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010A -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이용한 공사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이용한 공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010A
KR19990026010A KR1019970047932A KR19970047932A KR19990026010A KR 19990026010 A KR19990026010 A KR 19990026010A KR 1019970047932 A KR1019970047932 A KR 1019970047932A KR 19970047932 A KR19970047932 A KR 19970047932A KR 19990026010 A KR19990026010 A KR 1999002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concrete
slab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국
Original Assignee
박형국
장석준
박정진
엔에스티디 주식회사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국, 장석준, 박정진, 엔에스티디 주식회사, 박정호 filed Critical 박형국
Priority to KR101997004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010A/ko
Publication of KR1999002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10A/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벽용 대형거푸집 공법은 통상의 역됫박형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달리 바른 됫박 꼴로 슬래브와 벽 콘크리트를 분리타설하는 방식에 적용하는 대형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단에 개폐부분(33)을 가진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 상기 수직지지대(21)의 상부에 수평설치된 작업대(36), 상기 작업대(36) 끝에 설치된 안전난간(38), 그리고 상기 작업대(36)를 받치는 브라켓(37)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분(33)은 상단이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여닫이 할 수 있도록 활동수단(滑動手段, 39)을 가지고,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은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개폐부분(33)과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이 만나는 곳에 보강판(34)이 보강판 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대형거푸집(30A)과,
또한 상단이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여닫이 할 수 있도록 활동수단(滑動手段, 39)을 가진 개폐부분(33)을 가지고, 하단은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개폐부분(33)과 만나는 곳에 보강판(34)이 보강판 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로 구성되고 상단은 슬래브의 하단부에서 70㎝ -90㎝정도 더 높이 형성하여 작업상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대형거푸집(30B), 그리고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 상기 수직지지대(21)의 상부에 수평설치된 작업대(36), 상기 작업대(36) 끝에 설치된 안전난간(38), 및 상기 작업대(36)를 받치는 브라켓(37)으로 구성된 내벽용 대형거푸집(30C)의 3종류가 있다.
상기 내벽용 대평거푸집(30A, 30B, 30C)의 수직지지대(21)를 타설 콘크리트와 분리시키기 위하여 수직지지대(21)를 감싸는 채움재(31a)와 상기 채움재(31a)를 감싸는 완충격리재(31b)로 구성되어, 양생된 슬래브 콘크리트(11)와 채움재(31a)를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슬리이브(31)도 고안하였다.
본 발명은 내벽에 대형거푸집을 채용할 수 있는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공사방법을 제공하며 슬래브 철근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두께조절 후 남는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작업상의 효율과 안전을 도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공사방법(Gang form for the time lag placement of wall concrete, and its erection method)
제1도는 통상의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본 발명의 분리타설 공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외벽용 대형거푸집(gang form)시스템의 입면도와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슬래브와 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의 단면 상세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내벽용 대형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슬리이브 상세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슬래브와 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공법의 시공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슬래브, 12 : 벽 거푸집, 13 : 슬래브 거푸집, 14 : 벽, 15, 16 : 철근, 20 : 외벽용 대형거푸집 시스템, 21 : 수직지지대(soldier), 22 : 수평지지대(waler), 23 : 보호대(cage), 24 : 거푸집 널, 25 : 폼타이볼트, 26 : 안전난간, 30A : 내벽용 대형거푸집(A), 30B : 내벽용 대형거푸집(B), 30C : 내측면용 대형거푸집(C), 33 : 개폐부분, 33' : 열린 상태의 개폐부분, 34 : 보강판, 35 : 보강판 고정수단, 36 : 작업대, 37 : 작업발판용 브라켓, 38 : 안전난간, 39 : 활동수단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된 건축물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대형거푸집(gang form)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동주택 등과 같이 동일 모양이 반복되는 구조나 평면으로 설계된 건축물에서 효율적이고 쉽게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고안한 내벽용 대형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설계된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사무소 건물, 병원, 콘도미니엄 등이 건축물에서 건축물의 구조와 형상이 각층마다 반복되도록 설계된 경우 거푸집을 축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통상적으로 합판으로 거푸집 널을 제작하거나 유로폼과 같은 기성 거푸집을 사용하여 각 층의 구조에 알맞게 거푸집을 조립 설치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된 뒤 해체하여 상부층으로 옮겨 다시 사용한다. 