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051A - 수직 고정성 치과 교합기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수직 고정성 치과 교합기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051A
KR19990022051A KR1019970708530A KR19970708530A KR19990022051A KR 19990022051 A KR19990022051 A KR 19990022051A KR 1019970708530 A KR1019970708530 A KR 1019970708530A KR 19970708530 A KR19970708530 A KR 19970708530A KR 19990022051 A KR19990022051 A KR 1999002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ental
dental model
articulator
m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날드 이. 후프만
Original Assignee
씨. 브라이언 메로나코스
덴츠플라이리서어치앤드디벨롭먼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 브라이언 메로나코스, 덴츠플라이리서어치앤드디벨롭먼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씨. 브라이언 메로나코스
Publication of KR1999002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0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대향되고 격설된 상태로 위치하는 1 조의 치과용 모형 주형들의 정렬에 사용되는 치과용 교합기에 관한 것임. 교합기는 그들 단부들로부터 다편으로 된 주형 결합부재들이 대각선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와 대각선으로 결합자재한 주형 결합부재는 축방향 강성지지부재를 대향된 치과용 모형 주형 쌍의 후방 대구치 면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에 평행한 면에서의 치과용 모형 주형의 대향된 횡방향 이동, 특히 후방 대구치 부분이 치과용 모형이 없는 경우에 대향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편으로 된 주형 결합부재는 대향된 치과용 모형 주형 쌍들의 다방향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적으로 구형인 보족의 곡면을 갖는다. 다편의 주형 결합부재는 주형의 크기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선택된 주형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간극재 블록과 조합하여 2 편의 결합자재한 구조를 이루는 직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지지부재는 1 조의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을 형성하는 U-형의 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직 고정성 치과 교합기 및 그 사용방법
치과용 교합기는 특정인에게 있어서 독특한 치과용 보철의 교합면과 저작운동을 모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교합기로 모방하고자 하는 운동에는 수직, 수평 및 전방악운동(protrusive jaw motion)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치과용 모형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형으로부터 교합기 시스템을 분리자재하게 하는 개선이 이루어졌다. 본 출원과 동일한 발명자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82,787호, 4,449,930호, 4,734,033호 및 의장특허 제306,206호에는 주형으로부터 교합기를 분리할 수 있고 교합 및 전작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어있다.
볼 및 소켓구조에 의하여 완성되고 상기한 특허들에 기재된 가요성이며 분리자재한 힌지 구조로된 태브 주형 장착부(tab cast mount)는 1조로된 주형들의 정확한 정렬을 용이하게 해주고 또한 한 쌍의 치과용 모형 주형의 자연적인 교합 및 저작운동의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모사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선행 교합기들이 분리자재함과 한 쌍의 치과 모형 주형의 교합 및 저작정렬 상태를 모사할 수 있다하여도, 종래의 교합기는 치과용 모형이 불규칙하거나 또는 주형들 중의 하나에 후방 대구치 부분에서 치 조직이 손상된 경우에는 한 쌍의 치과 모형 주형의 교합 및 저작 정렬을 완벽하게 모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비정상적인 치과 모형구조의 경우에는 후방 대구치 교합부가 수직으로 지지되지 않게 되어 수직 저작운동의 모사가 어렵게되거나, 또는 후방 대구치 교합 운동이 어렵게 되는데, 이는 선행 기술에 따른 교합기가 자연적인 교합면의 교합부를 지나 수직이동을 허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비 규칙적인 교합 상태의 결과로서, 선행 기술에 따른 교합기는 기본적인 교합기 시스템에 임시적으로 조치되는 해결책을 이용하여야만 하였다.
이러한 임시방편적인 해결책의 하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 도시된 치과용 교합기 시스템은 비정상적인 대구치를 갖는 치과용 모형 주형 쌍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된 주형들 사이의 치가 없는 대구치 부분에서 간격 D 로 표시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정지봉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계는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형에 고정되는 정지봉을 수납할 수 있도록 주형을 마련하여야 할 필요가 있게된다. 이러한 단계를 채용함으로써 저작운동 중에 불필요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상기한 상태가 종결된 후에, 그리고 정지봉을 변형시켜 모형을 변형한 후에도 여전히 횡방향 이동이 방지되는 점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방식은 치과용 모형 정렬 과정에 있어서는 비생산적이고 불편한 방법으로 관념 된다.
선행 기술에 따른 특허에서는 치과용 모형 주형의 후방 대구치 부분에 위치한 수직 포스트를 갖는 교합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미합중국 특허 제 3,092,909호, 3,808,689호, 4,103,424호, 4,299,570호, 4,865,544호 및 5,046,949호 참조), 이들 특허들에 기재된 수직 구조들은 비규칙적인 대구치 부분을 갖는 쌍으로된 치과용 모형 주형을 용이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할 수 있을 만한 교합기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나아가서, 수직 구조를 갖는 상기 선행 특허에 따른 교합기들은 널리 요구되는 분리성과 1 회성의 특성을 충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쌍으로된 치과용 모형 주형의 자연적인 교합 및 저작운동을 자연스럽게 모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의 힌지형 구조와 함께 쌍으로된 주형의 정확한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자재한 결합부가 생략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후방 대구치 부분에는 물론 비정상적인 후방 대구치 부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치과용 모형 교합기가 필요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교합기는 염가로서 1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보다 필요하게 되었다. 나아가서, 쌍으로된 주형들의 적절한 정렬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즉 치의 모형 상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분리자재하고 힌지식으로 되어있으며 쌍으로 된 치과용 모형 주형의 자연적인 교합 및 전작 정렬 상태의 통로를 모사할 수 있는 치과용 모형 교합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치과 교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격설 되어 대향된 위치에 있는 치과용 모델 모형들을 정렬하기 위한 치과용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모델의 대구치 부분의 불균일한 교합상태를 갖는 치과용 모델 모형의 정렬에 사용될 수 있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대향된 주형들 사이의 치가 없는 대구치 부분에서 D 로 표시한 간격을 지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봉이 사용되는 치과용 교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분해된 상태로서 인접한 1 조의 치과용 모형 주형들이 초기 정렬 및 후속되는 정합 상태를 이루는 상태를 도시하고, 또한 주형 결합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가요성 특성을 갖는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의 2 개의 U-형 아암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3은 설부와 요홈 형의 정렬부 및 힌지형 주형 결합부재를 상부 치과용 모형 주형에 고정하는 장착부재를 나타내고, 또한 2 편으로 된 주형 결합 부재의 일부인 결합자재한 표면들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구형(다방향) 조정부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평면도.
