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313A -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및 송신속도를 제어하는 장 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및 송신속도를 제어하는 장 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313A
KR19990022313A KR1019970708793A KR19970708793A KR19990022313A KR 19990022313 A KR19990022313 A KR 19990022313A KR 1019970708793 A KR1019970708793 A KR 1019970708793A KR 19970708793 A KR19970708793 A KR 19970708793A KR 19990022313 A KR19990022313 A KR 19990022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phase
code
subscrib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시칸트 바갈리아
요만 챠이 청 영
얀 레슬리 쿠퍼
마틴 라이세이코
Original Assignee
죠지 비.브런트
디에스씨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513172A external-priority patent/GB2301741A/en
Application filed by 죠지 비.브런트, 디에스씨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죠지 비.브런트
Publication of KR1999002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6Message passing systems or structures, e.g. que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7Multi-step acquisition, e.g. multi-dwell, coarse-fine or valid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5Synchronisation aspects using a code tracking loop, e.g. a delay-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2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by delay compensation, e.g. by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 or variations thereof, by ra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Remote access server, e.g. BRAS
    • H04L12/2874Processing of data for distribution to the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6Mapping or translating multi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35Code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7Multi-step acquisition, e.g. multi-dwell, coarse-fine or validation
    • H04B1/70775Multi-dwell schemes, i.e. multiple accumul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001/70706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using a code tracking loop, e.g. a delay 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6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with means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04B2201/7071Efficiency-related aspects with dynamic control of receiver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04B2201/7071Efficiency-related aspects with dynamic control of receiver resources
    • H04B2201/70711Efficiency-related aspects with dynamic control of receiver resources with modula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97Direct sequence modulation interference
    • H04B2201/709709Methods of preventing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08Randomization, e.g. dummy operations or us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5Software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3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8Mobile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9Initializing, personal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Amplifier, attenuation circuit, echo suppr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6Connection circuit/link/trunk/junction, bridge, router, gatew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9Modem,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2Network termination [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6Code signals,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2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6Packet switching, X.25, frame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8Local loop systems, acc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9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35Simulation, em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76Information service, downloading of information, 0800/0900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1)은 가입자 터미널(20)과 교통하는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기 위한 중앙 터미널(10)을 구비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세개의 동작모드 중 한 모드로 동작한다. 다운링크 통신 경로의 개설 동안 포착 모드에서, 다운링크 신호(212)는 높은 출력 레벨과 낮은 전송 속도로 전송하고, 수신기(202)는 낮은 전송 속도로 동작한다. 상기 다운링크 통신 경로의 개설 후 대기 모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212)는 낮은 출력 레벨과 낮은 전송 속도로 전송되고 상기 수신기(202)는 낮은 전송 속도로 동작한다. 무선 통신 전송에 대한 요구에 대하여 트래픽 모드에서, 다운링크 신호(212)가 높은 출력 레벨과 높은 전송 속도로 전송되고 수신기(202)는 높은 전송 속도로 동작하도록 조정된다. 무선 통신 전송이 완료되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대기 모드로 돌아가고 수신기(202)는 낮은 전송 속도로 동작하도록 조정된다.

Description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및 송신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은 통신망 구조 내에서 정보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송신기 및 수신기는 통신망 구조 내·외의 다른 송신기 및 수신기의 간섭을 받는다. 이러한 간섭은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송신기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송신기의 송신 전력의 제어는 각각의 송신기뿐만 아니라, 집중 위치(centralized lacation)로부터 수행되었다. 더욱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송신기의 송신 전력은 시스템내의 다른 송신기의 송신 전력에 관련하여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각각의 송신기의 송신 전력의 개량된 제어를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은 무선 전기 통신 송신을 제공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무선 링크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각 무선 링크의 포착 및 설정을 달성시에 간섭 및 지연이 발생한다. 호출이 개시될 때마다 무선 링크를 포착 및 설정하는 것은 비효과적이다. 또한, 간섭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호출이 무선 링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으로 인해 진행하는 지의 여부를 유지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호출에 대한 무선 링크를 설정하지 않아야 하고, 무선 링크의 계속되는 유지 보수에 의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에 간섭이 삽입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부수적으로, 송신기는 신호를 한가지 형태로 송신하고, 신호를 상이한 형태로 수신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시스템내의 송신기 및 수신기에 의해 이용된 상이한 형태는 다중 송신기 및 수신기 쌍으로부터의 정보를 인식하는데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더욱이, 한가지 형태를 가지는 수신기는 상이한 형태로 동작하는데 대응하는 송신기로부터 정보를 식별하는데 다량의 회로 및 소프트웨어의 지지를 필요로 한다. 부수적으로, 수신기와 송신기 사이의 위상차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경로 지연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개선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초기 및 목적이 소오스의 수신기는 하나의 위상으로 정보를 송신하고, 목적지 또는 초기 소오스의 수신기는 이상(out of phas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수신기는 수신 처리가 개시되는 데이터 스트림내의 어떠한 부분에서도 알 수는 없다. 정보를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각 프레임의 개시가 식별되는 정보를 적절하게 처리하게 된다. 프레임 정렬 정보에 대한 종례의 기술은 장애가 되고, 프레임의 인식 속도가 느리며, 정보의 프레임을 손실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처리를 달성하기 위해서 정보의 각 프레임의 개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원격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통신 경로를 설정 및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부재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포함된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관하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의 전화 가입자 터미널의 일례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의 중앙 터미널의 일례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A 는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의 중앙 터미널의 모뎀 선반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용의 주파수 계획의 일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용 셀의 가능한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 선도이다.
도 6 은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용의 코드 분할 다중 시스템의 양태를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 7 은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용의 신호 수신 처리 스테이지들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 8 은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용의 신호 수신 처리 스테이지들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 9 은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용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 경로들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 10 은 중앙 터미널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 11 은 가입자 터미널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 변조를 예시하는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가입자 터미널내의 수신기에 의하여 실행된 신호 질 평가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다운링크 신호내의 프레임 정보 신호의 콘텐트를 예시하는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다운링크 신호의 데이타 스트림 안으로의 부가 삽입을 예시하는 도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는 다운링크 신호의 부가 채널내의 출력 제어 신호를 도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다운링크 신호의 부가 채널내의 코드 동기화 신호를 도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의 각 작동 모드에 대해서 송신 출력 및 송신속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은 가입자 터미널내의 수신기와 송신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도 19 는 CDMA 신호 처리 회로를 단순화하여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 20 은 CDMA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된 클리핑 작동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 은 CDMA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된 절반 폭 인코딩 작동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 는 CDMA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된 필터링 작동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종례의 무선 시스템에 관련된 단점 및 문제점을 거의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터미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중앙 터미널의 송신기에서 가입자 터미널의 수신기까지의 다운링크(downlink)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운 링크 신호는 중앙 터미널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고, 가입자 터미널의 수신기에서 수신된다. 다운링크 신호는 가입자 터미널의 송신기와 중앙 터미널의 수신기 사이에 업링크(uplink)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서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데 이용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른 한가지 기술적 장점은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외부에서 제어한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장점은 다운링크 신호의 오버헤드 채널(overhead channel)을 통해 중앙 터미널에서 가입자 터미널로 송신되는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의 송신 전력에 대한 증가 조정을 증가시키기도 하고 감소시키기도 한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장점은 중앙 터미널에 의해 서비스된 다른 가입자 터미널의 송신 전력과 정합시키기 위해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종례의 무선 통신 기술에 관련된 단점 및 문제점을 거의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를 동기시키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를 동기시키는 방법이 다운링크 통신 경로를 중앙 터미널에서 가입자 터미널까지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신호는 중앙 터미널내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고, 가입자 터미널의 수신기에서 수신된다. 가입자 터미널의 수신기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코드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 코드 동기 신호는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기 업링크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중앙 터미널의 수신기는 업링크 신호의 위상을 모니터하고, 중앙 터미널의 수신기에서의 위상과 업링크 신호의 위상과의 정합을 얻기 위해서 코드 동기 신호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른 한가지 기술적인 장점은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의 송신 위상을 원격 조정한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장점은 중앙 터미널의 수신기에서 가입자 터미널내의 송신기의 송신 위상의 정합을 얻는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가입자 터널내의 송신기의 송신 위상을 점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중앙 터미널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내에 코드 동기 신호를 삽입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중앙 터미널내의 수신기의 위상과의 정합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입자 터미널내의 수신기의 수신 위상을 계속해서 모니터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종례의 무선 전기 통신 기술에 관련된 단점 및 문제점을 거의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다운링크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를 제 1 송신 전력 및 제 1 송신 속도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신호는 다운링크 통신 경로의 설정 후에 대기 모드(standby mode)에서 제 2 송신 전력 및 제 1 송신 속도로 송신된다. 다운링크 신호는 무선 전화 호출의 요구시 제 1 송신 전력 및 제 2 송신 속도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관한 한가지 기술적 장점은 상이한 송신 전력 및 상이한 송신 속도를 가지는 다중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장점은 시스템의 이상적인 기간 중에 낮은 송신 전력을 낮은 송신 속도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상이한 송신 전력과 상이한 속도 사이를 효과적으로 변경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종례의 무선 통신 기술에 과련된 단점 및 문제점을 거의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다운링크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장치 및/또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에 다운링크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은 중앙 터미널내의 송신기로부터 마스터 코드 시퀀스(master code sequence)를 가지는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신호는 슬레입 코드 시퀀스(slave code sequence)를 가지는 가입자 터미널내의 수신기에서 수신된다. 가입자 터미널내의 수신기는 수신기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를 코드 및 위상 정합에 대해 다운링크 신호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 비교한다. 수신기는 마스터 코드의 위상을 정합시키기 위해 수신기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조정하여 중앙 터미널내의 송신기에서 가입자 터미널내의 수신기까지의 경로 지연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관한 한가지 기술적 장점은 수신기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를 다운링크 신호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 정합시킨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장점은 다운링크 신호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정합시키기 위해 수신기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정합시킨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미세 및 조악한(coarse) 증가 조정을 수신기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코드 시퀀스 정합을 얻기 위해서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조합된 전력 레벨 및 마스터 코드 시퀀스를 측정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종례의 프레임 정렬 기술에 관련된 단점 및 문제점을 거의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정보를 프레임 정렬하는 장치 및/또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내의 정보를 프레임 정렬하는 방법은 중앙 터미널내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반송하는 다운링크 신호를 가입자 터미널의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보의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위치의 개시가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식별된다. 프레임 정렬을 정확하도록 하기 위해서, 정보의 연속 프레임의 프레임 위치의 연속 개시가 식별된다. 프레임 위치의 2개의 연속 개시를 성공적으로 식별시에, 다운링크 통신 경로는 중앙 터미널의 송신기에서 가입자 터미널의 수신기까지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관한 한가지 기술적 장점은 정보의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위치의 개시를 정확하게 식별한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장점은 프레임 위치의 개시를 식별하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의 비트 위치를 통해 스텝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프레임 위치의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 정렬을 다운링크 신호의 오버헤드 채널로 디코드시킨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장점은 정보의 후속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위치의 개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한다는 것이다.
도 1 은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관하는 개략도이다.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구역(12,14,16)을 포함하는데, 그 각각의 서비스 구역은 해당 구역내의 가입자 터미널(ST)(20)과 무선 연결을 확립하는 각각의 중앙 터미널(CT)(10)에 의하여 서비스가 제공된다. 중앙 터미널(20)에 의하여 관장되는 구역은 변동될 수 있다. 일례로, 가입자 밀도가 낮은 지방 구역에서는 서비스 구역(12)은 반경 15 내지 20㎞의 구역을 관장할 수 있다. 가입자 터미널(20)의 밀도가 높은 도시 환경에서의 서비스 구역(14)은 반경 10m 정도의 구역만을 관장할 수도 있다. 가입자 터미널의 밀도가 중간인 준도시 구역에서의 서비스 구역(16)은 반경 1㎞ 정도의 구역을 관장한다. 특정의 중앙 터미널(10)에 의해 관장되는 구역은 예상 또는 실제의 가입자 밀도의 지역적 요건, 지역의 지리적 고려 사항등에 적합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예시된 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관장 범위는 송신 신호의 분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안테나 설계의 고려 사항, 지리적 요인, 건물 등으로 인한 범주내에서는 통상적으로 원형이 아니며 원형일 필요도 없다.
