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742A - 효소 복합체 - Google Patents

효소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742A
KR19990023742A KR1019980033813A KR19980033813A KR19990023742A KR 19990023742 A KR19990023742 A KR 19990023742A KR 1019980033813 A KR1019980033813 A KR 1019980033813A KR 19980033813 A KR19980033813 A KR 19980033813A KR 19990023742 A KR19990023742 A KR 1999002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ye
xylanase
soy flour
distilled liquor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218B1 (ko
Inventor
만프레드 링펠
Original Assignee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Publication of KR1999002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77Hemicellulases not provided in a preceding group
    • C12N9/248Xylanases
    • C12N9/2482Endo-1,4-beta-xylanase (3.2.1.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8Endo-1,4-beta-xylanase (3.2.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밀의 증류폐액에서 고형 성분을 제거하고, 물 및 다른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서 비휘발성 성분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상기로부터 생성된 호밀 농축액의 묽은 증류폐액을 오토클레이빙시킴으로써 전처리된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stillage)을 크실라나제 유도 물질인 동시에 탄소 공급원으로서 배양에 사용하는, 크실라나제를 생성하는 미생물인 트리코더마(Trichoderma) 속을 영양 배지에서 배양하므로써 크실라나제가 풍부한 효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방법의 다른 특징에서, 탈유 대두분(de-oiled soya meal) 또는 대두분 액이 추가의 크실라나제 유도 물질 및 질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되며, 탈유 대두분 또는 대두분 액을 전처리된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에 첨가하므로써 크실라나제 생성이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조되는 효소 복합체는 동물 사료 산업, 특히 사육 조류 영양물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밀, 보리 또는 라이밀을 함유한 사료에서의 효소 복합체의 사용은 비전분성 다당류의 반영양 작용(antinutritive action)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유리한 영향을 미치며, 동물 장에서 영양물의 소화능 및 흡수성을 개선시킨다.

Description

효소 복합체
본 발명은 호밀의 전처리된 묽은 증류폐액을 크실라나제(xylanase) 형성의 유도 물질로서 사용하여 크실라나제가 풍부한 효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발효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크실라나제는 크실란(또는 우드 검(wood gum))을 크실로즈와 다른 당으로 가수분해하는 헤미셀룰라제에게 주어진 효소의 이름이다. 이 효소는 엔도-1,4-β-D-크실라나제 또는 1,4-β-D-크실란 크실라노히드로라제로도 알려져 있으며, EC 3.2.1.8 효소류에 속한다. 크실란은 상이한 조성의 짧은 측쇄를 갖는 1,4-β-글리코사이드 연결된 D-크실로피라노즈로부터의 다당류이며, 분자내에 아라비노즈, 글루코즈, 갈락토즈 및/또는 글루쿠론산 뿐만 아니라 아세틸기와 메틸기를 함유하는 것으로, 많은 낙엽수와 침엽수의 성분일 뿐만 아니라 곡류, 겨, 펙틴, 트래거캔스 고무 및 식물 검 등의 성분이다. 이들이 나무에 존재하는 것을 고려할 때, 크실란은 가장 광범위한 각종 천연 물질에 속한다. 이들의 구조적 상이함을 고려할 때, 분지되고 부분적으로 아세틸화된 크실란을 완전히 분해하려면 크실란을 크실로즈와 다른 당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다양한 크실라나제의 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크실라나제의 작용 방식은 복잡하며, 항상 다른(어느 정도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와 함께 알려져 있다.