도 4는 상부 및 저부 치과용 모형 주형에 힌지식으로 착탈지재하게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모형 교합기를 나타내고 또한 대향된 주형들 사이의 치가 없는 대구치 부분 내의 간격 D 를 지나 횡방향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방향 강성 지지 부재의 적합한 밀접 수평 간극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교합기의 적합한 전돌(protrusive) 및 측면 가요성을 나타내고 또한 측방향 이동이 방지되는 간극 D 를 나타내는,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 치과용 모형 주형들에 착탈자재하게 결합된 치과용 모형 교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2 편의 결합자재한 주형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예로서 치과용 모형 주형의 후방 단부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축방향 강성 지지 부재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하고 주형 결합부재로 칭하여지는 조립체와 적합한 대각 관계를 이루도록 하는 두 개의 계합자재한 간극재 블록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에 의하여 이동이 방지되는 간극 D 와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를 주형 결합 부재와 밀접하게 평행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2 편의 주형 결합 부재를 갖는 간극재 블록의 요홈 장착 부재와 직렬 설부를 또한 나타내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자재한 표면들이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2 편의 주형 고정부재만을 나타내고, 또한 U-형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의 저부 횡간 부재와 일체로된 2 편의 부재의 지지 결합단부를 나타내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치과용 모형 주형의 저면도.
도 9는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의 힌지식 개방 단부를 나타내고, 또한 상호 복합 결합 주형 결합 부재 구조를 형성하는 2 편 주형 결합부재와 간극재의 직렬구조를 나타내는, 상부 주형 부분의 확대 단면도임. 여기에서 복합구조는 설부 및 간극재의 요홈 계합 구조와 2 편으로 된 주형 결합부재의 만곡된 구형 계합면에 의하여 이루어짐.
도 10은 조립 단계에서 강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침투 요홈과 설부 및 요홈 구조를 나타내는, 간극재의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치과용 교합기 및 정상적인, 또는 비정상적인 대구치 부분을 갖는 쌍으로 된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1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개선된 치과용 교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치 모형들 상에서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착탈자재하고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쌍으로된 치과용 모형 주형들의 자연적인 교합 및 저작 정렬의 통로를 모사할 수 있는, 쌍으로 된 주형들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다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교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향되어 격설된 관계로 위치하는 치과용 모형의 1 조의 주형을 정렬하는 데 사용되는 치과용 교합기를 제공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게된다. 개략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대향 단부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부들로부터는 결합자재한 주형 부착 부재들이 대향된 주형들에 각각 부착 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주형 부착 부재들 중의 하나는 축방향 강성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회동자재하게 고정되며 또한 치과용 모형의 1 조의 주형들 중의 하나에 착탈자재하게 고정된다. 다른 주형 부착 부재는 치과용 모형의 쌍으로된 주형의 다른 하나에 착탈자재하게 고정되고 상기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 중의 하나의 타단부로 연장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된다.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 및 대각선으로 결합자재한 주형 결합부재는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에 평행한 면으로 쌍을 이룬 대향된 치과용 모형 주형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를 대향된 쌍의 치과용 모형 주형의 후방 대구치 단부들에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각각의 대각선으로 결합자재한 주형 결합부재는 주형 결합 단부와 지지 결합 단부를 갖는 2편으로 된 결합자재한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주형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2편으로 구성된 결합자재한 부재는 상호 계합되는 부분 구형면(볼 및 소켓 구조)을 갖고 있어, 고정 결합 전에 1 조의 대향된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여러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게 한다. 주형 결합부재들은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지지 부재와 주형 결합부재와 이에 결합된 치과용 모형 주형들 사이에 대각선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간극재 블록과 조합을 이루는 2 편의 결합자재한 구조를 포함하는 직력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부재는 1 조의 축방향 강성 지지 아암을 형성하는 U-형의 구조로 형성된다. 사용할 때에, 그리고 적절한 주형 정렬단계에서, 결합자재한 표면들은 접착력을 갖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분리자재한 구조에 의하여 주형 결합부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된다. 2편으로 된 결합자재한 구조와 간극재 블록들의 표면들은 그물 모양 또는 요홈들을 갖는 직조형 표면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접착제의 침투가 용이하게되어 상호 계합되는 표면들 사이에 강한 접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치과용 교합기(10)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대향된 주형((30,40)들 사이의 치가 없는 대구치 부분(42)의 간극 D 를 지나 횡방향 이동 A1 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봉(20)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교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분(42)과 같은 치가 없는 대구치 부분을 갖는 치과용 모형 주형(30,40) 상에서 횡방향 이동 A1 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봉(20)과 같은 정지수단을 사용할 필요를 생략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기(100)는 초기 정렬 및 후속 되는 정합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1 조의 치과용 모형 주형(30,4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교합기(100)는 1회용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110)로 칭하여 지는 U-형 본체는 축방향 강성 아암(112,113)을 갖는데, 이들은 상부 결합 부재(130)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측방향 가용성을 제공하게된다. 교합기(100)는 U-형 구조로 형성되나, 단일의 축방향 강성 부재 또는 다른 등가의 강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기(100)는 2 개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 또는 아암(112,113)을 갖는데, 이들의 각각의 대향 단부들로부터는 결합자재한 결합된 주형 결합 부재(120,130)가 대각선으로 결합되며, 결합부재(120,130)는 이들로부터 각각의 대향 주형(30,40)의 후방 단부(31,41)로 연장된다. 예컨대, 회동부(140)는 각각의 아암(112,113)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111)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구멍들은 부재(130)의 지지 결합 단부(137)에 형성된 핀 축(136)과 착탈자재하게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각선의 결합자재한 주형 결합 부재(120,130)는 2 편으로 된 결합자재한 부재(122,124; 132,134)로 구성되며, 각각은 주형 결합 단부(121,131)와 각각의 지지부 결합 단부(126,137)를 갖는다. 주형 결합 부재(120,130)를 형성하는 2 편으로 된 결합자재한 부재(122,124; 132,134)는 부분 구형인 만곡된 계합면을 갖는데, 이들은 고정되기 전에 도 3의 화살표 A4 와 도 2의 화살표 A5 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의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모형의 후방부분은 치가 없는 대구치 부분(42)을 갖는 것으로 주형(30,40)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균일한 치를 갖는 치과용 모형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치과용 주형(30,40)의 초기 정합은 공지된 바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교합 및 저작이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교합기에 주형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향하게 된다. 단지 예로서 도시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형(30,40)의 배면에는 결합부 또는 장착부(122,132) 상의 설부 또는 태브(121,131)를 수납하기 위한 슬로트 또는 요홈(51 및 61)을 갖는 요홈형상의 단부(31,41)로 종결된다. 도 3은 장착부(132)를 상부 주형(30)에 위치시키기 위한 설부 및 요홈부의 결합된 구조(51,131)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정렬상태 A3 을 도시한 것이다. 장착부(122)를 하부 주형(40)에 결합하는 것도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도 4는 설부(121)와 계합되는 요홈(61)을 나타낸 것이다. 주형 장착부(122,132)는 예연소된 급속 경화 시아노아크릴 접착제 또는 호기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주형(30,40)에 고정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734,033호 및 의장특허 제302,71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침투용 요홈(wicking groove)을 주형(30,40)에 마련할 수도 있다.
