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909U -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909U
KR19990025909U KR2019970038434U KR19970038434U KR19990025909U KR 19990025909 U KR19990025909 U KR 19990025909U KR 2019970038434 U KR2019970038434 U KR 2019970038434U KR 19970038434 U KR19970038434 U KR 19970038434U KR 19990025909 U KR19990025909 U KR 199900259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audio
mounting
main chassis
mounting structure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8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909U/ko
Publication of KR199900259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909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오디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에 카오디오 세트를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오디오 세트의 메인 섀시 양측면을 절개하여 상기 카오디오설치부 내측에 형성한 장착홈에 끼워지는 후크를 구비한 장착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장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메인 섀시에 나사 체결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본 고안은 카오디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오디오 세트의 메인 섀시 측면을 절개하여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 내측의 장착홈에 끼워지는 장착부를 형성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카오디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오디오는 조립 완료후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에 세팅하는데, 상기 카오디오에는 상기 카오디오설치부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메인 섀시의 양측면에 장착부재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장착부재(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오디오 세트(52)의 메인 섀시(54) 양측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장착부재(60)는 선단에 차량의 대시보드 카오디오설치부 내측면에 형성한 장착홈(도시안됨)에 끼워지는 후크(64)를 형성한 탄성부(62)와, 상기 탄성부(62)의 타단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상기 탄성부(62)와 일정거리 이격하여 상기 메인 섀시(54) 일측에 형성한 나사공(도시안됨)에 나사(76) 조립되는 조립공(도시안됨)을 형성한 지지부(67)로 구성한다.
또한 장착부재(60)의 지지부(67)에 형성한 조립공의 상방 탄성부(62)에는 지지부(67)에 형성한 조립공과 메인 섀시(54)에 형성한 나사공(58)에 나사(76)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관통공(66)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착부재(60)의 지지부(67)에 형성한 조립공을 상기 카오디오 세트(52)의 메인 섀시(54) 일측면에 형성한 나사공과 맞춘다. 그러면 서로 맞춘 상기 장착부재(60)의 지지부(67)에 형성한 조립공과 상기 메인 섀시(54)의 나사공의 외측에 장착부재(60)의 탄성부(62)에 형성한 관통공(66)이 위치하는데, 나사공과 조립공과 관통공(66)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나사(76)를 장착부재(60)의 탄성부(62)에 형성한 관통공(66)을 통하여 장착부재(60)의 지지부(67)에 형성한 조립공에 끼운 다음 나사(76)를 체결하면 나사(76)가 장착부재(60)의 지지부(67)에 형성한 조립공을 통하여 메인 섀시(54)의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장착부재(60)가 메인 섀시(54) 일측면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카오디오의 장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대시 보드(70)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72)에 카오디오 세트(52)를 밀어 넣는데, 이때 카오디오 세트(52)의 메인 섀시(54) 후방측을 밀어 넣는다. 그러면 카오디오 세트(52)가 카오디오설치부에 인입되다가 카오디오 세트(52)의 메인 섀시(54) 양측면에 나사(76) 조립한 장착부재(60)가 카오디오설치부에 인입된다.
