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167U - 개량 콘센트 - Google Patents

개량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167U
KR19990042167U KR2019980009804U KR19980009804U KR19990042167U KR 19990042167 U KR19990042167 U KR 19990042167U KR 2019980009804 U KR2019980009804 U KR 2019980009804U KR 19980009804 U KR19980009804 U KR 19980009804U KR 19990042167 U KR19990042167 U KR 199900421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outlet body
connection
cover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19980009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167U/ko
Publication of KR19990042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167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를 개량 한것으로서, 전면에 플러그접속홈(2)이 다수개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접속판(3)(4)이 구성되는 통상의 반분 콘센트본체(1)를 일체형으로 만든후 외측벽 일정위치 양측에 접속단자(5)(6)를 노출시켜 콘센트본체(1) 내의 접속판(3)(4)에 연결시키고, 노출 접속단자(5)(6) 상하에 전선(8) 지지봉(102)(103)을 지그재그로 여러개 배치 형성시키며 콘센트본체(1) 외측벽에는 인출공(701)이 형성된 별도의 덮개(7)를 덮어 접속단자(5)(6)를 은폐시킨후 나사체결되도록 하되 덮개(7) 내면에는 콘센트본체(1)의 지지봉(102)(103)과 같은 위치에 돌출봉(702)(703)을 형성시켜 끝부가 서로 접촉 되도록 하여 노출 접속단자에 전선(8)을 접속시킬수 있도록 한다음 덮개(7)로 은폐 하므로서 안전하고 접속이 용이한 콘센트를 얻을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 콘센트
본 고안은 콘센트를 개량고안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콘센트본체를 일체형으로 만들고 외측벽에는 콘센트본체의 접속판과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노출시켜 전선을 접속시킬수 있도록 하므로서 안전하고 접속이 용이한 콘센트를 얻을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센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양분체로 되면서 일측 반분체에는 플러그접속봉과 접속되는 접속공을 다수개 가진 양·음접속판이 설치되어 각각의 접속판 일측으로 접속나사가 끼워진 전선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반분체에는 플러그요입홈과 플러그접속봉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된 양분체 중앙 상하에 전선 인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콘센트본체에 전선을 접속하려면 먼저 콘센트본체를 양분시킨다음 양·음접속나사를 풀어 접속나사의 나사봉부에 양·음전선을 각각 감고 다시 나사를 죄어 전선이 고정되게 하여 전선을 외부로 인출시켜 양분체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이는 콘센트본체를 분리하여 전선을 나사접속시킨후 콘센트본체를 다시 결합시키므로 전선접속시간이 오래 걸리는 결점이 있었을뿐만 아니라 전선이 접속나사의 나사봉부에 꼬여지면서 접속되고 접속이 완료된 전선을 인출공으로 인출시킬 때 인출되는 전선은 콘센트 본체 내부에서 아무런 지지없이 인출되므로 인출된 전선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인장력이 전선접속부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접속부에서 전선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합선 등의 전기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선 접속단자가 콘센트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한 콘센트를 안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콘센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콘센트 배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콘센트 종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본체 101 : 설치고정공
102,103 : 지지봉 2 : 플러그접속홈
3,4 : 접속판 5,6 : 접속단자
501,601 : 연결봉 7 : 덮개
701 : 인출공 702,703 : 돌출봉
704 : 관통공 8 : 전선
9 : 플러그
전면에 플러그접속홈(2)이 다수개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접속판(3)(4)이 구성되는 통상의 반분콘센트본체(1)를 일체형으로 한후 외측벽 일정위치 양측에 전선(8) 접속단자(5)(6)를 노출시켜 콘센트본체(1) 내의 접속판(3)(4)에 연결봉(501)(601)으로 연결시키고, 노출 접속단자(5)(6) 상하에 전선(8) 지지봉(102) (103)을 지그재그로 여러개 배치 형성시키며 콘센트본체(1) 외측벽에는 인출공(701)이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콘센트본체(1)의 설치고정공(101)과 연통되는 관통공(704)이 형성된 별도의 덮개(7)를 덮어 접속단자(5)(6)를 은폐시킨후 나사체결되도록 하되 덮개(7) 내면에는 콘센트본체(1)의 지지봉(102)(103)과 같은 위치에 돌출봉(702)(703)을 형성시켜 끝부가 서로 접촉 되도록 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선(8)을 접속단자(5)(6)와 연결할려면 콘센트본체(1) 외측벽에서 덮개(7)를 분리하여 접속단자(5)(6)를 노출시킨 다음 전선(8)을 접속시킨다.
이렇게 접속된 전선(8)을 첨부도면 도 2에서와 같이 접속단자(5)(6)상하로 지그재그 배치된 다수개의 상·하지지봉(102)(103) 중 전선(8)을 인출하자하는 방향의 지지봉(102)(103) 둘레를 통과하게 하여 전선(8)이 굴곡되도록 한 후 덮개(7)를 콘센트본체(1) 외측벽에 다시덮어 볼트로 체결하여 전선(8)이 인출공(701)을 관통하도록 하고 이와같이 전선(8) 접속이 완료된 콘센트본체(1)를 설치고정공(101)에 의거시 설치벽에 설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센트본체(1)의 전선(8) 접속을 상기한 바와같이 실시하므로 전선(8) 접속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접속된 전선(8)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지지봉(102)(103) 둘레를 통과하여 굴곡 지지되면서 인출됨은 물론 지지봉(102)(103)의 끝부와 접촉되는 덮개(7)의 돌출봉(702) (703)으로 인하여 지지봉(102)(103) 둘레를 이탈하지 못하게 되어 인출된 전선(8)에 인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전선(8) 접속부까지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합선 등의 전가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에 플러그접속홈(2)이 다수개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접속판(3)(4)이 구성되는 통상의 반분 콘센트본체(1)를 일체형으로 만든후 외측벽 일정위치 양측에 접속단자(5)(6)를 노출시켜 콘센트본체(1) 내의 접속판(3)(4)에 연결시키고, 노출 접속단자(5)(6) 상하에 전선(8) 지지봉(102)(103)을 지그재그로 여러개 배치 형성시키며 콘센트본체(1) 외측벽에는 인출공(701)이 형성된 덮개(7)를 덮어 접속단자(5)(6)를 은폐시킨후 나사체결되도록 하되 덮개(7) 내면에는 콘센트본체(1)의 지지봉(102)(103)과 같은 위치에 돌출봉(702)(703)을 형성시켜 끝부가 서로 접촉 되도록 하여서된 개량 콘센트.
KR2019980009804U 1998-05-29 1998-05-29 개량 콘센트 KR199900421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04U KR19990042167U (ko) 1998-05-29 1998-05-29 개량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04U KR19990042167U (ko) 1998-05-29 1998-05-29 개량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67U true KR19990042167U (ko) 1999-12-27