각 서비스 구역(12,14,16)을 위한 중앙 터미널(10)은 일례로 공중 교환 전화 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8)과 인터페이스하는 링크(13,15,17)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는 동선, 광섬유, 위성, 극초단파 등을 이용하는 종래의 전화 통신 기술을 포함한다.
도 1 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구역(12,14,16)내의 고정 위치에 있는 가입자 터미널(20)과 서비스 구역용의 중앙 터미널(10) 사이에 고정된 극초단파 링크를 제공하는 것에 기반을 둔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가입자 터미널(20)에는 중앙 터미널(10)로 영구 고정된 접속 링크가 제공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요 기반 접속이 제공되므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입자의 수는 현재 상황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전화 통신 링크의 수를 상회한다.
도 2 는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용의 가입자 단자(20)를 위한 구성의 일례를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고객의 가옥(22)을 포함하고 있다. 고객의 무선 유니트(CRU)(24)는 고객의 가옥에 장착되어 있다. 고객 무선 유니트(24)는 평 판넬형 안테나(23) 등을 포함한다. 고객 무선 유니트는, 고객 무선 유니트(24)가 위치하는 서비스 구역용의 중앙 터미널(10)의 방향(26)과 고객 무선 유니트(24) 내의 평 판넬형 안테나(23)가 마주 향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고객의 가옥이나, 마스트(mast) 등의 위치에 장착된다.
고객 무선 유니트(24)는 배선(28)을 거쳐서 고객의 가옥내에 있는 전력 공급 유니트(PSU)(30)에 연결된다. 전력 공급 유니트(30)는 전력을 고객 무선 유니트(24)와 망 종단 장치(NTU : network terminal unit)(32)로 제공하기 위하여 국부 전력 공급부에 연결된다. 고객 무선 유니트(24)는 또한 전력 공급 유니트(30)를 거쳐서 망 종단 장치(32)로 연결되고, 결국은 일례로 하나 이상의 전화기(34) , 팩시밀리기(36) 및 컴퓨터(38) 등의 고객의 가옥내의 전화 통신 장비가 연결된다. 전화 통신 장비는 한 사람의 고객의 가옥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가입자 터미널(20)이 하나나 혹은 2개의 라인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처럼 이러한 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2개의 가입자 라인이 하나의 가입자 터미널(20)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 터미널(20)은 일례로 16, 32, 64kbit/sec의 아날로그 통신이나 혹은 ISDN BRA 표준에 따른 디지탈 통신과 같은 아날로그 및 디지탈 전화 통신을 지원하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도 3 은 도 1의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의 중앙 터미널의 일례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공도의 장비 랙(40)은, RF 결합기 및 전력 앰프 선반(RFC)(42)과, 전력 공급 선반(PS)(44)과 다수의(본 실시예에서는 4개) 모뎀 선반(MS)(46)을 포함하는 다수의 장비 선반(42,44,46)을 포함한다. RF 결합기 선반(42)은 4개의 모뎀 선반(46)이 병렬로 작동되게 한다. RF 결합기 선반은 4개의 모뎀 선반 각각으로부터 나온 4개의 송신 신호의 출력을 결합하여서 증폭하고, 수신된 4가지 신호를 증폭시키고 분할시켜서 분할된 신호들이 각각의 모뎀 선반을 통과하도록 한다. 전력 공급 선반(44)은 공동의 장비 랙(40) 내의 여러 가지 구성 부재를 위한 국부 접속 공급부로의 접속 및 융합(fusing)을 제공한다. 양 방향 접속은 RF 결합기 선반(42)과 중앙 터미널 마스트(50)에 장착된 통상적으로 무지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인 주 중앙 터미널 안테나(52) 사이에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의 중앙 터미널(10)은 지점간 극초단파 링크를 거쳐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공중 교환 전화 망(18) 쪽으로의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는 위치로 접속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 다른 종류의 접속(동선 또는 광섬유)이 중앙 터미널(10)을 공중 교환 전화 망(18)에 연결시키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뎀 선반은 라인(47)을 거쳐서 극초단파 터미널(MT)(48)에 접속된다. 극초단파 링크(49)는 극초단파 터미널(48)로부터 공중 교환 전화 망(18)으로의 호스트 접속을 위하여 마스트(50) 상에 장착된 지점간 극초단파 안테나(54)까지 연장된다.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이 중앙 터미널(10)을 지원하기 위한 사이트 제어기(SC)(56)로서 제공된다. 사이트 제어기(56)는 일례로 RS232 접속부(55)를 거쳐서 중앙 터미널(10)의 모뎀 선반 각각에 접속된다. 이어서 사이트 제어기(56)는 고장, 경보 및 상태의 국부화와 같은 지원 기능을 제공하여서 중앙 터미널(10)을 구성한다. 사이트 제어기(56)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중앙 터미널(10)을 지원하지만 다수의 사이트 제어기(56)가 다수의 중앙 터미널(10)을 지원하기 위한 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사이트 제어기(56)는 연장된 RS232 접속부(55)의 선택적인 예로서 X.25 링크(57)(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됨)와 같은 데이타 접속부가 그 대신에 패드(228)로부터 요소 관리기(EM)(58)의 스위칭 노드(60)까지 제공될 수 있다. 요소 관리기(58)는 관리 망에 통합되는 중앙 터미널(10)의 잠재적인 수를 (일례로, 1000개 까지 또는 그 이상) 많게 한다. 요소 관리기(58)는 강력한 워크스테이션(62) 주변에 기반을 두어서 네트워크 기술자 및 제어자를 위한 다수의 컴퓨터 터미널(64)을 포함한다.
도 3A는 모뎀 선반(46)의 여러 부품들을 나타내고 있다. 송신/수신 RF 유니트(RFU : 일례로 모뎀 선반내의 카드 상에 마련됨)(66)는 변조 송신 RF 신호를 중간 출력 수준으로 발생시키고 가입자 터미널을 위한 기저 대역 RF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다. RF 유니트(66)는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환, 기저 대역 필터링 모뎀 카드(MC)(70)으로부터 송신된 15개 신호의 벡터 합산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카드(AN)(68)에 연결된다. 아날로그 유니트(68)는 다수의 (통상적으로, 1 내지 8개) 모뎀 카드(70)에 연결된다. 모뎀 카드는 가입자 터미널(20)로의 송신신호 및 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대한 기저 대역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는 송신 신호 상에서의 1/2 비율의 중첩 코딩 및 CDMA 코드로의 x16 확산과, 수신 신호 상에서의 동기화 수신, 탈확산 및 오류 정정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뎀 카드(70)는 2개의 모뎀을 갖는데, 그 모뎀 각각은 하나의 가입자 링크(또는 2개의 라인)를 가입자 터미널(20)에 지원된다. 따라서, 카드 당 2개의 모뎀과 모뎀 선반 당 8개의 모뎀에 의해 각각의 모뎀은 16개의 가능한 가입자 링크를 지원한다. 그러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가입자 링크에서 모뎀이 교체될 수 있도록 여분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모뎀 선반(46)에 의해 15개까지의 가입자 링크가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16번째의 모뎀은 다른 15개의 모뎀 중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 연결할 수 있는 여분으로서 사용된다. 모뎀 카드(70)는 (일례로, 라인(47)을 경유한) 호스트 공중 교환 전화망(18)으로의 접속을 종단시키는 지류 유니트(tTU : tributary unit)에 접속되어서 전화 정보의 신호 반발을 일례로 최대 15 가입자 터미널로(16개의 모뎀 중 15개 각각을 거쳐서) 처리한다.
중앙 터미널(10)과 가입자 터미널(20) 간의 무선 전화 통신은 여러 주파수에서 작동한다. 도 4 는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의 가능한 한가지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공급 선반(44)은 1.5 내지 2.5GHz 대역에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ITU-R(CCIR) 권고 F.701(2025 내지 2110MHz, 2200 내지 2290MHz)에 의해 한정된 대역에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가입자 터미널(20)로부터 중앙 터미널(10)의 업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와 중앙 터미널(10)로부터 가입자 터미널(20)로의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12개의 업링크와 12개의 다운링크의 3.5MHz 무선 채널은 각각 약 2155MHz로 집중되어서 제공된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수신 채널과 송신 채널 사이의 간격은 최소 소요 간격 70MHz를 초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뎀 선반 각각이 1 주파수 채널(즉, 하나의 업링크 주파수 더하기 그에 상응하는 다운링크 주파수)을 지원하게 된다. 최대 15개의 가입자 링크가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의해 지원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중앙 터미널(10)이 60개 또는 120개의 라인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특정 중앙 터미널(10)로부터의 무선 통신 장애는 이웃하는 중앙 터미널(10)이 관장하는 구역으로 연장된다. 인접하는 구역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 문제를 피하거나 혹은 적어도 줄이기 위해서는 제한된 수의 가용 주파수만이 임의의 주어진 중앙 터미널(10)에 의해 사용되어야 한다.
도 5A는 인접하는 중앙 터미널(10) 간의 간섭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주파수를 하나의 셀룰라 형태로 배열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배열에서, 셀(76)의 해칭선은 셀을 위한 주파수 세트(FS)를 나타내는 것이다. 3개의 주파수 세트(일례로, FS1=F1, F4, F7, F10; FS2=F2, F5, F8, F11; FS3=F3, F6, F9, F12)를 선택하여서 바로 인접하는 셀이 동일한 주파수 세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배열함으로써(일례로, 도 5A에 도시된 배열을 참고), 인접하는 셀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고정 할당 무지향성 셀(fixed assignment omnidirectional cell)의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 출력은 동일한 주파수 세트를 사용하는 최인접 셀까지는 송신이 미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중앙 터미널(10)은 그 셀내에 4쌍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중앙 터미널(10) 내의 모뎀 선반 각각의 RF 채널(채널 주파수 쌍)과 결합된다.
모뎀 선반 각각이 (채널 주파수 당 15개의 가입자 링크를 갖는) 하나의 채널 주파수와 4개의 모뎀 선반을 지원하게 되면, 중앙 터미널(10) 각각은 60개의 가입자 링크(즉, 120 라인)를 지원하게 된다. 따라서 도 5A에서의 10개의 셀 배열은 일례로, 최대 600개의 ISDN 링크와 1200개의 아날로그 라인을 지원하게 된다. 도 5B는 인접하는 중앙 터미널(10) 간의 문제점을 완화시키기 위한 섹터 분할형 셀을 채택하는 셀룰라 형태의 배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와 마찬가지로, 도 5B에서의 다른 형태의 해칭선은 다른 주파수 세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에서처럼 도 5B는 3개의 주파수 세트(일례로, FS1=F1, F4, F7, F10; FS2=F2, F5, F8, F11; FS3=F3, F6, F9, F12)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 5B에서의 셀은 3개의 중앙 터미널(10)을 구비하는 섹터 분할 중앙 터미널(STC)(13)을 이용함으로써 섹터 분할되는데, 상기 중앙 터미널(10) 각각은 섹터(S1)와 섹터(S2)와 섹터(S3) 각각을 위한 것이고, 3개의 중앙 터미널(10) 각각의 송신은 섹터(S1, S2, S3) 중에서 적절한 섹터로 보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가입자 터미널(20)에 대해 영구 고정 접속은 여전히 제공하면서도 셀 당 가입자의 숫자를 3배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7개 셀 반복 패턴이 주어진 주파수에서 작동되는 셀용으로 사용되는데, 동일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인접하는 6개의 셀 모두는 단일 PN 코드를 허용한다. 이러한 것은 인접하는 셀이 데이타를 예기치 않게 디코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채널 주파수는 15개의 가입자 링크를 지원한다. 이러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다중 분할 다중 접속(CDMA)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그 사용이 이루어진다. 도 6은 CDMA 인코딩 및 디코딩의 개략도이다.
