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623U -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 Google Patents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623U
KR19990028623U KR2019970041259U KR19970041259U KR19990028623U KR 19990028623 U KR19990028623 U KR 19990028623U KR 2019970041259 U KR2019970041259 U KR 2019970041259U KR 19970041259 U KR19970041259 U KR 19970041259U KR 19990028623 U KR19990028623 U KR 19990028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shaft
spline
starting motor
pin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섭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41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623U/ko
Publication of KR19990028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623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등의 엔진 시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동 전동기에 있어서, 엔진의 링기어와 치합하여 시동시키는 피니언의 축을 개선하여 이 축의 조립강도를 향상시키고 피니언의 회전 이동을 위한 스플라인의 성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등의 엔진 시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동 전동기의 아마튜어 출력축(1)에 오버런닝 클러치가 설치되는 스플라인(2)과 피니언축(3)을 조립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아마튜어 출력축(1)에 일단에 결합공(11)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에는 피니언축(3)을 조립설치하되, 피니언축(3)의 선단에 삽입돌출부(4)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1)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피니언축(3)에는 걸림수단(5)을 형성하여 이에 스플라인(2)을 삽입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본 고안은 자동차 등의 엔진 시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동 전동기에 있어서, 엔진의 링기어와 치합하여 시동시키는 피니언의 축을 개선하여 이 축의 조립강도를 향상시키고 피니언의 동작과 오버런닝 클러치의 회전 이동을 위한 스플라인의 성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엔진에는 엔진의 시동과 관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링기어가 설치된 플라이 휠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플라이 휠은 시동전동기에 설치된 피니언으로 회전시켜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되어있고, 상기 시동전동기는 밧데리로부터의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전자 스위치에 의해서 피니언이 상기 링기어와 치합되어 엔진을 시동시킨 다음, 오버런닝 클러치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되는 작동을 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시동전동기에 있어서, 종래의 피니언을 설치하여 회전이동시키는 피니언축(301)은 스플라인(201)을 별도로 제작하고 이 스플라인을 피니언축 상에 강제 압입시키도록 되어 있었고, 상기 피니언축은 아마츄어의 축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피니언축(301)을 아마츄어축(101)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므로써 이의 직선도를 정확하게 하기 어려웠으며, 또 상기 피니언축(301)에 별도로 제작한 스플라인(201)을 강제 압입시키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스플라인을 압입시킬 때 압입강도가 크게 되면, 피니언축(301)이 벤딩될 염려가 있었고, 또 압입강도가 약할 경우에는 상기 스플라인이 피니언에 견고하게 설치되지 못하여 상기 피니언축과 스플라인이 각각 별개로 회전하여 오버런닝 클러치와 피니언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동전동기의 아마츄어 출력축에 피니언축과 스플라인을 걸림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피니언축과 스플라인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피니언의 구동과 오버런닝 클러치의 회전 및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상기 피니언축의 조립시 이의 변형을 방지하여 시동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랍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마튜어 출력축2 : 스플라인
3 : 오버런닝 클러치4 : 피니언
5 : 걸림수단x : 간격
자동차 등의 엔진 시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동 전동기의 아마튜어 출력축(1)에 오버런닝 클러치가 설치되는 스플라인(2)과 피니언축(3)을 조립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아마튜어 출력축(1)에 일단에 결합공(11)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에는 피니언축(3)을 조립설치하되, 피니언축(3)의 선단에 삽입돌출부(4)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1)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피니언축(3)에는 걸림수단(5)을 형성하여 이에 스플라인(2)을 삽입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수단(5)은, 피니언축(3)의 외주에는 삽입홈(6)을 스플라인(2)의 내주에는 걸림부(7)를 돌출형성시켜 이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 상기 피니언축(3)의 외주에 널링부(8)를 형성하여 상기 스플라인(2)을 결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플라인(2)의 헤리컬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교차형의 헤리컬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와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단에 