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711A -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711A
KR19990028711A KR1019980700009A KR19980700009A KR19990028711A KR 19990028711 A KR19990028711 A KR 19990028711A KR 1019980700009 A KR1019980700009 A KR 1019980700009A KR 19980700009 A KR19980700009 A KR 19980700009A KR 19990028711 A KR19990028711 A KR 19990028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roller
axis
joint member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찰즈 바틀레트
Original Assignee
스툴만; 하커
지케이엔 오토모티브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툴만; 하커, 지케이엔 오토모티브 에이지 filed Critical 스툴만; 하커
Publication of KR1999002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7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16D3/205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having three pins, i.e. true tripo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2003/202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with trunnion rings, i.e. with tripod joints having rollers supported by a ring on the trun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는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35, 62)에 수직한 평면(34, 63)에 경사져 있는 그리고/또는 그러한 축(35, 62)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는 내부 조인트 부재(20, 51)의 아암(26 내지 28, 53 내지 55)의 축(32, 59 내지 61)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롤러(29 내지 31, 56 내지 58)의 외면(41)은 롤러(29 내지 31, 56 내지 58)의 적도 반경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가진 볼록하고 일반적으로 호형 만곡선의 롤러축(35, 59 내지 61)에 대한 회전면이다.

Description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
이하에서는 그러한 삼각대형 조인트를 특정한 종류의 삼각대형 조인트로 칭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특정한 종류의 삼각대형 조인트에서, 각각의 롤러의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부분 구상면이면서, 각각의 롤러의 외주면에 의해 결합된 제1 조인트 부재에서 각각의 트랙의 대향 측면은 부분 원통면이었다. 실제로 트랙 측면과 외주 롤러면 사이에는 약간의 불일치(disconformity)가 있었지만, 부분 구상 롤러면의 곡률 반경은 실질적으로 부분 원통 트랙 측면의 곡률 반경과 동일했기에, 롤러와 트랙 측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감소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종래 기술에 의한 삼각대형 조인트에서 발생하는 한 가지 문제점은, 조인트가 분절 상태(articulated condition)로(즉, 서로 경사진 2개의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 축력이 조인트 부재 사이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힘은 3차 힘이다. 즉, 힘은 조인트의 회전 속도 변화량의 3배씩 변한다. 힘은 조인트의 분절 각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한 힘의 효과는 특히 조인트가 전륜 구동 자동차의 구동축에 사용되는 경우에 명백하며, 그러한 조인트를 인보드 조인트(inboard joints)로서 사용하여 대개 2개의 조인트 부재가 진입하는, 즉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능력 때문에 차량 서스펜션 운동과 함께 발생하는 구동축의 전체 길이의 변화를 수용한다. 그러한 조인트의 사용과 관련된 한 가지 문제점은 조인트에 의해 발생된 축력이 차체에 전달되어 차량 탑승자가 어떤 조건하에서 떨리는 진동으로서 느낄 수 있는 "떨림(shudder)"의 존재이다. 떨림은 특히 대부분의 구동렬 장치와 함께 구동축 및 차량의 인보드 범용 조인트의 분절 각도를 증가시키는 차량의 전방이 상승하기 때문에 차량이 가속 중인 경우에 문제이며, 조인트에 의해 전달된 높은 토오크와 결합하여 문제를 악화시킨다. 상기 문제점은 현대의 승용차에서 증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관련된 요구 조건이 인보드 범용 조인트 상에 설치된 분절 각도를 증가시켜 그러한 문제점을 자주 직면하게 된다.
떨림의 문제가 특정한 종류의 상기 공지된 삼각대형 범용 조인트에 비해 적은 범용 조인트도 존재하며, 일부 그러한 조인트는 일반적으로 삼각대형 형태이지만 보다 복잡한 롤러 조립체를 가지기도 한다. 그러한 복잡성으로 인해 조인트의 제조 비용은 비싸지게 된다.