CDMA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해서, 80-80N에서 기저 대역 신호, 일례로 각 가입자 링크용의 사용자 신호를 각각의 부호가 2 데이타 비트를 나타내는 160ksymbol/sec(일례로 신호(81) 참조) 기저 대역으로 인코딩한다. 이어서 이 신호를 월시(Walsh) 의사 랜덤 노이즈(PN) 코드 확산 함수(82-82N) 각각을 이용하여서 16개의 인자에 의해 확산시켜서 2.56ksymbol/sec의 유효 칩 비율에서 3.5MHz에 있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각 가입자 링크를 위한 신호가 결합되어 무선 주파수(RF)로 변환되어서 송신 안테나(86)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다중 사용자 채널 신호(85)를 제공한다.
송신중에 송신되는 신호는 외부 간섭(89)과 다른 채널(90)로부터의 간섭을 포함하는 간섭원(88)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CDMA 신호가 수신 안테나(91)에 수신될 때까지 다중 사용자 채널 신호는 도면 부호 9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왜곡된다.
수신된 다중 사용자 채널로부터 소정의 가입자 링크용의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서, 월시 상관기(94-94N)는 수신된 기저 대역 신호(96-96N) 각각을 위한 신호(일례로 도면 부호 95로 나타냄)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 가입자 링크용으로 인코딩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의사 랜덤 노이즈(PN) 코드를 사용한다. 수신된 신호는 어떤 잔류 잡음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은 저 통과 필터와 신호 처리를 이용하게 되면 제거될 수 있다.
CDMA의 근간은 다중 사용자 신호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 및 수신되게 하는 직교 코드를 적용한다는 것이다. 월시 코드를 사용하여서 비트 스트림을 일단 직교되게 고립시키면, 각 가입자 링크용의 신호는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월시 코드는 직교성의 함수를 갖는 시퀀스의 수학적 집합이다. 즉, 임의의 월시 코드를 임의의 다른 월시 코드로 곱하면 그 결과는 0이 된다.
도 7은 도 1의 전화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터미널(20) 내에 구성된 것으로서의 신호 송신 처리를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중앙 터미널(10)은 또한 등가 신호 송신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서 한쌍의 전화기중 어느 한 전화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는 2선 인터페이스(102)를 경유하여 하이브리드 오디오 처리 회로(104)를 통과하고 이어서 코덱(106)를 경유하여 디지탈 신호를 생성시키는데, 그 디지탈 신호 안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채널이 도면 부호 108에서 삽입된다. 이 결과의 신호는 확산기(116)를 통과하기 전에 중첩 인코더(110)에 의해 처리되는데, 상기 확산기(116)에는 라데마쉐-월시 및 PN 코드가 RW 코드 발생기(112)와 PN 코드 발생기(114) 각각에 의해 인가된다. 이 결과의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18)를 거치게 된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18)는 디지탈 샘플을 아날로그 파형으로 형성시켜서 기본 밴드 출력 제어의 스테이지를 제공한다. 이어서 이 신호는 저 통과 필터(120)를 통과하여서 변조기(122)에서 변조된다. 변조기(122)로부터 나온 변조 신호는 신세사이저(160)에 응답하는 전압제어형 오실레이터(126)에 의해 발생된 신호와 혼합된다. 이어서 믹서(128)의 출력은 대역 통과 필터(132)를 경유하기 전에 저 잡음 증폭기(132)에서 증폭된다. 대역 통과 필터(132)의 출력은 출력 제어 회로(136)를 거치기 전에 또 다른 저 잡음 증폭기(134)에서 다시 더 증폭된다. 출력 제어 회로의 출력은 또 다른 를 대역 통과 필터(140)를 통과하기 전에 또 다른 저 잡음 증폭기(134)에서 다시 더 증폭되어서 송신 안테나(142)로부터 송신된다.
도 8은 도 1의 전화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터미널(20)내에 구성된 것으로서의 등가 신호 수신 처리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중앙 터미널(10)은 또한 등가 신호 수신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서, 수신 안테나(15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저 잡음 증폭기(54)에서 증폭되기 전에 대역 통과 필터(152)를 통과한다. 이어서 증폭기(154)의 출력은 또 다른 저 잡음 증폭기(158)에 의해 다시 더 증폭되기 전에 또 다른 대역 통과 필터(156)를 통과한다. 이어서 증폭기(158)의 출력은 믹서(164)를 통과하는데, 여기서 상기 증폭기 출력은 신세사이저(160)에 응답하는 전압 제어형 오실레이터(162)에 의해 발생된 신호와 혼합된다. 이어서 믹서(164)의 출력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70)를 통과하기 전에 복조기(166)와 저 통과 필터(168)를 통과한다. 이어서 A/D 변환기(170)의 디지탈 출력은 상관기(178)를 통과하는데, 상기 상관기에는 송신 중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라데마쉐-월시 및 PN 코드가 RW 코드 발생기(172)(RW 코드 발생기(112)에 대응)와 PN 코드 발생기(174)(PN 코드 발생기(114)에 대응) 각각에 인가된다. 상관기의 출력은 비터비(Viterbi) 디코더(180)에 인가된다. 이어서 비터비 디코더(180)의 출력은 부가 채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부가 추출기(182)를 통과한다. 이어서 부가 추출기(182)의 출력은 코덱(184)과 하이브리드 회로(188)를 거쳐서 2선 인터페이스(190)를 통과하는데, 여기서 결과의 아날로그 신호가 선택된 전화기(192)로 들어간다.
가입자 터미널(20)에는 자동 이득 제어 스테이지가 IF 스테이지에 결합되어 있다. 제어 신호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신호 품질 평가기의 출력은 이용하여 CDMA 수신기의 디지탈 부분으로부터 도출된다.
도 9는 중앙 터미널(10)과 가입자 터미널(20) 간이 다운링크와 업링크 통신 경로의 블럭 선도이다. 다운링크 통신 경로는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로부터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까지 확립된다. 업링크 통신 경로는 가입자 터미널(20)의 송신기(204)로부터 중앙 터미널(10)의 수신기(206)까지 확립된다. 다운링크 통신 경로와 업링크 통신 경로가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1) 내에 일단 확립되면, 다운링크 신호(212)와 업링크 신호(214)에 걸쳐서 가입자 터미널(20)의 제 1 사용자(208) 또는 제 2 사용자(210)와 그리고 중앙 터미널(10)을 통하여 서비스하는 사용자 간의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 다운링크 신호(212)는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에 의해 송신되고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에 의해 수신된다. 업링크 신호(214)는 가입자 터미널(20)의 송신기(204)에 의해 송신되고 중앙 터미널(10)의 수신기(206)에 수신된다. 다운링크 신호(212)와 업링크 신호(214)는 CDMA 스펙트럼 확산 신호로서 송신된다.
중앙 터미널(10)내의 수신기(206)와 송신기(200)는 시간과 위상에 대해서 서로 동기화 되어서 정보 경계에 대해 정렬된다. 다운링크 통신 경로를 확립하기 위해,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는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와 동기화 되어야 한다. 동기화는 다운링크 신호(212) 상에서 포착(acquisition) 모드 기능과 추적(tracking) 모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초기에는 중앙 터미널(10)이 다운링크 신호(212)를 송신한다. 도 10은 다운링크 신호(212)의 콘텐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운링크 신호(212)는 프레임 정보 신호(218)와 결합된 중앙 터미널(10)용의 코드 시퀀스 신호(216)를 포함한다. 코드 시퀀스 신호(216)는 의사 랜덤 노이즈 코드 신호(220)와 라데마쉐-월시 코드 신호(222)의 조합에 의해 도출된다. 도 10은 특히 다운링크 신호의 구성과 관련된 것이지만, 업링크도 그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하나의 중앙 터미널(10)에 의해 서비스 받는 모든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 각각은 중앙 터미널(10)과 동일한 의사 랜덤 노이즈 코드 신호의 영향을 받는다. 중앙 터미널(10)의 모뎀 선반(46) 각각은 하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과 각각이 제 1 사용자(208)와 제 2 사용자(210)를 갖고 있는 15개의 가입자 터미널(20)을 지원한다. 각각의 모뎀 선반(46)은 16개의 라데마쉐-월시 코드 신호(222)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라데마쉐-월시 코드 신호(222) 각각은 하나의 가입자 터미널(20)에 대응한다. 따라서, 특정의 가입자 터미널(20)은 중앙 터미널(10)에 의해 송신되어서 특정의 가입자 터미널(20)로 향하는 다운링크 신호(212)와 동일한 코드 시퀀스 신호(218)를 갖게 될 것이다.
다운링크 신호(212)는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에서 수신된다. 수신기(202)는 그 위상과 코드 시퀀스를 다운링크 신호(212)의 코드 시퀀스 신호(216)내의 위상과 코드 시퀀스와 비교한다. 중앙 터미널(10)은 마스터 코드 시퀀스를 갖고 가입자 터미널(20)은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수신기(202)는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의 매칭을 인식해서 가입자 터미널(20) 수신기(202)가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와 동일 위상으로 놓이도록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증분되게 조정한다. 수신기(202)의 슬레이브 코드는 중앙 터미널(10)과 가입자 터미널(20) 간의 경로 지연으로 인해 송신기(200)와 중앙 터미널(10)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는 초기에는 동기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로 지연은 가입자 터미널(20)과 중앙 터미널(10) 간의 지리적 분리와 무선 송신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환경적 및 기술적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다.
도 11은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가 그것의 슬레이브 코드를 중앙 터미널(10)내의 송신기(200)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 매칭되도록 어떻게 조정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신기(202)는 다운링크 신호(212)내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의 전 길이에 걸쳐서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증분시키고,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있어서의 증분 변화 각각에 대해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와 마스터 코드 시퀀스의 결합된 출력 상에서 출력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신호 품질 평가를 결정한다. 마스터 코드 시퀀스의 길이는 2.56MHz의 칩 주기에 기초한 약 100마이크로초이다.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은 포착 위상 중의 각 증분 간격에 대해서 1/2 칩 주기로 조정된다. 수신기(202)는 결합된 출력이 최대치에 이르게 되는 상관 피크를 확인한 때에 제 1 포착 위상을 완료한다. 수신기(202)는 상관 피크에서의 결합된 출력의 최대치의 확인을 검증하기 위해 코드 시퀀스의 전 길이에 걸쳐서 제 2 포착 통과를 수행한다. 가입자 터미널(20)과 중앙 터미널(10)간의 어림잡은 경로 지연은 상관 피크 위치가 포착 모드에서 확인된 때에 결정된다.
다운링크 신호(212)의 포착이 수신기(202)에서 일단 달성되면, 트랙킹 모드에서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가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 위상 매칭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대해 미세 조정을 한다. 미세 조정은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대한 칩 주기 증분 변화의 1/16에 걸쳐서 이루어진다. 미세 조정은 수신기(202)에 의하여 이루어진 결합 출력이 측정에 응답하여 전방(양) 방향이나 후방(음) 방향에서 수행된다. 수신기(202)는 다운링크 통신 경로에 대해서 가입자 터미널(20)이 중앙 터미널(10)과 동기화 되도록 마스터 코드 시퀀스를 지속적으로 모니터 한다.