각층의 구조나 평면이 서로 다를 때에는 조립과 해체를 반복할 수밖에 없지만 각층의 구조나 평면 모양이 서로 같을 때에는 조립과 해체를 방복하지 않고 거푸집을 축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공법이 개발되어 있다. 대표적인 공법으로는 대형거푸집 공법, 활동 거푸집 공법(sliding form), 터널 거푸집 공법(tunnel form), 트래벌링 거푸집 공법(travelling form)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형거푸집 공법은 동일한 구조나 평면이 반복되는 건축물, 특히 공동 주택의 외측벽과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벽용 등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공동주택의 측벽에는 의장적인 측면이나 시공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돌기(rib)를 형성하는데 시공의 기계화뿐만 아니라 돌기의 수직도와 수평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형거푸집 공법은 유용하다.
대형거푸집 공법은 유로폼과 같은 기성 패널과 함께 철판, 합판 거푸집을 조합조립하여 대형거푸집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대형거푸집 공법은 공동주택의 외벽,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고 공동주택의 내벽에 적용은 시키기 곤란하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통상은 기둥이나 내력벽과 상부층 슬래브 같이 타설하는 뒷박 엎은 꼴(또는 역됫박형,모양)로 시공하고 있다. 이 경우 내벽을 대형거푸집으로 시공하기는 어렵다. 됫박 엎은 꼴로 시공하기 위하여 트래벌링 거푸집이나 터널 거푸집 채용하지만 거푸집을 인양하기 위하여 대형장비가 필요하여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벽 분리타설용 거푸집을 사용할 때에는 공동주택 등의 내벽을 시공할 때 대형거푸집을 이용하기 위해 종래 통상 적용하는 역됫박형()으로 타설하는 대신에 바른 됫박 꼴()로 타설한다. 즉, 해당 층의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하고 슬래브 콘크리트 어느 정도 굳어져 유동성이 없어지면 미리 설치해 둔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다. 즉, 바른 됫박 꼴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공동주택의 내벽에도 대형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발명자는 바른 됫박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외벽 모두에 대형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는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 거푸집을 이용한 공사방법을 개발하였다.
공동주택 등에서 바른 됫박형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을 축조타설할 때에는 세대사이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평면계획상 격벽(diaphragm wall)으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이 장애물이 되어 슬래브 철근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불편한 점이 상당히 많았다. 슬래브와 슬래브는 구조적으로 일체가 되어야 하므로 철근은 반드시 연속되어야 하지만 벽 거푸집이 장애가 되고,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량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부을 수 없기 때문에 실제 필요한 양보다 많이 부어 고르기와 진동다짐을 실시하고 남은 콘크리트는 다른 세대의 구획 쪽으로 옮겨야 하는데 세대사이에 격벽용 거푸집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외벽이나 측벽에 대형거푸집을 적용할 때에는 외부 쪽에는 대개 작업대와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어 안전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내부 쪽에는 별다른 안전장치를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바른 됫박 꼴()로 콘크리트 타설하는 방법을 채택할 때, 철근을 연속배근하는데 용이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남은 콘크리트를 손쉽게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높은 위치에서 거푸집을 설치할 때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고, 공동주택의 내벽에도 대형거푸집을 적용시킬 수 있는 내벽용 대형거푸집과 그 거푸집을 이용한 공사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 등의 내외벽에 대형거푸집(gang form)을 적용하여 쉽고 효율적으로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내벽용 대형거푸집과 그 거푸집을 이용한 공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동주택의 내외벽에 대형거푸집을 적용할 때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내벽용 대형거푸집과 그 거푸집을 이용한 공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슬래브와 벽 콘크리트를 분리타설함에, 바닥 슬래브를 먼저 타설하고 슬래브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제어된 후 칸막이벽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적용하는 슬래브와 벽 분리타설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공사방법이다.
