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818A - 저온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저온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818A
KR19990029818A KR1019980038135A KR19980038135A KR19990029818A KR 19990029818 A KR19990029818 A KR 19990029818A KR 1019980038135 A KR1019980038135 A KR 1019980038135A KR 19980038135 A KR19980038135 A KR 19980038135A KR 19990029818 A KR19990029818 A KR 19990029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r
showcase
defrosting
downstrea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6513B1 (ko
Inventor
아쓰시 토도로키
Original Assignee
부스지마 구니오
가부시끼가이샤 산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스지마 구니오, 가부시끼가이샤 산꾜 filed Critical 부스지마 구니오
Publication of KR1999002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기의 착상의 균일화를 꾀하고 제상의 인터벌을 길게하는 저온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쇼케이스본체(3)의 냉각덕트(7)내에 복수의 냉각기(11, 13)를 직렬로 배치하고 각 냉각기(11, 13)를 제상하는 제상수단(71, 73)을 구비한 저온쇼케이스이다.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냉각기(11, 13)에는 제상수단(71, 73)에 의해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복귀온도검출센서(31, 33)가 각각 설치되고 하류측 냉각기(13)의 복귀온도검출센서(33)의 설정온도가 하류측 냉각기(11)의 복귀온도검출센서(31)의 설정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됨으로써 하류측 냉각기(13)의 제상운전을 빨리 종료시켜 냉각운전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쇼케이스
본 발명은 저온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기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제어하는 저온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슈퍼마켓등의 대규모 소매점에서 정육이나 생선에서부터 냉동식품 및 아이스크림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들은 적절한 온도관리를 하면서 소비자가 신선한 상태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장 또는 냉동쇼케이스(이하 저온쇼케이스라고 함)에 수납, 진열하였다.
저온쇼케이스는 식품이 수납된 쇼케이스본체와 압축기 및 감압장치, 응축기, 냉각기등으로 이루어진 냉동기를 구비하고 쇼케이스본체내에서 식품에 냉각기용 송풍기를 이용하여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저온쇼케이스는 운전중 냉동기의 냉각기에 서리가 착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온기나 제상히터를 이용하여 제상운전이 행하여지지만 슈퍼등이 개점시에는 가능한 한도내에서 제상운전이 행해지지 않기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있으며 이 희망에 부응하기 위해 냉각기를 대형화하고 제상시간 간격을 가능한 길게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제상인터벌을 길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냉각기를 대형화시키면 제상운전에 필요시되는 운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대형화시킨 냉각기를 두 개로 나누고 이 나누어진 냉각기의 각각에 제상히터등의 제상수단을 부착시켜 제상운전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두 개의 냉각기를 연직방향으로 연장시킨 냉각덕트내에 상하직렬로 배치하는 경우, 예를들면 하류측 냉각기의 서리나 얼음이 상류측 냉각기의 위로 떨어져 상류측 냉각기의 제상시간이 길어지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상인터벌을 길게하기 위해 냉각기의 상류측 핀피치를 거칠게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액냉매를 냉각기의 냉기 하류측으로 도입시키고 차례대로 상류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냉각기의 냉기 상류측에서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기의 조밀하게 설치된 핀피치의 최상류측에 서리가 착상되어 냉각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냉각기에 착상의 균일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제상운전의 인터벌을 길게할 수 있도록 한 저온쇼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냉동싸이클과 제어계통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냉동싸이클과 제어계통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냉각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쇼케이스 3 : 쇼케이스본체
7 : 냉각덕트 9 : 냉각기용송풍기
11 : 상류측 냉각기 13 : 하류측 냉각기
31, 33 : 복귀온도검출센서 61 : 쇼케이스측ECU
71, 73 : 제상히터 81 : 주복귀온도검출센서