도 12는 포착 모드와 트랙킹 모드 중에 수신기(202)에 의하여 측정된 결합 출력 곡선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것이다. 결합 출력의 최대치는 결합 출력 곡선의 상관 피크(219)에서 발생한다. 피크(219)는 도 12에서처럼 잘 한정되지는 않지만 꼭대기에서는 납작하게, 그보다는 접시형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지점은 수신기(202)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가 송신기(200)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 위상 일치되어 매칭되는 지점이다. 상관 피크(219)의 소진을 발생시키는 결합 출력치로 결과가 나타나는 측정은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에 대해 이루어지는 증분 조정을 필요로 한다. 미세 조정 창이 먼저의 상관기 지점(221)과 나중의 상관기 지점(223)사이에 확립된다. 평균 출력 측정은 먼저의 상관기 지점(221)과 나중의 상관기 지점(223)에서 수행된다. 먼저의 상관기 지점(221)과 나중의 상관기 지점(223)은 1칩 주기로 이격되므로,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대한 미세 조정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먼저의 상관기 지점(221)과 나중의 상관기 지점(223)의 평균 출력들 간의 차를 계산할 대에 오류 신호가 발생한다.
다운링크 신호(212) 내의 코드 시퀀스 신호(216)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의 트랙킹을 중앙 터미널(10) 상에서 획득하여 개시한 후에 수신기(202)는 프레임 정렬모드로 들어가서 다운링크 경로를 확립한다. 수신기(202)는 다운링크 신호(212)의 프레임 정보 신호(218)를 분석하여 다운링크 신호(212)에 대한 프레임 위치의 시작을 확인한다. 수신기(202)는 다운링크 신호(212)의 데이타 스트림 내의 어느 지점에서 정보를 수신했는지 모르므로, 수신기(202)는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프레임 위치의 개시를 탐색해야 한다. 수신기(202)가 프레임 위치의 또 다른 개시를 일단 확인하면, 다운링크 통신 경로가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로부터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까지 확립한다.
도 13은 프레임 정보 신호(218)의 일반적 콘텐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프레임 정보 신호(218)는 부가 채널(224), 제 1 사용자 채널(226), 제 2 사용자 채널(228), 그리고 다운링크 신호(212)에 걸쳐 전송된 정보 프레임 각각을 위한 신호 발신 채널(230)을 포함한다. 부가 채널(224)은 다운링크와 업링크 통신 경로를 확립하고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제어 정보를 전한다. 제 1 사용자 채널(226)은 통화량 정보를 제 1 사용자(208)에게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사용자 채널(228)은 통화량 정보를 제 2 사용자(210)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신호 발신 채널(230)은 가입자 터미널(20)의 전화기 기능의 작동을 감독하는 신호 발신 정보를 제공한다. 부가 채널(224)은 초 당 16킬로비트의 정보 프레임을 수용하고, 제 1 사용자 채널(226)은 초 당 64킬로비트의 정보 프레임을 수용하고, 제 2 사용자 채널(228)은 초 당 64킬로비트의 정보 프레임을 수용하고, 신호 발신 채널(230)은 초 당 16킬로비트의 정보 프레임을 수용한다.
도 14는 부가 채널(224)이 다운링크 신호(212)의 데이타 스트림 안으로 어떻게 삽입되는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다운링크 신호(212)의 데이타 스트림은 20비트의 부 프레임으로 분할된다. 20비트의 부 프레임 각각은 2개의 10비트 섹션을 갖는다. 제 1의 10비트 섹션은 부가 비트, 신호 발신 비트, 8개의 제 1 사용자 비트를 사용한다. 제 2 의 10비트 섹션은 부가 비트, 신호 발신 비트, 8개의 제 2 사용자 비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20비트 부 프레임 포맷은 4밀리초 프레임의 정보 전체에 걸쳐 반복된다. 따라서, 부가 비트는 다운링크 신호(212)의 데이타 스트림 내에 매 10비트 위치마다의 프레임 정보를 수용한다.
부가 채널(224)은 8바이트의 필드 즉, 프레임 정렬 단어(232), 코드 동기화 신호(234), 출력 제어 신호(236), 작동 및 유지 채널 신호(238), 4바이트의 예비필드(242)를 포함한다. 프레임 정렬 단어(232)는 그에 상응하는 정보 프레임을 위해 프레임의 개시를 확인한다. 코드 동기화 신호(234)는 가입자 터미널(20) 내의 송신기(204)의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중앙 터미널(10)의 수신기(206)에 제공한다. 출력 제어 신호(236)는 가입자 터미널(20)내에 송신기(204)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작동 및 유지 채널 신호(238)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 경로와 선반 제어기와 모뎀 카드 간의 모뎀 선반상에서 작동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연장되는 경로인 중앙 터미널로부터 가입자 터미널까지의 경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프레임 위치의 2개의 연속하는 개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는 다운링크 신호(212)의 데이타 스트림 내의 있을 수 있는 10비트 위치에 걸쳐서 부가 채널(224)과 프레임 정렬 단어(232)에 대한 검색을 한다. 수신기(202)는 초기에는 프레임 정보의 매 10비트 섹션마다의 제 1 비트 위치를 추출하여서 부가 채널(224)이 캡춰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제 1 비트 위치의 추출로부터 소정 주기의 시간 후에 프레임 정렬 단어(232)가 확인되면, 수신기(202)는 이와 같은 과정을 10비트 섹션 각각의 제 2 비트 위치와 후속하는 비트 위치에 대해서 프레임 정렬 단어(232)가 확인될 때까지 반복한다. 수신기(202)가 검색하는 프레임 정렬 단어(232)의 일 예는 2진수 00010111이다. 정정 비트 위치가 일단 프레임 정렬 단어(232)를 산출하게 되면, 수신기(202)는 프레임 위치의 2개의 연속하는 개시를 확인하려고 한다. 다운링크 통신 경로는 다운링크 신호(212)의 데이타 스트림 내에서 연속하는 프레임 정렬 단어(232)를 인식한 것에 응답한 프레임 위치의 2개의 연속하는 개시의 연속적 확인시에 확립된다.
수신기(202)는 후속하는 정보 프레임에 대해서 후속하는 프레임 정렬 단어(232)를 인식하기 위해 적절한 비트의 위치를 계속해서 모니터한다. 수신기(202)가 3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에 대해서 프레임 정렬 단어(232)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 수신기(202)는 2개의 연속하는 프레임 정렬 단어(232)의 인식을 통한 프레임 위치의 2개의 연속하는 개시를 확인하고 프레임 정렬을 재확립할 때까지 10비트 섹션 각각을 거쳐서 검색 과정 및 사이클로 복귀한다. 3개의 연속하는 프레임 정렬 단어(232)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중앙 터미널(10)과 가입자 터미널(20) 간의 경로 지연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수신기(202)는 또한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로부터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까지의 다운링크 통신 경로내에 불통이 발생한 경우에도 검색 과정으로 복귀한다.
다운링크 통신 경로의 포착은 가입자 터미널(20)이 적절한 모뎀 카드(70)의 적절한 위치를 발견하고 자동적으로 추적하도록(locked on to : 이하 자동 추적이라 함) 검증될 수도 있다. 특정 가입자 터미널(20)에 할당된 모뎀 카드(70)가 다수의 이유중 소정의 이유 때문에 서비스 구역 이외에 있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정 가입자 터미널(70)이 신호를 계속해서 포착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포착은 중앙 터미널(10)내의 다른 모뎀 카드(70)들 중 하나의 카드로부터의 신호에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다. 특정 가입자 터미널(20)이 다른 모뎀 카드(70)로부터의 신호를 판독할 수 없을지라도, 특정 가입자 터미널(20)은 다른 모뎀 카드(70)에서 계속해서 자동 추적되고, 카드가 서비스내로 다시 들어올 때까지는 적절한 모뎀 카드를 자동적으로 추적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포착 검증 기술은 특정 가입자 터미널(20)이 중앙 터미널(10)내의 무관한 모뎀 카드(70)를 자동 추적하지는 않는다.
포착 검증 기술은 오버헤드 채널(224)내의 예비 바이트 필드(reserved byte field : 242)를 이용한다. 채널 식별자 필드는 예비 바이트 필드(242)들 중 하나의 필드로 채워진다. 채널 식별자 필드는 INV P P P R R R R 형태의 8비트-역 비트(inversion bit), 3비트 의사 난수 잡음 코드 식별자(pseudo random noise code identifier) 및 4비트 레드마셔-웰스(Rademacher-Walsh) 코드 식별자를 포함한다. 3 비트 의사 난수 잡음 모드 식별자는 중앙 터미널(10)에 관련된 시퀀스 및 이에 관련된 가입자 터미널(20)에 대응한다. 4 비트 레드마셔 웰스 코드 식별자는 15개의 가입자 터미널(20)들 중 하나의 터미널에 관련된 특정 코드에 대응한다. 채널 식별자 필드는 가입자 터미널(20)을 부정확한 중앙 터미널(10)과의 통신을 설정하지 못하게 하고, 가입자 터미널(20)을 정확한 중앙 터미널(10)내의 부정확한 모뎀 카드(70)와의 통신을 설정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2개의 연속 프레임 정렬 워드(232)의 식별에 의한 다운링크 통신 경로를 설정시에 수신기(202)는 오버헤드 채널(224)내의 채널 식별자 필드를 모니터한다. 프레임 정렬이 발견될 지라도, 다운링크 통신 경로는 적절한 정합이 채널 식별자 필드에 발생하지 않으면 설정될 수 없다. 의사 난수 잡음 코드 식별자 및 레드미셔 웰스 코드 식별자는 각각의 가입자 터미널(20)에 대해 일정하고, 수신기(202)는 프레임 정렬 워드와 채널 식별자 필드를 혼동하지 않게 한다. 역 비트는 이탤릭체로 도시된 채널 식별자 필드 내에서 의사 난수 잡음 코드 식별자의 제 1 및 제 3 비트, 및 레드마셔 웰스 코드 식별자의 제 1 및 제 3 비트와 함께 정보의 각 프레임에서의 상태를 변경시킨다. 이것은 채널 식별자 필드를 프레임 정렬 워드로서 인식되지 않게 한다.
중앙 터미널(10)로부터 가입자 터미널(20)가지의 다운링크 통신 경로가 절절한 코드 시퀀스 위상 동기화 및 프레임 정렬을 통해서 확립된 경우,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 터미널(20)의 송신기(204)로부터 중앙 터미널(10)의 수신기(206)까지의 업링크 통신 경로를 확립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초기에, 송신기(204)는 다른 가입자 터미널과 통신하는 중앙 터미널의 송신기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다운링크 통신 경로가 확립될 때까지 꺼져 있다. 다운링크 통신 경로가 확립된 후에, 송신기(204)의 송신 출력은 부가 채널(224)의 전력 제어 채널(236)을 경유한 중앙 터미널(CT)로부터의 지령하에서 최소값으로 설정된다. 출력 제어 신호(236)는 중앙 터미널(10)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각 가입자 터미널(20)로부터의 송신 출력과 대략 같은 정도의 송신 출력을 중앙 터미널(10)이 받을 수 있도록 송신기(204)에 의해 발생되는 송신 출력의 크기를 제어한다.
