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366U -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366U
KR19990021366U KR2019970034863U KR19970034863U KR19990021366U KR 19990021366 U KR19990021366 U KR 19990021366U KR 2019970034863 U KR2019970034863 U KR 2019970034863U KR 19970034863 U KR19970034863 U KR 19970034863U KR 19990021366 U KR19990021366 U KR 199900213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housing
door
hol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366U/ko
Publication of KR19990021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66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외측패널(1)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몰입되며 양측에 삽입공(104)을 갖는 작동공간(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양쪽에는 지지공(108)을 갖는 돌출편(106)들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02)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공(114)을 갖는 연장편(112)들이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들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동일축선을 이루는 지지공(108)과 고정공(114)에 끼워지는 회전중심축(120)에 의해 회동가능한 노브(110)와; 일단은 하우징(100)에 지지되고 타단은 노브(110)에 지지되어 상기 노브(110)를 항상 상기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02)에 안착되도록하는 코일스프링(130)과; 양측에 측판(142)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측판(142)이 연장되어 그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146)를 갖는 관통공(14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과 노브(110)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도록 돌출편(106)과 연장편(11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보스(146)는 돌출편(106)의 지지공(108)에 삽입되며, 상기 측판(142)들 사이에는 연장편(112)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장착되는 차단브래킷(140)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어 내부로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외측에 도어 록킹장치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차를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하는 다수의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의 종류에는 앞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와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가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후방의 트렁크와 차 실내 부분을 동시에 개방하는 백 도어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어 있으며, 래치 조립체와 스트라이커로 구성되어 도어를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도어의 외측에는 아웃사이드핸들이 장착되고, 내측에는 인사이드핸들이 장착되며, 이 아웃사이드핸들 또는 인사이드핸들을 당기게 되면, 래치 조립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도어가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의 내측에는 록킹버튼이 장착되어 록킹버튼을 누르게 되면, 래치 조립체가 작동하여 도어가 잠기게 되고, 인사이드핸들 또는 아웃사이드핸들을 당기더라도 도어는 열리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에 관련된 것으로 도 1에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은 크게 하우징(10)과 노브(20)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도어의 외측패널(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일측으로 몰입되는 작동공간(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동공간(12)의 양측에는 삽입공(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부의 양쪽에는 지지공(18)을 갖는 돌출편(16)들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20)는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공(24)을 갖는 연장편(22)들이 양쪽에 형성되어 하우징(10)에 형성된 작동공간(12)의 삽입공(14)들을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동일축선을 이루는 돌출편(16)의 지지공(18)과 연장편(22)의 고정공(24)에는 코일스프링(32)을 개재하여 회전중심축(30)이 끼워진다. 이와 같은 노브(20)는 회전중심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일단이 하우징(10)에 지지되고 타단이 노브(20)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32)에 의해 항상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노브(20) 한쪽의 연장편(22)의 단부에는 열림로드(4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열림로드의 타단부에는 래치 조립체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탑승자가 노브(20)를 당기게 되면, 열림로드(40)가 당겨지면서 래치 조립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되며, 노브(20)는 코일스프링(32)의 탄발력으로 인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삽입공(14)과 노브(20)의 연장편(22)간에 형성된 틈새(d)로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레귤레이터 및 도어록킹장치 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노브(20)를 외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그 틈새(d)는 더욱 커져 외부에서 각종 전장품이 설치된 도어의 내부가 나타나므로 자동차의 외관이 불량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우징의 삽입공과 노브간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여 도어 내부로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102: 작동공간
104: 삽입공 106: 돌출편
108: 지지공 110: 노브
112: 연장편 114: 고정공
120: 회전중심축 130: 코일스프링
140: 차단브래킷 142: 측판
144: 관통공146: 보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외측패널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몰입되며 양측에 삽입공을 갖는 작동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양쪽에는 지지공을 갖는 돌출편들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공을 갖는 연장편들이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작동공간의 삽입공들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동일축선을 이루는 지지공과 고정공에 끼워지는 회전중심축에 의해 회동가능한 노브와; 일단은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은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노브를 항상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안착되도록하는 코일스프링과; 양측에 측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측판이 연장되어 그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를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공간의 삽입공과 노브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도록 돌출편과 연장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보스는 돌출편의 지지공에 삽입되며, 상기 측판들 사이에는 연장편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장착되는 차단브래킷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은 크게 하우징(100)과 노브(110)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도어의 외측패널(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일측으로 몰입되는 작동공간(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동공간(102)의 양측에는 삽입공(104)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부의 양쪽에는 지지공(108)을 갖는 돌출편(106)들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110)는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02)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공(114)을 갖는 연장편(112)들이 양쪽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형성된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들을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동일축선상으로 된 돌출편(106)의 지지공(108)과 연장편(112)의 고정공(114)에는 코일스프링(130)과 차단브래킷(140)을 개재하여 회전중심축(120)이 끼워진다. 