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85Y1 - 조립식 터미널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터미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85Y1
KR200471285Y1 KR2020130010818U KR20130010818U KR200471285Y1 KR 200471285 Y1 KR200471285 Y1 KR 200471285Y1 KR 2020130010818 U KR2020130010818 U KR 2020130010818U KR 20130010818 U KR20130010818 U KR 20130010818U KR 200471285 Y1 KR200471285 Y1 KR 200471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guide
groove
bolt
bol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집
Original Assignee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10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은, 볼트고정부의 상부면에는 체결볼트의 머리가 배치되는 볼트머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고정부의 하부면에는 구획벽이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안내홈과 절개안내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내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안내돌조에 의하여 안내되게 체결되도록 측면에 종방향으로 안내절개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볼트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지지봉이 하방에서 조립되어 볼트고정부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지지되어, 하부지지봉의 직경을 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편안하게 조립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하부에서 지지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작업자가 조립이 확인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확실한 고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볼트고정부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터미널블록의 크기가 커지지 않고도 고정작업이 확실하게 수행되고, 체결나사로 터미널블록과 콘트롤박스와의 체결이 확실하게 보장되고, 터미널블록의 하부면에의 삽입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립식 터미널블록{ A terminal block }
본 고안은 조립식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미널블록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지지봉의 직경을 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편안하게 조립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하부에서 지지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작업자가 조립이 확인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확실한 고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볼트고정부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제품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므로 공간활용율이 제고되고, 체결나사와 터미널블록의 체결이 확실하게 고정되고, 터미널블록의 하부에의 삽입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터미널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단에 볼트고정공이 형성되어 볼트고정공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터미널블록의 크기가 커져 넓은 가용고정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어려울 뿐더러 모든제품이 소형화 콤팩트화되는 추세에 맞출수 없어 그 선호도가 점점 저감되고 있는 실정이며 열감지용 온도센서 등의 설치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터미널블록의 몸체중간에 볼트고정공을 형성한 것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볼트고정공 때문에 반드시 단자를 위에서 삽입하여야 하며, 단자를 삽입한 후 뚜껑을 조립하기 전에는 단자를 고정시켜 주는 것이 없어 조립시 단자가 흐트러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단자를 위에서 끼우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제품 또한 온도센서를 지지하는 고정구조가 없어 온도센서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196980에는, 다수의 구획벽(2)이 형성되고 볼트고정부(3)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1)의 중간에 형성된 볼트고정부(3)는 삽입공(31)과 상기 삽입공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싱(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31)은 그 하단에 상기 부싱(32)의 상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1a)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32)은 그 중앙에 고정볼트(도시않함)가 통과되는 관통공(32a)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삽입공(31)의 걸림턱(31a)에 걸리는 단턱(32b)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엔 이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고정부(32c)가 형성된 터미널블록이 제안되어, 볼트고정공에 의한 문제가 해결된 것은 명백하였으나, 삽입공(31)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31a)의 폭이 너무 얇아서 많은 하중이 집중되어 삽입공(31)이 형성된 블록본체(1)의 파손의 우려가 많게 되고, 위에서 밑으로 끼우다 보니까 부싱(32)의 크기가 작게 되므로 공구로 나사체결시에 부싱(32)에 힘이 가해지면 부싱(32)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로 인하여 터미널블록의 사용시에 쇼트로 인한 화재발생의 우려가 높으며, 콘트롤박스(도시되지 않음)의 나사가 형성된 체결면에 고정시에, 체결나사가 콘트롤박스에 완전하게 체결되지 않더라도 이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없으므로, 불완전하게 터미널블록이 콘트롤박스에 체결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이로 인한 많은 불편이 발생되게 