하단에 개폐부분(33)을 가진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 상기 수직지지대(21)의 상부에 수평설치된 작업대(36), 상기 작업대(36) 끝에 설치된 안전난간(38), 그리고 상기 작업대(36)를 받치는 브라켓(37)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분(33)은 상단이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여닫이 할 수 있도록 활동수단(滑動手段, 39)을 가지고,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은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개폐부분(33)과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이 만나는 곳에 보강판(34)이 보강판 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대형거푸집(30A)과,
또한 상단이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여닫이 할 수 있도록 활동수단(滑動手段, 39)을 가진 개폐부분(33)을 가지고, 하단은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개폐부분(33)과 만나는 곳에 보강판(34)이 보강판 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로 구성되고 상단은 차기 슬래브의 하단부에서 70㎝ -90㎝정도 더 높이 형성하여 작업상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대형거푸집(30B), 그리고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 상기 수직지지대(21)의 상부에 수평설치된 작업대(36), 상기 작업대(36) 끝에 설치된 안전난간(38), 및 상기 작업대(36)를 받치는 브라켓(37)으로 구성된 내벽용 대형거푸집(30C)의 3종류가 있다.
상기 내벽용 대형거푸집(30A, 30B, 30C)의 수직지지대(21)를 타설된 콘크리트와 분리시키기 위하여 수직지지대(21)를 감싸는 채움재(31a)와 상기 채움재(31a)를 감싸는 완충격리재(31b)로 구성되어, 양생된 슬래브 콘크리트(11)와 채움재(31a)를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슬리이브(31)를 고안하였다. 상기 채움재(31a)는 고무판, 경질 우레판보드, 목재, 집성목재, 성형 스티로폼 또는 이들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공동주택 등과 같이 내벽이나 외벽의 구조나 평면이 각층마다 반복되는 건물에 적용하여 축조하는 방법은
내벽의 한 쪽에는 내벽용 대형거푸집(30A)의 수직지지대(21)를 슬리이브(31)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내벽의 다른 한 쪽에는 다른 종류인 내벽용 대형거푸집(30B)의 수직지지대(21)를 슬리이브(31)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슬래브 거푸집(13)을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13)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된 뒤 상기 내벽용 대형거푸집(30A)과 상기 다른 종류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B) 사이에 내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리고 상기 내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존치기간이 경과한 뒤 상기 내벽용 대형거푸집(30A)과 다른 종류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B)을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다시 설치하는 단계로 작업주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외벽을 축조할 때에는, 외벽용 대형거푸집(20)을 외벽의 외부에 설치하고, 외벽의 내측벽에는 또 다른 종류의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의 수직지지대(21)를 슬리이브(31)를 관통하여 설치한다. 슬래브 거푸집(13)을 기 타설된 내벽에 지지하여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13)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된 뒤 외벽용 대형거푸집(20)과 상기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 사이에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리고 상기 외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존치기간이 경과한 뒤 상기 외벽용 대형거푸집(20)과 상기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을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다시 설치하는 단계로 작업주기가 이루어진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거푸집과 그 축조방법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통상 채용하는 역됫박형()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본 발명의 거푸집을 적용시키는 바른 됫박 꼴()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즉 슬래브, 기둥 또는 벽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콘크리트 형성할 때 통상적으로 벽 또는 기둥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동바리를 받치며 보와 슬래브용 거푸집을 연계하여 조립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기둥이나 벽과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한다. 