83 : 보조복귀온도검출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열하고 각냉각기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을 구비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직렬로 배열된 복수의 냉각기는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복귀온도검출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하류측 냉각기의 복귀온도검출센서의 설정온도를 상류측 냉각기의 복귀온도검출센서의 설정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치하고 각 냉각기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을 구비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내의 토출구 근방에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상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주복귀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하고 하류측 냉각기의 출구근방에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하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시부터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보조복귀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열하고 각냉각기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을 구비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내에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하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제상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하고 하류측 냉각기의 복귀시부터 소정시간을 계측하는 지연타이머를 설치하여 이 지연타이머에 의해 계측된 시점에서 상류측 냉각기를 제상운전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상수단이 제상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은 하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이 상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 보다도 빨리 종료되기 때문에 제상운전이 종료된 하류측 냉각기를 이용하여 냉각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제상운전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상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하류측 냉각기에서 비교적 다량의 서리 및 얼음이 하류측 냉각기에 용융, 낙하하여도 상류측 냉각기를 거의 확실하게 제상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치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류측 냉각기의 핀피치를 하류측 냉각기의 핀피치보다 거칠게 형성시켜 액냉매를 상류측 냉각기의 상류측에 도입시키고 그 하류측에서 하류측 냉각기의 하류측으로 도입되도록 하여 그 상류측에서 도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상류측 냉각기 및 하류측 냉각기를 통과한 후 따뜻해진 냉매가 하류측 냉각기의 상류측으로 도출되기 때문에 냉각기의 협소한 핀피치의 최상류측의 핀 표면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이 부분의 착상이 억제되고 제상인터벌이 길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쇼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다단 오픈형이고 실외에 배치된 냉각유니트에서 액냉매가 공급되는 별도 설치형으로 되어 있다. 쇼케이스본체(3)은 그 개구에 4단 진열대(5)가 설치됨과 동시에 진열대(5)의 전방에는 내층에어커텐(그 흐름을 A방향의 화살표로 표시하였음)과 외층에어커텐(그 흐름을 B방향의 화살표로 표시하였음)이 형성되어 있다.
쇼케이스본체(3)에는 진열대(5)를 둘러싼 형상의 냉각덕트(7)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덕트(7)의 하부에는 냉각기용 송풍기(9)가, 수직부에는 아래부터 차례대로 상류측 냉각기(11)과 하류측 냉각기(13)이 배치되며 이것들과 냉기흡입구(15) 및 냉기토출구(17)에 의해 냉각풍순환공급수단이 구성된다.
또 쇼케이스본체(3)에는 냉각덕트(7)를 둘러싼 형상의 송풍탱크(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에어커텐송풍기(도시되지 않았음)가 배치되며 이것과 공기흡입구(23) 및 공기토출구(25)에 의해 에어커텐생성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31은 상류측 냉각기(11)의 출구측 온도를 검출하는 제1토출구측 온도센서(복귀온도검출센서)이고 33은 하류측 냉각기(13)의 출구측 온도를 검출하는 제2출구측 온도센서(복귀온도검출센서)이다. 그리고 상류측 냉각기(11)는 그 냉각핀피치가 하류측 냉각기(13)의 냉각핀피치 보다도 거칠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진열대(5) 주변의 냉기는 냉각기용 송풍기(9)에 의해 냉기흡입구(15)에서 냉각덕트(7)내에 흡입된 후 양 냉각기(11, 13)를 통과해서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되고 냉기토출구(17)에서 진열대(5)를 향해 토출된다. 또 에어커텐을 생성시키는 공기는 에어커텐용 송풍기에 의해 공기흡입구(23)에서 송풍탱크(21)내에 흡입된 후 공기토출구(25)에서 공기흡입구(23)를 향해 토출된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냉동싸이클과 그 제어계통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냉동싸이클은 냉장쇼케이스(1)측의 양 냉각기(11, 13)와 이것에 대응해서 설치된 제1, 제2전동팽창변(37, 39), 기타 냉각유니트(41)측의 압축기(43), 응축기(45), 수액기(4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49는 냉각유니트(41)내에 설치된 응축기용 송풍기이고 51에서 58은 액냉매 또는 가스냉매의 유통에 도움을 주는 냉매배관이다. 부호 100은 제상수단을 구성한다. 압축기(43)에서 발생된 뜨거운 가스를 응축기를 바이패스해서 양 냉각기(11, 13)에 직접 전달하고 이 뜨거운 가스에 의해 냉각기(11, 13)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한다. 81, 83은 제상용전동팽창변이다.
