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713A -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13A
KR20230000713A KR1020210083176A KR20210083176A KR20230000713A KR 20230000713 A KR20230000713 A KR 20230000713A KR 1020210083176 A KR1020210083176 A KR 1020210083176A KR 20210083176 A KR20210083176 A KR 20210083176A KR 20230000713 A KR20230000713 A KR 2023000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dule
cpa member
protrusio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교
정건우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713A/ko
Publication of KR2023000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관한 것으로, CPA부재가 결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구비되는 암(female)형 모듈; 및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슬라이드 체결 결합되는 수(male)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CPA부재에는 가이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male)형 모듈에는 암(female)형 모듈과 결합될 때, 상기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를 가이드하여 결합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이 슬라이드 체결 결합 시 상기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가 수(male)형 모듈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가이드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정점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는 결합 후 탄성부재에 의해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Connector Combined Module For Airbag}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위한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여러 적용 분야의 커넥터 모듈간 결합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 모듈과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 모듈 간의 안전한 커플링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예를 들면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으로서 자동 안전 규제 시스템의 경우, 에어백용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0 591 948 B1호(1994.04.13.)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단락 인서트를 가진 소켓 커넥터와, 커넥터들이 체결되었을 때 단락 구성요소를 비 단락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전 래치 구성요소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 래치 구성요소는 체결된 전기 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로킹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이를 위하여,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에는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적절하게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 커넥터 상의 로킹 위치에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CPA 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와 스퀴브 소켓의 정합된 상태를 위해 추가적인 안전보장을 제공하고, 통상적으로 상기 CPA 부재가 그의 로킹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되는지를 조작자가 가시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CPA 부재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에 의해 상기 커넥터 모듈과 상대 커넥터 모듈 간의 정확하고 안전한 정합이 보장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접점 위치의 보증을 위한 CPA 부재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유형의 CPA 부재들에 의해서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 상에 걸림 고정된 플러그 하우징이, 예컨대 진동, 온도로 인한 팽창 또는 수축, 플러그 하우징 내에 배치된 케이블에서의 끌어당김 또는 기타 기계적 작용들을 통해, 상대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 또는 결합 위치가 변경되어 에어백 시스템과 같은 일부 전장 부품에 대한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면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넥터 모듈간 결합 후 개별적으로 CPA 부재를 추가적으로 결합 체결하여야 하며, 정상 결합이 진행되지 않았을 경우 재차 사용자가 결합을 수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유럽 특허 제0 591 948 B1호(1994.04.13.)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결합 모듈간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며, 체결 시 CPA 부재가 자동적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정점 위치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 후 CPA부재의 해제 없이 결합 위치가 변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CPA부재를 힌지 잠금부를 이용하여 CPA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CPA부재가 진동이나 낙하 등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요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은, CPA부재가 결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구비되는 암(female)형 모듈; 및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슬라이드 체결 결합되는 수(male)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CPA부재에는 가이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male)형 모듈에는 암(female)형 모듈과 결합될 때, 상기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를 가이드하여 결합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이 슬라이드 체결 결합 시 상기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가 수(male)형 모듈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결합 방향에 따라 가이드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정점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는 결합 후 탄성부재에 의해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는,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결합 시 결합 방향에 따라 정점위치로 가이드 되도록 경사진면을 형성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단에 연결 형성되며, 정점위치로 가이드 된 후 결합 방향에 따라 완전 체결 위치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의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완전 체결 위치에 위치하면 결합돌기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male)형 모듈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1 경사면을 가이드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경사면과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고정면에 맞닿아 걸림 고정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 결합 시, 상기 CPA부재의 고정면에 상기 수(male)형 모듈의 결합돌기의 결합면이 맞닿아 걸림 고정되어 분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 분리 시,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2 경사면 상에 결합돌기가 위치하는 경우, 탄성부재에 의해 CPA부재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고정면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므로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1 경사면 상에 이동되도록 CPA부재 해제되도록 정점위치로 이동하여, CPA부재 해제 시에만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 결합 시,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1 경사면 상에서 CPA부재가 정점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은 채 결합이 종료되면, 탄성부재에 의해 CPA부재가 체결위치로 복원되며, 제1 경사면에 의해 결합되는 반대 방향으로 결합돌기가 이동되도록 하여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이 분리되어 정상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PA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관통 구비되며; 상기 암(female)형 모듈에는 상기 CPA부재의 결합공의 상면을 노출하거나 덮을 수 있도록 힌지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힌지 잠금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CPA부재의 해제를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에도 CPA부재가 완전 체결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합 모듈간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며, 체결 시 CPA 부재가 자동적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정점 위치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 후 CPA부재의 해제 없이 결합 위치가 변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CPA부재를 힌지 잠금부를 이용하여 CPA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CPA부재가 진동이나 낙하 등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요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수(male)형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결합 시 CPA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A부재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의 결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잠금부를 이용한 CPA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수(male)형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결합 시 CPA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A부재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의 결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잠금부를 이용한 CPA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은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및 CPA부재(Connector Position Assurance, 300)를 포함한다.