널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떨림 문제를 극복하거나 감소시키면서도, 추가의 부품을 포함하여 보다 복잡해지는 조인트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비용이 감소된, 특정한 종류의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대해 원주를 따라 격리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트랙을 가진 제1 조인트 부재와, 하나의 회전축 그리고 각각의 축을 가지고 있고 제1 조인트 부재에서 트랙 내로 연장하는 3개의 아암을 가진 제2 조인트 부재와, 각각의 아암에 의해 보유되며 각각 하나의 축 그리고 롤러축에 대한 회전면이고 제1 조인트 부재에서 각각의 트랙의 대향 측면에 결합 가능한 외주면을 가지고 있고 아암축 및 그 길이 방향의 운동에 대해 회전하는 각각의 아암 상에 구속되고 각각의 트랙에서 경사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는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universal joint)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조인트의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조인트의 제2 조인트 부재의 축방향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조인트의 롤러 및 트랙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추가 실시예의 축방향 도면과 제2 조인트 부재의 종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조인트 부재의 아암축은 제2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 경사져 있고/또는 제2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각각의 롤러의 외주면은 롤러의 적도 반경 이상의 반경을 가진 볼록하고 일반적으로 호형 만곡선의 롤러축에 대한 회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일반적으로 호형 만곡선의 상기 반경을 롤러의 자오선 반경으로 칭하기로 한다. 롤러의 적도 반경은 롤러축에 대한 최대 반경이다.
상기 적절한 설명 및 그 조합 덕분에 조인트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3차 축력을 감소시키고 이와 같이 떨림의 문제도 감소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제조 비용은 추가의 부품을 이용하는 조인트의 제조 비용 이하이다.
롤러의 자오선 반경은 롤러의 적도 반경의 약 1.5배일 수도 있다.
롤러의 적도 반경 이상의 반경의 일반적으로 호형 만곡선의 롤러축에 대한 회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에서 롤러의 외주면의 구성은 그러한 롤러면이 실질적으로 배럴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롤러면과 협동하기 위해, 제1 조인트 부재에서 트랙의 대향 측면은 각각 트랙의 중심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종방향 축을 가진 단일 실린더의 대향되어 있는 부분 원통형으로 할 수는 없지만, 대신에 각각의 트랙의 대향 측면이 롤러축에 대한 회전면인 롤러의 외주면을 가진 일반적으로 호형 만곡선의 곡률 반경 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가진 다른 실린더의 일부분이어야 한다.
제1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본 경우에 각각의 트랙 측면 부분의 곡률 반경은 롤러의 자오선 반경의 1.05배 이상인 것이 좋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는 스텁축(15, stub shaft)이 연장하는 기부(14)에 의해 일단부에서 밀폐된 내부 공동(13)을 형성시키는 주연벽(12)을 가진 일반적으로 컵 형상의 부분(11)을 구비한 제1 외부 조인트 부재(10)를 포함한다. 스텁축(15)은 다른 회전 부품과 결합된 토오크 전달부용 스플라인부(16)를 가지고 있다. 대개의 경우에 조인트를 자동차용, 즉 차량의 차륜 구동용 구동축 조립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러한 추가 부품은 대개 차동 기어의 출력 부재일 것이다.
조인트 부재(10)의 회전축(17)이 도시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10)의 컵 형상부(11)의 주연벽(12) 내부에는 도1에 도시된 원주를 따라 격리 배치된 3개의 트랙(18)이 제공된다. 트랙은 조인트 부재에 대해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격리 배치되어 있고 그 축(17)에 평행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트랙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도1에 도시된 대향 측면부(19)를 포함한다.
조인트는 도2에 별도로 도시된 제2 내부 조인트 부재(20)도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인트 부재(20)는 구동축 요소(24)의 스플라인 단부(23)와 결합된 토오크 전달부용 스플라인 보어(22)를 구비한 환형 구성의 몸체(21)도 포함한다. 조인트 부재(20)는 보유링(25)에 의해 구동축 요소 단부(23) 상에 보유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20)는 각각 롤러(29, 30, 31)를 가지고 있는 3개의 외향 연장 아암 부재(26, 27, 28)도 포함한다. 도1에서, 아암(26) 상의 롤러(29)는 트랙(18)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롤러(30, 31)도 마찬가지로 대응 트랙과 협동한다.
각각의 롤러는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의 운동 그리고 또한 롤러와 아암(26)의 아암축(32)에 대한 회전을 위해 각각의 아암 상에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니들 롤러 베어링 등의 지지 수단의 개재에 의해 삼각대형 범용 조인트에서) 지지되어 있다. 롤러 및 개재된 베어링은 보유링(33)에 의해 그 아암 상에 포획 보유되어 있다. 도1에서 명백한 것처럼, 아암(26)의 축(32)은 내부 조인트 부재(20) 및 축 요소(24)의 회전축(35)에 수직한 평면(34)에 경사져 있다. 즉, 도1에서 이러한 축(35)은 조인트가 정렬된(분절 형상이 아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일치한다. 아암축은 조인트 부재의 축(35)에 교차되어 있다.