장착부(122,132)가 주형(30,40)에 일단 고정된 후에, 주형 결합 조립체(120,130)의 지지부재 결합부(124,134)는 도 2 및 도 3에 화살표 A4 및 A5 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정렬이 이루어진 후에 장착부(122,132)에 고정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지지부재 결합부(134)는 일측 단부(137)에는 핀 축(136)을 가지며 그 타단부에는 구형표면(135)을 갖는 독립된 부재로 구성된다. 결합부(124)는 암(112,113)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들을 단부(126)에서 상호 연결시키며 그 대향 단부들에는 구형 표면(125)이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122,124) 및 (132,134)은 주형들을 정렬하기 위하여 화살표 A4 및 A5 로 표시한 바와 같은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며 이를 위해 각각 부분 구형인 결합자재한 표면(123,125) 및 (133,135)을 갖는다. 예로서 표면(123,133)은 오목하게 하고 표면(125,135)은 볼록하게 할 수 있다. 주형(30,40) 의 정확한 방향을 결정하고 교합기(100)를 적절히 위치시킨 후에, 도 3, 4,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123,125) 및 (133,135)를 고정 결합시켜 결합부(150,16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간격 Hs 는 주형 결합부재(120,130)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 간격은 최소로 유지되도록 하여(적합하게는 10.16 내지 19.05mm, 더욱 적합하게는 12.7 내지 19.05mm)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110, 또는 112, 113)이 대향된 치과용 모형 주형(30,40) 의 배면과 평행하게 격설된 관계로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밀접된 간극 Hs 는 축방향 강성 부재(110, 또는 112, 113)와 협력하여 도 4에 D 로 표시된 간격에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턱들은 도 4에 회동운동을 화살표 A2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140)에서 힌지식으로 그리고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며, 도 3에서는 아암(112,113)의 상단부(110A)에 위치한 회동부(140)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아암(112,113)의 상단부(110A)에 위치한 회동부(140, 또는 111,136)에서 상부 치과용 모형 주형(30)에 회동식으로, 그리고 착탈자재하게 고정되는 치과용 모형 교합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주형 결합부재(130 또는 132,134)는 결합부(150 또는 133,135)에서 결합되고 부재(131,51)에 의하여 형성되는 설부 및 요홈 결합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2 편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있다(도 4 참조). 따라서, 주형 결합부재(130, 도 2참조)는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110)의 제 1 말단부(110A)에 착탈자재하게 회동식으로 결합되고 주형(30)에도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주형(30)이 결합되어 있는 주형결합부재(130)와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110) 사이의 각운동은 대각선 방향이 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특정의 치과용 모형의 최상의 교합상태를 얻기 모사하기 위하여는 특정의 정렬 및 정합 상태를 얻기 위하여 결합부(150)를 형성하는 최종 접착 단계를 가변적으로 할 수도 있다.
결합부(150)의 고정상태는 정렬과정 중에 하부주형(40)의 결합부(160)의 고정상태와도 또한 관련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주형결합부재(120)는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112,113)과 일체로 되어진 결합부(124)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단부(110A)에 반대측인 단부(110B)에서 결합부(124)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아암(112,113)을 도시하고, 계합되는 곡면(123)과 결합되어 결합부(160)를 형성하는 구형면(125)을 도시한 것이다. 주형 결합부(122)의 표면(123)의 형상은 연신된 오목한 채널형 곡면구조로 되어있어 볼록한 구형면(125)이 결합부(160)를 형성하도록 접착 고정되기 전에 여러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표면(133,135)의 형상도 역시 유사하게 되어있어 결합부(150)를 형성하기 전에 마찬가지로 여러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주형 결합부(120)는 주형(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축방향 강성지지부재(110)의 말단(110B)으로부터 연장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수행하는 것을 역시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에서 축방향 강성 아암(112,113)은 아암들과 주형의 배면사이의 간격 Hs와의 조합에 의하여(도3 및 4 참조) 부분(42)에 있어서 간격 D 내에서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아암(112,113)의 축방향 강성에도 불구하고, 도 5는 교합기에 필요한 전돌 및 측방향 가요성을 갖도록 하는 교합기(100)의 구성을 또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가요성은 화살표로 표시한 운동방향 F1F2및F3로 나타내었다.
상기한 가요성 있는 이동은 화살표 F1F2및F3로 나타낸 운동방향과 이들 사이의 운동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의 턱운동의 교합상태를 모사할 수 있도록 압력에 따른 응력을 제공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지주와 아암(112,113)을 격설시 킴으로써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아암(112,113)은 고정상태인 하부주형(40)에 접촉되는 상부 주헝(30)의 단독의 연수된 지지부인 비틀림 응답지주 역할을 하게 된다. 아암(112,113)은 주형(30,40)들이 완전한 교합 상태일 경우에는 완전히 이완된 상태로서 비틀림 응력을 받지 않게 된다.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적합한 운동상태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교합기(100)의 일 측면의 말단에서 상호 격설된 2개의 지주를 사용하며, 상부 및 하부 주형 장착부(134,124)는 각각 그로부터 연장되어 조절 자재한 연결기, 즉 주형 장착블럭(132,122)을 통하여 각각의 주형(30,40)들의 고정위치까지 지주로부터 직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주를 분할하거나, 또는 수개의 격설된 지주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물론, 특정경우에는 이에 부가하여 그로부터 모형 주형 장착부가 돌출되는 교합기(100)의 측면에 중심 지주를 마련하는 것이 적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 지주를 사용하게 되면 비틀림 특성은 저하되나, 단일 아암을 갖는 교함기가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만족할만한 비틀림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암(112,113)은 중합화, 성형 및 가공 후에 취성을 갖기 않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좋다. 가장 적합한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클래스 66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예컨대 듀폰사에서 생산된 클래스 66, Vytel 10L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치과용 모형 주형의 장착블록(122,123)의 지지 결합부는 아암(112,113)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간극재(210) 및 교합기 주형 장착부(124,134)로 역시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각각의 아암(112,113)들은 하부의 교합기 장착부(124)의 상면으로부터 (1.5내지1.8 in), 적합하게는 40.64 내지 44.45mm(1.6 내지 1.75in)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폭들은 3.048 내지 4.572mm(0.12 내지 0.18in) 적합하게는 3.175 내지 4.775mm(0.125 내지 0.188in)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아암들의 높이는 그들의 외부 상부 선단까지를 나타내며, 회동부의 구멍 또는 핀축(136)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암의 선단으로부터 0.762 내지 1.27mm(0.03 내지 0.05in) 저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비틀림 응력을 적절히 지탱하기 위하여 지주 또는 아암(112,113)들은 적합한 실시예에서 화살표 F1표시하는 방향인, 모형 주형 장착부(134,124)의 돌출방향으로 광폭으로 되어 있는 것이 적합한데, 이는 화살표 A4로 표시한 방향으로의 폭 보다 크도록 한다.(적합하게는 105배) 나아가서 적합한 실시예에서 교합기(100)는 아암(112,113)들의 치수를 기부 장착부(124) 및 그들의 선단들의 폭과 너비 이내의 균일한 폭과 너비를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은 저작운동을 적절히 모사하고 의치가 수행하게 되는 여러 운동을 모사 하는데 특히 유리하게 된다.