되고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96980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구획벽이 형성되고 구획벽의 중간에는 볼트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구획벽내에는 수평으로 단자판이 수평으로 배치게 수평으로 개방된 단자홈이 형성된 블록본체가 구비된 터미널블록의 하부에서 하부지지봉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하부지지봉의 직경을 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편안하게 조립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하부에서 지지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작업자가 조립이 확인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확실한 고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볼트고정부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제품의 크기가 커지지 않아 공간활용율이 제고되고, 체결나사의 터미널블록의 콘트롤박스에의 고정이 확실하게 보장되고, 터미널블록의 하부면에의 삽입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터미널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다수의 구획벽이 형성되고 구획벽의 중간에는 볼트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구획벽내에는 수평으로 단자판이 수평으로 배치게 수평으로 개방된 단자홈이 형성된 블록본체가 구비된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부의 상부면에는 체결볼트의 머리가 배치되는 볼트머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고정부의 하부면에는 구획벽이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안내홈과 절개안내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내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안내돌조에 의하여 안내되게 체결되도록 측면에 종방향으로 안내절개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볼트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지지봉이 하방에서 볼트고정부의 하부면에로 조립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은, 볼트고정부의 상부면에는 체결볼트의 머리가 배치되는 볼트머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고정부의 하부면에는 구획벽이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안내홈과 절개안내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내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안내돌조에 의하여 안내되게 체결되도록 측면에 종방향으로 안내절개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볼트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지지봉이 하방에서 조립되어 볼트고정부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지지되어, 하부지지봉의 직경을 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편안하게 조립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하부에서 지지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작업자가 조립이 확인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확실한 고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볼트고정부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터미널블록의 크기가 커지지 않고도 고정작업이 확실하게 수행되고, 체결나사로 터미널블록과 콘트롤박스와의 체결이 확실하게 보장되고, 터미널블록의 하부면에의 삽입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미널블록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의 사시도의 I-I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3의 하부지지봉이 블록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획벽(51)이 형성되고 구획벽(51)의 중간에는 볼트고정부(52)가 형성되고 상기 각 구획벽(51)내에는 수평으로 단자판(6)이 수평으로 배치게 수평으로 개방된 단자홈(53)이 형성된 블록본체(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블록본체(5)의 상기 볼트고정부(52)의 상부면(52a)에는 체결볼트(8)의 머리(81)가 배치되는 볼트머리홈(52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고정부(52)의 하부면(52b)에는 구획벽(51)이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공간인 안내홈(54)과 종방향으로 돌출된 절개안내돌조(55)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54)내에는 상기 안내홈(54)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안내돌조(55)에 의하여 안내되게 체결되도록 측면에 종방향으로 안내절개홈(7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볼트(8)의 나사부(82)가 관통하는 관통공(72)이 형성된 하부지지봉(7)이 하방에서 조립되어 볼트고정부(52)의 하부면(52b)에 밀착되게 지지된다.
상기 하부지지봉(7)의 안내절개홈(71)의 상부에는 상기 절개안내돌조(55)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내절개홈(71)의 폭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절개홈(7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개안내돌조(55)에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하부지지봉(7)의 높이는, 하부지지봉(7)의 블록본체(5)의 하부면에의 삽입시에, 볼트고정부(52)의 하부면(52b)에서 블록본체(5)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A)의 설치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조립식 터미널블록(A)을 콘트롤박스의 탭이 형성된 고정판(9)에 삽입고정시에, 하부지지봉(7)의 경사절개홈(71a)을 절개안내돌조(55)의 하부에 접하게 하여 하부지지봉(7)을 밀어 넣으면, 하부지지봉(7)의 안내절개홈(71)이 절개안내돌조(55)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볼트고정부(52)의 하부면(52b)에 밀착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8)를 볼트고정부(52)상에 밀어 넣으면 체결볼트(8)의 나사부(82)가 볼트머리홈(521)을 지나 하부지지봉(7)의 관통공(72)을 통과하게 되면서 고정판(9)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8)를 체결시키면 체결볼트(8)가 고정판(9)에 