도면 중 도3은 조인트의 롤러 중 하나의 구성과 관련 트랙과의 협동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3에서, 롤러(29)는 그 트랙(18)에서 확대된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트랙의 대향측 표면(19, 19a)은 아암 및 롤러의 축(32)이 조인트 부재(10)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선(40)에 지시된 비틀림각(39)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를 가진 분절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각도로 회전되도록 될 것이다.
롤러는 롤러의 적도 반경(R적도) 이상인 곡률 반경(R자오선)을 가진 볼록한 호형 만곡선의 롤러축(32)에 대한 회전면인 외주면(41)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롤러면(41)은 일반적으로 지금까지의 종래 기술처럼 부분 구상 형상이 아니라 어느 정도 배럴 형상을 가진다.
여러 실험으로 R자오선이 약 1.5×R적도인 경우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랙의 대향 측면(19, 19a)은 각각의 실린더의 R자오선이상의 R트랙을 가져 롤러와 트랙 측면 사이의 접촉이 이론적으로는 한 점에서, 실질적으로는 상당히 작은 표면적(중심은 43)에 걸쳐 발생하는 각각의 실린더의 일부분이다. R자오선과 R트랙사이의 관계는, 그 사이의 유사성(conformity)으로 알려져 있는 것처럼 R트랙÷ R자오선이 1.05이상이도록, 가능하면 약 1.1이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도3에서는 틈(clearance)이 롤러의 외주면과 트랙(18)의 측면(19a) 사이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틈이 나타내어져 있는 트랙의 측면은 물론 조인트가 토오크를 전달하는 방향에 의존한다. 제조 공차의 요구는 약간의 틈이 존재하여야 롤러가 서비스 중에 직면할 수도 있는 조인트 접합(joint articulation)의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트랙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 중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는 조인트 부재(20)와 마찬가지로, 제2 내부 조인트 부재는 스플라인 보어(52)와 외향 연장하는 3개의 아암(53, 54, 55)을 구비한 환형 몸체(51)를 포함한다. 아암은 각각의 롤러(56, 57, 58)를 가지고 있다. 롤러는 제1 실시예의 조인트와 관련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아암 상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53, 54, 55)은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62)과 교차하지 않지만 대신에 격리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축(59, 60, 6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축(59, 60, 61)은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62)에 수직한 평면(63)에 경사져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조인트에서, 각각의 롤러(56, 57, 58)의 외주면의 구성은 도면 중 도3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으며, 조인트의 제1 부재에서 각각의 트랙 측면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가져야 한다. 조인트의 외부 부재(65)는 도면 중 도4에 도시되어 있고 내부에 있는 3개의 트랙(66, 67, 68)을 가지고 있다. 회전축으로부터 내부 조인트 부재의 아암축의 편심에 대응하는, 외부 조인트 부재의 트랙의 방향은 명확하게 보이게 된다.
도1에서, 제2 조인트 부재의 아암은 제2 조인트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축의 대향 단부를 향해 경사져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 후방 경사 또는 음각(negative angle)의 경사로 칭하기로 한다. 혹은 아암은 본 명세서에서 전방 경사 또는 양각(positive angle)의 경사로 칭했던 개념과 반대인 평면에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실시예를 통해, 경사는 -10° 내지 +10°의 범위에 있을 수도 있고 실험에서는 8° 내지 9°의 범위에서, 구체적으로 8.7°의 아암 경사각으로써 조인트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3차 축력을 감소시킨다는 견지에서 구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조인트에서, 제2 조인트 부재의 아암은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처럼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지만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 경사져 있지 않은 축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롤러의 외면의 자오선 형상과 트랙 측면부의 단면 형상을 분절 형상으로 언급하였지만, 그것들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분절 형상과는 약간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롤러의 모서리 부분은 깎여져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 또는 첨부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그리고 특정한 형태로 또는 개시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의 견지에서 또는 적절하게 개시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 또는 공정이 설명되어 있는 특징은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해 그러한 특징을 분리 또는 조합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에 있어서,
    하나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대해 원주를 따라 격리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트랙을 가진 제1 조인트 부재와,
    하나의 회전축 그리고 각각의 축을 가지고 제1 조인트 부재에서 트랙 내로 연장하는 3개의 아암을 가진 제2 조인트 부재와,
    각각의 아암에 의해 보유되며 각각 하나의 축 그리고 롤러축에 대한 회전면이고 제1 조인트 부재에서 각각의 트랙의 대향 측면에 결합 가능한 외주면을 가지고 있고 아암축 및 그 길이 방향의 운동에 대해 회전하는 각각의 아암 상에 구속되고 각각의 트랙에서 경사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며,
    제2 조인트 부재의 아암축은 제2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 경사져 있고/또는 제2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각각의 롤러의 외부면은 롤러의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적도 반경 이상의 반경을 가진 볼록하고 일반적으로 호형 만곡선의 롤러축에 대한 회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롤러의 자오선 반경이 롤러의 적도 반경의 약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조인트 부재의 회전축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각각의 트랙 측면이 일반적으로 롤러의 자오선 반경의 1.05배 이상의 곡률 반경을 구비한 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측면 반경이 롤러의 자오선 반경의 1.1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에 대한 제2 조인트 부재의 아암의 경사가 8° 내지 9°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 약 8.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7. 첨부 도면의 도1 내지 도3, 또는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상기 항에 기술한 바와 같은 조인트.