암(female)형 모듈(100)에 CPA부재(300)가 장착 구비되며, 수(male)형 모듈(200)이 결합되어 내부에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결합시켰을 때에 정상 결합 상태를 CPA부재(300)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암(female)형 모듈(100)은 CPA부재(300)가 결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35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수(male)형 모듈(200)은 암(female)형 모듈(100)과 슬라이드 체결 결합되며, CPA부재(300)에는 가이드 고정돌기(320)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수(male)형 모듈(200)에는 암(female)형 모듈(100)과 결합될 때, CPA 부재(300)의 가이드 고정돌기(320)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320)를 가이드하여 결합 고정되는 결합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암(female)형 모듈(100)에 삽입되는 수(male)형 모듈(200)의 상면에 가이드 고정돌기(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CPA부재(300)의 하면에 결합돌기(210)가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210)가 가이드 고정돌기(320)를 가이드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이 슬라이드 체결 결합 시, CPA부재(300)의 가이드 고정돌기(320)가 수(male)형 모듈에 형성된 결합돌기(210)에 의해 결합 방향에 따라 가이드되어 탄성부재(350)에 의해 정점 위치로 이동하며, 가이드 고정돌기(320)가 구비된 CPA부재(300)는 결합 후 탄성부재(350)에 의해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된다.
또한, CPA부재(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311)이 관통 구비되며, 암(female)형 모듈에 CPA부재(300)의 결합공(311)의 상면을 노출하거나 덮을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힌지 잠금부(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 잠금부(110)에 형성된 결합부(111)가 결합공(311)에 삽입되어 CPA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에 힌지 잠금부(110)를 이용하여 CPA부재(30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CPA부재(300)가 외부 요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male)형 모듈(200) 내부에는 암(female)형 모듈(100)과 결합 시 암(female)형 모듈의 접점부(155)과 접촉되는 접촉부(250)와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단자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암(female)형 모듈(100) 내부에는 접촉부(250)가 접촉되는 접점부(155)가 구비되며, 단자부(26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암(female)형 모듈(100) 내부에 장착되어 구비된 CPA부재(300)와 탄성부재(35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내부와 연통한 창부(10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6(a)는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6(b)는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시 CPA부재(300)가 정점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6(c)는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시 CPA부재(300)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7(a)는 정점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CPA부재(300)의 평면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7(b)는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CPA부재(300)의 저면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대한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의 결합 공정을 나타낸다.
CPA부재(300)의 가이드 고정돌기(320)는 결합돌기(210)에 의해 결합 시 결합 방향에 따라 정점위치로 가이드 되도록 경사진면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321)과 제1 경사면의 일단에 연결 형성되며, 정점위치로 가이드 된 후 결합 방향에 따라 완전 체결 위치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323)과 제2 경사면(323)의 일단에 연결 형성되며, CPA부재(300)가 완전 체결 위치에 위치하면 결합돌기(210)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면(322)을 포함한다.
또한, 수(male)형 모듈(200)에 형성된 결합돌기(210)는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제1 경사면(321)을 가이드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경사면(321)과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211)과,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고정면(322)에 맞닿아 걸림 고정되는 결합면(212)을 포함한다.