출력 제어 신호(236)는 다운링크 신호(212)에 대해서 프레임 정보 신호(218)의 부가 채널(224)내에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에 의해 송신된다.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는 다운링크 신호(212)를 수신하여 그로부터 출력 제어 신호(236)를 추출한다. 출력 제어 신호(236)는 가입자 터미널(20)의 송신기(204)로 제공되어서 송신기(204)의 송신 출력을 증가되게 조정한다. 송신기(204)의 송신 출력은 송신 출력이 수신기(206)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은 소정의 기준 범위에 있게 될 때까지 중앙 터미널(10)이 계속해서 증가되게 조정한다. 송신 출력에 대한 조정은 초기에는 송신 출력이 소정의 기준 범위내에 있게 될 때까지 1데시벨의 증분을 갖는 거친 모드에서 발생한다. 송신기(204)를 켰을 때, 송신 출력은 증분 조정을 거쳐서 그 강도가 점차 증가하여서 다른 가입자 터미널과 통신하는 중앙 터미널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도 15는 출력 제어 신호(236)에 대한 디코딩 개요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가입자 터미널(20)의 송신기(204)의 송신 출력이 소정의 기준 범위에 이르게 된 후에 중앙 터미널(10)의 수신기(206)는 계속해서 출력 변동을 야기하는 어떤 변화를 모니터 하기 위하여 송신기(204)로부터의 송신 출력의 크기를 모니터하고 또한 중앙 터미널(10)과 가입자 터미널(20) 간의 경로 지연 등을 모니터 한다. 송신 출력이 소정이 기준 범위 이하이거나 혹은 초과하는 경우, 중앙 터미널(10)은 송신기(204)의 송신 출력을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적절한 출력 제어 신호(236)를 보낸다. 이때, 송신 출력을 소정의 기준 범위로 복귀시키기 위한 조정은 0.1데시벨 증분을 갖는 미세 조정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통신 경로내에 간섭이 발생한 경우, 중앙 터미널(10)은 송신기(204)에 가입자 터미널(20)의 메모리내에 저장된 변수의 재생을 통해서 이전의 송신 출력 수준으로 복귀하게 하는 지령을 내려서 적절한 통신 경로의 재확립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가입자 터미널(20)로부터 중앙 터미널(10)까지의 업링크 통신 경로를 완전하게 확립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터미널(20)의 송신기(204)는 중앙 터미널(10)의 수신기(206)와 동기화 되어야 한다. 중앙 터미널(10)은 프레임 정보 신호(218)의 부가 채널(224)내의 코드 동기화 신호(234)를 통해서 송신기(204)의 동기화를 제어한다. 코드 동기화 신호(234)는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수신기(206)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의 위상과 매칭되도록 증분되게 조정한다. 송신기(204)의 동기화는 수신기(202)의 동기화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수행된다.
코드 동기화 신호(234)는 다운링크 신호(212)에 걸쳐서 프레임 정보 신호(218)의 부가 채널(224)내에서 중앙 터미널(10)의 송신기(200)에 의해 송신된다. 가입자 터미널(20)의 수신기(202)는 다운링크 신호(212)를 수신해서 그로부터 코드 동기화 신호(234)를 추출한다. 코드 동기화 신호(234)는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증분되게 조정하기 위하여 송신기(204)로 제공된다. 중앙 터미널(10)은 수신기(206)가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와 중앙 터미널(10)의 마스터 코드 시퀀스 간의 코드 및 위상 매칭을 인식하게 될 때까지 계속해서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증분되게 조정한다. 수신기(206)는 송신기(204) 동기화를 위해 위상 및 코드 매칭을 결정함에 있어 수신기(202) 동기화를 위해 수행한 것과 동일한 출력 측정 기술을 수행한다.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대한 조정은 초기에는 수신기(206)가 마스터 코드 시퀀스와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결합 출력의 최대 출력 위치를 확인할 때까지 1/2의 칩 비율 증분을 갖는 거친 조정 모드에서 발생한다.
도 16은 코드 동기화 신호(234)에 대한 디코딩 개요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마스터 코드 시퀀스에 대한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 및 코드 매칭의 확인 및 검증 후에, 수신기(206)는 중앙 터미널(10)과 가입자 터미널(20) 간의 경로 지연에 변동을 야기하는 것인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변화를 모니터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214)를 계속해서 모니터 한다.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 조정이 더 필요한 경우, 중앙 터미널(10)은 필요에 따라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한 코드 동기화 신호(234)를 보낸다. 이때, 송신기(204)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에 대해 이루어지는 조정은 1/16의 칩 비율 증분을 갖는 미세 조정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통신 경로내에 간섭이 발생한 경우, 중앙 터미널(10)은 송신기(204)에 가입자 터미널(20)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변수의 재생을 통해서 이전의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 위상 값으로 복귀하게 하는 지령을 내려서 적절한 통신 경로의 재확립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송신기(204)의 동기화가 이루어진 후에, 수신기(206)는 다운링크 통신 경로의 확립 중에 수신기(202)에 의해 수행된 프레임 정렬과 유사한 방식으로 업링크 신호(214)에 대해 프레임 정렬을 수행한다. 수신기(206)가 일단 2개의 연속하는 프레임 정렬 단어를 인식해서 프레임 정렬을 얻게 되면, 업링크 통신 경로가 확립된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 경로가 확립되면, 가입자 터미널(20)의 제 1 사용자(208) 또는 제 2 사용자(210)와 중앙 터미널(10)에 연결된 사용자 간의 정보 전송이 개시될 수 있다.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1)은 3가지 다른 시스템 작동 모드 각각에 대한 2개의 설정 중 하나에 대해 송신 출력 수준과 전송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시스템 작동 모드들은 포착, 대기 및 통화량이다. 송신 출력과 전송 속도에 있어서의 조정은 다른 가입자 터미널과의 간섭을 줄이고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링크 확립 시간에 있어서의 향상도 또한 달성된다. 송신 출력 수준은 출력 제어 신호(236)내에서 디코딩되고, 전송 속도는 코드 동기화 신호(234)내에서 디코딩된다.
다운링크 신호(212)와 업링크 신호(214) 모두를 위한 송신 출력은 공칭 10데시벨의 높은 출력 수준이나 축소된 -12데시벨의 낮은 출력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212)와 업링크 신호(214) 모두를 위한 전송 속도는 초 당 10킬로비트의 낮은 속도 또는 초당 160킬로비트의 높은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초 당 160킬로비트의 높은 속도로 접속된 경우, 사용자 통화량 및 부가 정보는 하나의 정보 부호가 16칩의 전송이 되도록 확산된다. 상관은 16칩에 대해서 수행되어서, 12데시벨의 처리 이득이 얻어진다. 초 당 10킬로비트의 낮은 속도로 접속된 경우에는 하나의 부가 부호가 256칩의 전송이 되도록 부가 정보만이 확산된다. 상관은 256칩에 대해서 수행되어서, 24데시벨의 처리 이득이 얻어진다.
도 17은 3개의 시스템 작동 모드 각각을 위한 출력 및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출력 증강 시에나 또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통신 경로가 소실된 경우에는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1)은 포착 모드로 들어간다.
포착 모드 중에, 다운링크와 업링크의 송신기의 송신 출력이 최대화되고 그 뿐만 아니라 상관기 처리 이득도 최대화된다. 이러한 것은 상관기 출력부의 신호대 잡음 비를 최대화하게 되어, 확인을 위한 상관 피크(219)의 진폭을 증가시켜서 포착 오류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포착 모드에는 부가 정보만이 필요하므로, 전송 속도는 초 당 10킬로바이트의 낮은 속도 수준이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 경로가 포착되었을 때,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1)은 대기 모드로 들어간다. 대기 모드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송신 출력은 12데시벨까지로 감소한다. 송신 출력에서의 이러한 감소는 동기화는 계속 유지하면서도 다른 가입자 터미널에 대한 간섭은 최소화하게 된다. 전송 속도는 부가 채널(224)에 대해 중앙 터미널(10)과 가입자 터미널(20) 간의 제어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낮은 속도 수준으로 유지된다.
착신 호출이나 발신 호출이 검출된 경우,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 경로가 사용자 통화량 정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가 발원 터미널로부터 목적 터미널까지 보내진다. 이때,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1)은 통화량 모드로 들어간다. 통화량 모드 중에, 다운링크와 업링크 통신 경로의 송신 출력은 높은 출력 수준으로 증가하고 전송 속도는 초 당 160킬로비트의 높은 속도 수준으로 증가하여 발원 터미널과 목적 터미널간의 정보 전송을 용이하게 한다. 호출 종료가 검출되면, 다운링크와 업링크 통신 경로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종료 터미널로부터 다른 터미널로 보내진다. 이때,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1)은 다시 대기 모드로 들어간다. 코드 동기화와 프레임 정렬 트랙킹은 대기 모드와 통화량 모드 모두에서 수행된다.
도 18은 가입자 터미널(20) 내의 수신기(202)와 송신기(204)의 블럭 선도를 상세히 도시하는 것이다. 수신기(202)는 RF 수신 인터페이스(250)에서 다운링크 신호(212)를 받는다. RF 수신 인터페이스(250)는 스펙트럼 확산 신호를 I 신호 성분과 Q 신호 성분으로 분리시킨다. RF 수신 인터페이스(250)는 3.5MHz의 수신기(202) 대역 폭의 약 절반 위의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I 신호 성분과 Q 신호 성분 각각을 대역 통과 필터링한다. RF 수신 인터페이스(250)는 화상 주파수를 거절하고 신호 겹침 현상(aliasing)을 방지하기 위해 I 신호 성분과 Q 신호 성분 각각을 저통과 필터링한다. I 신호 성분과 Q 신호 성분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52)에 의해 디지탈 포맷으로 배치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52)의 샘플링 주파수는 칩 주기의 4배 또는 10.24MHz로서 8비트 해상도를 갖는다.
디지탈 I 신호 성분과 Q 신호 성분은 하향 변환기(254)에 의해 5.12MHz의 비율로 계단화된다. 코드 발생기 및 탈확산기(despreader)(256)는 수신기(202)의 라데마쉐-월시 및 의사 랜덤 노이즈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다운링크 신호(212)의 위상과 동기화시키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포착 함수와 트랙킹 함수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기(258)는 코드 트랙터(260)과 캐리어 트랙커(262)를 통해서 슬레이브 코드 시퀀스의 위상을 제어한다. 자동 제어 이득 유니트(264)는 자동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RF 수신 인터페이스(250)의 이득을 제어한다. 코드 발생기 및 탈확산기(256)는 노드 동기 논리 유니트(268)의 제어 하에서 노드 동기 인터페이스(266)에 의하여 동기화를 더 하기 위해 초 당 160킬로비트의 프레임 정보의 I 및 Q를 발생시킨다. 노드 동기 인터페이스(266)는 I 및 Q 채널이 4가지 다른 방식으로 수신될 때에 스와핑되어야 하는지를 노드 동기 논리 유니트(268)를 통해서 결정한다.
비터비 디코더(270)는 I 및 Q 채널 상에 전방 오류 정정을 제공하여 71 부호지연 후에 초 당 160킬로비트의 오류 정정 제 2 데이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오류 정정 신호는, 프레임 정렬 추출 출력 제어 신호(236)와 코드 동기화(234)와 작동 및 유지 채널 신호(238)를 결정하는 프레임 정렬기 및 추출기(272)에 의해 처리된다. 프레임 정렬기 및 추출기(272)는 또한 제 1 사용자(208)와 제 2 사용자(210)를 향한 통화량 송신을 위한 제 1 사용자 채널(226)과 제 2 사용자 채널(228)을 추출하고, 그리고 고 수준의 데이타 링크 제어기(274)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276)에 의한 처리를 위한 신호 발신 채널(230)를 추출한다. 프레임 정렬기 및 추출기(272)는 또한 프레임 정렬에서 손실을 검출한 때에 경보 및 오류 지시를 제공한다. 비 휘발성 랜덤 억세스 메모리(278)는 링크 재확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링크 손실 발생시에 아비트레이터(arbitrator)(280)를 통해서 순차적 삽입을 위한 시스템 변수 정보를 저장한다. 아비트레이터(280)는 또한 디지탈 신호 처리기(258)와 마이크로 컨트롤러(276)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송 방향에서, 프레임 삽입기(frame inserter)(282)는 제 1 사용자(208) 및 제 2 사용자(210)로부터 제 1 사용자 통화량 및 제 2 사용자 통화량을 고 수준 데이타 링크 제어기(274)로부터 신호 발신 채널(230) 정보를,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276)로부터 작동 및 유지 채널(238) 정보를 수신한다. 프레임 삽입기는 중첩 인코더(284)에 의해 처리하기 위한 업링크 신호(214)에 대해 프레임 정보 신호(218)를 발생시킨다. 중첩 인코더(284)는 전방 오류 정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정보 신호(218)의 데이타 비율을 2배로 한다. 확산기(286)는 중첩 인코더(284)의 초 당 320킬로비트의 신호를 초 당 160킬로비트의 2개의 I 및 Q 신호로 분할하고 이들 신호를 코드 동기화 신호(234)에 의해 조정됨에 따라 클락 발생기(290)에 의해 발생된 시스템 클락에 응답하여 코드 발생기(288)에 의해 발생된 확산 시퀀스와 배타적 논리합(OR) 한다. 코드 발생기(288)는 칩 비율이 2.56MHz인 256의 패턴 길이를 갖는 의사 랜덤 시퀀스와 배타적 논리합(OR)을 이룬 1/16의 라데마쉐-월시 함수를 발생시킨다. 의사 랜덤 시퀀스는 중앙 터미널(10)의 시퀀스와 매칭되어야 하지만, 다른 대역 또는 다른 셀로부터의 신호를 신뢰성 있게 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제어 하에서 조정될 수 있다.