냉장쇼케이스(1)내에는 냉각기용 송풍기(9) 및 제1, 제2전동팽창변(37, 39) 및 제상용 전동팽창변(81, 83)등을 구동제어하는 쇼케이스측 콘트롤유니트(이하 ECU로 기재함)(61)가 설치되어 있다. 쇼케이스측 ECU(61)은 CPU, 입출력인터페이스, ROM, RAM, 타이머카운터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는 제1, 제2출구측 온도센서(31, 33)를 시작으로 다양한 센서류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냉각유니트(41)내에는 압축기(43) 및 응축기용 송풍기(49)등을 구동제어하는 냉각유니트측ECU(63)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유니트측ECU(63)는 CPU를 시작으로 입출력인터페이스 및 ROM, RAM, 타이머카운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쇼케이스측ECU(61)와 냉각유니트측ECU(63)는 통신라인(65)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호 신호를 주고받는다.
이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서술한다.
냉장쇼케이스(1)가 냉각유니트(41)에 접속되고 냉동싸이크의 운전이 개시되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액기(47)내의 가스냉매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냉매배관(58)를 갖는 압축기(43)에 흡인된다. 가스냉매는 압축기(43)내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으로 된 후 냉매배관(51)을 갖는 응축기(45)에 도입되고 응축기(45)내를 유통하는 사이에 응축, 액화된다.
그러면 액냉매의 일부는 냉매배관(52)에서 냉매배관(53)으로 나눠서 흐르고 냉매배관(53)에 형성된 제1전동팽창변(37)에 의해 감압되며 상류측 냉각기(11)에 유입된다. 또 액냉매의 잔부는 냉매배관(52)에서 냉매배관(55)으로 나눠서 흐르고 냉매배관(55)에 형성된 제2전동팽창변(39)에 의해 감압되어 하류측 냉각기(13)로 유입된다. 액냉매는 양 냉각기(11, 13)내에서 증발, 기화된 후 냉매배관(54, 56, 57)를 갖는 수액기(47)로 순환하여 흐르며 수액기(47)에 저장된 후 다시 냉매배관(58)을 갖는 압축기(43)로 흡인된다.
양 냉각기(11, 13)는 그 표면온도가 액냉매의 기화에 수반되는 기화잠열에 의해 빙점이하로 되고 냉각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냉각된 공기는 냉각기용 송풍기(9)에 의해 쇼케이스본체(3)내를 A 화살표(도 1)로 표시한 것과 같이 순환하고 진열대(5)위에 진열된 상품을 소정온도로 냉각시킨다.
그런데 상기 냉각운전이 계속되면 양 냉각기(11, 13)에는 서리가 부착되기 때문에 적당한 인터벌로 제상운전이 행해진다. 이 제상운전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제2전동팽창변(37,39)를 닫고 제상용 전동팽창변(81, 83)을 개방시킴으로써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뜨거운 가스를 흘러보낸다.
이 실시예에는 상기 제상수단(100)에 의해 제상운전은 복귀온도검출센서(31, 33)에서의 출력에 따라 정지된다. 하류측 냉각기(13)의 복귀온도검출센서(33)의 설정온도는 상류측 냉각기(11)의 복귀온도검출센서(31)의 설정온도보다도 낮게 설정되고 이것에 의하면 하류측 냉각기(13)의 제상운전은 상류측 냉각기(11)의 제상운전보다도 빨리 복귀된다.