크실라나제는 트리코더마(Trichoderma), 페니실리움(Penicillium), 아스퍼길러스(Aspergillus), 타라로마이시스(Talaromyces) 및 스포로트리쿰(Sporotrichum)과 같은 균류; 및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바실러스(Bacillus), 터모논스포라(Thermononspora) 및 루미노코커스(Ruminococcus)와 같은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다. 크실라나제는 셀룰로즈 산업에서 주로 증백제로서 사용되고 최근에는 동물 사료의 제조에서 사용된다. 동물 사료의 용도에 있어서, 호밀, 보리 또는 라이밀을 함유하는 사료에서 외인성 효소(예: 크실라나제)의 사용에 관한 연구는 비전분성 다당류의 반영양 작용을 감소시키는데 대한 각 제제의 유익한 영향 및 동물 장에서의 영양분의 개선된 소화능 및 흡수성에 관한 것이다. 가장 중요한 효소 그룹은 최근에 특히 영계 사육시 사용되는 것으로, 보리, 밀 및 호밀과 같은 곡류 형태에 존재하는 비전분성 다당류를 가수분해시킬 수 있는 효소로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효소를 함유하는 여러 제제는 예컨대 록사자임(Roxazyme; 로슈(Roche)의 등록 상표이며, 주요 효소로서 셀룰라제, β-글루카나제 및 크실라나제를 함유한다)와 같이 이미 시판된다. 이러한 제제는 동물 사료에서의 전술한 이점 때문에 동물 사료와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크실라나제가 풍부한 효소 복합체는 이들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매우 유용한 물질로서 작용한다. 사육 조류의 영양물중 사료 첨가제로서의 크실라나제의 용도는 중요한 사용 분야를 나타내며,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에너지가 부족한 곡류 형태(예: 보리, 오트, 호밀 및 라이밀)에서 얻어지는 영양가와 비교할 때 영계 사료의 영양가는 실질적으로 증가되게 제조된다(문헌[Mh. Vet. Med. 48, 214-217 (1993)] 및 이에 언급된 문헌 참조].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탄소 공급원, 질소 공급원 및 특정 염을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크실라나제를 생성하는 미생물인 트리코더마 속을 배양하고, 형성된 크실라나제가 풍부한 (또한 동시에 셀룰라제와 β-글루카나제가 감소된) 효소 복합체의 영양 배지로부터 단리시키므로써 상기 효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트리코더마 속 미생물은 셀룰로즈 분해를 뚜렷이 우선시하는 다당류 분해 활성의 전구체로서 효과적이다(즉, 상기 활성은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즈 분해 경향이다). 특히 크실란 분해 활성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목적으로 상기 활성 스펙트럼을 변화시키기 위해 많이 시도하였다. 이 때문에, 크실라나제 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영양 배지(발효 배지)에 크실란-함유 물질을 첨가하여 왔다. 정제된 크실란, 밀 기울, 보리 영, 분쇄 옥수수 속(옥수수 속 가루), 짚, 및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이 이들의 예이다. 이는 활성 스펙트럼을 보다 높은 크실라나제 활성 쪽으로 옮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기술 배경으로서 독일 특허 명세서 DD 278 359호 및 DD 291 673호; 유럽 특허 공개공보 0 455 928호; 문헌 [Appl. Microbiol. Biotechnol. 40, 224-229 (1993)]; 및 [Enzyme Microb. Technol. 18, 495-501(1996)]을 참조한다). 특히, 이러한 유도 물질의 효과는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을 사용하는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 미생물의 성장 및 효소 형성에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에는 놀랍게도, 물 및 다른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키므로써 유도 물질로서 사용된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을 특수하게 전처리하면 호밀의 본래 묽은 증류폐액의 활성을 억제하는 전술된 불리함을 상쇄시키는 동시에 유도 물질의 활성을 증가시켜서, 이와 같이 처리된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의 농축된 형태는 사용하기에 유리함이 밝혀졌다. 처리 결과로서 유도된, (발효조에서) 미생물의 배양중에 이루어지는 효소 형성은 효소 스펙트럼에 상당한 변화를 제공한다. 크실란 분해 활성은 다른 효소의 활성, 즉 셀룰로즈 분해 활성과 글루카나제 분해 활성을 수 백% 초과한다. 놀랍게도, 크실라나제에 유리하도록 크실라나제 대 셀룰라제의 비가 이동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영양 배지에서 크실라나제를 생성하는 미생물인 트리코더마 속을 배양하므로써 크실라나제가 풍부한 (또한 동시에 셀룰라제 및 β-글루카나제가 감소된) 효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크실라나제의 형성을 유도하는 시약(이후, 크실라나제 유도 물질이라 함)인 동시에 탄소 공급원으로서 호밀의 전처리된 묽은 증류폐액을 배양에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이때 상기 전처리는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으로부터 고형 성분을 제거하고, 물 및 다른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서 비휘발성 성분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이로부터 생성된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을 오토클레이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크실라나제가 풍부한 효소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실라나제-생성 미생물인 트리코더마 속으로서, 특히 야생 균주 QM 6a(예: QM 9123, Q 9414, M 18.2, M 18.2-y, Rut M-7 및 Rut NG-14)로부터 유도된 트리코더마(T.) 리세이(reesei)가 고려된다(몬테네코트(Bland S. Montenecourt)의 문헌[Trichoderma reesei cellulases, Trends in Biotechnology, Vol.1, No.5, pages 156-160, 1983] 및 이에 언급된 문헌을 참조한다).