또한, CPA부재(300)는 사용자가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을 분리하려고 CPA부재(300)를 정점위치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누름부(301)를 구비하며, 누름부(301)에는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CPA부재(300)는 정점위치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정점위치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돌기(302)를 구비하며, 걸림돌기(302)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부(303)에 의해 완전 체결 위치로 탄성부재(350)에 의해 이동시 암(female)형 모듈의 지지되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CPA부재(300)에는 탄성부재 수용부(305)가 구비되어 내부에 탄성부재가 수용되며, CPA부재(300)가 정점위치로 이동하면 탄성부재(350)가 최대 장력으로 탄성부재 수용부(305)내부에 위치하여 정점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부재(350)의 일부가 탄성부재 수용부(305) 외부로 돌출되어 CPA부재(300)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CPA부재(300)에는 걸림돌기(302)가 형성된 양측에는 이동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홀(304)이 구비되어 반복되는 이동에 따른 CPA부재(300)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CPA부재(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311)이 관통 형성되며, 힌지 잠금부(110)에 형성된 결합부(11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CPA부재(300)의 하면에 결합공(311)이 형성된 위치에 단턱부(312)가 형성되어 결합부(111)가 결합 후 단턱부(312)에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CPA부재(330)를 힌지 잠금부(11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여 CPA부재(300)가 충격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시 결합 방향(C)에 따른 결합돌기(210)의 위치와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며, 도 8(a) 내지 도 8(c) 순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수(male)형 모듈(100)에 형성된 결합돌기(210)는 가이드 고정돌기(210)의 제1 경사면(321)을 가이드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경사면(321)과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211)과,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고정면(322)에 맞닿아 걸림 고정되는 결합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시,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제1 경사면(321)을 수(male)형 모듈(200)의 결합돌기(210)의 가이드면(211)이 가이드하여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며, 결합돌기(210)가 결합 방향에 따라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 고정돌기(320)에 의해 CPA부재(300)가 정점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시,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제1 경사면(321) 상에서 CPA부재(300)가 정점위치까지 이동되면,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제2 경사면(323)으로 결합돌기(210)가 이동되며, 제2 경사면(323)을 따라 이동되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면(322)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350)에 의해 CPA부재(300)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고정면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시, CPA부재(300)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고정면(322)에 수(male)형 모듈(200)의 결합돌기(210)의 결합면(212)이 맞닿아 걸림 고정되어 분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시,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제1 경사면(321) 상에서 CPA부재(300)가 정점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은 채 결합이 종료되면, 탄성부재(350)에 의해 CPA부재(300)가 완전 체결위치로 복원되며, 제1 경사면(321)에 의해 결합되는 반대 방향으로 결합돌기(210)가 이동되도록 하여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이 분리되어 정상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분리 시,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제2 경사면(323) 상에 결합돌기(210)가 위치하는 경우, 탄성부재(350)에 의해 CPA부재(300)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결합돌기(210)가 고정면(322)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므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돌기(210)가 가이드 고정돌기(320)의 제1 경사면(321) 상에 이동되도록 CPA부재(300)가 해제되도록 정점위치로 이동하여, CPA부재(300) 해제 시에만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a)는 힌지 잠금부(110) 체결 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b)는 힌지 잠금부(110) 체결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암(female)형 모듈(100)과 수(male)형 모듈(200) 결합 후 CPA부재(3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3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암(female)형 모듈(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힌지 잠금부(110)를 통해 힌지 잠금부(110)의 결합부(111)가 결합공(311)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CPA 부재가 완전 체결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 잠금부(110)에는 탄성홀(115)을 구비하여, 반복되는 체결 및 해제 동작에도 힌지 잠금부(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공(311)에 결합부(111)가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힌지 잠금부(110)를 해제 전까지 CPA부재(300)가 완전 체결 위치로 고정되며, 힌지 잠금부(110)를 해제 후 누름부(301)를 통해 CPA부재를 해제해야만 CPA부재(300)가 정점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CPA부재(300)가 외부 요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모듈간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며, 체결 시 CPA 부재가 자동적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정점 위치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 후 CPA부재의 해제 없이 결합 위치가 변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CPA부재를 힌지 잠금부을 이용하여 CPA 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CPA부재가 외부 요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설명 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암(female)형 모듈 105: 제1 개구
106: 제2 개구 107: 창부
110: 힌지 잠금부 111: 결합부
115: 탄성홀 155: 접점부
165: 안내부 200: 수(male)형 모듈
210: 결합돌기 211: 가이드면
212: 결합면 220: 개구
250: 접촉부 260: 단자부