즉, 하류측 냉각기(13)의 설정온도 TS2는 상류측 냉각기(11)의 설정온도 TS1 보다 소정치(예를들면 3℃)만큼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상수단(100)에 의해 뜨거운 가스의 유입에 의해 하류측 냉각기(13)의 온도는 설정온도TS2에 일찍 도달된다. 그러면 쇼케이스측ECU(61)는 복귀온도검출센서(33)에서 신호를 받고 제상용전동팽창변(83)을 닫는 동시에 제2전동팽창변(39)을 연다. 이것에 의하면 하류측 냉각기(13)의 제상운전은 빨리 끝나고 이와 동시에 하류측 냉각기(13)는 냉각운전으로 복귀된다.
상류측 냉각기(11)의 설정온도TS1은 소정치(예를들면 3℃)만큼 높기 때문에 해당 설정온도에 도달하기 까지 제상수단(100)에 의해 뜨거운 가스의 유입이 행해진다. 그리고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하류측 냉각기(13) 보다도 늦게 제상운전이 종료된다. 이 경우 쇼케이스측ECU(61)는 복귀온도검출센서(31)에서 신호를 받아 제상용전동팽창변(81)을 닫는 동시에 제1전동팽창변(37)을 연다. 이것에 의하면 모두 제상운전이 종료되어 냉각운전으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류측 냉각기(11)의 제상운전시간은 길어지기 때문에 하류측 냉각기(13)에서 비교적 다량의 서리 및 얼음이 상류측 냉각기(11)에 용융, 낙하되어도 상류측 냉각기(11)를 거의 확실하게 제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냉동싸이클과 그 제어계통을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실시예의 냉장쇼케이스도 그 전체적 구성이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뜨거운 가스에 의한 제상수단이 제외되고 양 냉각기(11, 13)의 하부(상류측)에 각각 쇼케이스측ECU(61)에 의해 통전제어되는 제상히터(71, 73)이 부설되어 있다.
이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서술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제2출구측 온도센서(31, 33)은 통상 운전시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양 냉각기(11, 13)의 온도제어를 돕지만 제상시에는 복귀온도검출센서로서 작용한다. 냉장쇼케이스(1)가 소정시간 동안 운전되면 쇼케이스측ECU(61)은 내장된 타이머의 값에 기초하여 양 냉각기(11, 13)의 제상을 개시한다. 이 제상운전시에는 압축기(43)의 운전이 정지되고 제상히터(71, 73)가 통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양 냉각기(11, 13)간의 복귀온도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하류측 냉각기(13)의 복귀온도TR2는 상류측 냉각기(11)의 복귀온도TR1 보다 소정치(예를들면 3℃)정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따라 제상히터(71, 73)의 통전에 의해 하류측 냉각기(13)의 온도는 복귀온도TR2에 빨리 도달된다. 그러면 쇼케이스측ECU(61)은 복귀온도검출센서(33)에서 신호를 받고 제상히터(73)을 단전시키는 동시에 압축기(43)을 구동시켜 제1전동팽창변(37)을 닫고 제2전동팽창변(39)를 연다. 이렇게 되면 하류측 냉각기(13)의 제상운전이 빨리 종료되고 종료와 동시에 하류측 냉각기(13)는 냉각운전으로 복귀된다.
