심지어 80N 이상의 고정력을 갖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래치 또는 로킹 부재 중 어느 것이라도 본질적으로 이완 상태가 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에 나타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소정의 구성의 소켓 커넥터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소켓 커넥터는 래치 홈 및 인서트 벽과 함께 형성된 콘센트 중공을 가진 소켓 하우징을 포함한다. 단자 수단은 소켓 하우징에 수용되고, 그 중 일부는 단락 요소이다. 플러그 커넥터는 본체부, 원통형 플러그 돌출부, 본체로부터 플러그 돌출부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래치암과 함께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소켓 커넥터의 단락 요소의 단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와,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 안에 로킹하기 위한 CPA 부재를 더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은 액추에이터와 CPA 부재뿐만 아니라 플러그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딩 면을 부분적으로 구비한 통로 및 격실을 가진다. 플러그 하우징 및 CPA 부재는 CPA 부재를 소정의 래치 힘(에어백 시스템용으로 50N 또는 심지어 80N 보다 큼)으로 장착 이전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CPA 부재는 커넥터들이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플러그 하우징의 래치암과 소켓 하우징의 인서트 벽 사이의 각각의 간격을 채우는 로킹 레그를 가져서, 소켓 하우징의 홈에 걸려 체결된 래치암이 로킹된다. 또한 CPA 부재는 장착 이전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CPA 부재가 완전히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될 때 플러그 하우징에 형성된 래치 개구에 스냅 결합되도록 벌어지는 스프링암을 가진다. 완전히 삽입된 상기 상태에서, 스프링 암은 본질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응력이 없다.
상기 스프링 암의 특별한 특징은 러그로 형성된 자유단의 형상이다. 상기 러그는(상기 소켓 커넥터의 방향에서 볼 때) 평평하고 가장 낮은 면과, 수평면 및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경사면 또는 기울어진 면을 가진다. 플러그 하우징의 래치 개구 안에 걸려 체결된 상기 러그의 가장 낮은 면은 CPA 부재의 장착 이전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에 형성된 멈춤면 위에 위치한다. CPA 부재를 가압하는 동안, 러그의 하부 경사면은 소켓 커넥터의 인서트 벽과 맞물리게 되며, 상기 래치 개구에서 빠져나오고, 커넥터가 완전히 체결된 위치에 부합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부 래치 개구에 스냅 결합한다. 상기 하부 래치 개구는 또한 스프링 암의 러그의 상부 경사면과 협동 작용하는 경사면과 함께 형성된다. 따라서, CPA 부재를 당길 때, 플러그 하우징의 래치암과 소켓 커넥터의 인서트 벽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CPA 부재의 로킹 레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CPA 부재가 위로(소켓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 암의 러그는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 래치 개구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로써 소켓 커넥터의 홈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래치암의 걸려 체결된 상태를 해제하는 것과 소켓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그 하우징 및 CPA 부재는 CPA 부재를 소정의 래치 힘(에어백 시스템용으로 50N 또는 심지어 80N 보다 큼)으로 장착 이전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CPA 부재는 커넥터들이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플러그 하우징의 래치암과 소켓 하우징의 인서트 벽 사이의 각각의 간격을 채우는 로킹 레그를 가져서, 소켓 하우징의 홈에 걸려 체결된 래치암이 로킹된다. 또한 CPA 부재는 장착 이전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CPA 부재가 완전히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될 때 플러그 하우징에 형성된 래치 개구에 스냅 결합되도록 벌어지는 스프링암을 가진다. 완전히 삽입된 상기 상태에서, 스프링 암은 본질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응력이 없다.