통상적으로 채용하는 역됫박형의 콘크리트 타설방법은 내벽이 각층마다 같은 모양으로 반복되지만 슬래브가 벽체 거푸집을 상부로 인양하는데 장해요소로 작용하여 내벽을 대형거푸집으로 짜서 활용하기가 어렵다. 이 문제를 간편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내벽용 거푸집을 대형거푸집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바른 됫박 꼴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하는 대형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공사방법을 개발하게 되었고, 제1b도는 바른 됫박 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즉 슬래브용 거푸집과 벽용 거푸집을 설치해 두고 슬래브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제어된 후 벽용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제2도는 외벽용 대형거푸집의 입면도이다. 합판이나 철판, 또는 철판리브(rib)로 대형거푸집(24)을 짜고 수평지지대(waler, 22)로 지지하면서 이들 수평지지대를 수직지지대(soldier, 21)로 지지한다. 수직지지대를 타이볼트(25, 제3도 참조)로 지지체인 구조물에 고정시키고 내외부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한다. 수평지지대(22)와 수직지지대(21) 외부에는 케이지(cage, 23)가 설치되어, 여기에 작업발판을 깔아 작업대(working platform)를 만들며 안전난간(26)을 달아 작업자가 작업 중 추락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거푸집 작업을 위하여 별도의 비계를 맬 필요가 없고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케이지(23)와 같이 상승하면서 하단부의 콘크리트면 처리를 동시에 행하면서 콘크리트 골조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대형거푸집 공법은 대형거푸집(24)이 수평지지대(22)와 수직지지대(21)에 의하여 일체로 조립되고 한 층의 작업이 끝나면 크레인이나 체인블록으로 다음 층으로 인양하여 재사용하는 공법이지만 외벽의 바깥부분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장애물이 없는 동일한 구조가 반복되는 곳에만 적용시킬 수 있는 한계를 안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의 단면상세도이다. 제3a도는 외벽용 대형거푸집(30A)과 외벽의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을 조합하여 설치한 것이고, 제3b도는 내벽용으로 고안한 대형거푸집끼리 조합한 것이다.
제3a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외벽용 대형거푸집(20)은 기존에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작업상의 안전을 확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외부로 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거푸집 널을 슬래브 하단 레벨보다 70㎝ -90㎝ 높이 설치한다. 외벽이나 측벽의 내측면에 설치할 대형거푸집(30C)은 대형거푸집의 상단에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라켓(37)으로 작업대(36)를 지지하여 작업대(36)위에 작업발판(합판, 체크플레이트 등)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안전난간(38)을 설치하였다. 외벽의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은 선시공한 슬래브에 뚫린 구멍(sleeve)을 통하여 하부 층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부 층의 벽에서 폼타이볼트(25)로 긴결하여 지지된다.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은 후술할 내벽용 대형거푸집(30A, 30B)과 마찬가지로 특별히 고안된 슬리이브(제5도 참조)를 관통하여 하부 층으로 수직지지대(21)가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대형거푸집 상단에 설치된 고리(도시하지 않음)에 크레인이나 체인블럭의 인양력을 걸어 상층을 인양한다.
제3b도는 내벽용 대형거푸집(30A)과 이와 짝을 이루는 또 다른 모양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B)을 조합하여 내벽용 대형거푸집을 설치한 단면도이다.