아암(112,113)들은 모형주형의 대우치 부분의 가장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25.4내지 30.48mm(1.0 내지 1.2in)사이에 있는 것이 좋다. 아암(112,113)들은 30.48 내지 33.02mm(1.2 내지 1.3in)정도 격설 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수치는 상부 및 하부 모형 주형(30,40)의 악궁(arch)들에 인접한 대구치 부모의 평균간격과 대략 일치한다. 이렇나 간격에 의하여 인간의 턱의 지연적인 회동기능을 모사 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위치들에 의하여 비틀림 응력을 지탱하는 아암(112,113)는 모형주형의 통상적인 폭치수 내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는 주형이 교합기(100)보다 통상적으로 넓게 됨을 의미한다.
저부 및 상부 지지 결합부(122,132)는 전방으로 돌출된 모형주형의 연결기들이고 도 2에 화살표 A5로 표시한 방향으로 10.16 내지 15.24mm(0.40 내지 0.60in)의 단면을 가지며, 도 5의 화살표 F2 방향으로 30.48 내지 33.02mm(1.20 내지 1.30in), 적합하게는 31.623 내지 31.877mm(1.245 내지 1.255in)의 폭을 갖는다. 수평방향으로 교합기 주형 장착부(124,134)의 전면의 블록 구면과 이와 결합되는 장착부(122,134)의 오목곡면은 30.48 내지 44.45mm(1.20 내지 1.75in), 적합하게는 31.623내지 31.877mm이고 잔여부는 35.56 내지 4.064mm(1.4 내지 1.6in), 적합하게는 36.83 내지 39.37mm(1.45 내지 1.55in)가 된다. 상기 변들이 균일하게 증가되는 원의 일부로 구성되나, 특정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들을 예컨대 타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주형(40)의 저면은 작업대 또는 테이블 상에 착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교합기(100)는 적절한 형태로 현수된다. 이러한 구조는 수직 교합상태를 얻기 위하여는 적절한 방법이 된다. 결합자재한 장착부(122,132)들의 오목면들은 13.97 내지 17.78mm(0.55 내지 0.70in)적합하게는 15.494 내지 16.256mm(0.61 내지 0.64in)의 비교적 수직길이를 가지며, 교합기 장착부(124,1340의 볼록 면들은 5.588 내지 6.604mm(0.22 내지 0.26in)의 짧은 수직 길이를 가져 화살표 A5를 따라 고정위치의 가변성을 크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교합기 장착부(124,134)의 볼록면(123,133)들은 36.83내지 39.37mm(1.45 내지 1.55in)의 수직곡면을 갖는다. 수직면(125,135)들은 수직 상으로는 곡면을 이루지 않아 화살표 A5를 따라 볼록면(123,133)을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 저부, 수평 및 수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들은 교합기가 직립된 위치일 경우의 방향을 의미함은 물론이다.
교합기(100)를 수지로 구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즉 개선된 염가의 교합기를 제공함으로써 1회용으로 교합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을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200)도 본 발명의 여러 목적을 충족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가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점은 상부 주형(30)은 결합하기 위하여 직렬로 된 설부 및 요홈 장착부(130A :도 9참조)를 사용하는 것이다. 직렬 장착부(130A)는 그 편으로 된 결합자재한 주형결합부재(132,134)(앞서 도 2 내지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 있음)와, 예컨대 2개의 계합자재한 간극재 블록(2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200)에서,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주형(40)은 교합기(100)에서 사용한 바와 유사한 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간극재(210)의 여부는 초기 정렬단계중에 대향된 주형(30,40)들의 배면의 상대 정렬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상대 정렬위치는 초기 주형들 상에 치의 모형을 초기에 이식할 때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치기공사는 주형 배면의 편위를 보상하기 위하여 작업에 있어서 필요한 간극재(210)의 숫자를 선택할 수 있게되고, 축방향 강성지지부재(110)가 주형 결함부재(120,130)와 실질적으로 대각선 위치로 되었는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간격 Hs를 최소로 할 수 있다(각 A가 90°로 표시되고 Hs가 표시된 도 7참조). 이와 같이하여 이루어진 교합기는 아암(112,113)들의 종축을 따라 축방향 강성을 갖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가 없는 부분(12) 및 간주 D 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회동부(140, 또는 111,136)는 주형(30,40)의 회동작용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주형(30,40)의 분리도 가능하게 한다.
결합부(150,160)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정렬위치가 선택된 후에 형성된다. 그러나, 접착결합력은 표면(123,125) 및 (133,135)에 표면가공 함으로써 증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표면가공 T1은 예컨데 그물모양으로 도시하였다. 결합부(150,160)들은 계합되는 표면(123,135)들과 양호한 정합 및 접촉을 이루도록 구형 곡률R(DIR 38.1mm : 1.5in)을 갖는다(도 9참조). 도 9는 지지부재 결합부(134)를 포함한 초기 정렬 중에 화살표 A6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암(112,113)들의 상단부 상에 형성된 턱(114)을 나타내고 있다. 주형에 결합하는 초기 결합단계에서 교합기(100)와 상이한 점은 간극재(212)가 요홈(L1)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간극재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설부(212)가 이를 위해 제공된다(도 10참조).