플러그 커넥터의 디자인으로 인해 CPA 부재와 액추에이터를 한번 이상 로킹하고 로킹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액추에이터는 상부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삽입하고 CPA 부재를 누름으로써,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고 로킹되어 있는 반면, 핀은 여전히 단락되어 있다(도 9b에 도시됨). 따라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디자인으로 인해 장착 다음 단계에서 단락을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플러그 커넥터의 몇 개의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하우징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CPA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의 선(VII-VII)에 따른 체결 중인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2의 선(VIII-VIII)에 따른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2의 선(IX-IX)에 따른 단면도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소켓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2)의 주요 구성품, 즉 하우징(3), 덮개(4), 단자 조립체(5), 액추에이터(6) 및 커넥터 위치 보장 구성요소 또는 CPA 부재(7)를 도시한다. 상기 구성품은 작은데, 즉 하우징(3)의 길이는 약 20mm이고 래치 형상부의 길이는 약 1mm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3)은 본체부(20), 원통형 플러그 돌출부(21) 및 래치암(22;latch arm)에 형성된 러그(29)를 구비한 래치암(22)을 가진다. 상기 플러그 돌출부(21)는 중공(23)과 각각의 래치암(22)에 인접하여 인터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각각의 리세스(24)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23) 내에서, 또한 단자 접촉부(51,52)를 고정하기 위한 벽 구성(25)(도 2 참조)이 제공된다. 상기 벽 구성(25)은 본체부(20)와 함께 상부 래치 개구(27)를, 플러그 돌출부(21)의 벽과 함께 하부 래치 개구(28)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 리브(26)(도 8a 및 도 9a 참조)를 포함한다("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콘센트 또는 소켓 커넥터(1)의 정상 위치와 관계되며 결코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더욱이, 각각의 가로 리브(26)는 가로 리브에 인접한 공간을 외축(23a) 및 내축(23b)으로 나눈다(도 8d 참조).
도 4는 플러그 하우징(3)의 상측을 본 모습을 도시하며, 좌실(30a) 및 우실(30b)을 도시한다. 상기 단자 조립체(5)는 상기 단자(51,52) 및 각각의 페라이트 요소(53)로 둘러싸인 각각의 컨덕터(50)를 포함하고, 격실(30a,30b)에 장착된다. 상기 단자(51,52)는 하우징 벽(25)의 개구(31)를 통해 뻗어있다. 컨덕터(50)는 스트레인 완화 리세스(33)를 통해 뻗어있다. 스티칭(stitching) 개구(34)는 단자(52)의 고정 단부(54)를 수납하기 위해 제공된다. 덮개(4)는 컨덕터(50)를 고정하고 덮개(4)의 상부면(40)에 고정된 판 스프링(41)에 의해 페라이트(53)를 위에서 고정하도록 하우징(3)의 노우즈(32;nose)에 걸려 체결된다.
우실(30b)은 액추에이터(6) 및 CPA 부재(7)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6) 및 CPA 부재(7)의 하부 단부를 위하여, 몇 개의 통로, 즉 슬롯형 통로(36), 한 쌍의 아치형의 통로(37), 한 쌍의 좁은 통로(38), 그리고 우실(30b) 뿐만 아니라 상부 단부의 한 쌍의 노우즈(39a)와 통로(39)의 하부 단부 근처의 노우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좁아지는 슬롯형 통로(39)가 제공된다. 각각의 통로(37)는 CPA 부재(7)의 각각의 로킹 레그(70)를 위한 직선 가이딩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리세스(24)(도 7b 참조)로 통한다.
상기 액추에이터(6)(도 3 참조)는 CPA 부재(7)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61)와 상부 기저 플레이트(60)를 가진다. 가이딩 벽(62), 한 쌍의 래치암(64) 및 가이딩 레그(65)가 상기 기저 플레이트(60)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가이딩 벽(62)은 플러그 하우징의 통로(39)에서 뻗어있는 노우즈(도시되지 않음)와 래치 결합을 하기 위한 경사진 견부(62a)(도 1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진다. 이를 대체하여 또는 추가로, 래치(62b)(도 3 참조)는 통로(39) 안에서 가이딩 벽(62)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래치암(64)은 그 단부에 후크를 구비한다. 가이딩 레그(65)는 래치 노우즈(65a)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6)는 우실(30b)과 통로(39)를 덮기 위해 플러그 하우징(3)에 장착된다. 그 과정에서, 벽(62)은 통로(39)에서 가이드 되고 가이딩 레그(65)는 통로(36)를 통과한다.