내벽용 대형거푸집(30A)은 대형거푸집의 상단에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라켓(37)으로 작업대(36)를 지지하여 작업대(36)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작업자를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작업대(36)에는 안전난간(38)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고안하고 하단에는 대형거푸집의 일부를 여닫이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상세한 구조는 제4도에서 설명한다. 거푸집 하단부의 여닫이 구조는 슬래브(11) 철근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 두께를 확보하고 남은 콘크리트를 다른 구획으로 옮기기 위한 작업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모양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B)은 상단에 작업대와 안전난간 대신에 거푸집을 70㎝ -90㎝ 연장하여 연장된 부분과 작업대, 그리고 안전난간 사이의 공간이 작업공간이 되며 안전시설 역할을 한다. 내벽용 대형거푸집(30A와 30B)의 하단은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고 수직지지대(21)는 슬리이브(31)를 통하여 하부 층까지 혹은 더 아래층까지 연장되어 수직지지대(21)끼리 내벽을 관통하여 폼타이볼트(25)로 서로 긴결시켜 선시공된 하층 내벽에 고정시킨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의 하단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상세도이다. 도면에서는 한 쪽 부분만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으로 거울상으로 다른 쪽에도 설치되어 있어 서로 쌍을 이룬다. 벽거푸집(32)의 하단부는 거푸집을 필요에 따라 상하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쐐기형으로 가공된 벽 거푸집(32)과 개폐부분(33), 그리고 벽 거푸집(32)과 개폐부분(33)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받히기 위한 보강판(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강판(34)은 벽 거푸집(32)에 고정수단(35)으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수단(35)은 벽 거푸집(32)의 재질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수단이 있다. 즉 벽 거푸집(32)이 철제 거푸집이면 모서리를 필렛용접(fillet welding)하거나 리벳접합한다. 목재나 합판거푸집일 경우에는 쐐기 부분에는 철판을 가공하여 덧붙이고 보강판은 목재 널이나 합판을 적층하여 일반못이나 볼트조임할 수 있다. 보강판(34)뒤에는 수직지지대(21)와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C-형강이나 목재 쐐기를 넣어 콘크리트 측압이 걸릴 때 보강판이 밀려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벽 거푸집의 재질이 철판 또는 플라스틱판재인 경우 벽 거푸집(32)의 하단에 설치되는 보강판(34)은 벽 거푸집(32)과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개폐부분(33)의 상단은 역시 쐐기형으로 가공하여 위로 열 때 쉽게 열 수 있다. 개폐부분(33)은 활동수단(滑動手段, 39)에 의해 수직지지대(21)에 매여있다. 활동수단(39)과 수직지지대 사이에는 벽 거푸집(32) 두께만큼 공간을 두어 상하 여닫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개폐부분(33)을 슬래브(11)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활동수단(39)을 밀어 올려 열고 활동수단을 열린 위치까지 올렸을 때(39') 아래로 내려오지 않도록 수직지지대(21)에 쐐기를 박거나 원터치식 클립으로 고정한다. 슬래브(11)의 철근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소요두께 외의 잔여 콘크리트를 열린 상태의 공간(45㎝∼60㎝정도)을 통하여 인접 구획과 연계 처리한 다음 활동수단(39')를 내린다. 벽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개폐부분(33)은 내려진 상태이고 내려진 상태에서 개폐부분(33)을 수직지지대(21)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콘크리트 측압은 자연스레 수평지지대(22)를 통하여 수직지지대(21)에 전달되어 콘크리트를 받히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내벽용 대형거푸집에서 수직지지대(21)를 내벽에 지지하기 위하여 슬래브(11)에 설치하는 슬리이브(3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슬리이브(31)는 수직지지대(21)를 감싸는 채움재(31a)와 채움재(31a)를 감싸고 있는 완충격리재(3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채움재(31a)는 고무판, 경질 우레판보드, 목재, 집성목재, 성형 스티로폼, 또는 이들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내벽용 대형거푸집(30A, 30B, 30C)은 수지지지대(21)와 폼타이볼트(25)에 의해 재벽에 지지되며 해당 층의 작업이 끝나면 상부층으로 인양시켜 사용한다. 