확산기(286)는 아날로그 송신기(290)로 I 및 Q 신호를 공급한다. 아날로그 송신기(290)는 RF 송신 인터페이스(292)를 위한 펄스형 I 및 Q 신호를 발생시킨다. 송신 출력은 부가 채널(224)로부터 추출된 출력 제어 신호(236)에 응답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제어 전압을 우선적으로 확립함으로써 발생된다. 이러한 제어 전압은 아날로그 송신기(290)와 RF 송신 인터페이스(292)의 출력 제어 입력부로 인가된다. 35데시벨의 출력 제어는 아날로그 송신기(290)와 RF 송신 인터페이스(292) 모두에서 얻을 수 있다. RF 송신 인터페이스(292)는 30데시벨 범위에 걸쳐서 2데시벨의 계단 감쇠를 제공하는 계단 감쇠기를 포함한다. 이 감쇠기는 고 출력 수준과 저 출력 수준 사이에서 절환시키는데 이용된다. 출력 증강 시에는, 최대 감쇠가 선택되어서 송신기(204)의 송신 출력을 최소화한다.
요약하면,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은 무선 전화 형태의 통신을 공중 전화 교환망과 원격 위치에 있는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은 CDMA 스프레드 스펙트럼 무선 주파수 송신을 통해 가입자 터미널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이용자와 통신하는 중앙 터미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의 여러 가지 변형 및 추가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8)

  1. 중앙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가입자 터미널에 있어서,
    이용자 트래픽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포착 신호로 동작하며,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트래픽 모드로 동작하는 스프레더와,
    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중앙 터미널과의 통신용 송신 신호로 변환하도록 동작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레더가 제 1 신호를 제 1 속도로 발생시키고, 제 2 신호를 제 1 속도 보다 큰 제 2 속도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3. 제 1 항에 있어서, 변환기에 결합되고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동작 가능한 증폭기와,
    증폭기에 결합되고,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4. 제 1 항에 있어서, 변환기에 결합되고, 송신 신호를 제 1 전력 및 제 1 전력보다 작은 제 2 전력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전력으로 증폭하도록 동작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5. 제 1 항에 있어서, 변환기에 결합되고, 제 1 전력 및 제 1 전력보다 작은 제 2 전력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전력으로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동작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제 1 전력이 가입자 터미널의 포착 모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 제 1 항에 있어서, 변환기에 결합되고, 제 1 전력 및 제 1 전력보다 작은 제 2 전력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전력으로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동작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제 2 전력이 가입자 터미널의 대기착 모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이용자 트랙픽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전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8. 고정된 위치들 사이에서의 무선 전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제 1 속도로 송신하는 단계와,
    이용자 트래픽에 대한 리퀘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제 1 속도 보다 큰 제 2 속도로 이용자 트래픽에 대한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수행되는,
    제어 정보를 제 1 속도로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수행되는,
    제어 정보를 제 1 속도 및 제 1 전력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수신 통로 경로를 설정시에 제 1 전력 보다 작은 제 2 전력 및 제 속도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가 송신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제 1 속도 및 제 1 전력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 통신 경로를 설정시에 제 1 전력 보다 작은 제 2 전력 및 제 1 속도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가 제어 정보를 코드 시퀀스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가 제어 정보를 코드 시퀀스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코드 시퀀스가 의사 난수 잡음 코드 및 직교 코드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리퀘스트를 검출하는 단계가 이용자 트래픽용 리퀘스트를 나타내는 원격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송신하는 단계가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코드 시퀀스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송신하는 단계가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코드 시퀀스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코드 시퀀스가 의사 난수 잡음 코드 및 직교 코드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송신한 후에 수행되는,
    호출 정보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호출 정보의 표시에 응답하여 제어 정보를 제 1 속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8.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송신한 후에 수행되는,
    호출 종료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와,
    제어 정보를 제 1 속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19. 중앙 터미널에 있어서, 중앙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다수의 가입자 터미널들 중 최소하나 하나의 터미널에 관련된 이용자 트래픽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각각 동작하고,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포착 모드로 각각 동작하며,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트래픽 모드로 각각 동작하는 다수의 모뎀 카드와,
    모뎀 카드에 결합되고, 각각의 모뎀 카드에 의해 발생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나타내는 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아날로그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터미널.
  20. 제 19 항에 있어서, 모뎀 카드에 결합되고, 모뎀 카드와 공중 전화 교환망 사이에서 이용자 트래픽을 통신하도록 동작하는 종속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터미널.
  21.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뎀 카드가 제 1 신호를 제 1 속도로 발생시키고, 제 2 신호를 제 1 속도 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터미널.
  22. 제 19 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장치에 결합되고, 합 신호를 증폭하도록 동작하는 증폭기와,
    증폭기에 결합되고, 합 신호를 가입자 터미널로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터미널.
  23. 제 19 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카드가 각각의 모뎀 카드에 의해 발생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합 신호를 발생시키기 전에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전력으로 증폭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터미널.
  24. 제 19 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카드가 각각의 모뎀 카드에 의해 발생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제 1 전력 및 제 1 전력 보다 작은 제 2 전력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전력으로 증폭하도록 동작하고, 제 1 전력이 가입자 터미널의 포착 모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터미널.
  25. 제 19 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카드가 각각의 모뎀 카드에 의해 발생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제 1 전력 및 제 1 전력 보다 작은 제 2 전력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전력으로 증폭하도록 동작하고, 제 2 전력이 가입자 터미널의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터미널.
  26. 중앙 터미널이 이 중앙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다수의 가입자 터미널 사이에서의 무선 전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중앙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가입자 터미널에 관련된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다수의 스프레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각각의 신호를 스프레드하는 단계와,
    스프레드 신호를 조합된 신호와 조합하는 단계와,
    조합된 신호를 가입자 터미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가 이용자 트래픽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가 신호의 최소한의 부분을 공중 전화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를 스프레드하는 단계가
    신호가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에 각각의 신호를 제 1 속도로 스프레드하는 단계와,
    신호가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나타내는 경우에 각각의 신호를 제 1 속도 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스프레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속도가 포착 모드에 대응하고, 제 2 속도가 트래픽 모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레드 신호를 제 1 전력 및 제 1 전력 보다 작은 제 2 전력들 중 하나의 전력으로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포착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전력 및 제 1 전력 보다 작고,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들 중 하나의 전력으로 각각의 스프레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33. 제 2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를 스프레드하는 단계가 신호를 코드 시퀀스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34. 제 2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를 스프레드하는 단계가 신호를 코드 시퀀스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코드 시퀀스가 의사 난수 잡음 코드와 직교 코드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통신 방법.
  35. 무선 수신기에 있어서,
    무선 수신기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원격 장치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안테나와,
    안테나에 결합되고, 다운링크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도록 동작하는 변환기와,
    변환기에 결합되고, 다운링크 신호내의 제어 정보를 디스프레드시키도록 포착 모드 및 제 1 속도로 동작하고, 다운링크 신호내의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디스프레드시키도록 트래픽 모드 및 제 2 속도로 동작하는 디스프레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디스프레더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가 동상 및 직교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37. 제 35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코드 동기 신호와,
    전력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38. 제 35 항에 있어서, 디스프레더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가 동상 및 직교 성분을 포함하고, 디스프레더에 결합하고, 다운링크 신호의 동상 및 직교 성분을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 디코드시키도록 동학하는 콘벌루셔널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콘벌루셔널 디코더에 결합되고, 전력 제어 신호 및 코드 동기 신호를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 추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40. 제 38 항에 있어서, 콘벌루셔널 디코더에 결합되고, 제 1 이용자 채널 및 제 2 이용자 채널을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 추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41. 제 35 항에 있어서, 디스프레더에 결합되고, 링크 재설정용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42. 중앙 터미널과 이 중앙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가입자 터미널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를 안테나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다운링크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제어 정보를 회복시키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를 포착 모드 및 제 1 속도로 디스프레드시키는 단계와,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회복시키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를 트래픽 모드 및 제 2 속도로 디스프레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가 동상 및 직교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코드 동기 신호와,
    전력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2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가 동상 및 직교 성분을 포함하고, 단일 비트 스트림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의 동상 및 직교 성분을 디코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 및 코드 동기 신호를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45 항에 있어서, 제 1 이용자 채널 및 제 2 이용자 채널을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2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 및 동기 코드 신호를 다운링크 신호내의 제어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제 1 이용자 채널 및 제 2 이용자 채널을 다운링크 신호의 이용자 트래픽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42 항에 있어서, 링크 재설정용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메모리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중앙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가입자 터미널에 있어서,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스프레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정보 신호를 코드 시퀀스 신호와 조합하도록 동작하는 스프레더와,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코드 동기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기와,
    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위상 조정을 코드 시퀀스 신호에 지정하는 코드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코드 시퀀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코드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51. 제 50 항에 있어서, 수신기가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프레더와,
    디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코드 동기 신호를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 추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52. 제 50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조정과,
    미세 위상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53. 제 50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위상 진행과,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54. 제 1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과,
    미세 위상 진행과,
    조악한 위상 지연과,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55. 제 50 항에 있어서, 위상 조정이 가입자 터미널에서 메모리내에 저장된 이전 위상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56. 가입자 터미널과 이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중앙 터미널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이용자 채널에 관련된 정보 신호를 가입자 터미널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코드 동기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위상 조정을 코드 시퀀스 신호에 지정하는 코드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코드 시퀀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스프레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정보 신호를 코드 시퀀스 신호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7. 제 5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가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디스프레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를 디스프레드시키는 단계와,
    코드 동기 신호를 디스프레드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8. 제 5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조정과,
    미세 위상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9. 제 5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위상 진행과,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0. 제 5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과,
    미세 위상 진행과,
    조악한 위상 지연과,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1. 제 5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가입자 터미널에서 메모리내에 저장된 이전 위상 조정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2.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중앙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가입자 터미널에 있어서,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스프레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정보 신호를 코드 시퀀스 신호와 조합하도록 동작하는 스프레더와,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기와,
    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스프레드 신호를 수신하며, 전력 조정을 스프레드 신호에 지정하는 전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프레드 신호를 증폭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3. 제 62 항에 있어서, 수신기가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코드 동기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위상 조정을 코드 시퀀스 신호에 지정하는 코드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코드 시퀀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코드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4. 제 62 항에 있어서, 다운 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프레더와,
    디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전력 제어 신호를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 추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5. 제 62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조악한 전력 조정과,
    미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6. 제 62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전력 증가와,
    전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7. 제 62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조악한 전력 증가와,
    미세 전력 증가와,
    조악한 전력 감소와,