간극재(210)에는 또한 요홈(41)과 유사하고 설부(212)또는 (131)과 계합되는 요홈(211)이 마련된다. 요홈(211)은 교합기 장착블록에 필요한 적정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다른 간극재(21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간극재(210)에도 또한 요홈주위에서 표면 가공을하여 설부 및 요홈 결합부(220, 또는 131,211),(230 또는 211,212) 및 (240 또는 31,212)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가 용이하게 삼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참조). 표면가공부 T2는 요홈(211)으로 향하여 삼투 요홈부로서 형성된다.
교합기(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치과용 모형 주형(30,40)의 단부(31,41)의 일 측면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슬로트(51) 및 (61)을 형성하거나 또는 절췌한다. 단부(31,41)들은 치 세트의 악궁의 배면에 대하여 숙직으로 연장되어 수직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된다.
다음에, 슬로트 부분과 주형장착블록들에 접촉되는 슬로트(51,61)에 인접한 각각의 단부(31,41)의 평면들 포함하며 치과용 모형 주형(30,40)의 부분에는 접착제를 도포 하는데, 접착제로는 상표명 VERTEX 접착제 및 Super Thin 시아노아크릴 접착제로 발매되는 KV33 회사 제품과 같이 급속경화 시아노아크릴 접착제가 적합하다.
각각의 설부(121,131)들과 치과용 모형 주형들의 접착제 도표부분과 접촉되는 주형 장착 블록들의 인접한 평면들에 다음에 동일한 접착제를 도포 하여 치과용 모형 주형들의 각각의 접착제 도포 부분과 접촉 시킨 후 KV33 사에서 상품명 VERTEX 액셀레이터로 판매되는 경화촉진제 또는 총기 경화제를 시아노아크릴 접착제 계면 상에 도포 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켜 장착부들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하여 각각의 부분들은 확고하게 상호고정된다. 설부(121,131)들은 슬로트(61,51)내에 결합 될 수 있는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으며 슬로트들 내에서 상호 접착 고정된다.
치과용 모형 주형(40,30)들이 각각 주형장착블록(122,132)들에 고정된 후에, 이들은 이제 교합기(100)에 장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치과용 모형 주형(30,40)들은 교합상태로 하고 각각의 주형 장착블록(122,132)의 표면 가공된 면 (123,133)의 볼록 면에서 시아노아크릴 접착제를 도포 한다. 교합기(100)의 주형 장착부(124,134)의 각각의 표면 가공된 볼록 면(125,1350은 시아노아크릴 접착제를 도포하고 각각의 면(123,125)과 (133,135)를 계면 접촉상태로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정렬하여, 시아노아크릴 접착제가 경화되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2,113)가 수직상태로 되고 교합기(100)가 비틀림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주형(40,30)의 치들이 교합된 상태에서 주형(40)을 평면 테이블 상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경화촉진제 또는 경화 개시제를 시아노아크릴 접착제가 도포된 계면 상에 분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켜 구조물 전체를 고정시킨다.
다음에 지주(112,113)에 비틀림 응력을 인가하여 환자의 정상적인 턱운동을 모사 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교합 수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들의 단부에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압압하여 상부주형(30)을 제거하여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모형 주형을 조립할 때, 부분들이 접착되지 아니하여 정확한 교합위치에 있지 아니하면 시각을 통한 관찰에 의해 도6,7 및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간극재 블록(210)을 부가하여 각각의 위치들을 조절한다.
간극재 블록(210)은 두 개의 외향면들을 가지며, 설부(212)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요홈 또는 슬로트(211)는 반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슬로트를 감싸는 평면으로부터 90°로 위치하는 4개의 벽들이 슬로트를 형성하도록 블록(210)내로 연장된다. 평면내에 형성된 다수의 채널형 삼투 요홈들이 슬로트를 형성하는 벽들의 2개의 최내측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접착제를 적절히 분포시키게 되어 양호한 접착상태를 얻게 된다. 슬로트(211)들은 설부(212)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어 간극재 블록(210)들이 도시한 바와 같이 축조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은 설명하였으나, 다음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4)

1 조의 격설 되어 대향된 위치에 있는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정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교합기에 있어서,
(a) 제 1 말단부와 상기 제 1 말단부에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말단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와,
(b) 상기 제 1 말단부에 회동식으로 착탈자재하게 상기 1 조의 모형 주형중의 하나에 고정결합될 수 있는 제 1 주형 결합부재와,
(c)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중의 다른 하나에 고정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주형결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 결합부재는 조절자재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는 대각선 교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대각선 교합부재는 조립되고 주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를 대향된 1 조의 치과용 모형 주형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치가 없는 후방 대구치 교합 상태를 모사할 시에 상기 대향된 쌍의 치과용 모형의 횡방향 교합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축방향 강성 지지부재가 1 조의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을 형성하는 U-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말단부는 상기 U-형 부재의 개방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말단부는 상기 U-형 부재의 폐쇄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 쌍들의 각각이 상기 제 1 말단부에서의 회동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 결합부재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주형 결합부와 지지부재 결합부를 구성하고, 각각의 주형 결합부는 상기 1 조의 대향된 주형들이 고정 결합되기 전에 이들을 여러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계합면을 갖도록 형성된 단부들을 통하여 대응된 지지 부재 결합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는 상기 지지아암 상의 대응된 회동 부재와 착탈자재하고 회동자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재를 갖는 상기 제 1 주형 결합부재와 협력하고,
상기 지지 부재 결합부는 상기 페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U-형 부재와 일체를 이루는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결합부재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1 조의 격설 되어 대향된 위치에 있는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정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교합기에 있어서,
(a) U-형 부재의 개방단부를 구성하는 제 1 말단부와 상기 제 1 말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U-형 부재의 폐쇄단부를 구성하는 제 2 말단부를 갖는 한 쌍의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을 형성하는 U-형 부재와,
(b) 상기 제 1 말단부들에 회동식으로 착탈자재하게 결합되고 치과용 모형의 상기 1 조의 주형들에 고정결합될 수 있는 제 1 주형 고정부재와,
(c) 상기 치과용 모형의 상기 1 조의 주형들 중 다른 하나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2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주형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U-형 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결합부재는 조립되어 주형이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을 인접한 반대측 쌍의 치과용 모형 주형들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후방의 대구치 교합운동을 모사할 시 상기 대향되는 쌍의 치과용 모형의 횡방향 교합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조절자재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교합기 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 쌍들의 각각이 상기 제 1 말단부에서의 회동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 결합부재의 각각은 주형 결합부와 지지부재 결합부를 구성하고, 각각의 주형 결합부 및 대응된 지지부재 결합부는 상기 1 조의 대향된 주형들이 고정 결합되기 전에 이들을 여러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는 상기 지지아암 상의 대응된 회동 부재와 착탈자재하고 회동자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재를 갖는 상기 제 1 주형 결합부재와 협력하고,
상기 지지 부재 결합부는 상기 페쇄단부로부터 대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U-형 부재와 일체를 이루는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결합부재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형 장착부는 상기 1 조의 주형들의 설부 및 요홈 형태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자재한 표면들이 상기 다방향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된 곡면의 계합면들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후방 대구치 부분에 치가 없어 빈 공간이 형성되게되는, 1 조의 격설 되어 대향된 위치에 있는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정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교합기에 있어서,
(a) 1조의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을 형성하는 U-형 부재와,
(b) 상기 아암들에 회동자재하고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과용 모형의 상기 주형 쌍들의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의 다편으로 된 부재를 구성하는 제 1 주형 결합부재와,
