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964U -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964U
KR19990027964U KR2019970040568U KR19970040568U KR19990027964U KR 19990027964 U KR19990027964 U KR 19990027964U KR 2019970040568 U KR2019970040568 U KR 2019970040568U KR 19970040568 U KR19970040568 U KR 19970040568U KR 19990027964 U KR19990027964 U KR 199900279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vaporator
blower motor
switch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원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964U/ko
Publication of KR19990027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964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목적은 증발기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할수 있는 근원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 등이 밀폐된 공기를 호흡시 오염된 공기를 들여마시지 않도록 증발기를 청결히 할수 있도록 건조할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통풍로의 입구에서 개폐밸브(1)에 의해 선택된 내기 및 외기의 순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블로어모터(2)에 의해 증발기(3)를 거쳐 개폐밸브(4)를 통해 히터쪽통로(5) 및 냉풍용 통로(6)로 배출되어 각각 냉기 및 온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한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의 블로어모터쪽 표면에 전열선(31)을 깔고 전열선(31)의 일단에 바이메탈을 이용한 온도센서(32)를 달아 스위치(33)를 ON했을 경우 상승하는 전열선(31)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열팽창률이 적은 금속(34)쪽으로 열팽창율이 큰 금속(35)이 휘도록 하여 단락시키도록 하며, 스위치(33)를 ON시킴과 동시에 블로어모터(2)를 역회전시켜 증발기(3)에 서식하는 각종 오염물질 등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건조토록 한 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름철 등에 사용하는 에어컨 작동시 실제 찬공기가 형성되는 증발기를 건조함으로써 각종 세균의 번식을 원천적으로 막음으로써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낮추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내의 공기 흐름 및 온도등을 제어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상기 공조시스템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자동차에는 히터-벤트-에어 컨디셔닝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벤틸레이터 및 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거나 시원하게 해주는 히터 및 카 쿨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벤틸레이터(ventilator)는 승합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차 실외를 배출되게 하는 장치를 말하고 있으며, 이러한 벤틸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루프 패널의 후방에 설치되는 자연 환기 장치 및 전후방의 측면 글래스 또는 도어의 상단 부에 강제 환기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벤틸레이터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차 실내의 환기는 다음과 같다.
자동차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는 승합 자동차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덕트를 통하여 유도되며, 차 실내를 순환하여 상기 자연 환기 장치 및 강제 환기 장치를 통하여 차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히터(heater)는 승합 자동차 실내의 난방장치를 말하고, 겨울철에 주로 작동하여 사용하며, 승합 자동차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온수식 히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수냉식 엔진 자동차에 많고,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배기식 히터 장치를 장착한 자동차는 공냉식 엔진차에 많다. 또한 온수식 히터는 엔진의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원으로 하며 작은 라디에이터에 블로어로 공기를 보내 난기를 얻는다.
상기 카 쿨러(car cooler)는 종래의 냉각장치를 보인 개략도인 도 2 와 일반적인 에어콘의 동작을 예시한 순환도를 도시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의 냉방장치를 말하며, 히터와 장착되어 카 에어컨으로 쓰이는 수가 많으며 또한 대형 승합 자동차에는 루프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도 많다.
상기 카 쿨러는 모터로 구동되어 전력을 가장 많이 소모하는 부품의 하나이고, 공기중의 수분이 컨덴서에 부착하므로 제습 기능이 있으며, 윈드 실드에 성에가 끼면 제거해 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승합 자동차의 에어컨 시스템은 라디에이터에 설치되어 승합 자동차의 주행 속도와 냉각 팬에 의해 고온 고압 기체 상태의 냉매를 응축시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만드는 콘덴서와;
냉매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냉매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를 저장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
냉매를 급속 팽창시켜 저온저압액이 되게 하는 팽창 밸브와;
안개 상태의 냉매가 기체로 변하는 동안 냉각 팬의 작동으로 통과하는 공기 중의 열을 빼앗는 증발기와;
엔진에 의해 V벨트로 구동되어지며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만들어 상기 콘덴서에 보내는 컴프레서로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냉방장치 중에서, 도 4와 같은 증발기의 핀에는 응축수가 고이거나 외기순환에 의한 환기 및 내기순환에 의한 환기에 의한 먼지 등이 증발기의 핀의 표면 및 핀과 핀사이의 공기흐름이 일어나는 공간에 각종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세균 및 곰팡이가 증발기의 핀에 서식하게 되면 모터의 팬에 의해 송풍되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오염됨으로써 밀폐된 공간인 자동차 실내에서 운전하는 운전자의 호흡기계통에 무리를 줄수 있다는 건강상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증발기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할수 있는 근원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등이 밀폐된 공기를 호흡시 오염된 공기를 들여마시지 않도록 증발기를 청결히 할수 있도록 건조할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통풍로의 입구에서 개폐밸브에 의해 선택된 내기 및 외기의 순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블로어모터에 의해 증발기를 거쳐 개폐밸브를 통해 히터쪽통로 및 냉풍용 통로로 배출되어 각각 냉기 및 온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한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블로어모터쪽 표면에 전열선을 깔고 전열선의 일단에 바이메탈을 이용한 온도센서를 달아 스위치를 ON했을 경우 상승하는 전열선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열팽창률이 적은 금속쪽으로 열팽창율이 큰 금속이 휘도록 하여 단락시키도록 하며, 스위치를 ON시킴과 동시에 블로어모터를 역회전시켜 증발기에 서식하는 각종 오염물질 등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건조토록 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건조장치가 장착된 증발기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도
