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077A -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077A
KR19990021077A KR1019970044571A KR19970044571A KR19990021077A KR 19990021077 A KR19990021077 A KR 19990021077A KR 1019970044571 A KR1019970044571 A KR 1019970044571A KR 19970044571 A KR19970044571 A KR 19970044571A KR 19990021077 A KR19990021077 A KR 1999002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gnition key
state
powe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077A/ko
Publication of KR1999002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077A/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여 개문 발차를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상태 감지에 따라 스위칭되는 도어 접촉 스위치(1)와, 점화 스위치(IGN)의 오프 모드 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평시 크로스상태인 제 1 릴레이(RLY1)와, 도어 접촉 스위치(1) 및 제 1 릴레이(RLY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 릴레이(RLY2)와, 이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는 동력을 생성하는 시동 방지 모터(101)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여 개문 발차를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는 도 1 의 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도어 접촉 스위치(1)와, 점화 스위치(IGN)의 스타트 모드 및 도어 접촉 스위치(1)의 온 모드시 작동되어 엔진이 초기 기동되게 하는 스타트 모터(4)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3,RLY는 자동차의 급작스런 출발을 방지하는 소자로서, 2는 자동 변속기 자동차에만 적용되는 인히비터 스위치이고, 3과 RLY1은 수동 변속기 자동차에만 적용되는 클러치 스위치와 스타트 릴레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폐쇄 상태일 경우에 도어 접촉 스위치(1)는 온 모드가 되어 운전자의 수조작에 따라 점화 스위치(IGN)가 스타트 모드이면 스타트 모터(4)에 전원(B+)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이 스타트 모터(4)가 작동되어 엔진이 초기 기동되게 되고, 엔진 전자 제어 모듈(도시 생략됨)의 제어 과정에 따라 자동차가 시동되게 된다.
한편, 도어가 개방 상태일 경우에 도어 접촉 스위치(1)는 오프 모드가 되어 운전자가 점화 스위치(IGN)를 수조작하여 스타트 모드가 되더라도 스타트 모터(4)에는 전원(B+)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시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자동차의 개문 발차가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개문 발차 방지장치는 스타트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방지하게 되나 자동차가 주차된 장소가 가파른 내리막길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엔진이 초기 기동되어 도어의 개폐 상태와는 무관하게 자동차가 시동되는 개문 발차의 우려가 잔존하였다.
또한, 별도의 회로에 의하여 도어 오픈 경고음이 제공되나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이를 무시하고 자동차를 운행할 경우에는 자동차의 급선회시 승객 추락 사고 등의 인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원천 봉쇄하여 개문 발차를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도어의 개폐 상태 감지에 따라 스위칭되는 도어 개폐 감지수단과; 점화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스위칭수단과; 도어 개폐 감지수단 및 제 1 스위칭수단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 스위칭수단과; 이 제 2 스위칭수단의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정/역회전되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 생성수단과; 이 동력 생성 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동력을 전달받아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는 삽입구 노출 단속수단과; 동력 생성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동력을 삽입구 노출 단속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의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의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시동 방지부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접촉 스위치 RLY1,2 : 제 1, 제 2 릴레이
101 : 시동 방지 모터 102 : 점화키 삽입구 커버
103a : 피니언 103b : 레크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 상태 감지에 따라 스위칭되는 도어 접촉 스위치(1)와, 점화 스위치(IGN)의 오프 모드 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평시 크로스상태인 제 1 릴레이(RLY1)와, 도어 접촉 스위치(1) 및 제 1 릴레이(RLY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 릴레이(RLY2)와, 이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는 동력을 생성하는 시동 방지 모터(101)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시동 방지부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시동 방지 모터(101)와, 이 시동 방지 모터(10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도록 점화키 실린더(5)의 외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점화키 삽입구 커버(102)와, 시동 방지 모터(101)의 회전력을 점화키 삽입구 커버(102)로 전달하는 피니언 및 레크(103a)(103b)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폐쇄된 상태로 자동차가 주차되어 있을 경우에 도어 접촉 스위치(SW1)는 온 모드이고, 점화 스위치(IGN)가 오프 모드이므로 제 1 릴레이(RLY1)는 평시 크로스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시동 방지 모터(101)에는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정회전되게 된다.