CPA 부재(7)(도 6 참조)는 액추에이터(6)의 래치암(64)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72)를 가진 플레이트(71)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로킹 레그(70)를 가진다. 래치암(64)의 후크는 플레이트(71)를 지지하고 따라서 액추에이터(6)의 개구(61)에 가로 놓인 CPA 부재(7)를 고정한다. 더욱이, CPA 부재(7)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암(73)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71)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71)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 암(73)을 가진다. 각각의 스프링 암(73)은 하부 단부에 형성된 러그(74)를 구비한 하부 단부를 가진다. 각각의 러그(74)는 상부의 제2 경사면(74b)과 하부의 제1 경사면(74c)뿐만 아니라 최하부의 지지면(74a)을 가진다. 제1 및 제2 경사면(74b,74c)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고 서로에 대하여 60°와 90° 사이의 범위에서 예각을 취한다. 플러그 돌출부(21)의 중공(23)의 가로 리브(26)(도 8a 참조)는 본질적으로 수평인 상부면(26a)(도 8e 참조)과 스프링 암(73)의 제2 경사면(74b)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하부 경사면(26b)(도 8b 참조)으로 장사방형 윤곽을 가진다. 가로 리브(26)는 멈춤 벽을 형성하고, 즉 가로 리브(26)의 상부면(26a)은 스프링 암(73)의 지지면(74a)을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도 7, 도 8 및 도 9에 직경 방향으로 표현된 콘센트 커넥터(1)는 외측의 소켓 커넥터 하우징(10) 및 내측 인서트에 배열된 단자(12)를 구비한 내측 인서트(11)를 가진다. 단락 요소(13)는 보통 핀들 사이를 단락하기 위해 단자(12)의 핀들을 연결하고(도 9a 참조), 액추에이터(6)의 레그(65)의 작동으로 단락을 해제하도록 들어 올려질 수 있다(도 9c 참조).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은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특히 플러그 커넥터의 래치암 러그(29)를 위한 인입부(14a)를 구비한 원형 공동(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동(14)은 래치암(22)의 러그(29)를 래치 형태로 수용하는 반경 방향의 홈(15)을 가진다. 상기 인서트(11)는 외측 인서트 벽(16)을 가지고, 그 외측 면은 플러그 돌출부(21)의 외측 벽의 내측 면을 위한 가이딩 면을 형성한다(도 7b 참조). 또한 상기 인서트(11)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3)의 웹(25a)을 가이드하고 CPA 부재(7)의 러그(74)와 협동 작용하기 위한 슬롯(14b)을 구비한 내측 인서트 벽(17)을 가진다(도 8a 내지 도 8e 참조).
소켓 커넥터(1)에 플러그 커넥터(2)를 체결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플러그 커넥터(2)는 도 7a,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3)의 적절한 통로(36,39) 및 통로(37,38)에 삽입되는 액추에이터(6) 및 CPA 부재(7)와 조립된다. 플러그 돌출부(21)의 하부 테두리부는 래치암(22)의 러그(29)가 소켓 커넥터(1)의 인입부(14a)에 이르고, 단자(51,52)가 단자(12)에 이르도록 소켓 커넥터(1)의 원형 공동(14)에 삽입된다(도 7b 및 도 8a 참조). 더욱이 플러그 커넥터를 누름으로써 러그(29)가 소켓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 인서트 벽(16)과 인입부(14a)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래치암(22)을 구부러지게 한다(도 7c 및 도 8b 참조). 이 상태에서, CPA 부재(7)의 로킹 레그(70)는 플러그 커넥터(2)로 더 들어가지 않도록 막히며 CPA 부재(7)의 러그(74)는 지지면(74a)이 가로 리브(26)의 상부 면(26a)에 놓이도록 가로 리브(26)까지 이르고, 제1 경사면(74c)은 소켓 커넥터(1)의 내측 인서트 벽(17)에 접촉한다(도 8b 참조). 더욱이, CPA 부재(7)의 러그(74)는 각각의 개구(27)에 걸려 체결된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2)가 소켓 커넥터(1) 안으로 장착되기 이전의 위치이다(도 7c, 도 8b 및 도 9a 참조). 상기 장착 이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CPA 부재(7) 및 액추에이터(6)가 있다.