도 2 는 종래의 냉각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3 은 일반적인 에어콘의 동작을 예시한 순환도
도 4 는 일반적인 증발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밸브 (2) : 블로어모터
(3) : 증발기 (4) : 개폐밸브
(5) : 히터쪽통로 (6) : 냉풍용 통로
(31) : 전열선 (32) : 온도센서
(33) : 스위치 (34,35) : 금속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건조장치가 장착된 증발기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도인데, 본 고안은 통풍로의 입구에서 개폐밸브(1)에 의해 선택된 내기 및 외기의 순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블로어모터(2)에 의해 증발기(3)를 거쳐 개폐밸브(4)를 통해 히터쪽통로(5) 및 냉풍용 통로(6)로 배출되어 각각 냉기 및 온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한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의 블로어모터쪽 표면에 전열선(31)을 깔고 전열선(31)의 일단에 바이메탈을 이용한 온도센서(32)를 달아 스위치(33)를 ON했을 경우 상승하는 전열선(31)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열팽창률이 적은 금속(34)쪽으로 열팽창율이 큰 금속(35)이 휘도록 하여 단락시키도록 하며, 스위치(33)를 ON시킴과 동시에 블로어모터(2)를 역회전시켜 증발기(3)에 서식하는 각종 오염물질 등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건조토록 한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스위치를 ON하면 전열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열선이 가열되고, 블로어모터가 역회전하여 열에 의해 각종 세균 및 곰팡이들을 살균하게 된다.
또한 급격한 온도변화가 잇을 경우 온도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원이 단락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스위치를 ON하면 전열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열선이 가열되고, 블로어모터가 역회전하여 열에 의해 각종 세균 및 곰팡이들을 살균하게 됨으로써 증발기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할수 있는 근원을 제거할수 있어서 운전자등이 밀폐된 공기를 호흡시 오염된 공기를 들여마시지 않아 건강을 유지할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통풍로의 입구에서 개폐밸브(1)에 의해 선택된 내기 및 외기의 순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블로어모터(2)에 의해 증발기(3)를 거쳐 개폐밸브(4)를 통해 히터쪽통로(5) 및 냉풍용 통로(6)로 배출되어 각각 냉기 및 온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한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의 블로어모터쪽 표면에 전열선(31)을 깔고 전열선(31)의 일단에 바이메탈을 이용한 온도센서(32)를 달아 스위치(33)를 ON했을 경우 상승하는 전열선(31)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열팽창률이 적은 금속(34)쪽으로 열팽창율이 큰 금속(35)이 휘도록 하여 단락시키도록 하며, 스위치(33)를 On시킴과 동시에 블로어모터(2)를 역회전시켜 증발기(3)에 서식하는 각종 오염물질등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건조토록 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KR2019970040568U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KR199900279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568U KR19990027964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568U KR19990027964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964U true KR19990027964U (ko) 1999-07-15

Family

ID=6969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568U KR19990027964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9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602B2 (en) Dehumidifier for use in mass transit vehicle
US5284025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n electrically-powered motor vehicle
JPS5981214A (ja) 車室を暖房、換気、および冷房する装置
KR20170084729A (ko) 차량용 에어컨 습기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7964U (ko) 자동차용 증발기 건조장치
EP2338713A1 (en) Dehumidification system for a vehicle
KR0134230B1 (ko)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어퍼벤트
KR200174990Y1 (ko) 냉·온풍 겸용 에어컨디셔너의 구조
KR1017482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0148661B1 (ko) 필름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기 조절장치
JP200113024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30812Y1 (ko)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KR100230681B1 (ko) 자동차의 증발기 코어의 응축수 제거 장치
KR200157056Y1 (ko) 플로어 하부에 히팅장치를 내장한 대형버스
KR19980061049A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기
KR19980061053A (ko)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 장치
JPH06101933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3360394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KR20030052630A (ko) 공기조화장치
CN110217072A (zh) 车辆及其空调
JPH07228133A (ja) 自動車用暖房装置
KR19980029442U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KR19980064449U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KR19980035954U (ko) 차량용 공기조화 유니트의 풍량 증대장치
KR20000004047U (ko) 차량용 에어컨의 응축기를 이용한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