종래의 슬리이브는 대개 목재난 합판으로 틀을 짜서 슬래브 거푸집(13) 위에 설치하거나, 철관(steel pipe)을 잘라 슬래브 거푸집(13) 위에 설치한다. 콘크리트 타설 도중에 콘크리트가 슬리이브에 채워지면 수직지지대(21)가 슬래브(11)와 부착되므로 대형거푸집을 인양시키기 힘들었다. 본 발명의 슬리이브(31)는 수직지지대(21)가 슬래브 구조체와 부착되는 것을 막아 쉽게 슬래브 구조체에서 분리되어 손쉽게 인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이브(31)는 고무재질(또는 우레판보드, 목재, 집성목재, 성형스티로폼 등)로 채워 정밀도를 높여 주고 인양할 때 슬리이브(31) 외부의 완충격리재(31b)는 공기가 채워진 에어포켓으로 공기주머니가 터지면서 채움재(31a)와 슬래브(11) 사이에 공간이 생겨 수직지지대(21)가 슬래브(11)에서 쉽게 분리되어 인양할 수 있다. 도면에서 수직지지대(21)는 단면이 한 개만 나타나 있지만 내벽용 대형거푸집의 치수와 자중을 고려하여 두 개 또는 수 개의 다른 모양의 수직지지대일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을 이용하여 공사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제6a도는 외벽에 대형거푸집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외벽의 바깥쪽에는 통상 사용하는 대형거푸집(20)을 설치하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외부로 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거푸집 널(제3도의 24)을 차기 해당 층의 슬래브 하단부보다 70㎝ -90㎝ 높이 설치한다. 외벽의 내측면에는 본 발명의 외벽의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을 설치한다. 슬래브 거푸집(13)이 설치되어 있고 슬래브(11)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직전의 상황도이다. 슬래브 거푸집(13)은 통상대로 동바리를 받히고 슬래브 거푸집(13)을 설치하거나 무지보 방식(예를 들면 호리빔)으로 조합설치할 수 있다.
제6b도는 내벽용 대형거푸집을 설치한 것이다. 한 쪽에는 작업대와 안전난간이 달린 내벽용 대형거푸집(30A)을 설치하고 다른 쪽에는 거푸집 널이 해당 층의 슬래브 하단부보다 70㎝ -90㎝ 더 높도록 만든 다른 종류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B)을 설치한다. 이들 대형거푸집(30A와 30B)이 조합하여 내벽용 대형거푸집 시스템을 구성한다. 제6a도와 제 6b도에서 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시방서의 거푸집 존치기간이 지난 후 탈형시키고 인양한다.
제6c도는 제6b도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A와 30B)을 상부층의 내벽 위치로 인양시키는 중간을 나타낸다. 인양작업은 크레인이나 크레인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체인블록을 설치하여 인양할 수 있다. 제6d도는 인양이 완료되고 내벽용 거푸집을 설치완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6d도와 제6e도와 같이, 내벽의 대형거푸집(30A와 30B) 설치가 완료되면 슬래브 거푸집(13)을 설치한다. 슬래브 거푸집(13)이 설치된 후 슬래브용 철근(16)을 배근한다. 내벽의 대형거푸집(30A와 30B)이 설치가 완료될 때 개폐부분(33)은 열린 상태(제4도의 33')로 고정해 두어 슬래브 철근(16)의 배근작업이 수월하게 한다. 제6d도와 제6e도는 슬래브 철근 배근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6e도와 제6f도와 같이, 슬래브 배근이 완료되면 슬래브부터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다. 내벽용 대형거푸집(30A와 30B) 하단부의 개폐부분(33, 제4도 참조)은 열려 있으므로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면에서 내벽의 앞뒤면을 돌아 남는 콘크리트를 옮겨야 했지만 본 발명의 대형거푸집에서는 열린 공간을 통하여 인근 구획 또는 인근 세대 쪽으로 쉽게 남는 콘크리트를 옮길 수 있다. 종래 대형거푸집 공법에서 내벽의 앞뒤를 돌아 남은 콘크리트를 처리하기 때문에 생기는 작업의 비효율성과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한다.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 완료되면 내벽용 대형 거푸집의 개폐부분(33)을 내려 열린 곳을 닫고 다음 구획으로 넘어가고, 타설 완료된 슬래브는 응결(Setting)하기 시작한다. 제6e도와 제6f도 사이의 슬래브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상태를 나타낸다.
