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876U - 터미널 블록 - Google Patents

터미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876U
KR19990024876U KR2019970037362U KR19970037362U KR19990024876U KR 19990024876 U KR19990024876 U KR 19990024876U KR 2019970037362 U KR2019970037362 U KR 2019970037362U KR 19970037362 U KR19970037362 U KR 19970037362U KR 19990024876 U KR19990024876 U KR 199900248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terminal
fixed
temperature sens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6980Y1 (ko
Inventor
배준집
Original Assignee
배준집
동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집, 동아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준집
Priority to KR2019970037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98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01R9/18Fastening by means of screw or nu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은 볼트고정부의 부싱이 블록본체에서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므로서 단자의 삽입고정이 측면에서 가능하게 되어 단자고정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터미널블록을 소형화할 수 있어 터미널블럭의 설치가 용이하며, 덥개에 온도센서를 고정하는 고정벽을 설치하므로서 용이하게 온도센서를 설치가능하게 되어 작업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블록
본 고안은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미널블록을 소형화하여 가용공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터미널블록에의 단자의 삽입고정을 용이하게 하여 단자고정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온도센서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터미널블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단에 볼트고정이 형성되어 볼트고정공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터미널블록의 크기가 커져 넓은 가용고정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어려울 뿐더러 모든 제품이 소형화 콤팩트화되는 추세에 맞출수 없어 그 선호도가 점점 저감되고 있는 실정이며 열감지용 온도센서 등의 설치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터미널블록의 몸체중간에 볼트고정공을 형성한 것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볼트공정공 때문에 반드시 단자를 위에서 삽입하여야 하며, 단자를 삽입한 후 뚜껑을 조립하기 전에는 단자를 고정시켜 주는 것이 없어 조립시 단자가 흐트러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단자를 위에서 끼우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제품 또한 온도센서를 지지하는 고정구조가 없어 온도센서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블록의 볼트고정부를 블록본체의 중간에 형성시켜 터미널블록을 소형화하여 가용공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볼트조립시 볼트 고정부의 파손이 방지되며 단자의 삽입고정이 측면에서 가능하게 되므로서 삽입고정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온도센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덥개에 형성시키므로서 온도센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터미널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터미널블록의 블록본체의 중간부위에 볼트고정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볼트고정부는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블록본체의 중간에 천공된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며 중앙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삽입공의 걸림턱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의 하부로 연장고정부가 형성된 부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저면에 끼워지는 덥개상에는 온도센서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따른 터미널블록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고정 덮개에 온도센서의 고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터미널블록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본체2 : 구획벽
3 : 볼트고정부4 : 덮개
31 : 삽입공32 : 부싱
41 : 고정벽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A)은 다수의 구획벽(2)이 형성되고 볼트고정부(3)를 구비한 블록본체(1)의 저면에 온도센서(S)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덥개(4)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블록 본체(1)의 중간에 형성된 볼트고정부(3)는 삽입공(31)과 상기 삽입공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싱(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공(31)은 그 하단에 상기 부싱(32)의 상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1a)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32)은 그 중앙에 고정볼트(도시않함)가 통과되는 관통공(32a)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삽입공(31)의 걸림턱(31a)에 걸리는 단턱(32b)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이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고정부(32c)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첫 번째 핵심은 볼트고정부(3)가 삽입공(31)과 상기 삽입공에 착탈가능하게 조립고정되는 부싱(3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작용효과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된다. 상기 블록본체의 저면에는 온도센서(S)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덥개(4)가 고정된다. 본 고안의 특정적인 두 번째 핵심은 덥개(4)의 삼면에 온도센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덥개(4)의 일측모서리에는 온도센서(S)가 끼워지는 고정벽(41)이 형성되고 온도센서의 접속선(S1)이 고정되는 지지봉(42)이 수개가 인입구(43) 쪽으로 도열되게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4는 부싱(32)의 하단이 지나는 통공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온도센서(S)를 지지벽(41)에 고정하고 온도센서의 접속선(S1)을 지지봉(42) 사이에 엇갈리게 지지되게 고정하고 고정된 접속선(S1)을 인입구(43)쪽으로 인출시키면 온도센서는 간단하게 덥개(4)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덥개(4)에 온도센서를 고정한 후, 블록본체(1)의 구획벽(2) 사이로 단자(5)를 삽입시키면 단자(5)는 블록본체(1)의 출입공(11)을 통과하게 되고 고정볼트(51)로 고정하면 단자의 고정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부싱(32)을 삽입공(31)을 통해 삽입시키면 부싱(32)의 단턱(32b)이 삽입공의 걸림턱(31a)에 걸리게 되고 고정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하면 터미널블럭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단자(5)의 삽입전에 부싱(32)이 삽입공(31)을 통해 고정되면 단자중 볼트고정부(3)에 인접한 2번 및 3번 단자(5')(5")는 부싱(32)의 연장고정부(32c)에 걸려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볼트고정부(3)의 부싱(32)이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터미널블록의 측면에로의 단자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단자의 측면에로의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삽입된 단자는 구획벽(2)에 의해 지지되므로 흐트러지지 않게 배열가능하므로서 단자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터미널블럭(A)의 고정시 볼트고정부(3)에 고정볼트에 의한 과도한 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볼트 고정부(3)의 부싱(32)이 분할 되어 있으므로 과도한 하중시에는 부싱이 회전하게 되므로 볼트고정부의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은 볼트고정부의 부싱이 블록본체에서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므로서 단자의 삽입고정이 측면에서 가능하게 되어 단자고정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터미널블록을 소형화할 수 있어 터미널블럭의 설치가 용이하며, 덥개에 온도센서를 고정하는 고정벽을 설치하므로서 용이하게 온도센서를 설치가능하게 되어 작업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구획벽을 가지며 중간에 볼트고정부가 형성되고 다수의 단자가 고정되는 블록본체를 갖는 터미널블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부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에 삽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부의 삽입공은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은 상기 삽입공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블록.
  3. 제1항애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덥개에는 온도센서가 고정되도록 일측모서리에 고정벽이 형성되고 인입구쪽으로 다수의 지지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블록.
KR2019970037362U 1997-12-15 1997-12-15 터미널 블록 KR200196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362U KR200196980Y1 (ko) 1997-12-15 1997-12-15 터미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362U KR200196980Y1 (ko) 1997-12-15 1997-12-15 터미널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876U true KR19990024876U (ko) 1999-07-05
KR200196980Y1 KR200196980Y1 (ko) 2000-10-02