이와 같은 노브(110)는 회전중심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02)에 출입함과 아울러 일단이 하우징(100)에 지지되고 타단이 노브(110)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130)에 의해 항상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차단브래킷(140)은 하우징(100)의 돌출편(106)들과 노브(110)의 연장편(112)들의 사이에는 개재되어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과 노브(110)의 연장편(112)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도록 한 것으로, 양측에 측판(142)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측판(142)이 연장되어 그 단부에 관통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144)의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14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단브래킷(140)은 보스(146)가 돌출편(106)의 지지공(108)에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 연장편(112)의 고정공(114)와 돌출편(106)의 지지공(108)에 회전중심축(120)을 끼워조립한다. 이 때, 차단브래킷(140)의 측판(142)들 사이에는 연장편(112)의 후면이 안착되고, 따라서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과 노브(110)간에 형성되는 틈새는 차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노브(20)의 한쪽의 연장편(22)의 단부에는 열림로드(4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열림로드의 타단부에는 래치 조립체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탑승자가 노브(110)를 당기게 되면, 열림로드(40)가 당겨지면서 래치 조립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되고, 노브(110)는 코일스프링(130)의 탄발력으로 인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과 노브(110)간에 형성되는 틈새는 차단브래킷(140)에 의해 차단되므로 먼지 및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는 하우징의 삽입공과 노브간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여 도어 내부로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의 외측패널(1)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몰입되며 양측에 삽입공(104)을 갖는 작동공간(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양쪽에는 지지공(108)을 갖는 돌출편(106)들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02)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공(114)을 갖는 연장편(112)들이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들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동일축선을 이루는 지지공(108)과 고정공(114)에 끼워지는 회전중심축(120)에 의해 회동가능한 노브(110)와;
    일단은 하우징(100)에 지지되고 타단은 노브(110)에 지지되어 상기 노브(110)를 항상 상기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02)에 안착되도록하는 코일스프링(130)과;
    양측에 측판(142)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측판(142)이 연장되어 그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146)를 갖는 관통공(14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공간(102)의 삽입공(104)과 노브(110)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도록 돌출편(106)과 연장편(11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보스(146)는 돌출편(106)의 지지공(108)에 삽입되며, 상기 측판(142)들 사이에는 연장편(112)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장착되는 차단브래킷(140)들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2019970034863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199900213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63U KR19990021366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63U KR19990021366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66U true KR19990021366U (ko) 1999-06-25

Family

ID=6969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63U KR19990021366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3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5300A (zh) * 2016-10-25 2018-05-01 亚萨合莱韩国株式会社 推拉型门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5300A (zh) * 2016-10-25 2018-05-01 亚萨合莱韩国株式会社 推拉型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US20040012468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KR10041099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
JP2855561B2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スーパーロック機構
US4534193A (en) Lock mechanism for the glovebox door of an automobile
KR19990021366U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200160490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BE1014161A3 (nl) Deurslot voor motorvoertuigen.
KR20017540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의 노브조립구조(arrangement for fixing knob of inner handle assembly in a vehicle door)
JPH084366A (ja) 自動車用ドアのアウタサイドハンドル構造
KR19990021365U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20017540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CN220645575U (zh) 一种用于触发多种功能的按钮总成
KR19990021353U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의 로킹버튼 조립구조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KR19990021316U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9990021367U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19990021318U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9990021317U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0269895B1 (ko) 자동차의 후드 세컨더리 래치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19980052756U (ko) 자동차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
KR19990025894U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핸들 조립체
KR200177750Y1 (ko) 자동차용 일체형 버튼
KR100530399B1 (ko) 자동차용 도어 내부핸들 및 락킹노브 일체형 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