전술된 미생물 균주의 일부, 즉 QM 6a가 ATCC 13631, CCM F-560, CMI-45548, DSM 768로서, QM 9123이 ATCC 24449로서, QM 9414가 ATCC 26921, CCM F-522, DSM 769로서, M 18.2가 DSM 10683로서, 또한 M 18.2-y가 DSM 7537로서 기탁되었다.
트리코더마 리세이 미생물 균주인 QM 6a, QM 9123 및 QM 9414는 국제 기탁자 당국의 목록, 예를 들면 도이췌 잠룽 폰 미크로오르가니스멘 운트 첼쿨투렌 게엠베하(DSM; Deut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및/또는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및 다른 공급원에서 시판한다. 미생물 균주 M 18.2는 장기 보관을 위해 1996년 5월 14일자로 독일 데-12489 베를린 루도베르 차우씨 5 소재의 바이오프락트 게엠베하(Biopract GmbH)에 의해 DSM에 기탁되어 수탁번호 DSM 10683번을 받았고, 1998년 6월 12일자로 DSM은 바이오프락트 게엠베하로부터 부다페스트조약하의 기탁으로 전환시켜 달라는 신청서를 접수하였다. 결국, 미생물 균주 M 18.2-y는 1989년 8월 31일자로 부다페스트조약하에 제나에서 젠트랄인스티튜트 퓌어 미크로비엘레 운트 엑스페리멘텔레 테라피(ZIMET; Zentralinstitut fur mikrobielle und experimentelle Therapie)에서 본래대로 기탁되어 수납번호 IMET 43915번을 받았다. 1993년 3월 4일자로 상기 균주는 브라운쉬바이히에서 DSM으로 양도되어 새로운 수탁번호 DSM 7537번을 받았다. 소유권 변동에 의해 미생물 균주 트리코더마 리세이 M 18.2-y는 최종적으로 에프 호프만-라 롯슈 아크리엔게젤샤프트의 소유가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크실라나제 유도 물질인 동시에 탄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되는 호밀의 전처리된 묽은 증류폐액은 곡물 증류소에서 얻을 수 있는 일반적으로 폐기 생성물로 여겨지는 묽은 증류폐액(찌꺼기 또는 증류소의 양조 찌꺼기)으로부터 발생한다. 호밀의 (미처리된) 묽은 증류폐액은 하기의 공지된 방식으로 호밀로부터 주정 생산된다. 호밀, 물 및 효소(엑소- 및 엔도글루카나제)를 기본으로하여, 호밀 전분을 알코올로 발효시키는 것은 약 30℃에서 3일에 걸쳐 효모에 의해 이루어진다. 알콜을 증류한 후, 호밀 전분을 함유하지 않은 혼합물이 대개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으로서 남는다.
다른 배치(batch)로부터의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의 성분은 천연 생성물에서 일반적인 변화를 거쳐 주로 탄수화물(셀룰로즈, 헤미셀룰로즈, 펜토산), 소량의 알부민, 미네랄 물질 및 지방 뿐만 아니라 잔량의 에탄올과 다른 이스트 발효 생성물을 포함한다.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의 전처리는 필수적으로 고형 성분의 제거, 비휘발성 성분의 농축 및 수득된 농축물의 오토클레이빙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처리 단계는 하기의 바람직한 특징을 갖는다.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의 고형 성분은 플레이트 분리기(예: 독일 오엘드 소재의 웨스트팔리아 세퍼레이터 아게(Westfalia Saparator AG)의 SA 1 유형)를 사용하는 윗물 따라내기 및 분리에 의해 제거한다. 폐기할 고형 성분-함유 분획물의 부피는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의 부피의 약 30 내지 약 50%에 이른다.
약 40 내지 약 50℃의 비등 온도에서 상기 온도에 상응하는, 호밀의 고형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묽은 증류폐액의 증기압에서 진공 회전 증발기(독일 제나 소재의 숏트 앤드 겐(Schott Gen)사의 VUV 20-I 유형)를 사용하여서 호밀의 고형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묽은 증류폐액중 비휘발성 성분을 농축한다. 이러한 조건하에, 호밀의 고형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묽은 증류폐액의 원하는 부피 감소, 즉, 약 80 내지 약 90%의 감소가 약 1시간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비휘발성 성분의 농축은 약 1:5 내지 약 1:10(약 5 내지 약 10배)에 이른다.
호밀의 농축시킨, 고형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묽은 증류폐액을 약 30분 이상동안 약 121℃(편의적으로 121±1℃)에서 오토클레이빙한다.