(c) 상기 치과용 모형의 다른 주형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U-형 부재의 폐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자재한 제 2 의 다편으로 된 제 2 주형 결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U-형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다편으로 된 결합부재는 조립된 상태로서 주형들이 결합될 경우 후방 대구치 교합 운동을 모사하는 방향으로 상기 빈 공간 내로 치과용 모형 주형들의 대향된 쌍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치과용 교합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편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다편 결합부재가 각각 다방향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자재한 보족의 곡면 계합면을 갖는 지지부재 결합부 및 주형 장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장착부의 선택된 하나와 상기 치과용 모형의 상기 주형 쌍들중 대응된 하나와의 사이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하나이상의 간극재로 또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편 결합부재가 하나이상의 주형 장착 간극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치과용 교합기의 이용시 후방 대구치 교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치과용 교합기를 부착하고 교합 및 저작운동을 모사하기 위한, 모형의 후방 대구치 부분이 결손 되어 빈 후방 대구치 부분을 갖는, 대향되고 격설된 상태로 위치하는 1 조의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b) (1) 1조의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을 형성하는 U-형 부재와
(2) 다편으로 된 결합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아암들에 회동식으로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과용 모형의 1 조의 주형들 중의 하나에 고정결합되는, 제 1 주형 결합부재와,
(3) 다편으로 된 결합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주형 쌍중의 다른 하나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U-형 부재의 폐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주형결합 부재로 구성되는 치과용 교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 결합부재들과 연관된 주형 장착부를 상기 1 조의 치과용 모형 주형들의 각각의 배면에 결합하는 단계와,
(d) 단계 (c)에서의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상호 대향된 관계로 정렬하는 단계와,
(e)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주형 결합부재와 연관된 지지 부재 결합부의 표면을 상기 단계 (c)의 상기 각각의 주형 장착부 상의 대응된 계합면에 대하여 정렬하고 임시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 에서 임시로 위치된 상기 표면들을 영구 결합시키는 단계와,
(g) 상기 빈 부분 내로 상기 대향된 쌍의 치과용 모형 주형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대구치 교합 이동 방지를 위한 방법.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가 하나 이상의 간극재를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의 선택된 하나의 배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대구치 교합 이동방지를 위한 방법.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가 표면 가공된 계합면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f)가 상기 표면 가공된 계합면들을 영구 결합시키고 상기 계합면들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대구치 교합 이동방지를 위한 방법.
(a) 1 조의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들을 형성하는 U-형 부재와,
(b) 상기 아암들에 회동자재하고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며 치과용 모형의 주형 쌍중의 하나에 고정되는, 제 1의 다편 주형 결합부재와,
(c) 상기 치과용 모형의 상기 주형 쌍중의 다른 하나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U-형 부재의 폐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의 다편 주형 결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다편 주형 결합부재는 고정 결합 전에 사익 치과용 모형 주형들을 다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곡면의 계합면들이 마련된 부재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다편 주형 결합부재는 하나이상의 간극재를 포함하고,
상기 U-형 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 결합부재가 힌지식으로,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자재하게 되어 있어 조립되어 주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된 구조가 후방 대구치 교합 이동을 모사할 시 치과용 모형 쌍의 대향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a) 그 폐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구형면을 갖는 계합 단부면을 갖는 대각선 부분을 포함하며, 그 개방단부에서 회동부재를 갖는 1 조의 축방향 강성 지지아암을 형성하는 U-형 부재와,
(b) 상기 아암상의 상기 회동부재와 회동자재하게 결합되는 계합 지지부재를 가지며, 또한 구형면을 갖는 단부결합면을 갖는 지지부재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의 상기 단부 결합면과 계합 되는 대응된 구형면을 갖도록 형성된 대응된 결합단부와, 치과용 모형주형의 주형부재에 결합되는 장착단부를 갖는 주형장착부로 구성되는 제 1의 다편 주형 결합부재와,
(c) 상기 대각선부재의 구형면과 계합되는 대응된 구형면과 치과용 모형 주형의 주형부재에 결합되는 장착단부를 갖는 주형 결합부로 구성되는 제 2 주형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U-형 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결합부재는 조립되어 주형이 결합된 상태일 때 조립된 구조가 후방 대구치 교합 운동을 모사할 때 상기 1 조의 치과용 모형 주형의 대향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동자재하게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주형 결합부재의 하나가 하나 이상의 결합자재한 주형 장착 간극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결합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치과용 모형 주형까지 돌출되는 설부와 수평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있고 수직방향으로는 직각으로 되어 있는 면을 갖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설부가 돌출되는 상기 면이 상기 설부를 제외하고는 평면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면이 표면가공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이 36.83 내지 39.37mm(1.45 내지 1.55in)의 곡률을 갖는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
제 19 항에 있어서, 치과용 모형 주형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연결부와,
수평면으로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의 오목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갖고있고 수직면상으로는 직각을 이루고있어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과 교합기 모형 주형 장착부 사이에 양호한 계면 접촉부를 제공하게되는 볼록면을 갖는 교합기 모형 주형 장착부에 직접 형성되는 접착제 연결부로 또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이 치 세트의 악궁의 배면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일측면에서 평면을 가지며 상기 평면은 그 내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슬로트를 가지며,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의 상기 설부는 상기 슬로트 내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의 상기 평면은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의 평면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접착 고정 상태는 급속 경화성 시아노아크릴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과 상기 교합기 모형 주형 장착부는 클래스 66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연결부가 두 개의 대향된 외측으로 향한 면들로 구성되는 교합기 간극재 블록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에 대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향면 중의 하나는 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설부를 가지며 다른 하나의 면은 그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슬로트를 가지되 상기 슬로트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90도로 위치하는 4 개의 관통벽들을 가지며 그 중 2 개의 벽들 및 상기 하나의 평면은 상기 평면의 외측연부로부터 상기 두 개의 관통벽들의 최내측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채널형 요홈들을 가지며, 교합기 간극재 블록은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착 결합되며, 상기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의 상기 설부는 상기 교합기 간극재 블록의 상기 슬로트 내에 직접적으로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
두 개의 대향되고 외측으로 향한 면들과 상기 면들 중의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설부와 상기 면들 중 다른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슬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간극재 블록.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트는 간극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간극재 블록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설부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재 블록.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설부가 돌출 되는 상기 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고, 그 반대면은 상기 슬로트가 관통되는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재 블록.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트가 상기 반대측면의 상기 평면으로부터 90도로 위치하고 관통된 슬로트를 형성하는 4 개의 벽들을 가지며, 상기 슬로트 벽들의 2 개 이상과 상기 대향 측면의 상기 평면은 상기 면의 외측연부로부터 상기 수직 벽들의 2 이상의 벽들의 최내측 부분까지 연장된 다수의 채널형 요홈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재 블록.