콘크리트가 응결하기 시작하면 콘크리트는 유동성을 잃기 시작한다. 콘크리트의 응결은 표면마감 및 탬핑(tamping) 시기 결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벽 콘크리트 타설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통상 콜드 조인트를 방지하여 콘크리트가 일체가 되게 하려면 이어치는 시간의 한도를 결정해야 한다. 시간의 판정은 프록터 관입시험에 의하여 프록터 관입시험치 진동한계(vibration limit)인 500psi 이내에서 이어치기를 해야 하지만 대개 이어치기 허용한도는 여름철에 약 2시간, 겨울철에 약 4시간 이내이다. 따라서 벽 콘크리트는 콜드 조인트를 방지하고 벽 콘크리트가 슬래브 쪽으로 솟아 오르지(heaving) 않을 정도로 유동성을 잃은 시간을 결정하여 타설하면 된다.
제6f도와 제6g도는 벽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태를 나타낸다. 벽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거푸집 존치기간을 지나면 외벽용 대형거푸집(20)을 인양시켜 상부층에 설치하고 벽체 철근(15)을 내벽용 대형거푸집(30C)의 작업대와 안전난간에 의지하여 배근한 후에 내벽용 대형거푸집(30C)을 인양시켜 상부층에 설치하면 제6a도 상태가 되어 한 작업주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슬래브와 벽의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 시스템을 구체예의 의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구체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하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단순히 변경하거나 같은 기능을 가진 다른 요소로 대체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구체화된다.

Claims (9)

  1. 하단에 개폐부분(33)을 가진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 상기 수직지지대(21)의 상부에 수평설치된 작업대(36); 상기 작업대(36) 끝에 설치된 안전난간(38); 및
    상기 작업대(36)를 받치는 브라켓(37);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벽용 대형거푸집(30A).
  2. 제1항에서, 상기 개폐부분(33)은 상단이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여닫이 할 수 있도록 활동수단(滑動手段, 39)을 가지고,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은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개폐부분(33)과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이 만나는 곳에 보강판(34)이 보강판 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벽용 대형거푸집(30A).
  3. 제2항에서, 상기 보강판 고정수단(35)은 용접, 리벳, 또는 볼트에 의해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벽용 대형거푸집(30A).
  4. 제1항에서, 상기 개폐부분(33)은 상단이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여닫이 할 수 있도록 활동수단(滑動手段, 39)을 가지고,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은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개폐부분(33)과 상기 벽 거푸집(32)의 하단이 만나는 곳에 보강판(34)이 상기 벽 거푸집(32)과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이 철판 또는 프라스틱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벽용 대형거푸집(30A).
  5. 상단이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여닫이 할 수 있도록 활동수단(滑動手段, 39)을 가진 개폐부분(33)을 가지고, 하단은 쐐기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개폐부분(33)과 만나는 곳에 보강판(34)이 보강판 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벽 거푸집(32);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벽용 대형거푸집(30B).
  6. 수직지지대(21)를 감싸는 고무판, 경질우레판보드, 목재, 집성목재, 성형스티로폼, 또는 이들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재료로 된 채움재(31a)와 상기 채움재(31a)를 감싸는 완충격리재(3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이브(31).
  7. 제6항에서, 상기 완충격리재(31b)는 공기방울 주머니가 형성된 에어 포켓 포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이브(31).
  8. 내벽의 한 쪽에는 제1항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A)의 수직지지대(21)를 제7항의 슬리이브(31)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내벽의 다른 한 쪽에는 제4항의 내벽용 대형거푸집(30B)의 수직지지대(21)를 제6항의 슬리이브(31)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슬래브 거푸집(13)을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13)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된 뒤 상기 내벽용 대형거푸집(30A)과 상기 내벽용 대형거푸집(30B) 사이에 내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리고
    상기 내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존치기간이 경과한 뒤 상기 내벽용 대형거푸집(30A)과 상기 내벽용 대형거푸집(30B)을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다시 설치하는 단계로 작업주기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와 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을 이용한 공사방법.