호밀의 전처리된 묽은 증류폐액 뿐만 아니라 다른 탄소 공급원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영양 배지로 고려되며, 예를 들어 특히 락토즈, 셀룰로즈, 크실란, 밀 기울, 글루코즈 시럽, 및 옥수수가 담긴 분사 건조된 액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추가의 탄소 공급원은 락토즈, 셀룰로즈 및 귀리 영의 크실란이다.
영양 배지의 질소 공급원으로서, 특히 황산 암모늄((NH4)2SO4), 암모니아-물(NH3-H2O) 및 탈유 대두분(유기 질소 공급원으로서)이 고려된다. 질소 함량은 편의적으로 탄소 공급원을 기준으로 20% 이상에 이른다.
인산 중수소화칼륨(KH2PO4)이 예컨대 영양 배지에 대한 인 공급원으로서 고려된다. 인 함량은 편의적으로 탄소 공급원을 기준으로 2.5중량% 이상에 이른다.
영양 배지는 편의적으로 추가의 염을 함유하며, 특히 황산 마그네슘, 황산 철, 황산 망간 및 황산 아연 뿐만 아니라 염화 칼슘과 염화 코발트가 고려된다.
영양 배지의 추가적인 성분으로서 소포제, 예컨대 M-30(독일 하이델베르그의 서바 페인바이오케미카(Serva Feinbiochemica), 글라나폰(Glanapon) DG 102(오스트리아 비엔나 브세티 소재) 또는 MAZU 8005(아일랜드 코르크 소재의 퀘스트 인터내셔날(Quest International))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배양 배지의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10배로 농축한 전처리된 묽은 증류폐액 약 35 내지 약 45g/ℓ, 바람직하게는 약 40g/ℓ을 편의적으로 사용한다. 트리코더마 리세이의 접종원의 부피는 편의적으로 배양 배지의 전체 부피의 약 10%에 이른다.
배양을 위한 pH 값은 편의적으로 약 5.5 내지 약 6.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6.0이다. 배양 배지에서의 pH 값은 약 12.5 내지 약 25%의 농도(NH3기준)로 암모니아-물을 사용하여 편의적으로 조정한다.
배양 온도는 편의적으로 약 28 내지 약 34℃, 바람직하게는 약 31℃이다.
사용되는 발효 장치는 외부 감염을 차단하도록 조심해야 하는 전적으로 통상적인 배양 용기(발효조)일 수 있다. 이러한 배양 용기는 일반적으로 특히 교반 장치 및 공기 공급용 기화 장치를 가지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배양이 미생물의 호기성 침지 배양이기 때문이다. 교반 속도 및 공기 공급은 편의적으로 배양 배지중 산소 함량이 산소 포화치의 약 10% 미만으로 감소하지 않게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에는 제 1 단계(배치상)가 배치 발효, 및 이어서 기질 도입 단계(공급 배치상(fed batch phase))를 포함하는 이른바 공급 배치법이 특히 적합하다.
배치상은 영양 배지에서 균사체를 배양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발효조의 도입(접종)은 편의적으로 하기 (i) 내지 (iii)의 3개 단계로 이루어진다:
(i) 미생물의 보존 저장물로부터 경사 아가 배양물의 분생자를 멸균 수돗물로 세정한다. 이 물은 편의적으로 유화제, 예컨대 Tween 80(등록상표;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약 1g/ℓ의 농도)를 함유한다. 이 분생자 현탁액은 적합하게는 5 x 108개의 분생자/ℓ 이상, 특히 5 x 108내지 1 x 109개의 분생자/ℓ로 조정한다.
(ii) 탄소 공급원으로서 글루코즈 또는 셀룰로즈, 또는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우레아, 펩톤 및 미량의 원소(예를 들어 하팔라(R. Haapala), 팍키넨(E. Parkkinen), 수오미넨(P. Suominen) 및 링코(S. Linko)의 문헌[Production of extracellular enzymes by immobilized Trichoderma reesei in shake flask cultures, Appl. Microbiol. Biotechnol. 43, 815-821 (1995)]을 참조한다)를 기본으로하여 트리코더마 리세이 속의 미생물을 위한 공지된 영양 배지를 함유한 진동 플라스크에 (i) 단계에서 생성된 분생자 현탁액을 주입한다. 분생자 현탁액 대 영양 배지의 부피비는 편의적으로 약 1:25 내지 약 1:50이다. 이 진동 플라스크에서, 분생자를 약 31±1℃(30 내지 32℃), 편의적으로는 약 31℃에서 약 200 내지 약 300rpm, 바람직하게는 약 250rpm의 진동 빈도로, 충분히 분지된 균사체를 갖는 배양 배질이 형성되는 시점까지 배양한다. 포자 형성이 인지되지 않아야 한다.