300: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부재
301: 누름부 302: 걸림돌기
303: 걸림부 304: 탄성홀
305: 탄성부재 수용부 311: 결합공
312: 단턱부 320: 가이드 고정돌기
321: 제1 경사면 322: 고정면
323: 제2 경사면 350: 탄성부재

Claims (7)

  1. CPA부재가 결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구비되는 암(female)형 모듈; 및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슬라이드 체결 결합되는 수(male)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CPA부재에는 가이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male)형 모듈에는 암(female)형 모듈과 결합될 때, 상기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를 가이드하여 결합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이 슬라이드 체결 결합 시 상기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가 수(male)형 모듈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결합 방향에 따라 가이드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정점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는 결합 후 탄성부재에 의해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의 가이드 고정돌기는,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결합 시 결합 방향에 따라 정점위치로 가이드 되도록 경사진면을 형성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단에 연결 형성되며, 정점위치로 가이드 된 후 결합 방향에 따라 완전 체결 위치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의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완전 체결 위치에 위치하면 결합돌기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male)형 모듈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1 경사면을가이드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경사면과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고정면에 맞닿아 걸림 고정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 결합 시,
    상기 CPA부재의 고정면에 상기 수(male)형 모듈의 결합돌기의 결합면이 맞닿아 걸림 고정되어 분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 분리 시,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2 경사면 상에 결합돌기가 위치하는 경우, 탄성부재에 의해 CPA부재가 완전 체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고정면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므로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1 경사면 상에 이동되도록 CPA부재 해제되도록 정점위치로 이동하여, CPA부재 해제 시에만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 결합 시,
    상기 가이드 고정돌기의 제1 경사면 상에서 CPA부재가 정점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은 채 결합이 종료되면, 탄성부재에 의해 CPA부재가 체결위치로 복원되며, 제1 경사면에 의해 결합되는 반대 방향으로 결합돌기가 이동되도록 하여 암(female)형 모듈과 수(male)형 모듈이 분리되어 정상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A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관통 구비되며;
    상기 암(female)형 모듈에는 상기 CPA부재의 결합공의 상면을 노출하거나 덮을 수 있도록 힌지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힌지 잠금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CPA부재의 해제를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에도 CPA부재가 완전 체결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KR1020210083176A 2021-06-25 2021-06-25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KR20230000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176A KR20230000713A (ko) 2021-06-25 2021-06-25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176A KR20230000713A (ko) 2021-06-25 2021-06-25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13A true KR20230000713A (ko) 2023-01-03

Family

ID=8492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76A KR20230000713A (ko) 2021-06-25 2021-06-25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7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1948A2 (en) 1992-10-09 1994-04-13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safety inter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1948A2 (en) 1992-10-09 1994-04-13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safety inter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802A (en) Cover-equipped connector
JP440516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半体組立体
KR101834111B1 (ko) 커넥터 합치 보장
US997913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device
US7217150B2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staggered mating
EP1571734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P2249440B1 (en)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US7223113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KR102011385B1 (ko) 자동 이차 로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JP4031374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6898395B2 (ja) スライダー部を備える結合コネクター
US20160013583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KR20140024391A (ko)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US7267569B2 (en) Connector with a shorting terminal
US8888521B2 (en) 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connector apparatus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JPH09180820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101632557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JP2000058200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7059902B2 (en)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assembly
WO2014198928A1 (en) Plug and connector arrangement
US11581680B2 (en) Spring loaded self-ejecting connector
JP2017199487A (ja)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US6361334B1 (en) Cover-provided connector
KR20230000713A (ko) 에어백용 커넥터 결합 모듈
JP394534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