확실하게 나사고정되므로 조립식 터미널블록(A)의 콘트롤박스에의 고정이 확실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지지봉(7)은 하부에서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하부지지봉(7)의 직경을 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편안하게 체결볼트(8)로 콘트롤판넬의 고정판(9)상에의 조립을 부담없이 수행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하부지지봉(7)이 하부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작업자가 조립이 확인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확실한 고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볼트고정부(52)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제품의 크기가 커지지 않아 공간활용율이 제고되고, 체결나사(8)의 터미널블록의 콘트롤박스에의 고정이 확실하게 보장되고, 터미널블록의 볼트고정부(52)의 하부면(52b)에의 삽입고정작업이 하부지지봉(7)의 안내절개홈(71)의 폭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절개홈(71a)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터미널블록은 일반적인 터미널블록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5. 블록본체 7. 하부지지봉 51. 구획벽
52. 볼트고정부 54. 안내홈 55. 절개안내돌조

Claims (2)

  1. 조립식 터미널블록(A)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터미널블록(A)은, 다수의 구획벽(51)이 형성되고 구획벽(51)의 중간에는 볼트고정부(52)가 형성되고 상기 각 구획벽(51)내에는 수평으로 단자판(6)이 수평으로 배치게 수평으로 개방된 단자홈(53)이 형성된 블록본체(5)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5)의 상기 볼트고정부(52)의 상부면(52a)에는 체결볼트(8)의 머리(81)가 배치되는 볼트머리홈(52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고정부(52)의 하부면(52b)에는 구획벽(51)이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공간인 안내홈(54)과 종방향으로 돌출된 절개안내돌조(55)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54)내에는 상기 안내홈(54)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안내돌조(55)에 의하여 안내되게 체결되도록 측면에 종방향으로 안내절개홈(7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볼트(8)의 나사부(82)가 관통하는 관통공(72)이 형성된 하부지지봉(7)이 하방에서 조립되어 볼트고정부(52)의 하부면(52b)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미널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봉(7)의 안내절개홈(71)의 상부에는 상기 절개안내돌조(55)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내절개홈(71)의 폭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절개홈(7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미널블록
KR2020130010818U 2013-12-27 2013-12-27 조립식 터미널블록 KR200471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818U KR200471285Y1 (ko) 2013-12-27 2013-12-27 조립식 터미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818U KR200471285Y1 (ko) 2013-12-27 2013-12-27 조립식 터미널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85Y1 true KR200471285Y1 (ko) 2014-02-13

Family

ID=5141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818U KR200471285Y1 (ko) 2013-12-27 2013-12-27 조립식 터미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08Y1 (ko) * 2015-11-18 2017-04-20 카이스전자(주) 터미널 블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980Y1 (ko) * 1997-12-15 2000-10-02 배준집 터미널 블록
KR200443788Y1 (ko) * 2007-05-07 2009-03-12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전선단자 보호용 압착판이 구비된 터미널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980Y1 (ko) * 1997-12-15 2000-10-02 배준집 터미널 블록
KR200443788Y1 (ko) * 2007-05-07 2009-03-12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전선단자 보호용 압착판이 구비된 터미널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08Y1 (ko) * 2015-11-18 2017-04-20 카이스전자(주) 터미널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94509U (zh) 一种钎头批量铣槽用辅助夹持装置
KR200471285Y1 (ko) 조립식 터미널블록
CN205476234U (zh) 一种装饰板的连接结构
KR200458898Y1 (ko)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의 조인헤드 결합구조
CN103600326B (zh) 一种扭力可调式螺丝刀
CN203645029U (zh) 一种便于组装的插座
US9807904B2 (en) Mounting frame and rail for electronics and instrumentation enclosure
KR20130005427U (ko) 공작물 클램핑용 바이스
KR101359247B1 (ko) 파이프 지지장치
CN206662787U (zh) 一种机械加工用夹具
CN202544492U (zh) 一种栅栏横杆和竖杆卡接结构
KR20140004565U (ko) 턴오버 부재 지지용 장치
JP6127292B2 (ja) 接続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5921412B2 (ja) 断熱材の支持具の使用方法
KR20110011938U (ko)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
JP5231037B2 (ja) パネル固定具
JP2009281423A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CN203522614U (zh) 光伏支架用铝型材
CN205546247U (zh) 一种c型材固定连接件及c型材机柜
KR200320783Y1 (ko) 케이블 랙 클램프
CN202111109U (zh) 一种新型电池板支架结构
CN203362729U (zh) 办公桌挡板的安装结构
JP3174074U (ja) 電気機器収容ケース
KR20045954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의 연결구조
CN215966734U (zh) 一种行星齿轮加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