Family

ID=1951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362U KR200196980Y1 (ko) 1997-12-15 1997-12-15 터미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9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42Y1 (ko) * 2008-01-10 2010-12-21 주식회사 아이파워 온도테이프가 구비된 전선 연결구
KR200471285Y1 (ko) * 2013-12-27 2014-02-13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조립식 터미널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980Y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934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motor vehicle
US5817975A (en) Housing with integral mounting bracket
KR19990024876U (ko) 터미널 블록
JPH0582037B2 (ko)
KR100547277B1 (ko)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KR880003259Y1 (ko) 튜너지지장치
JPS6041999A (ja) 電気アイロン
KR19980041693U (ko) 차량용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구조
FI77739B (fi) Drossel eller smaotransformator.
KR970005594Y1 (ko) 어댑터
KR100221406B1 (ko) 개선된 피씨비 프레임을 구비하는 티브이씨알 결합 구조물
KR200148343Y1 (ko) 자동차용 와이어 고정클립구조
KR970005589Y1 (ko) 휴즈가 내장된 직류잭
JP3151283B2 (ja) 回路遮断器の補助端子台
KR19990042167U (ko) 개량 콘센트
KR950000036Y1 (ko) 버스용 천정 자연 환기구 하우징
KR19990011821U (ko) 실내바닥 설치용 배전함
JPH0131077Y2 (ko)
JPH0231115Y2 (ko)
KR19980041691U (ko) 차량용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구조
KR890003607Y1 (ko) Tv케이스에 설치되는 vtr고정장치
JP2586270Y2 (ja) プロテクタ
KR20000017282U (ko) 모니터 시그날케이블용 접지클램프
KR19980064254U (ko) 인쇄회로기판 체결구조
KR19980033818U (ko) 차량 루프의 몰딩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