    미세 전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8. 제 62 항에 있어서, 전력 조정이 최소 전력 출력에 대한 리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69. 제 62 항에 있어서, 전력 조정은 정규 전력 모드에 대한 세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70. 가입자 터미널과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중앙 터미널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터미널의 이용자 채널에 관련된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스프레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정보 신호를 코드 시퀀스 신호와 조합하는 단계와,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전력 조정을 스프레드 신호에 지정하는 전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프레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1. 제 70 항에 있어서, 위상 조정을 코드 시퀀스 신호에 지정하는 코드 동기 신호를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2. 제 70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디스프레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를 디스프레드시키는 단계와,
    전력 제어 신호를 디스프레드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3. 제 70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조악한 전력 조정과,
    미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4. 제 70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전력 증가와,
    전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5. 제 70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조악한 전력 증가와,
    미세 전력 증가와,
    조악한 전력 감소와,
    미세 전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6. 중앙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가입자 터미널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다운 링크 내의 제어 정보를 디스프레드하도록 포착 모드 및 제 1 속도로 동작하며, 다운링크 신호내의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디스프레드하도록 트래픽 모드 및 제 2 속도로 동작하는 디스프레더,
    디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코드 동기 신호를 디스프레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 추출기,
    코드 동기 신호로 지정된 위상 조정에 응답하여 코드 시퀀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코드 발생기, 및
    코드 발생기에 결합되고, 가입자 터미널의 이용자 채널에 관련된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며, 중앙 터미널과의 통신용 업링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코드 시퀀스 신호와 정보 신호를 조합하도록 동작하는 스프레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77. 제 7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조악한 위상 조정과,
    미세 위상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78. 제 7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위상 진행과,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79. 제 76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전력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과,
    미세 위상 진행과,
    조악한 위상 지연과,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80. 제 76 항에 있어서, 위상 조정이 메모리내에 저장된 이전 위상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81. 제 76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가 동상 및 직교 성분을 포함하고, 디스프레더에 결합되고, 다운링크 신호의 동상 및 직교 성분을 프레임 추출기로 전달하기 위한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 디코딩시키도록 동작하는 콘벌루셔널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82. 제 76 항에 있어서, 프레임 추출기가 제 1 이용자 채널 및 제 2 이용자 채널을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83. 제 76 항에 있어서, 디스프레더에 결합되고, 링크 설정용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84. 가입자 터미널과 이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고정 거리에 배치된 중앙 터미널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나타내는 다운링크 신호를 트래픽 모드 및 제 2 속도로 디스프레드시키는 단계와,
    코드 동기 신호를 디스프레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정보 신호를 가입자 터미널에 관련된 이용자 채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코드 동기 신호로 지정된 위상 조정에 응답하여 코드 시퀀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중앙 터미널로의 송신용 업링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정보 신호를 코드 시퀀스 신호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5. 제 84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조정과,
    미세 위상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6. 제 84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위상 진행과,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7. 제 84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과,
    미세 위상 진행과,
    조악한 위상 지연과,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8. 제 84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가 동상 직교 성분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신호의 동상 및 직교 성분을 추출 단계 전에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9. 제 84 항에 있어서, 제 1 이용자 채널 및 제 2 이용자 채널을 디스프레드 다운링크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0. 제 84 항에 있어서, 링크 재설정용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메모리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1. 중앙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가입자 터미널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에 결합되고, 다운링크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변환기와,
    수신 변환기에 결합되고, 다운링크 신호내의 제어 정보를 디스프레드하도록 포착 모드 및 제 1 속도로 동작하며, 다운링크 신호내의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래픽을 디스프레드하도록 트래픽 모드 및 제 2 속도로 동작하는 디스프레더와,
    디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전력 제어 신호 및 코드 동기 신호를 디스프레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 추출기와,
    코드 동기 신호로 지정된 위상 조정에 응답하여 코드 시퀀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코드 발생기와,
    코드 발생기에 결합되고, 가입자 터미널의 이용자 채널에 관련된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며, 업링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코드 시퀀스 신호와 정보 신호를 조합하도록 동작하는 스프레더와,
    스프레더에 결합되고,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며, 전력 제어 신호로 지정된 전력 조정에 응답하여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와,
    송신기에 결합되고, 증폭된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2. 제 91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조정과,
    미세 이상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3. 제 91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과,
    미세 위상 진행과,
    조악한 위상 지연과,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4. 제 91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전력 조정과,
    미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5. 제 91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전력 증가와,
    미세 전력 증가와,
    조악한 전력 감소와,
    미세 전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6. 제 91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조정 및 미세 위상 조정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전력 조정 및 미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7. 제 91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 미세 위상 진행, 조악한 위상 지연, 및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전력 증가, 미세 전력 증가, 조악한 전력 감소, 및 미세 전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8. 제 91 항에 있어서, 송신기에 결합되고, 낮은 송신 전력 레벨 및 높은 송신 전력 레벨을 가입자 터미널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스텝 감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터미널.
  99. 가입자 터미널과 중앙 터미널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다운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다운링크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다운링크 신호내의 정보를 포착 모드 및 제 1 속도로 디스프레드시키는 단계와,
    다운링크 신호내의 제어 정보 및 이용자 트랙픽을 트래픽 모드 및 제 2 속도로 디스프레드시키는 단계와,
    전력 제어 신호 및 코드 동기 신호를 디스프레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가입자 터미널의 이용자 채널에 관련된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코드 동기 신호로 지정된 위상 조정에 응답하여 코드 시퀀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업링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정보 신호를 코드 시퀀스 신호와 조합하는 단계와,
    전력 제어 신호로 지정된 전력 조정에 응답하여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중앙 터미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0. 제 99 항에 있어서, 낮은 송신 전력 레벨 및 높은 송신 전력 레벨을 가입자 터미널에 제공하도록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감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1. 제 99 항에 있어서, 낮은 전력 레벨 및 높은 전력 레벨을 가입자 터미널에 제공하도록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감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작은 송신 전력 레벨이 대기 모드에 대응하고, 높은 송신 전력 레벨이 트래픽 모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2. 제 99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과,
    미세 위상 진행과,
    조악한 위상 지연과,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3. 제 99 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전력 증가와,
    미세 전력 증가와,
    조악한 전력 감소와,
    미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4. 제 99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조정 및 미세 위상 조정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전력 조정 및 미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5. 제 99 항에 있어서, 코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위상 진행, 미세 위상 진행, 조악한 위상 지연, 및 미세 위상 지연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다수의 가능한 위상 조정이 조악한 전력 증가, 미세 전력 증가, 조악한 전력 감소, 및 미세 전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6. 제 99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가 동상 및 직교 성분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신호의 동상 및 직교 성분을 단일 비트 신호로 디코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7. 제 99 항에 있어서, 제 1 이용자 채널 및 제 2 이용자 채널을 디스프레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8. 제 99 항에 있어서, 링크 재설용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가입자 터미널의 메모리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19970708793A 1995-06-02 1996-06-03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및 송신속도를 제어하는 장 치 및 방법 KR19990022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10870.0 1995-06-02
GB9510870A GB2301751B (en) 1995-06-02 1995-06-02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in telecommunications systems
GB9511546A GB2301736B (en) 1995-06-02 1995-06-0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in a subscriber terminal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GB9511546.5 1995-06-07
GB9513170.2 1995-06-28
GB9513172.8 1995-06-28
GB9513168.6 1995-06-28
GB9513172A GB2301741A (en) 1995-06-02 1995-06-28 Establishing a Downlink Communication Pa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GB9513166A GB2301737A (en) 1995-06-02 1995-06-28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GB9513166.0 1995-06-28
GB9513170A GB2301739A (en) 1995-06-02 1995-06-28 Synchronizing a Transmitter in a Subscriber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GB9513168A GB2302240B (en) 1995-06-02 1995-06-28 Apparatus and method of frame align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313A true KR19990022313A (ko) 1999-03-25

Family

ID=107752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685A KR100258402B1 (ko) 1995-06-02 1996-06-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장치와 방법
KR1019970708914A KR19990022433A (ko) 1995-06-02 1996-06-03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cdma 전송
KR1019970708793A KR19990022313A (ko) 1995-06-02 1996-06-03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및 송신속도를 제어하는 장 치 및 방법
KR1019970708915A KR19990022434A (ko) 1995-06-02 1996-06-03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프레임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685A KR100258402B1 (ko) 1995-06-02 1996-06-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장치와 방법
KR1019970708914A KR19990022433A (ko) 1995-06-02 1996-06-03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cdma 전송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915A KR19990022434A (ko) 1995-06-02 1996-06-03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프레임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838913A (ko)
KR (4) KR100258402B1 (ko)
AU (1) AU5973896A (ko)
GB (6) GB2301751B (ko)
RU (1) RU2142672C1 (ko)
WO (1) WO1996039779A2 (ko)
ZA (7) ZA964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5009A (en) * 1997-05-20 2000-11-07 Kabushiki Kaisha Toshiba Event controlling system for integrating different event driven systems
US6282205B1 (en) * 1997-09-02 2001-08-28 Simon Lu Digital audio-video network system
GB2329791A (en) * 1997-09-25 1999-03-31 Dsc Telecom Lp A call routing system for routing calls to or from subscriber terminal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GB2332590B (en) 1997-12-16 2002-10-09 Dsc Telecom Lp Handling of signalling information with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161198A (en) * 1997-12-23 2000-12-12 Unisys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transaction indivisibility in a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upon recovery from a host processor failure by monitoring source message sequencing
US6446149B1 (en) * 1998-03-03 2002-09-03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Self-modifying synchronization memory address space and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busmasters of a computer system
GB2339114B (en) 1998-06-30 2003-03-05 Ericsson Telefon Ab L M Secure messaging in mobile telephones
DE19841447A1 (de) 1998-09-10 2000-03-16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über mehrere Schnittstellen
EP1194074A4 (en) * 1999-05-19 2002-09-11 Innerdyne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 TO ENABLE VASCULAR ACCESS
US6545993B1 (en) * 1999-06-28 2003-04-08 Leger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transfer and acknowledgements
FI19992470A (fi) 1999-11-17 2001-05-18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
JP2001142845A (ja) * 1999-11-17 2001-05-25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
GB2357009A (en) * 1999-12-02 2001-06-06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Dual mode phone and cellularly linked cordless base station
GB2366938B (en) * 2000-08-03 2004-09-01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Authent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GB2367448B (en) 2000-09-27 2004-04-28 Airspan Networks Inc Transfer of different data type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GB2367447B (en) 2000-09-27 2003-11-05 Airspan Networks Inc Transfer of data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167296C (zh) * 2001-09-28 2004-09-15 华为技术有限公司 在通信系统中控制传输速率的方法和装置
US7139274B2 (en) 2002-08-23 2006-1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16697B2 (en) 2002-10-29 2006-03-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ultiple modems in a wireless terminal using dynamically varying modem transmit power limits
US8179833B2 (en) 2002-12-06 2012-05-15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TDM/OFDM/CDM reverse link transmission
US7155236B2 (en) 2003-02-18 2006-12-2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ed and autonomous transmission and acknowledgement
US20040160922A1 (en) 2003-02-18 2004-08-19 Sanjiv Nand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rate of a reverse link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391249B2 (en) 2003-02-18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commands on a code division multiplexed channel
US8150407B2 (en) 2003-02-18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23950B2 (en) 2003-02-18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electable frame du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60282B2 (en) 2003-02-18 2010-02-09 Qualcomm Incorporated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8081598B2 (en) 2003-02-18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Outer-loop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215930B2 (en) 2003-03-06 2007-05-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signal-to-noise ratio (SNR)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S8705588B2 (en) 2003-03-06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code space in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US8477592B2 (en) 2003-05-14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and noise estimation in an OFDM system