(iii) (ii) 단계에서 생성된 배양 배지를 발효조에 주입하여 발효조내의 배양 배지 대 영양 배지의 부피비가 편의적으로 약 1:5 내지 약 1:10, 바람직하게는 약 1:5가 되게 한다.
효소의 형성은 주로 후속의 공급 배치상에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도 물질로서 호밀의 전처리된 묽은 증류폐액, 유기 질소 공급원으로서 탈유 대두분 또는 대두분 액 및 탄소 공급원으로서 락토즈로 이루어진 기질 용액의 첨가(기질의 도입)는 조절 장치, 또는 균사체중 특정한 이산화탄소 방출의 분석적 공정의 조절에 의해 적절히 조절된다. 기질 도입은 예컨대 발효로부터의 배기 가스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의해 조절되거나 또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시간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추가의 탈유 대두분 또는 대두분 액이 (추가적인) 질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탈유 대두분 또는 대두분 액을 호밀의 전처리된 묽은 증류폐액에 첨가하므로써 크실라나제의 생성이 더욱 증가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탈유 대두분 또는 대두분 액이 크실라나제 유도 물질의 작용을 갖는 것으로 추측된다.
탈유 대두분은 편의적으로 시판되는 분쇄 대두 제품이다. 배양 배지에서 탈유 대두분의 농도는 편의적으로 배치상에서 1ℓ의 영양 배지당 약 20 내지 30g이고, 공급 배치상에서 편의적으로 1ℓ의 기질 용액당 약 15 내지 25g/ℓ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약 25g/ℓ 및 약 20g/ℓ이다.
택일적으로 사용되는 대두분 액은 탈유 대두분 성분의 수용액이다. 대두분 액은 탈유 대두분을 물에 현탁(약 35g/ℓ)하여 제조한다. 이 현탁액을 약 10분동안 끓이고, 실온까지 냉각시킨후에 고형 성분을 여과로 제거한다. 고형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여액(대두분 액)의 부피는 여과시키기 전의 대두분 현탁액 부피의 약 80%에 이른다. 대두분 액은 바람직하게는 공급 배치상에서 탈유 대두분에 대한 대안물로서 사용되며, 대두분 액의 부피는 탈유 대두분의 칭량된 양에 상응한다.
호밀 농축액의 묽은 증류폐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중 고형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분획물을 진공하에 약 50℃에서 7.5배로 농축시키고 121℃에서 약 30분동안 오토클레이빙시켰다.
배치상에 사용하기 위한 영양 배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락토즈 20.8g/ℓ, 미세결정질 셀룰로즈 8.3g/ℓ, 탈유 대두분 25g/ℓ, 호밀 농축액의 묽은 증류폐액 33.3㎖/ℓ, KH2PO43.75g/ℓ, (NH4)2SO46.0g/ℓ, MgSO4·7H2O 0.5g/ℓ, CaCl2·2H2O 0.5g/ℓ, FeSO4·7H2O 6.25㎎/ℓ, MnSO4·H2O 2.0㎎/ℓ, ZnSO4·7H2O 1.75㎎/ℓ 및 CoCl2·6H2O 2.5㎎/ℓ로 이루어진 영양 배지 1800㎖를 5ℓ들이 발효조에서 20분동안 121℃로 오토클레이빙시키고 12.5% 암모니아-물로 pH 6.0으로 조정하였다.
공급 배치상에 사용하기 위한 기질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락토즈 300g/ℓ, 셀룰로즈 10g/ℓ, 대두분 액 500㎖/ℓ 및 호밀 농축액의 묽은 증류폐액 107㎖/ℓ로 이루어진 기질 및 유도 물질 용액 1000㎖를 20분동안 121℃로 오토클레이빙시켰다. (대두분 액 5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대두분 20g를 물 600㎖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10분동안 끓이고 고형 성분을 여과로 제거하였다.