  8. 본 특허 청구 범위 및 첨부 도면에 설명되어 있는 신규한 특징 또는 상기 특징의 조합.
KR1019980700009A 1995-07-04 1996-06-25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 KR19990028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13575.2 1995-07-04
GBGB9513575.2A GB9513575D0 (en) 1995-07-04 1995-07-04 Tripode type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711A true KR19990028711A (ko) 1999-04-15

Family

ID=1077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009A KR19990028711A (ko) 1995-07-04 1996-06-25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33311A (ko)
JP (1) JP4021482B2 (ko)
KR (1) KR19990028711A (ko)
CN (1) CN1196112A (ko)
AU (1) AU6234496A (ko)
BR (1) BR9609471A (ko)
DE (1) DE19681477C2 (ko)
GB (2) GB9513575D0 (ko)
WO (1) WO19970024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75B1 (ko) * 2001-04-23 2003-09-17 박미숙 가변접촉식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2890B1 (fr) * 1996-08-30 1998-09-25 Renault Joint de transmission tripode et procedes de montage d'un tel joint de transmission
WO2001057411A1 (en) * 2000-02-04 2001-08-09 Gkn Technology Limited Tripode constant velocity joint
US7022020B2 (en) * 2000-05-22 2006-04-04 Ntn Corporation Tripod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4361351B2 (ja) 2003-11-14 2009-11-11 Ntn株式会社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US7077753B2 (en) 2003-12-05 2006-07-18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Cross groove hybrid plunging constant velocity joint for a propshaft tuned for energy absorption
US7008327B2 (en) 2003-12-11 2006-03-07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Plunging constant velocity joint for a propshaft tuned for energy absorption
US6988950B2 (en) * 2003-12-05 2006-01-24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Plunging constant velocity joint for a propshaft tuned for energy absorption
US7040991B2 (en) * 2003-12-11 2006-05-09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Plunging constant velocity joint for a propshaft tuned for energy absorption
JP4147179B2 (ja) * 2003-12-22 2008-09-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
US7288029B1 (en) 2005-01-19 2007-10-30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Propshaft with crash-worthiness
JP4654130B2 (ja) * 2005-01-20 2011-03-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
US7695371B2 (en) * 2005-01-20 2010-04-13 Honda Motor Co., Ltd. Constant velocity joint
US7435181B2 (en) * 2005-10-25 2008-10-14 Delphi Technologies, Inc. Tripot ball with two point contact
WO2007122673A1 (ja) * 2006-04-12 2007-11-01 Takeda Lace Co., Ltd. ブラジャー用経編レース地
DE102007019654A1 (de) 2007-04-26 2009-07-09 Volkswagen Ag Tripodegelenk
DE102010008272A1 (de) * 2009-02-18 2010-09-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Universalgelenk
JP5625534B2 (ja) * 2010-06-23 2014-11-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摺動式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CN102128214B (zh) * 2010-12-31 2012-12-19 温州市冠盛汽车零部件集团股份有限公司 双联式可轴向滑移万向节
CN112240354B (zh) * 2019-07-19 2021-12-07 上海纳铁福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高强度紧凑型三枢轴式万向节
CN114641622B (zh) * 2019-11-18 2024-04-16 Gkn动力传动系统国际有限责任公司 三叉型等速接头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07944A (fr) * 1935-02-18 1935-03-30 Acec Nouveau système d'accouplement mobile en tous sens
FR1126828A (fr) * 1954-07-02 1956-12-03 Daimler Benz Ag Dispositif d'articulation d'entraînement
GB1272053A (en) * 1969-02-26 1972-04-26 Peugeo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universal joint
DE7312997U (de) * 1973-04-06 1973-06-28 Skf Kugellagerfabriken Gmbh Tripodegelenk
JPS5354645A (en) * 1976-10-27 1978-05-18 Ntn Toyo Bearing Co Ltd Uniform velocity universal joint