  9. 외벽용 대형거푸집(20)을 외벽의 외부에 설치하고;
    외벽의 내측벽에는 벽 거푸집(32)과 상기 벽 거푸집(32)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waler, 22)와 상기 수평지지대(22)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soldier, 21)와 상기 수직지지대(21)의 상부에 수평설치된 작업대(36)와 상기 작업대(36) 끝에 설치된 안전난간(38), 그리고 상기 작업대(36)를 받치는 브라켓(37)으로 구성된 외벽의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의 상가 수직지지대(21)를 제7항의 슬리이브(31)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슬래브 거푸집(13)을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13)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된 뒤 상기 외벽용 대형거푸집(20)과 상기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 사이에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리고
    상기 외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존치기간이 경과한 뒤 상기 외벽용 대형거푸집(20)과 상기 내측면용 대형거푸집(30C)을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다시 설치하는 단계로 작업주기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와 벽 분리타설식 외벽용 대형거푸집을 이용한 공사방법.
KR1019970047932A 1997-09-20 1997-09-20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이용한 공사방법 KR19990026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932A KR19990026010A (ko) 1997-09-20 1997-09-20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이용한 공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932A KR19990026010A (ko) 1997-09-20 1997-09-20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이용한 공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10A true KR19990026010A (ko) 1999-04-06

Family

ID=6604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932A KR19990026010A (ko) 1997-09-20 1997-09-20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이용한 공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0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008B1 (ko) * 1997-10-21 2003-02-19 엔에스티디 주식회사 보강철근이부착된데크플레이트(합성데크)를사용한슬래브,벽분리타설식대형거푸집공법
KR20030079622A (ko) * 2002-04-06 2003-10-10 김광식 역타설 공법을 위한 다층 건축물용 벽면 형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008B1 (ko) * 1997-10-21 2003-02-19 엔에스티디 주식회사 보강철근이부착된데크플레이트(합성데크)를사용한슬래브,벽분리타설식대형거푸집공법
KR20030079622A (ko) * 2002-04-06 2003-10-10 김광식 역타설 공법을 위한 다층 건축물용 벽면 형성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3506B (zh) 设有边梁的建筑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US4528793A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with ductile concrete frame
CA2440765C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SE464477B (sv) Prefabricerat byggrundelement
SG187296A1 (en) A multi-storey building with prefabricated members and a semi-prefabric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GB2460674A (en) Masonry bracket
KR20000010491A (ko)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지지장치
CA1167272A (en) Pre-cast building unit, building and method utilizing same, and casting form therefor
US20150040499A1 (en) Precast concrete module which can be adapted internally to multiple uses
EP2241690B1 (en) Insulated foundation element for mounting on precast base foundation
KR19990026010A (ko) 공동주택 등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내벽용 대형거푸집 및 이를이용한 공사방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JPH11303386A (ja) 建築物の躯体施工方法
JP2020094443A (ja) 建物の基礎の構築方法
KR100599059B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64745A (ko) 법면에 시공된 조립식 다기능 안전계단
WO1981002600A1 (en) Arrangement for laying concrete floors
CN220414635U (zh) 内置型楼板结构
CN218843565U (zh) 一种带有抗震结构的预制混凝土楼梯
JP7199439B2 (ja) 建造物建設方法
FI79587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utfoerande av kantupphaengning vid en ihaolig platta.
JPH10102577A (ja) 臥梁用ブロックとこの臥梁用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建築の施工方法
JPH06346471A (ja) 大型プレキャスト板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擁壁の施工法
US3127704A (en) Floor and ceiling construction
KR200337465Y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