제 1 및 제 2의 비틀림 응력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비틀림 응력 지지 부재는 상호 평행하게 격설된 상태로 위치하고, 그 각각은 그 하나의 각각의 단부에서 90도의 각도로 돌출된 제 1 치과용 모형 주형 연결기에 연결되고 그 각각의 타단부는 90도의 각도로 돌출된 제 2 치과용 모형 주형 연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치과용 모형 주형 연결기는 상부 및 하부 치과용 모형 주형들이 각각 상호 계합되고 교합 상태에 있을 때 상호 정렬되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이 31.623 내지 31.877mm(1.245 내지 1.255in) 정도 상호 격설되어있고, 각각은 어느 방향에서도 4.7752 내지 3.175mm(0.188 내지 0.125in)의 횡단면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틀림 응력 지지 지주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기들을 상호 고정하는 유일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틀림 응력 지지 지주가 상기 저부 연결기와 일체로 되어있고 상기 상부 연결기는 회동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비틀림 응력 지지 지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이 31.623 내지 31.877mm(1.245 내지 1.255in) 정도 격설되어있고 3.048 내지 3.302mm(0.120 내지 0.130in)의 폭을 가지며, 4.699 내지 4.826mm(0.185 내지 0.190in)의 너비를 가지며, 하부 연결기의 표면으로부터 그 선단까지 41.91 내지 43.18mm(1.65 내지 1.70in)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지주들이 클래스 66인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치과용 모형 주형 연결기가 상기 치과용 모형 연결기로부터 90도의 각도로 곡률 36.83 내지 39.37mm(1.45 내지 1.55in) 및 곡률반경 36.83 내지 39.37mm(1.45 내지 1.55in)로 연장되는 볼록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제 33 항에 있어서, 오목면으로서 상기 제 1 치과용 모형 주형 연결기의 상기 볼록면에 접착 결합되는 치과용 모형 주형 장착 블록으로 또한 구성되고, 상기 오목면 및 볼록면은 상호 계합되는 곡률을 갖고있어 양호한 접촉계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KR1019970708530A 1995-06-06 1996-05-16 수직 고정성 치과 교합기 및 그 사용방법 KR19990022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67,450 US5766007A (en) 1995-06-06 1995-06-06 Vertically rigid dental articulator system and method
US8/467450 1995-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051A true KR19990022051A (ko) 1999-03-25

Family

ID=2385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530A KR19990022051A (ko) 1995-06-06 1996-05-16 수직 고정성 치과 교합기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766007A (ko)
EP (1) EP0830103B1 (ko)
JP (1) JPH11506626A (ko)
KR (1) KR19990022051A (ko)
AT (1) ATE195645T1 (ko)
AU (1) AU701565B2 (ko)
BR (1) BR9608400A (ko)
CA (1) CA2220218A1 (ko)
DE (1) DE69609965T2 (ko)
ES (1) ES2151165T3 (ko)
TW (1) TW307681B (ko)
WO (1) WO19960390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05A (ko) * 2000-06-09 2000-09-05 김익배 도로안전표지판에 있어서 반사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반사판
KR100628551B1 (ko) 2005-09-08 2006-09-26 김병근 모형 부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999B1 (en) 1999-04-07 2001-11-20 Nu-Tek Dental, Llc Dental articulator
US6511318B2 (en) 1999-04-07 2003-01-28 Nu-Tek Dental, Llc Dental articulator
US7210931B1 (en) 1999-07-07 2007-05-01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 base assembly
USD452320S1 (en) 2001-01-26 2001-12-18 Ronald E. Huffman Encased stone dental model base
US7044734B2 (en) * 2001-01-26 2006-05-16 Huffman Ronald E Encased stone dental model base body and method
USD452321S1 (en) 2001-01-26 2001-12-18 Ronald E. Huffman Quadrant dental model base having a double row of apertures
USD452566S1 (en) 2001-01-26 2001-12-25 Ronald E. Huffman Full arch dental model base having a double row of apertures
USD452567S1 (en) 2001-01-26 2001-12-25 Ronald E. Huffman Full arch dental model base having a single row of apertures
USD452010S1 (en) 2001-01-26 2001-12-11 Ronald E. Huffman Full arch attachment plate
USD452319S1 (en) 2001-01-26 2001-12-18 Ronald E. Huffman Quadrant attachment plate
USD452009S1 (en) 2001-01-26 2001-12-11 Ronald E. Huffman Quadrant dental model base having a single row of apertures
US6471513B1 (en) 2001-01-29 2002-10-29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 base assembly
USD452568S1 (en) 2001-02-27 2001-12-25 Ronald E. Huffman Projecting pin dental model base
USD452322S1 (en) 2001-02-27 2001-12-18 Ronald E. Huffman Projecting pin dental model base with detachable articulator attachment bar
USD457243S1 (en) 2001-05-09 2002-05-14 Ronald E. Huffman Solid quadrant winged dental model base
USD457964S1 (en) 2001-05-09 2002-05-28 Ronald E. Huffman Full arch dental model base with projecting variable height pins
USD457963S1 (en) 2001-05-09 2002-05-28 Ronald E. Huffman Full arch dental model base with projecting variable height pins and removeable attachment bar
USD456904S1 (en) 2001-05-09 2002-05-07 Ronald E. Huffman Projecting pin quadrant dental model base
USD456903S1 (en) 2001-05-09 2002-05-07 Ronald E. Huffman Quadrant dental model base with projecting variable height pins
USD456902S1 (en) 2001-05-09 2002-05-07 Ronald E. Huffman Hollow body full arch dental model base
USD457636S1 (en) 2001-05-09 2002-05-21 Ronald E. Huffman Solid full arch dental model base
USD457637S1 (en) 2001-05-09 2002-05-21 Ronald E. Huffman Encased stone quadrant, winged dental model base
USD464732S1 (en) 2001-09-19 2002-10-22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 base having two rows of stationary pins for random location of teeth
USD464733S1 (en) 2001-09-19 2002-10-22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 base having two rows of pins
USD464432S1 (en) 2001-09-28 2002-10-15 Ronald E. Huffman Encased stone dental model base
