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12Y1 -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12Y1
KR0130812Y1 KR2019960013622U KR19960013622U KR0130812Y1 KR 0130812 Y1 KR0130812 Y1 KR 0130812Y1 KR 2019960013622 U KR2019960013622 U KR 2019960013622U KR 19960013622 U KR19960013622 U KR 19960013622U KR 0130812 Y1 KR0130812 Y1 KR 0130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main duct
sides
present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195U (ko
Inventor
서병준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60013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12Y1/ko
Publication of KR970061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모듈의 내부에 연결된 메인덕트의 양측에 팬을 설치하여 작동시킴으로 그 토출력을 향상토록 하여 환기 및 차내의 온도조절이 수월하도록 한 것으로, 냉방을 위한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및 리퀴드 탱크와 히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모듈에 연결된 메인덕트 양측에 복수개의 바이패스 덕트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의 일측에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제1도는 에어컨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
제3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덕트 1a, 1b : 바이패스 덕트
2, 2' :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 3 : 스위치
본 고안은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모듈의 내부에 연결된 메인덕트의 양측에 팬을 설치하여 작동시킴으로 그 토출력을 향상토록 하여 환기 및 차내의 온도 조절이 수월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에어컨이라 호칭하는 것은 히터와 쿨러가 일체로 되어 있어 이것을 연동하여 차내의 온도 조절 및 공기의 청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과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해 즉, 열부하로부터 항상 승차원이 쾌적한 느낌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효과로서는 일의 능률성 향상과 피로감의 경감 및 주의력 유지에 있다.
상기 에어컨은 통상적으로 응축기(100), 압축기(200), 증발기(300), 팽창밸브(400) 및 리퀴드 탱크(500)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200)에서는 저압, 저온의 증기를 흡입하여 압축해서 고압, 고온의 과열 증기가 되어 응축기(100)로 토출하는 작용을 한다.
응축기(100)에 들어간 과열된 증기는 응축기 판을 통과하는 바람으로 냉각되며 증기의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내려가면 액체로 되기 시작하며 더 냉각하면 처음의 액체 온도보다 낮아지게 되어 리퀴드 탱크(500)로 들어가서, 증기와 액체를 분리되어 액체만 팽창 밸브(400)로 보내어 진다.
리퀴드 탱크(500) 안에는 열 부하에 따라 액체 냉매를 낼 수 있도록 저장되어 있으며 이밖에 냉매중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완전히 분리하여 액체 냉매만을 팽창 밸브로 보내는 역할과 함께 냉매속에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도 있다.
상기 리퀴드 탱크(500)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 밸브(400)를 통과하여 저압, 저온의 서리 모양의 액체가 되어 증발기(300)로 들어가게 되며, 증발기(300)로 들어온 냉매는 외부에서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증발하여 증기로 변화함과 동시에 가열되어 처음의 압축기(200)로 보내져 1사이클을 이루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블로워를 회전시켜 그 압력으로 덕트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와 프론트 글라스 및 좌, 우측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시원케 함과 동시에 쾌적한 실내를 유지하게 되나 에어컨 모듈의 내부에 블로워가 하나만이 있어 각 덕트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시 그 출력(토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컨 모듈의 일측에 연결된 메인덕트 양측에 보조 블로워를 설치하여 작동시킴으로 그 토출력을 향상토록 하여 환기 및 차내의 온도 조절이 수월하도록 하는 토출력을 향상시킨 덕트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냉방을 위한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및 리퀴드 탱크와 히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모듈에 연결된 메인덕트 양측에 복수개의 바이패스 덕트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의 일측에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목적 및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및 리퀴드 탱크와 히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모듈에 연결된 메인덕트(1) 양측에 복수개의 바이패스 덕트(1a)(1b)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의 일측에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2)(2`)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전원이 스위치(3)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2)(2`)의 모터에 인가되도록 접속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주행중이나 정차중인 차내에서 에어컨을 가동시키게 되면 통상의 과정과 동일하게 냉매가 각 에어컨 어셈블리를 거쳐 냉기가 발생되며 블로워의 회전으로 냉기를 메인덕트를 통하여 토출하게 된다.
이때, 그 토출량 및 토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3)를 ON하게 됨과 동시에 전원이 바이패스턱트(1a)(1b)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2)(2`)의 모터에 인가되어 내부에 있는 팬이 회전을 하게 되어 메인 덕트로 토출되어 나오던 냉기의 일부가 바이패스 덕트(1a)(1b)를 경유하면서 그 속도가 빠르게 되어 토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컨 모듈의 내부에 연결된 메인덕트의 양측에 팬을 설치하여 작동시키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그 토출력을 향상토록 하여 환기 및 차내의 온도조절이 수월하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냉방을 위한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및 리퀴드 탱크와 히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모듈에 연결된 메인덕트(1) 양측에 복수개의 바이패스 덕트(1a)(1b)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의 일측에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러워 어셈블리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KR2019960013622U 1996-05-29 1996-05-29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KR0130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622U KR0130812Y1 (ko) 1996-05-29 1996-05-29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622U KR0130812Y1 (ko) 1996-05-29 1996-05-29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95U KR970061195U (ko) 1997-12-10
KR0130812Y1 true KR0130812Y1 (ko) 1999-01-15

Family

ID=1945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622U KR0130812Y1 (ko) 1996-05-29 1996-05-29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130B1 (ko) 2022-11-08 2023-06-15 김영태 시스템 에어컨 덕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130B1 (ko) 2022-11-08 2023-06-15 김영태 시스템 에어컨 덕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9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6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6708513B2 (en) CO2-module for cooling and heating
JPH07101227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0130812Y1 (ko) 토출력을 향상시킨 에어컨 덕트의 구조
JP2000111216A (ja) 空気調和機
JP3321871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7095845B2 (ja) 複合弁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39902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188061B1 (ko) 자동차용 냉 난방겸용 공기조화기
JPH05162536A (ja) 電気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238168Y1 (ko) 전기자동차냉/난방시스템의열교환장치
KR100298131B1 (ko) 열전소자를사용한냉방기
KR200338897Y1 (ko) 자동차의냉방장치
JPH05162537A (ja) 電気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819346B2 (ja)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KR19990041160A (ko) 누수, 누기 방지용 에어컨 블로워 어셈블리
KR100369671B1 (ko) 열교환기용 블로어의 구동장치
ES2322758T3 (es) Dispositivo de regulacion termica para el habitaculo de un vehiculo automovil.
JPS6225365Y2 (ko)
KR200238169Y1 (ko) 자동차용블로우어모터의냉각장치
KR0134402Y1 (ko) 자동차의 냉난방장치
JPH06206433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19990027454A (ko) 냉난방겸용 전기자동차 공조기의 난방효율 증대구조
KR20000004047U (ko) 차량용 에어컨의 응축기를 이용한 난방장치
KR20030052630A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