완전히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해서, 플러그 커넥터(2)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눌려지며, 래치암(22)의 러그(29)는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의 홈(15)으로 스냅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통로(37)와 리세스(24) 사이의 로킹 레그(70)를 위한 가이딩 채널은 방해받지 않는다. 동시에, CPA 부재(7)의 스프링 암(73)은 제1 경사면(74c)으로의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의 내측 인서트 벽(17)의 캠 현상에 의해 벌어지고, 이는 도 8b 및 도 8c를 비교하여 참조한다. 러그(74)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7)의 그 상부 안정 위치에서 벗어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를 더 누름으로써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CPA 부재(7)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3)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이어진다. 스프링 암(73)의 벌어짐은 도 8c 및 도 8d와 비교하여 참조할 때 보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암(73)의 제1 경사면(74c)으로 이루어지는 가로 리브(26)의 캠 현상에 의해 계속된다. 결국 러그(74)는 도 8e 및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안정 위치(28)에 이른다. 이 위치에서, 액추에이터(6)의 러그(65a)는 플러그 하우징(3)의 적절한 리세스(도시되지 않음) 뒤로 걸려 체결하고, 액추에이터 레그(65)는 소켓 커넥터의 단자(12)와 연결 접촉이 되지 않게 단락 요소(13)를 움직인다. 동시에, CPA 부재(7)의 각각의 레그(70)는 통로(37)의 외측 인서트 벽(16)의 외측 면과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에서 인터스페이스를 형성하는 리세스(24)를 따라 슬라이드하고, 도 7d 및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래치 암(22)을 걸려 체결된 위치로 로킹하기 위하여 각각의 러그(29) 뒤의 간격으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CPA 부재를 들지 않고서는 제거할 수 없다.
소켓 커넥터(1)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를 분리하는 것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래치암(22)을 로킹 해제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6)와 CPA 부재(7)를 도 7d에 도시된 위치로 당김으로써 발생한다. 이로써 도 7c, 도 7b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2)의 디자인으로 인해 CPA 부재(7)와 액추에이터(6)를 한번 이상 로킹하고 로킹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액추에이터(6)는 상부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3)을 삽입하고 CPA 부재(7)를 누름으로써, 커넥터(1,2)는 서로 체결되고 로킹되어 있는 반면, 단자(12)는 여전히 단락되어 있다(도 9b에 도시됨). 따라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의 디자인으로 인해 장착 다음 단계에서 단락을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소켓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이며,
    상기 소켓 커넥터(1)는 외측 인서트 벽(16), 내측 인서트 벽(17) 및 래치 홈(15)을 가진 콘센트 공동(14)과 단락 요소(13)로 연결된 단자(12)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을 갖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는 격실(30a,30b)과 통로(36,37,38,39)를 형성하는 본체부(20), 내부에 멈춤 벽 수단과 중공(23)을 구비한 원통형 플러그 돌출부(21) 및 소켓 커넥터(1)의 래치 홈(15)과 협동 작용하는 러그(29)를 구비한 래치암(22)을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3), 상기 소켓 커넥터의 단락 요소(13)의 단락 상태를 해제하는 액추에이터(6) 및 상기 소켓 커넥터 내의 장착 이전 위치의 플러그 커넥터를 걸려 체결하도록 하고 상기 커넥터(1,2)가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플러그 커넥터를 로킹하는 CPA 부재(7)를 갖고,
    상기 CPA 부재(7)는 장착 이전 위치의 플러그 커넥터를 걸어 체결하기 위해 한 쌍의 로킹 레그(70)와 그 단부에 러그(74)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암(73)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1)로부터 분리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2)의 래치암(22)은 상기 래치암(22)과 상기 플러그 돌출부(21) 사이에서 상기 소켓 커넥터(1) 측으로 열려있고 또한 본체부 통로(37)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격실(30b) 측으로 열려 있는 각각의 인터스페이스(24)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20)로부터 상기 플러그 돌출부(21)에 평행하여 뻗어있고,
    상기 인터스페이스(24)는 소켓 커넥터(1)의 외측 인서트 벽(16)을 수용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상기 커넥터들(1,2)이 체결될 때 래치암(22)이 휘도록 하고, 체결 후에는 본체부 통로(37)와 함께 CPA 부재(7)의 로킹 레그(70)를 삽입하기 위한 직선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로킹 레그(70)는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 하우징(3)의 래치암(22)을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에 로킹되도록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의 외측 인서트 벽(16)과 상기 래치암(22)에 지지되고,