상류측 냉각기(11)의 복귀온도TR1은 소정치(예를들면 3℃)만큼 높기 때문에 이 복귀온도에 도달하기 까지 제상히터(71)에 통전이 계속된다. 그리고 복귀온도에 도달하면 하류측 냉각기(13) 보다도 늦게 제상운전이 종료된다. 이 경우 쇼케이스측ECU(61)은 복귀온도검출센서(31)로부터 신호를 받고 제상히터(71)를 단전시키는 동시에 제1전동팽창변(37)을 연다. 이렇게 되면 모든 제상운전이 종료되고 냉각운전으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하면 상류측 냉각기(11)의 제상운전시간은 길기 때문에 하류측 냉각기(13)보다 비교적 다량의 서리 및 얼음이 하류측 냉각기(11)에 용융, 낙하되어도 상류측 냉각기(11)를 거의 확실하게 제상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제3실시예의 냉장쇼케이스는 그 전체적 구성이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 하지만 양 냉각기(11, 13)에는 출구측온도센서가 부설되어 있지않고 냉각덕트(7)내의 냉기토출구(17)근방에 토출온도센서(주복귀온도검출센서)(81)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측 냉각기(13)의 하류에 보조복귀온도검출센서(8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온도센서(81, 83)은 쇼케이스측ECU(61)의 입력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서술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복귀온도검출센서(81)는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 양 냉각기(11, 13)의 온도제어에 이용된다. 상술한 대로 냉장쇼케이스(1)가 소정시간 동안 운전되면 쇼케이스측ECU(61)는 양 냉각기(11, 13)의 제상을 개시하고 압축기(43)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제상히터(71, 73)을 통전시킨다. 그리고 쇼케이스측ECU는 보조복귀온도검출센서(8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소정치에 도달되면 상류측 냉각기(11)를 제상에서 통상운전으로 복귀시킨다. 이 실시예에는 보조복귀온도검출센서(83)의 설정온도가 주복귀온도검출센서(81)의 설정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이와같이 냉각기(11, 13)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냉각덕트(7)내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에 제4실시예에 대해 서술한다.
이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았다. 제4실시예에는 쇼케이스측ECU(61)내에 지연타이며(도시되지 않았음)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측 냉각기(13)이 제상에서 통상운전으로 복귀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상류측 냉각기(11)도 제상에서 통상운전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3실시예와 같이 상류측 냉각기(11)에는 하류측 냉각기(13)에 비교해서 장시간 동안 제상이 행해지기 때문에 입구측 냉각핀에 부착된 비교적 다량의 서리 및 얼음도 확실히 용융, 낙하되어 냉각풍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냉장쇼케이스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냉각기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5실시예의 냉장쇼케이스에는 냉각덕트(7)의 수직부에 단일의 냉각기(9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기(91)는 상류측 냉각기(93)와 하류측 냉각기(95)로 분할되어 있고 상류측 냉각기(93)의 핀피치는 하류측 냉각기(95)의 핀피치보다 거칠게 형성되어 있다. 또 냉매관(97)에 의해 냉매는 상류측 냉각기(93)의 상류측(93a)으로 도입되고 그 하류측(93b)에서 하류측 냉각기(95)의 하류측(95a)으로 도입되어 그 상류측(95b)으로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의 구성에 따르면 핀피치가 좁게 형성된 하류측 냉각기(95)의 상류측에 더욱 많은 서리가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부분에 서리가 부착되면 공기의 유로를 막는 것이 된다. 이 실시예에는 서리가 부착되는 하류측 냉각기(95)를 통과한 후 뜨거워진 냉매가 냉매관(97)을 통과하여 흐르기 때문에 이 부분의 핀의 표면온도는 상승한다. 따라서 이 부분에 착상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상인터벌을 길게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싱예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상기 각 실시예에는 본 발명을 다단오픈형의 냉장쇼케이스에 적용시켰지만 유리창등이 구비된 냉장 또는 냉동쇼케이스등에 적용시켜도 좋다. 또 제2 내지 제4실시예에는 제상수단으로 제상히터를 이용하지만 뜨거운 가스를 냉각기에 제공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그 밖에 저온쇼케이스의 구체적 구성 및 온도센서의 배치등에 대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청구항 1 내지 4의 발명에는 하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이 상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 보다도 빨리 종료되기 때문에 제상운전에서 복귀된 하류측 냉각기를 이용하여 냉각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제상운전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상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시간은 길기 때문에 하류측 냉각기에서 비교적 다량의 서리나 얼음이 상류측 냉각기에 용융, 낙하되어도 상류측 냉각기를 거의 확실하게 제상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류측 냉각기 및 하류측 냉각기를 통과한 후 뜨거워진 냉매가 하류측 냉각기의 상류측으로 도출되기 때문에 냉각기의 좁게 형성된 핀피치의 최상류측의 핀 표면온도가 상승하여 이 부분의 착상이 억제되고 제상인터버를 길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5)

  1.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치하고 각 냉각기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이 구비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냉각기는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복귀온도검출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하류측 냉각기의 복귀온도검출센서의 설정온도를 상류측 냉각기의 복귀온도검출센서의 설정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쇼케이스.