이때 장착부재(60)의 탄성부(62)가 카오디오 세트(52)의 메인 섀시(54)측으로 밀리면서 카오디오설치부로 인입된다. 그러다가 카오디오 세트(52)의 장착부재(60)가 카오디오설치부의 장착홈에 이르면 장착부재(60)의 탄성부(62)가 카오디오 세트(52)의 메인 섀시(54)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장착부재(60)의 탄성부(62)에 형성한 후크(64)가 카오디오설치부의 장착홈에 끼워짐으로써 카오디오 세트(52)가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에 세팅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는 카오디오 세트(52)를 차량의 대시 보드(70)에 장착하기위해서 장착부재(60)를 별도로 구비하여 카오디오 세트(52)의 메인 섀시(54) 일측에 나사(76) 조립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카오디오 세트의 메인 섀시 측면을 절개하여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 내측의 장착홈에 끼워지는 장착부를 형성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에 카오디오 세트를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오디오 세트의 메인 섀시 양측면을 절개하여 상기 카오디오설치부 내측에 형성한 장착홈에 끼워지는 후크를 구비한 장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메인 섀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카오디오 세트 4 : 메인 섀시
8 : 장착부 10 : 후크
14 : 대시 보드 16 : 카오디오설치부
18 : 장착홈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는 차량의 대시 보드(14)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16)에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카오디오 세트(2)의 메인 섀시(4)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섀시(4)의 양측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절개하여 장착부(8)를 형성하는데, 장착부(8)는 메인 섀시(4)의 양측면 내측을 절개하여 형성하고 장착부(8)의 형상은 일측을 타측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메인 섀시(4)의 양측면을 절개하여 장착부(8)를 형성함으로써 장착부(8)가 내외측으로 작동되는 작동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섀시(4)의 장착부(8)의 일측 돌출부위를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하여 카오디오설치부(16)의 내측면에 형성한 장착홈(18)에 끼워지는 후크(1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장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대시 보드(14)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16)에 카오디오 세트(2)를 밀어 넣는데, 이때 카오디오 세트(2)의 메인 섀시(4) 후방측을 밀어 넣는다. 그러면 카오디오 세트(2)가 카오디오설치부(16)에 인입되다가 카오디오 세트(2)의 메인 섀시(4) 양측면에 형성한 장착부(8)가 카오디오설치부(16)에 인입된다.
이때 장착부(8)는 선단의 후크(10)가 밀려 메인 섀시(4)의 작동공(12)을 통하여 메인 섀시(4)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다가 카오디오 세트(2)의 장착부(8)가 카오디오설치부(16)의 장착홈(18)에 이르면 장착부(8)가 작동공(12)을 통하여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밀려 나오면서 장착부(8)에 형성한 후크(10)가 카오디오설치부(16)의 장착홈(18)에 끼워진다.
그리하여 차량의 대시 보드(14)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16)에 카오디오 세트(2)가 세팅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장착구조는 카오디오 세트(2)를 차량의 대시 보드(14)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16)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8)를 카오디오 세트(2)의 메인 섀시(4)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장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 섀시(4)에 나사체결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대시 보드(14)에 형성한 카오디오설치부(16)에 카오디오 세트(2)를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오디오 세트(2)의 메인 섀시(4) 양측면을 절개하여 상기 카오디오설치부(16) 내측에 형성한 장착홈(18)에 끼워지는 후크(10)를 구비한 장착부(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KR2019970038434U 1997-12-19 1997-12-19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KR199900259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434U KR19990025909U (ko) 1997-12-19 1997-12-19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434U KR19990025909U (ko) 1997-12-19 1997-12-19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09U true KR19990025909U (ko) 1999-07-15

Family

ID=6967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434U KR19990025909U (ko) 1997-12-19 1997-12-19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9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5909U (ko)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KR100530135B1 (ko) 차량 스티어링 휠의 오디오 스위치 취부 구조
KR970000617Y1 (ko) 차량의 카울그릴조립용 보호재
KR200153578Y1 (ko) 에어컨 실외기 모터 취부구조
KR200342853Y1 (ko)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의 브러시 어셈브리 구조
KR100193170B1 (ko) 헤드램프 스페이서의 취부구조
KR19980038622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JP2001239859A (ja) メータ装置の取付構造
JPH019072Y2 (ko)
KR200195916Y1 (ko)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20010061250A (ko)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KR100275152B1 (ko) 범퍼 페시아 엔드 취부구조
KR200168625Y1 (ko) 카오디오의 취부구조
KR970005201Y1 (ko) 자동차용 후방복합등의 취부구조
KR0123493Y1 (ko) 자동차의 천장 패널 취부구조
KR100188781B1 (ko) 자동차의 루프 장착용 안테나 취부구조
KR100445359B1 (ko)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 장착구조
KR19990009973U (ko) 엔진 마운트 부쉬의 장착구조
KR980007926U (ko) 인스트루먼트판넬에 부착되는 판넬의 고정구조
KR19980062469A (ko) 인스트러먼트판넬 바디의 마운팅구조
KR19990021418U (ko) 자동차의 도어 도어풀핸들 마운팅 구조
KR19990025911U (ko) 카오디오의 섀시 조립구조
JP2003137049A (ja) 自動車用スイッチ装置
KR19980051005A (ko) 자동차의 후드오픈용 레버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