배치상에서 발효조를 진동중인 플라스크의 전배양물 300㎖로 접종시켰다. 적합한 접종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TWEEN 80(등록상표; 폴리에톡시소르비탄 올레이트) 1g/ℓ을 함유하는 멸균된 수돗물 약 3㎖을 각각 보존 저장물로부터 2개의 경사 아가 튜브에 도입하고, 아가 표면 둘다로부터의 분생자를 털어내었다. 다음 단계에서 영양 배지 100㎖를 각각 함유하는 3개의 진동 플라스크에 동일한 부피의 분생자 현탁액을 주입하였다. 영양 배지는 글루코즈 20g/ℓ, KH2PO415.0g/ℓ, (NH4)2SO44.8g/ℓ, CaCl2·2H2O 0.3g/ℓ, MgSO4·7H2O 0.3g/ℓ, FeSO4·7H2O 5.0㎎/ℓ, MnSO4·H2O 1.6㎎/ℓ, ZnSO4·7H2O 1.4㎎/ℓ 및 CoCl2·6H2O 2.0㎎/ℓ로 이루어졌다. 그 다음, 진동중인 플라스크 전배양물을 약 250rpm의 진동 빈도에서 31℃로 배양하였다. 배지의 pH 값은 조정하거나 조절하지 않는다. 배양 초기의 pH 값은 약 5이었으나, 말기에는 약 3.5이었다. 약 28시간의 배양 주기후에, 발효조에 진동중인 플라스크 전배양물을 주입하였다. 12% 암모니아-물을 사용하여 pH 값을 6.0으로 조정하였다. 교반기 캐스캐이드(cascade) 조절을 이용하여 31℃에서 산소 함량을 약 10%의 산소 포화치로 고정시켰다. 21시간동안 배양한 후, 발효조 배기 가스에서의 제 1 CO2최대치를 초과하였고, 따라서 배치상의 말기에 이르렀다.
공급 배치상에서 사용하기 위해, 배기 가스에서 CO2함량이 제 1 최대치의 80%로 감소한 후에 기질을 불연속적으로 첨가하기 시작하였다. 각각을 첨가하여 또 CO2최대치가 되게 하였다. 배기 가스에서의 CO2함량이 이전 최대치의 80%로 감소한 후에 자동 분배식으로 첨가가 이루어졌다. 기질 용액중 첨가된 부피는 배양 배지 1ℓ당 락토즈 1.5g의 첨가에 상응하고, 50시간 발효한 배양 배지 1ℓ당 락토즈 2.0g에 상응하였다.
72시간후에 10℃로 냉각시키고 pH 값을 4.5로 조정하므로써 발효를 완료하였다. 균사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잔류한 발효 용액을 분석하였다. 발효 배지에서의 효소 활성은 크실라나제 2625U/㎖, β-글루카나제 555U/㎖ 및 카복시메틸셀룰라제(CMC아제) 330U/㎖이었다.
발효 배지중 용해된 단백질의 농도는 17.0g/ℓ에 이르렀다.
효소 및 단백질의 결정
크실라나제(엔도-1,4-β-크실라나제)의 활성을 50℃에서 20분동안 40mM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액(pH 6.0)중 0.5% 크실란 현탁액(귀리 영의 크실란, 로쓰(Roth)사)으로 접종하여 결정하였다. 크실라나제 1 유닛트(U)는 1분당 크실로즈 1몰을 해리하였다.
β-글루카나제(엔도-1,3-1,4-β-글루카나제)의 활성은 50℃에서 20분동안 40mM의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액(pH 6.0)중 0.5%의 리헤닌 현탁액(독일, 칼스루헤 소재의 칼 로쓰 게엠베하(Carl Roth GmbH))로 접종하여 결정하였다.
CMC아제(엔도 1.4-β-글루카나제)의 활성은 50℃에서 20분동안 40mM의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액(pH 6.0)중 2.0%의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나트륨염 용액(칼 로쓰 게엠베하)으로 접종하여 결정하였다. β-글루카나제 또는 CMC아제의 1 유닛트(U)는 1분당 글루코즈 1몰을 해리하였다.
비신콘산에 기준으로 로우리(Lowry)에 따른 변형된 방법(시그마(Sigma) 공정 번호 TPRO-562(미국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Sigma Chemical Co.))을 사용하여 단백질 침전(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에 이어 단백질 결정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효소 복합체를 예를 들어 호밀, 보리 또는 라이밀을 함유한 사료에서 사용하면 비전분성 다당류의 반영양 작용을 감소시키는데 대해 유리한 영향을 미치며, 동물 장에서의 영양물의 소화능 및 흡수성을 개선시킨다.