  2.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치하고 각 냉각기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이 구비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내의 검출구 근방에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상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주복귀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하고 하류측 냉각기의 출구근방에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하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보조복귀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쇼케이스.
  3.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치하고 각 냉각기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이 구비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내의 상기 제상수단에 의한 하류측 냉각기의 제상운전에서 냉각운전으로 복귀되기 위한 복귀온도를 검출하는 복귀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하고 하류측 냉각기의 복귀시 부터 소정시간을 계측하는 지연타이머를 설치하며 이 지연타이머에 따라 계시된 시점에서 상류측 냉각기를 제상운전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쇼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단은 제상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쇼케이스.
  5. 쇼케이스본체의 냉각덕트내에 복수의 냉각기를 직렬로 배치한 저온쇼케이스에 있어서, 상류측 냉각기의 핀피치를 하류측 냉각기의 핀피치보다 거칠게 형성하고 액냉매를 상류측 냉각기의 상류측에 도입시켜 그 하류측에서 하류측 냉각기의 하류측으로 도입시키며 그 상류측에서 도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쇼케이스.
KR1019980038135A 1997-09-25 1998-09-16 저온쇼케이스 KR100276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260430 1997-09-25
JP26043097A JP3649875B2 (ja) 1997-09-25 1997-09-25 低温ショー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18A true KR19990029818A (ko) 1999-04-26
KR100276513B1 KR100276513B1 (ko) 2000-12-15

Family

ID=1734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135A KR100276513B1 (ko) 1997-09-25 1998-09-16 저온쇼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49875B2 (ko)
KR (1) KR100276513B1 (ko)
TW (1) TW38243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740A (ja) * 2001-09-26 2003-04-09 Okamura Corp 低温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冷却運転方法
CA2611252C (en) 2006-11-21 2011-06-28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ed showcase with fin-and-tube type heat exchanger
JP5007185B2 (ja) * 2007-09-21 2012-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冷凍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340685B2 (ja) * 2008-09-26 2013-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DE102012107713B4 (de) 2012-08-22 2018-02-15 Aht Cooling Systems Gmbh Kühlregal
DE102012107711B4 (de) 2012-08-22 2016-09-08 Aht Cooling Systems Gmbh Kühlregalanordnung
DE102012107712A1 (de) * 2012-08-22 2014-02-27 Aht Cooling Systems Gmbh Kühlregal
WO2019149366A1 (en) * 2018-02-02 2019-08-08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sales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49875B2 (ja) 2005-05-18
TW382439U (en) 2000-02-11
KR100276513B1 (ko) 2000-12-15
JPH1194442A (ja) 199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805A (en) Tandem refrigeration system
EP2142863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5809789A (en) Refrigeration module
WO1995013510A9 (en) Tandem refrigeration system
KR100186665B1 (ko) 저온 쇼 케이스
JP5007185B2 (ja) 冷凍装置、冷凍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RU96116157A (ru) Размора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080092566A1 (e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or/freezer unit with inter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JP2008304137A (ja) 冷凍装置
KR100560561B1 (ko) 연속 운전식 쇼케이스
CN107726698A (zh) 一种单系统三控温制冷冰箱及其制冷控制方法
KR100276513B1 (ko) 저온쇼케이스
KR100186666B1 (ko) 저온 쇼 케이스의 제상 장치
JP5340685B2 (ja) 冷凍装置
US10663212B2 (en) Chilling system using waste heat recovery by chiller discharge gas
KR100412533B1 (ko)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EP3851775A1 (en) Method of defrosting a freezer cabinet
KR101677635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상방법
KR0154441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100425114B1 (ko)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상운전방법
JP2019054983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H07318229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方式
JP7229670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KR100379403B1 (ko)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상운전 방법
JPH11281232A (ja) 冷凍ショ−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