    상기 CPA 부재(7)의 스프링 암(73)의 자유단은 상기 커넥터(1,2)의 장착 이전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의 멈춤 벽 수단에 지지되는 지지면(74a)을 가진 러그(74)로 형성되고, 상기 러그(74)의 제1 경사면(74c) 및 제2 경사면(74b)은 서로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어 배열되고, 상기 제1 경사면(74c)은 상기 스프링 암(73)을 휘게 하여 상기 멈춤 벽 수단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상기 소켓 커넥터(1)의 내측 인서트 벽(17)과 협동 작용하고, 상기 제2 경사면(74b)은 상기 멈춤 벽 수단 뒤에서 걸려 체결되기 위해 존재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벽 수단은 상기 본체부(20)에 근접한 제1 래치 개구(27)와 상기 본체부(20)로부터 멀리 있는 제2 래치 개구(28)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플러그 돌출부(21)의 중공(23)에 배열된 가로 리브(26)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리브(26)는 상기 스프링 암(73)의 지지면(74a)과 협동 작용하는 상부면(26a) 및 상기 러그(74)의 제2 경사면(74b)과 협동 작용하는 경사면(26b)으로 형성된 장사방형 단면을 가진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벽 수단의 가로 리브(26)는, 상기 커넥터들(1,2)이 체결될 때, 원통형 플러그 돌출부(21)의 중공(23)을 각각의 스프링 암(73)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축(23a)과 상기 소켓 커넥터(1)의 내측 인서트 벽(17)을 안내하여 수용하기 위한 제2 축(23b)으로 분리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7)는 한 쌍의 스프링 암(73)을 가지고, 각각의 스프링 암(73)은 그 하단부에 서로 직면하고 있는 러그(74)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는 상기 한 쌍의 가로 리브(26)를 포함하고, 각각의 러그(74)는 가로 리브(26) 중 하나와 각각 협동 작용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1)의 한 쌍의 내측 인서트 벽(17)은 상기 커넥터들(1,2)이 체결될 때 상기 스프링암(73) 중 하나와 각각 협동 작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10)은 가이딩 슬롯(14b)을 가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3)은 가이딩 리브(25a)를 가지고, 상기 슬롯(14b)과 상기 리브(25a)는 상기 커넥터들(1,2)이 체결될 때 서로 협동 작용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7)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72)를 구비한 플레이트(71)를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6)는 CPA 부재(7)를 액추에이터에 고정하도록 CPA 부재 개구(72)와 협동 작용하기 위한 래치암 수단(64)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6)는 상부 기부 플레이트(60)의 아래에 고정되는 상기 CPA 부재(7)에 접근하기 위하여 내부에 개구(61)를 구비한 상부 기부 플레이트(60)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6) 및 CPA 부재(7)는 한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플러그 커넥터이며,
    단자 수단(5)을 수납하기 위한 격실(30a,30b)을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3),
    상기 격실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4),
    소켓 커넥터(1)의 단락 요소(13)와 협동 작용하기 위한 액추에이터(6) 및
    상기 소켓 커넥터(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장착 이전 위치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2)를 걸어 체결하고 상기 커넥터들(1,2)이 체결될 때 커넥터들(1,2)을 함께 로킹하기 위한 CPA 부재(7)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3)은 본체부(20), 상기 액추에이터(6)와 CPA 부재(7)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23)을 가지고 멈춤 벽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로 리브(26)가 뻗어있는 원통형 플러그 돌출부(21) 및 래치암(22)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치암(22)의 각각은 그 단부에 소켓 커넥터(1)와 협동 작용을 하기 위한 러그(29)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암(22)은 상기 플러그 돌출부(21)의 리세스(24)를 직면하여 상기 플러그 돌출부(21)와 평행하게 상기 본체부(20)로부터 뻗어있고, 각각의 래치암(22)과 본체부(20) 사이에는 통로(37)가 남겨지며,
    상기 CPA 부재(7)는 한 쌍의 로킹 레그(70)와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암(73)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레그(70)는 상기 래치암(22)이 상기 소켓 커넥터(1)에 걸려 고정될 때, 상기 래치암(22)의 각각의 러그(29)를 지지하고 로킹하기 위해서 각각의 래치암(22)과 본체부(20) 사이의 각각의 통로(37)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암(73)은 지지면(74a),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체결 방향으로 각도를 이루어 배열된 제1 경사면(74c) 및 제2 경사면(74b)을 가진 러그(74)로 형성된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러그(74)의 지지면(74a)은 CPA 부재(7)의 장착 이전의 위치에서 가로 리브(26) 위에 위치하고, 제1 경사면(74c)은 체결되는 동안에 상기 소켓 커넥터(1)의 내측 인서트 벽(17)과 협동 작용을 하도록 배치되고, 제2 경사면(74b)은 상기 스프링 암(73)이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 리브(26) 뒤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KR1020107005479A 2007-08-13 2008-08-12 에어백 커넥터 KR101174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15885A EP2026421B1 (en) 2007-08-13 2007-08-13 Airbag connector
EP07015885.2 2007-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658A KR20100053658A (ko) 2010-05-20
KR101174552B1 true KR101174552B1 (ko) 2012-08-16

Family

ID=3890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479A KR101174552B1 (ko) 2007-08-13 2008-08-12 에어백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026421B1 (ko)