Claims (1)

  1. 호밀의 증류폐액에서 고형 성분을 제거하고, 물 및 다른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서 비휘발성 성분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상기로부터 생성된 호밀 농축액의 묽은 증류폐액을 오토클레이빙시킴으로써 전처리된 호밀의 묽은 증류폐액을 크실라나제 유도 물질인 동시에 탄소 공급원으로서 배양에 사용함을 포함하는,
    크실라나제를 생성하는 미생물인 트리코더마(Trichoderma) 속을 영양 배지에서 배양하므로써 크실라나제가 풍부한 효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8-0033813A 1997-08-21 1998-08-20 효소복합체 KR100513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114431.6 1997-08-21
EP97114431 1997-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742A true KR19990023742A (ko) 1999-03-25
KR100513218B1 KR100513218B1 (ko) 2005-10-25

Family

ID=822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813A KR100513218B1 (ko) 1997-08-21 1998-08-20 효소복합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981233A (ko)
EP (1) EP0897977B1 (ko)
JP (1) JP3831123B2 (ko)
KR (1) KR100513218B1 (ko)
CN (1) CN1184312C (ko)
AU (1) AU737987B2 (ko)
BR (1) BR9803758A (ko)
CA (1) CA2245173C (ko)
DE (1) DE59810882D1 (ko)
DK (1) DK0897977T3 (ko)
ES (1) ES221466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1233A (en) * 1997-08-21 1999-11-09 Roche Vitamin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xylanase enzyme complex from pre-treated thin stillage of rye
JP4077158B2 (ja) * 2001-01-10 2008-04-16 株式会社メニコン 植物性繊維分解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性廃棄物の処理法
CA2447383A1 (en) * 2001-06-29 2003-01-09 Biovitrum Ab Process for bulk autoclaving
EP2404929B1 (en) 2003-07-02 2014-06-18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Glucanases, nucleic acids encoding them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CN101299956A (zh) * 2004-07-02 2008-11-05 迪斯卡斯牙科有限责任公司 牵开装置
FR2881753B1 (fr) * 2005-02-09 2009-10-02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roduction d'enzymes cellulolytiques et hemicellulolytiques utilisant les residus de distillation de fermentation ethanolique d'hydrolysats enzymatiques de materiaux (ligno-)cellulosique
MX2007014229A (es) * 2005-05-19 2008-02-07 Novozymes North America Inc Produccion de enzimas.
EP2548955A1 (en) 2006-02-14 2013-01-23 Verenium Corporation Xylanases, nucleic acids encoding them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9079786B2 (en) * 2006-06-20 2015-07-14 Johannes van Leeuwen Purification of thin stillage from dry-grind corn milling with fungi
BRPI0714876B1 (pt) 2006-08-04 2022-04-19 Verenium Corporation Ácido nucleico isolado, sintético ou recombinante, cassete de expressão, vetor ou veículo de clonagem, célula bacteriana, fúngica ou de levedura transformada, polipeptídeo isolado, sintético ou recombinante, composição, bem como métodos de produção e de usos dos mesmos
US8481295B2 (en) * 2007-06-20 2013-07-09 Johannes van Leeuwen Fungi cultivation on alcohol fermentation stillage for useful products and energy savings
WO2009045627A2 (en) 2007-10-03 2009-04-09 Verenium Corporation Xylanases, nucleic acids encoding them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DK2360245T3 (en) 2008-12-17 2016-03-29 Asahi Group Holdings Ltd METHOD OF PRODUCING? -glucarlase AND XYLANASE, AND LIQUID CULTURE MEDIUM
JP2010142221A (ja) * 2009-05-08 2010-07-01 Asahi Breweries Ltd β−グルカナーゼ及びキシラナーゼの製造方法及び液体培地
JP2011041522A (ja) 2009-08-21 2011-03-03 Asahi Breweries Ltd 小麦ふすまを用いたβ−グルカナーゼ及びキシラナーゼの製造方法及び液体培地
JP2011041540A (ja) 2009-08-24 2011-03-03 Asahi Breweries Ltd 廃菌体を用いたβ−グルカナーゼ及びキシラナーゼの製造方法及び液体培地
CN101974492B (zh) * 2010-10-29 2012-08-29 东华大学 可降解棉籽壳的复合酶及其以木聚糖诱导的制备方法和应用
US9617574B2 (en) 2013-03-15 2017-04-11 Auburn University Efficient process for producing saccharides and ethanol from a biomass feedstock
CN116064487B (zh) * 2023-03-21 2024-03-26 南京高新工大生物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固定化里氏木霉高产纤维素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8359C (ko) *
DE291673C (ko) *
GB8310356D0 (en) * 1983-04-16 1983-05-18 Erba Farmitalia Anthracycline glucuronide
DD291673A7 (de) * 1986-06-04 1991-07-11 Institut Fuer Biotechnologie,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aseenzymen und zellwandlytischen enzymen
AT394730B (de) * 1990-05-08 1992-06-10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xo- und endocellulasefreier xylanase