Family

ID=6950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804U KR19990042167U (ko) 1998-05-29 1998-05-29 개량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16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50080A (ja) シ―ルドマルティプル電気コネクタ
KR960002195Y1 (ko) 노이즈 필터
KR19990042167U (ko) 개량 콘센트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JPH0582037B2 (ko)
KR950004646A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JP2565749Y2 (ja) 電気接続箱の電線束引出し部の防水構造
KR19990042166U (ko) 개량 스위치
US6547578B2 (en) Multi-direction insertion socket with conductor structure
JP3482906B2 (ja) 電気接続箱
KR200287656Y1 (ko) 단자대
JP2001204124A (ja) 電気接続箱
CN213811076U (zh) Ptc端头、电加热器及空调器
KR200283210Y1 (ko) 용이한 장착구조를 갖는 전자제품의 전원 단자
US5951332A (en) Electric female connector for use in a caravan
JPS6022741Y2 (ja) 電気接続器
JP3669540B2 (ja) 電気接続箱の端子取付け構造
KR200271172Y1 (ko) 멀티소켓
KR20090073814A (ko) 다방향 조인트장치
KR200162707Y1 (ko) 모니터용 외장스피커 장착구조
JPH05144506A (ja) 防雨形ジヨイントボツクス
KR950003205Y1 (ko) 필름콘덴서용 리액터 결합구조
JPS5943663Y2 (ja) コネクタ固定装置
KR940000753Y1 (ko) 파워 코드의 고정 몰드 구조
KR200272422Y1 (ko) 유니버설 케이블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