삽입돌출부(4)를 형성한 피니언축(3)의 외주에는 삽입홈(6)을 스플라인(2)의 내주에는 걸림부(7)를 돌출형성시킨 걸림수단(5)을 이용하여 상기 피니언축(3)과 스플라인을 상호 결합하거나 상기 피니언축(3)에 형성시킨 널링부(8)의 걸림수단(5)을 이용하여 상기 스플라인(2)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축(3)의 삽입돌출부(4)를 상기 아마튜어 출력축(1) 일단에 형성시킨 결합공(11)에 결합시킨 다음 이를 용접하여 상기 피니언축(3)을 조립설치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걸림수단을 이용하여 스플라인을 조립하고 또 피니언축을 아마츄어의 출력축에 조립설치하므로써 상기 피니언축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또, 스플라인을 견고하게 설치하면서도 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오버런닝 클러치와 피니언의 헛 구동을 방지하면서 이들의 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플라인(2)에 형성되는 헤리컬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형성하므로써 아마츄어의 회전에 따라 대체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헤리컬을 교차형의 헤리컬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아마츄어의 회전방향과 관계없이 범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피니언축 조립방식을 채용하므로써 피니언축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스플라인과 또 아마츄어의 출력축과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플라인을 하나의 피니언축에서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교체하여 조립하고 사용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시동전동기에서의 피니언축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시동전동기의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 등의 엔진 시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동 전동기의 아마튜어 출력축(1)에 오버런닝 클러치가 설치되는 스플라인(2)과 피니언축(3)을 조립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아마튜어 출력축(1)에 일단에 결합공(11)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에는 피니언축(3)을 조립설치하되, 피니언축(3)의 선단에 삽입돌출부(4)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1)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피니언축(3)에는 걸림수단(5)을 형성하여 이에 스플라인(2)을 삽입설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5)은, 피니언축(3)의 외주에는 삽입홈(6)을 스플라인(2)의 내주에는 걸림부(7)를 돌출형성시켜 이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5)은, 상기 피니언축(3)의 외주에 널링부(8)를 형성하여 상기 스플라인(2)을 결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2)의 헤리컬은 시계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2)의 헤리컬은 반시계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2)의 헤리컬은 교차형의 2중 헤리컬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KR2019970041259U 1997-12-27 1997-12-27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KR19990028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259U KR19990028623U (ko) 1997-12-27 1997-12-27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259U KR19990028623U (ko) 1997-12-27 1997-12-27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623U true KR19990028623U (ko) 1999-07-15

Family

ID=6969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259U KR19990028623U (ko) 1997-12-27 1997-12-27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62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3099B2 (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mechanism for a coaxial starter motor assembly
US5195389A (en) Planetary speed reduction gear type starter
US8925402B2 (en) Output shaft for starting device
US6134977A (en) Star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9990028623U (ko) 시동전동기의 피니언축
US6630760B2 (en) Coaxial starter motor assembly having a return spring spaced from the pinion shaft
JP2002180937A (ja) 中間歯車付スタータ
KR200162311Y1 (ko) 시동전동기의 오버런닝 클러치 조립구조
KR19980063824A (ko) 스타터 모터
JPH07293408A (ja) 中間歯車付始動電動機
JP2973577B2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KR200221001Y1 (ko) 시동전동기용 스톱퍼
JPH0754620Y2 (ja) スタータ
JP2519183Y2 (ja) 車載用時計
JP2964731B2 (ja) スタータ
KR19990023824U (ko) 시동전동기의 스플라인
KR100446393B1 (ko) 롤러핀 작동용 일체형 스프링을 갖는 시동전동기의오버런닝 클러치
KR100473976B1 (ko)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JP6257414B2 (ja) スタータ
KR20000020049A (ko) 시동전동기의 오버런닝 클러치와 그 제조방법
KR20030002407A (ko) 시동전동기의 오버런닝 클러치용 티스플라인 조립장치
KR19980038770U (ko) 차량용 시동전동기의 플런저/레버 조립구조
KR200162316Y1 (ko) 시동전동기 피니언 정지장치
KR19990060546A (ko) 시동전동기의 아마츄어축
KR100473977B1 (ko) 차량용 스타터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