USD464431S1 (en) 2001-09-28 2002-10-15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 base having a double row of apertures
USD465027S1 (en) 2001-09-28 2002-10-29 Ronald Huffman Dental model base having a single row of apertures
US7156660B2 (en) * 2002-08-07 2007-01-02 Huffman Ronald E Dental model pouring jig
US7108507B2 (en) * 2002-08-07 2006-09-19 Huffman Ronald E Dental model pouring jig
USD529177S1 (en) 2004-11-05 2006-09-26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 base with a plurality of indexing pins
USD530014S1 (en) 2004-11-05 2006-10-10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 base quadrant with a plurality of indexing pins
US20060204920A1 (en) * 2005-03-14 2006-09-14 Accu-Bite, Inc. Dental articula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60281043A1 (en) * 2005-06-10 2006-12-14 Huffman Ronald E Dental modeling assembly and methods
USD529614S1 (en) 2005-06-10 2006-10-03 Ronald E. Huffman Opposing dental model base quadrant
USD529178S1 (en) 2005-06-10 2006-09-26 Ronald E. Huffman Opposing dental model base
US7690919B2 (en) * 2006-03-28 2010-04-06 Huffman Ronald E Dental articulator
US8235727B2 (en) * 2007-04-10 2012-08-07 Acadental, Inc. Dental articulator with endodontic module
US8277224B2 (en) * 2007-04-10 2012-10-02 Acadental, Inc. Dental articulator with endodontic module
US10319258B2 (en) * 2017-06-29 2019-06-11 Alexander Robert McClure Dental indirect vision trai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8641C (de) * 1925-09-10 Marcel Paul Darcissac Dr Artikulator mit zwei Schalen zur Aufnahme plastischer Masse fuer die Eingrabung der Kaubewegungen
US643038A (en) * 1899-06-08 1900-02-06 James Waters Bryan Dental articulator.
US1055357A (en) * 1911-12-20 1913-03-11 Pierre Robin Method of manufacturing dental models.
US2611961A (en) * 1950-09-29 1952-09-30 Irwin G Neer Dental articulator
US2884696A (en) * 1954-04-22 1959-05-05 Bonfanti Vittorio Articulator for prosthetic dentistry
US3092909A (en) * 1961-02-14 1963-06-11 Roland M Miller Method for releasably mounting dental models in plaster of paris on dental articulators
US3808689A (en) * 1972-12-01 1974-05-07 S Spinella Dental articulator trays
US4103424A (en) * 1976-07-12 1978-08-01 Bergen Brunswig Corporation Dental arti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JPS55148551A (en) * 1979-05-11 1980-11-19 Sankin Ind Co Occluding instrument
US4337039A (en) * 1979-09-04 1982-06-29 Martin Raymond H Plasterless articulator
US4382787A (en) * 1981-05-07 1983-05-10 Kv33 Corporation Dental model articulator
US4449930A (en) * 1981-05-07 1984-05-22 Kv33 Corporation Dental model articulator
US4533323A (en) * 1981-05-07 1985-08-06 Kv33 Corporation Mounting for dental model articulators
US4496320A (en) * 1983-08-22 1985-01-29 Rab Tec Products Corp. Connection of tray to dental articulator
US4734033A (en) * 1987-01-30 1988-03-29 Kv33 Corporation Flexible dental model articulator
US4797097A (en) * 1987-04-15 1989-01-10 Moritz Cohn Articulator for dental model
US4865544A (en) * 1987-11-20 1989-09-12 Scruggs David G Dental model articulator
US5141433A (en) * 1990-05-07 1992-08-25 Peterson Kenneth N Dental articulator
US5046949A (en) * 1990-09-27 1991-09-10 C. J. Star Enterprises, Inc. Articular support system for dental models
US5221203A (en) * 1992-04-03 1993-06-22 Callne Lars E Cast dental model articul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05A (ko) * 2000-06-09 2000-09-05 김익배 도로안전표지판에 있어서 반사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반사판
KR100628551B1 (ko) 2005-09-08 2006-09-26 김병근 모형 부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06626A (ja) 1999-06-15
CA2220218A1 (en) 1996-12-12
AU5794296A (en) 1996-12-24
ES2151165T3 (es) 2000-12-16
EP0830103B1 (en) 2000-08-23
MX9709151A (es) 1998-08-30
BR9608400A (pt) 1999-01-05
WO1996039094A1 (en) 1996-12-12
TW307681B (ko) 1997-06-11
AU701565B2 (en) 1999-02-04
DE69609965D1 (de) 2000-09-28
DE69609965T2 (de) 2001-03-29
ATE195645T1 (de) 2000-09-15
EP0830103A1 (en) 1998-03-25
US5766007A (en) 199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2051A (ko) 수직 고정성 치과 교합기 및 그 사용방법
US5868569A (en) Dental model cast mounting block
US5800166A (en) Spacer block for a dental articulator
EP0277026B1 (en) Flexible dental model articulator and method associated therewith
CA1193122A (en) Dental model articulator
US7210931B1 (en) Dental model base assembly
US4705476A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artificial dentures
US5934901A (en) Vertically stable articulator having dual struts
JP2813546B2 (ja) 歯型トレイ副組立体
JP5194020B2 (ja) 歯科モデル、咬合器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5221203A (en) Cast dental model articulator
US7690919B2 (en) Dental articulator
US6089863A (en) Flexible mold and dental model formed therefrom
US7044734B2 (en) Encased stone dental model base body and method
JP4002614B2 (ja) 歯模型咬合器
US8419425B2 (en) Dental model articulator
JP2005531372A (ja) 歯のモデル成形及び咬合システムと方法
US7059851B2 (en) Dental model articulator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US7597555B2 (en) Dental articulator extender
MXPA97009151A (es) Sistema y metodo articulador dental verticalmente rigi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