DE2848125A1 (de) * 1978-11-06 1980-05-14 Leopold F Schmid Gelenkkupplung, insbesondere fuer gelenkwellen zum antrieb der vorderraeder eines kraftfahrzeuges
DE3163329D1 (en) * 1980-02-12 1984-06-07 Citroen Sa Universal joints
DE3134270A1 (de) * 1981-08-29 1983-03-10 Sobhy Labib Dipl.-Ing. 5210 Troisdorf Girguis Gleichlaufdrehgelenk
US4472157A (en) * 1983-04-12 1984-09-18 Sindelar William F Homokinetic universal joint
JPS61116126A (ja) * 1984-11-12 1986-06-03 Nissan Motor Co Ltd トリポ−ド型等速ジヨイント
FR2607883B1 (fr) * 1986-12-05 1991-05-17 Orain Michel Joint de transmission telescopique, notamment pour vehicule
FR2621370B1 (fr) * 1987-10-06 1990-02-02 Glaenzer Spicer Sa Joint homocinetique fixe pour transmissions de roues motrices de vehicules automobiles
GB8827655D0 (en) * 1988-11-26 1988-12-29 Spicer Hardy Ltd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FR2661228A1 (fr) * 1990-04-18 1991-10-25 Glaenzer Spicer Sa Joint de transmission du type coulissant.
FR2661246B1 (fr) * 1990-04-20 1994-08-05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mesure d'un couple sur un arbre.
JP3312747B2 (ja) * 1992-04-09 2002-08-12 畑村 洋太郎 フェイルセイフ機構付き送りねじ装置
GB9209451D0 (en) * 1992-05-01 1992-06-17 Gkn Technology Ltd Tripodetype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JP3305831B2 (ja) * 1993-09-30 2002-07-24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GB9404141D0 (en) * 1994-03-04 1994-04-20 Gkn Technology Ltd Tripode type constant velocity ration universal joints
FR2730285B1 (fr) * 1995-02-02 1997-04-30 Guimbretiere Pierre Joint de transmission coulissant perfectionne
FR2730773B1 (fr) * 1995-02-17 1997-04-30 Guimbretiere Pierre Joint de transmission coulissant, notamment a trip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75B1 (ko) * 2001-04-23 2003-09-17 박미숙 가변접촉식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34496A (en) 1997-02-05
DE19681477C2 (de) 2002-02-07
GB2316996A (en) 1998-03-11
WO1997002438A1 (en) 1997-01-23
JPH11508673A (ja) 1999-07-27
GB9513575D0 (en) 1995-09-06
BR9609471A (pt) 1999-12-14
DE19681477T1 (de) 1998-10-01
GB2316996B (en) 1999-02-17
JP4021482B2 (ja) 2007-12-12
US6033311A (en) 2000-03-07
CN1196112A (zh) 1998-10-14
GB9726024D0 (en) 199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8711A (ko) 삼각대형 정속비 범용 조인트
KR930001571B1 (ko) 트리포트식 정속 유니버설 조인트
US6234908B1 (en) Drive assembly with at least one constant velocity fixed joint having a set of rolling contact member guiding means
GB2289929A (en) Assembly of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 and shaft
US5230659A (en)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 having improved centering of inner and outer joint members
KR20010043326A (ko) 등속 유니버셜 조인트
JP2709453B2 (ja) 車輪軸受ユニット
US6893351B2 (en) 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6270419B1 (en) Constant velocity fixed joint with two sets of running groov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JPH10955A (ja) 駆動軸、特に自動車の車輪駆動用サイドシャフト
EP1780431B1 (en) Tripot joint roller with two point contact
EP0279127B1 (en) Telescopic tripot universal joint
EP0425220B1 (en) Universal joint
WO1992014071A1 (en) Tripod constant velocity joint having multiple component rollers
US5645487A (en)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 of the tripode type
JP2002538380A (ja) 等速ジョイント及びこの等速ジョイント用の機械伝動部材
WO1995023928A1 (en) Tripode type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JPH0459169B2 (ko)
KR20070025956A (ko) 트라이포드형 등속 유니버셜 조인트
US4501571A (en) Large operating angle constant-speed joint
US5733197A (en)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US20140309043A1 (en) Tripod joint having low vibration inducing forces
KR20220050594A (ko) 등속 조인트
GB2083167A (en) Universal joint
JPH0618553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用等速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