AT394865B (de) * 1990-05-08 1992-07-10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xylanase-reichen und cellulase-armen enzymloesung
DE4017522A1 (de) * 1990-05-31 1991-12-05 Chemie Linz Deutschland Exo- und endocellulasefreie xylana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5981233A (en) * 1997-08-21 1999-11-09 Roche Vitamin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xylanase enzyme complex from pre-treated thin stillage of ry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45173C (en) 2008-01-08
CN1210147A (zh) 1999-03-10
CN1184312C (zh) 2005-01-12
KR100513218B1 (ko) 2005-10-25
EP0897977A2 (de) 1999-02-24
JPH11113568A (ja) 1999-04-27
ES2214667T3 (es) 2004-09-16
CA2245173A1 (en) 1999-02-21
AU737987B2 (en) 2001-09-06
JP3831123B2 (ja) 2006-10-11
US5981233A (en) 1999-11-09
EP0897977A3 (de) 2002-07-17
DE59810882D1 (de) 2004-04-08
BR9803758A (pt) 2000-03-28
DK0897977T3 (da) 2004-06-14
EP0897977B1 (de) 2004-03-03
AU8085898A (en) 199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218B1 (ko) 효소복합체
US4472504A (en) Hyperproducing cellulase microorganism
Gomes et al. Production of cellulase and xylanase by a wild strain of Trichoderma viride
CN102762727B (zh) 能产生用于降解木质纤维素材料的酶的宿主细胞
Battan et al. High-level xylanase production by alkaliphilic Bacillus pumilus ASH under solid-state fermentation
Sharma et al. Produc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lkali-tolerant xylanase from an alkalophilic Streptomyces sp. CD3
Moo‐Young et al. SCP production by Chaetomium cellulolyticum, a new thermotolerant cellulolytic fungus
CN111593036B (zh) 以酸性蛋白酶为主的酶制剂的制备及其菌株和应用
Haltrich et al. Formation of xylanase by Schizophyllum commune: effect of medium components
KR101918732B1 (ko) 곡물 분말 내의 단백질을 농축하는 방법
WO2009108081A1 (en) Penicillium verruculosum filamentous fungus strain producer of a highly active complex of cellulases and accessory enzymes and a method of production of biocatalyst for cellulose and hemicellulose hydrolysis
Abu-Tahon et al. Comparative study of a new alkaline L-methionin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ustus AUMC 10151 in submerged and solid-state fermentation
US10030236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enzymatic cocktail using liquid residues from a process for the biochemical conversion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Gomes et al. Production of cellulases by a wild strain of Gliocladium virens: optimization of the fermentation medium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the enzymes
RU2654564C1 (ru) Штамм мицелиального гриба TRICHODERMA LONGIBRACHIATUM TW-14-220 - продуцент целлюлаз, бета - глюканаз и ксиланаз для кормопроизводств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рмового комплексного ферментного препарата
Simoes et al. Optimization of xylanase biosynthesis by Aspergillus japonicus isolated from a Caatinga area in the Brazilian state of Bahia
Kahil et al. Economic co-production of cellulase and αamylase by fungi grown on agro-industrial wastes using solid-state fermentation conditions
Fadel et al. Clean production of xylanase from white corn flour by Aspergillus fumigates F-993 under solid state fermentation
CN108949725B (zh) 复合酶制剂的生产和纯化工艺
Haq et al.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xylanase by chemically mutated strain of Aspergillus niger GCBCX-20
Rouau et al. Production of extracellular enzyme by the white-rot fungus Dichomitus squalens in cellulose-containing liquid culture
RU2323254C2 (ru) ШТАММ МИЦЕЛИАЛЬНОГО ГРИБА PENICILLIUM FUNICULOSUM - ПРОДУЦЕНТ КОМПЛЕКСА КАРБОГИДРАЗ, СОДЕРЖАЩЕГО ЦЕЛЛЮЛАЗЫ, β-ГЛЮКАНАЗЫ, β-ГЛЮКОЗИДАЗЫ, КСИЛАНАЗЫ И КСИЛОГЛЮКАНАЗ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ЕРМЕНТНОГО ПРЕПАРАТА КОМПЛЕКСА КАРБОГИДРАЗ ДЛЯ ОСАХАРИВАНИЯ ЛИГНОЦЕЛЛЮЛО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Elisashvili et al. Dependence of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hydrolases and oxidases from Cerrena unicolor on the source of carbon and aromatic acids in culture medium
Ma et al. An overview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in Aspergillus cellulase production
Bindu et al. High-level xylanase production by alkaliphilic Bacillus pumilus ASH under solid-state fer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