US8489949B2 (en) 2003-08-05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Combining grant, acknowledgement, and rate control commands
US7509373B2 (en) * 2003-11-24 2009-03-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US7467219B2 (en) 2003-11-24 2008-1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KR100724989B1 (ko) 2004-04-14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A2563542C (en) 2004-05-07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iodic ranging in a sleep mode in a bwa communication system
RU2325760C1 (ru) 2004-07-01 2008-05-27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ofdma
US7487222B2 (en) * 2005-03-29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anagement architecture for multi-node computer system
KR100762655B1 (ko) * 2005-08-12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070237145A1 (en) * 2006-03-30 2007-10-11 Avaya Technology Llc Comparison based authentication in RTP
TWI416913B (zh) 2006-10-02 2013-11-21 Lg Electronics Inc 傳輸下鏈控制訊號的方法
USRE44564E1 (en) 2006-10-02 2013-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using efficient multiplexing
US8094554B2 (en) * 2006-10-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ed mode operation and power control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KR101049138B1 (ko) 2007-03-19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신호 수신 방법
WO2008115003A2 (en) 2007-03-19 2008-09-25 Lg Electronics Inc. A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42150B2 (en) * 2007-03-19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iming control
JP5309133B2 (ja) * 2007-04-30 2013-10-0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Ofdm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時間差測定
KR100908063B1 (ko) 2007-06-13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KR100913090B1 (ko) 2007-06-13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확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KR100900289B1 (ko) 2007-06-21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US20090037629A1 (en) * 2007-08-01 2009-02-05 Broadcom Corporation Master slave core architecture with direct buses
KR100958303B1 (ko) * 2007-12-12 2010-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코어 시스템 환경에서 내부 코어 간 통신채널을 이용한 모듈 디바이스의 동적 적재 및 실행을 통한 부하 균등화 시스템 및 방법
US8359365B2 (en) 2008-02-11 2013-01-22 Nuix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load-balancing by secondary processors in parallel document indexing
US9785700B2 (en) 2008-02-11 2017-10-10 Nuix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load-balancing by secondary processors in parallelized indexing
US9928260B2 (en) 2008-02-11 2018-03-27 Nuix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 delocalized information governance
US9603085B2 (en) 2010-02-16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intelligent radio selection for legacy and non-legacy applications
US9264868B2 (en) 2011-01-19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network access requests
US9178965B2 (en) 2011-03-18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application communications
US9571952B2 (en) 2011-04-22 2017-02-14 Qualcomm Incorporatd Offloading of data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137737B2 (en) * 2011-08-29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f background application events
KR101639931B1 (ko) * 2012-03-02 2016-07-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RU2581625C1 (ru) * 2012-06-13 2016-04-20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длины волны для пассивной оптической сети с множеством длин волн и система пассивной оптической сети с множеством длин волн
JP6171386B2 (ja) * 2013-02-15 2017-08-0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26930B2 (en) 2014-07-22 2020-11-03 Nuix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arallelized custom data-processing and search
US11200249B2 (en) 2015-04-16 2021-12-14 Nuix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indexing with user-side scripting
US10979296B2 (en) * 2017-10-04 2021-04-13 Servicenow, Inc. Systems and method for service mapping
US10426424B2 (en) 2017-11-21 2019-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erforming imaging protocol simulations
EP3697141B1 (en) * 2019-02-13 2022-04-20 Intel Corporation Transmiss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avoiding excessive exposure of humans to electromagnetic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162A (en) * 1981-04-22 1984-04-03 Pitney Bowes Inc. Local network interface with control processor & DMA controller for coupling data processing stations to common serial communications medium
JPS58217069A (ja) * 1982-06-10 1983-12-16 Fuji Xerox Co Ltd マルチ・マイクロコンピユ−タの通信方式
US4495648A (en) * 1982-12-27 1985-01-22 At&T Bell Laboratories Transmitter power control circuit
US4536838A (en) * 1983-03-24 1985-08-20 Mds Qantel, Inc. Multi-processor system with communication controller using poll flags for non-contentious slot reservation
US4737975A (en) * 1984-09-18 1988-04-12 Metrofone, Inc. Programmable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DE3436441A1 (de) * 1984-10-04 1986-04-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Datenuebermittlungseinrichtung, die ein datennetz mit baumstruktur aufweist
US4652874A (en) * 1984-12-24 1987-03-24 Motorola, Inc.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 local network controller
CA1220830A (en) * 1984-12-28 1987-04-21 David S. Drynan Transmitting sequence numbers of information in a packet data transmission system
JPS61212930A (ja) * 1985-03-19 1986-09-20 Oki Electric Ind Co Ltd 広域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
US4852127A (en) * 1985-03-22 1989-07-25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Universal protocol data receiver
US4675865A (en) * 1985-10-04 1987-06-23 Northern Telecom Limited Bus interface
US4796022A (en) * 1985-12-13 1989-01-03 Northern Telecom Limited Double transit bus system
FR2592256B1 (fr) * 1985-12-20 1988-02-12 Trt Telecom Radio Electr Dispositif d'asservissement de la puissance d'emission d'un faisceau hertzien
EP0234386B1 (de) * 1986-02-10 1990-09-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hmendekodierung
ES2040710T3 (es) * 1986-04-09 1993-11-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cedimiento para la transmision de senales digitales en sistemas radiofonia movil.
US4727538A (en) * 1986-05-20 1988-02-23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Information transfer method and arrangement
EP0262478B1 (de) * 1986-09-29 1991-08-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ahmensynchronisierung der Vermittlungsstelle eines PCM-Zeitmultiplex-Fernmeldesystems
GB2203617B (en) * 1987-03-30 1991-08-21 Ind Technology Inst Embedded test system for communications systems conformance testing
US4945473A (en) * 1987-05-15 1990-07-31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Communications controller interface
EP0296862B1 (en) * 1987-06-24 1995-05-1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ultiprocessor information exchange
EP0398987B1 (en) * 1988-01-29 1997-05-02 Network Equipment Technologies,Inc. Communications network state and topology monitor
GB8823747D0 (en) * 1988-10-10 1988-11-16 Vickers Shipbuilding & Eng System design tool
EP0365731B1 (en) * 1988-10-28 1994-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essages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users through a shared memory
BE1004367A5 (fr) * 1989-02-24 1992-11-10 Rosemount Inc Procede et dispositif d'accuse de reception d'ensembles de donnees.
US5105164A (en) 1989-02-28 1992-04-14 At&T Bell Laboratories High efficiency uhf linear power amplifier
JPH0728231B2 (ja) 1989-04-10 1995-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ースタ装置およびブースタ装置を接続した無線機
US4959851A (en) * 1989-05-10 1990-09-25 Motorola, Inc. Dialing features for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US5020055A (en) * 1989-06-23 1991-05-28 May Jr Carl J Multi-length packet format including fixed length information words
CA2020784C (en) * 1989-07-11 1994-08-23 Horoshi Shimizu Fault locating system capable of quickly locating a fault in a hierarchical communication network
US5267262A (en) * 1989-11-07 1993-11-3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power control system
GB2241851A (en) * 1990-03-09 1991-09-11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Optimising transmitter power in a communications system
GB2243267B (en) * 1990-04-21 1994-03-30 Stc Plc Telecommunications
US5247626A (en) * 1990-05-29 1993-09-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Fddi controller having flexible buffer management
US5151895A (en) * 1990-06-29 1992-09-2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Terminal server architecture
JPH07118617B2 (ja) 1990-07-19 1995-12-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増幅装置及び送信装置
US5153884A (en) * 1990-08-15 1992-10-06 Allen-Bradley Company, Inc. 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circuit
US5128629A (en) 1991-04-22 1992-07-07 Hughes Aircraft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power of digital cellular telephones
DE4118356C2 (de) * 1991-06-05 1994-08-11 Ant Nachrichtentech Verfahren zum Steuern und Überwachen eines Nachrichtenübertragungsnetzes
JPH0556147A (ja) * 1991-08-23 1993-03-05 Nippon Denki Micom Technol Kk 電子交換機
US5303395A (en) 1991-11-06 1994-04-12 Mitsubishi Consumer Electronics America, Inc. Power control with a constant gain amplifier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KR950002162B1 (ko) * 1992-02-12 199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Cpu 로직의 자동 절환 장치
US5237586A (en) * 1992-03-25 1993-08-17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Rake receiver with selective ray combining
US5345598A (en) 1992-04-10 1994-09-06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Duplex power control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0565507A3 (en) * 1992-04-10 1994-11-30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Power control for random access call set-up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GB2268293A (en) * 1992-06-17 1994-01-05 Texas Instruments Ltd Installing a resident part of a Terminate and Stay Resident program.
US5343473A (en) * 1992-08-07 1994-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preempt/resume or alternate protocol for data transmission
US5302914A (en) 1992-10-20 1994-04-12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in multi-carrier RF communication systems
GB2272610B (en) * 1992-11-12 1996-10-09 Northern Telecom Ltd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5289470A (en) * 1992-12-14 1994-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Flexible scheme for buffer space allocation in networking devices
SE9300681D0 (sv) * 1993-03-01 1993-03-01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n apparatusfor handing off a mobile station from a first to a second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779268B2 (ja) 1993-03-11 1995-08-23 日本電気株式会社 衛星通信地球局の送信レベル制御装置
GB2277425B (en) * 1993-04-23 1997-08-06 Motorola Inc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JP2531349B2 (ja) * 1993-06-25 1996-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ドレス電話方式
FI933209A (fi) * 1993-07-14 1995-01-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lähetystehon säätämiseksi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sekä tilaajapäätelaite
JP3363535B2 (ja) * 1993-08-27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GB2282510B (en) * 1993-09-07 1997-12-03 Motorola Ltd A data network
US5450425A (en) * 1993-11-19 1995-09-12 Multi-Tech Systems, Inc. Protocol for communication of a data packet
JP3205158B2 (ja) * 1994-02-07 2001-09-04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集中監視装置
GB2287379B (en) * 1994-03-10 1998-06-10 Roke Manor Research Apparatus for use in a mobile radio system
JPH07283743A (ja) 1994-04-12 1995-10-27 Fujitsu Ltd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送信装置
JP2877248B2 (ja) * 1994-05-20 1999-03-31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Cdma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5483535A (en) * 1995-01-17 1996-01-09 Zeta Music Partners Communications network interface, and adapter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64153B (en) 1996-09-03
KR19990022206A (ko) 1999-03-25
KR19990022433A (ko) 1999-03-25
GB2301740A (en) 1996-12-11
WO1996039779A2 (en) 1996-12-12
KR100258402B1 (ko) 2000-06-01
ZA964152B (en) 1996-08-28
RU2142672C1 (ru) 1999-12-10
GB9513912D0 (en) 1995-09-06
GB2301687A (en) 1996-12-11
KR19990022434A (ko) 1999-03-25
ZA964142B (en) 1996-12-03
GB2301736A (en) 1996-12-11
GB2301740B (en) 1999-11-24
US6198911B1 (en) 2001-03-06
GB2301751B (en) 2000-02-09
GB9514147D0 (en) 1995-09-13
GB2301719A (en) 1996-12-11
GB9513169D0 (en) 1995-08-30
ZA964147B (en) 1996-08-27
US5838913A (en) 1998-11-17
GB2301751A (en) 1996-12-11
GB2301719B (en) 1999-12-22
GB9513171D0 (en) 1995-08-30
GB2301736B (en) 2000-01-12
ZA964151B (en) 1996-09-03
GB2301738B (en) 1999-08-04
AU5973896A (en) 1996-12-24
GB9511546D0 (en) 1995-08-02
WO1996039779A3 (en) 1997-03-06
ZA964146B (en) 1996-12-03
GB9510870D0 (en) 1995-07-26
ZA964150B (en) 1996-12-03
GB2301738A (en) 199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4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장치와 방법
US5696766A (en) Apparatus and method of synchronizing a transmitter in a subscriber terminal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81579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in a subscriber terminal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366570B1 (en) Processing CDMA signals
US580909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frame align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915216A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92366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downlink communication path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U70573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and transmit rate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32420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in a subscriber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U72430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