동시에, 피니언 및 레크(103a)(103b)에 의하여 시동 방지 모터(101)의 정회전력이 점화키 삽입구 커버(102)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점화키 삽입구 커버(102)가 점화키 실린더(5)의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점화키 삽입구가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하고자 도어를 개방시키면 이를 감지한 도어 접촉 스위치(1)는 오프 모드가 되고, 점화 스위치(IGN)는 오프 모드이므로 제 1 릴레이(RLY1)는 평시 크로스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릴레이(RLY2)가 전원(B+) 전류에 의하여 자화되어 스위칭되므로 시동 방지 모터(101)에는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역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 및 레크(103a)(103b)에 의하여 역회전력을 전달받은 점화키 삽입구 커버(102)가 점화키 실린더(5)의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외부에 노출된 점화키 삽입구를 외부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이후에,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후 도어를 패쇄시키면 이를 감지한 도어 접촉 스위치(1)는 온 모드가 되고, 점화 스위치(IGN)는 오프 모드이므로 제 1 릴레이(RLY1)는 평시 크로스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최초 주차 상태와 동일한 조건이므로 시동 방지 모터(101)는 정회전되게 되고, 점화키 실린더(5)의 점화키 삽입구가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후에도 도어를 패쇄시키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를 감지한 도어 접촉 스위치(1)는 오프 모드가 된다.
그러므로, 시동 방지 모터(101)는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역회전되어 역회전력을 전달받은 점화키 삽입구 커버(102)에 의하여 점화키 실린더(5)의 점화키 삽입구가 외부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시동이 원천 봉쇄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운행이 불가능하여 진다.
그러나, 도어가 패쇄된 상태에서 자동차가 시동되어 정상적으로 운행될 경우 즉, 점화 스위치(IGN)가 오프 모드가 아닐 경우(ACC,ON,START)에는 전원(B+) 전류에 의하여 제 1 릴레이(RLY1)가 자화되어 평시 크로스상태에서 오픈상태로 변환되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B+) 공급이 차단되어 시동 방지 모터(101)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자동차의 운행 중에는 점화키 실린더(5)의 점화키 삽입구가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원천 봉쇄함으로써, 자동차의 개문 발차시 발생될 수 있는 승객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어의 개폐 상태 감지에 따라 스위칭되는 도어 개폐 감지수단과,
    점화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스위칭수단과,
    상기 도어 개폐 감지수단 및 제 1 스위칭수단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 스위칭수단과,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의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정/역회전되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 생성수단과,
    상기 동력 생성 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동력을 전달받아 점화키 삽입구의 외부 노출을 단속하는 삽입구 노출 단속수단과,
    상기 동력 생성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동력을 상기 삽입구 노출 단속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 노출 단속수단은 점화키 실린더의 외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점화키 삽입구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KR1019970044571A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KR19990021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571A KR19990021077A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571A KR19990021077A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077A true KR19990021077A (ko) 1999-03-25

Family

ID=6603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571A KR19990021077A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0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6868A (en) Remote vehicle starter for a standard transmission vehicle
GB2296042A (en) Vehicle theft prevention ignition system
JP2000515955A (ja) 自動車における制御装置の作動装置
US8197388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ngaging a parking lock of an automatic or automated gearbox of a motor vehicle
US6802573B2 (en) Parking control circuit
EP1331149A3 (en) Keyless engine controlling unit
US6246564B1 (en) Activating device
KR19990021077A (ko) 자동차용 개문 발차 방지장치
KR100682222B1 (ko) 자동차 시동 장치 및 방법
KR20010064614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960011491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잠금장치
JPH0224991B2 (ko)
KR200313244Y1 (ko) 자동차에서 시동 오프 시에 윈도우 자동 닫힘 장치
JPH10317793A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の停止制御装置
KR100365212B1 (ko)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JPH10141187A (ja) マニュアル車用エンジン遠隔始動装置
KR0166532B1 (ko) 원격제어에 의한 자동차 룸 램프 작동장치
KR200173184Y1 (ko) 자동차 윈도우 및 도어록 해제장치
KR0140234Y1 (ko) 차량 주행중 자동 본넷트 잠금장치
KR100187133B1 (ko) 자동차 도어 개방시 출발 방지 장치
KR20050018115A (ko) 차량 시동 안전 장치
KR100233888B1 (ko) 차량의 도어 자동 닫힘장치
KR19980044899A (ko) 차량의 주차시 윈도우 오픈 경고 및 강제폐문장치
JPH0329614B2 (ko)
KR19980047198U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