JP (1) JP4922452B2 (ko)
KR (1) KR101174552B1 (ko)
CN (1) CN101821910B (ko)
AT (1) ATE470970T1 (ko)
BR (1) BRPI0815486A2 (ko)
DE (1) DE602007007080D1 (ko)
WO (1) WO20090232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9670A1 (de) * 2010-06-02 2011-12-08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binderbaugruppe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CN203242841U (zh) 2010-09-01 2013-10-16 莫列斯公司 插头连接器
CN103797657B (zh) * 2011-07-25 2016-04-20 矢崎总业株式会社 电连接器
EP2587593B1 (en) * 2011-10-26 2015-01-2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wire holding means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CN108110513B (zh) * 2013-09-16 2020-09-15 泰科电子法国公司 弹簧锁定连接器
JP6598734B2 (ja) * 2016-06-02 2019-10-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EP3396789B1 (en) *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CN112310691B (zh) * 2020-09-24 2023-11-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位置保证装置、连接器组件、电池和用电装置
EP3979433A1 (en) * 2020-10-01 2022-04-0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ousing assembly with a spring biased cpa
FR3122949B1 (fr) * 2021-05-14 2023-05-05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électrique comprenant un élément d’assurance de position de connecteur
CN114678720B (zh) * 2022-03-21 2023-09-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CN219163849U (zh) * 2022-11-02 2023-06-09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扣保持装置及连接器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8475A1 (en) 2003-06-06 2004-12-0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sition assure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271A (en) * 1994-10-26 1997-04-2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Connector latch interlock plate
JP3974181B2 (ja) * 1996-04-30 2007-09-12 エフシーアイ 二次ラッチおよび横ケーブル引出し口を有するコネクタ
JP3613374B2 (ja) * 1997-09-09 2005-01-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45524B2 (ja) * 1998-11-27 2006-11-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324638A (ja) * 2001-04-26 2002-11-08 Jst Mfg Co Ltd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CN2519435Y (zh) * 2001-12-03 2002-10-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DE102004034321B3 (de) 2004-07-15 2006-01-12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5001515B4 (de) * 2005-01-13 2008-01-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8475A1 (en) 2003-06-06 2004-12-0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sition assure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1910B (zh) 2013-03-20
EP2026421B1 (en) 2010-06-09
WO2009023200A3 (en) 2009-09-03
ATE470970T1 (de) 2010-06-15
CN101821910A (zh) 2010-09-01
DE602007007080D1 (de) 2010-07-22
WO2009023200A2 (en) 2009-02-19
JP2010537370A (ja) 2010-12-02
EP2026421A1 (en) 2009-02-18
KR20100053658A (ko) 2010-05-20
JP4922452B2 (ja) 2012-04-25
BRPI0815486A2 (pt)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52B1 (ko) 에어백 커넥터
KR100501561B1 (ko) 전기 터미널용 카울 커넥터
KR100946917B1 (ko) 위치 확정 장치를 구비하는 레버 결합식 커넥터 어셈블리
US6276957B1 (en) Connector
EP2311151B1 (en) Checkable plug-in connection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a plug-in connection
US5910027A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5618201A (en) Connector having engagement detecting device
KR100382174B1 (ko) 단자보유시스템을갖는전기커넥터조립체
JP5305207B2 (ja) 接続アダプタと接続端子及び接続アダプタとこれに対する接続素子とから成るセット
KR20080006014A (ko) 단자 위치 보장 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CN112534651B (zh) 具有端子位置保证装置的电连接器
CN110571567B (zh) 分阶段释放的电连接器组件
CN114122838A (zh) 具有插接连接器和配合插接连接器的连接装置
EP1801925B1 (en) A connector
EP0660451B1 (en) Connector
KR100446796B1 (ko) 커넥터
JP3494285B2 (ja) コネクタ
CN111834820A (zh) 连接器
WO2015114662A1 (en) Multi function connector positioning assurance device
KR20230000713A (ko)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CN114843814A (zh) 连接器壳体、tpa装置以及连接器
CN118281610A (zh) 一种护套、连接器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