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990A -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990A
KR19990020990A KR1019970044483A KR19970044483A KR19990020990A KR 19990020990 A KR19990020990 A KR 19990020990A KR 1019970044483 A KR1019970044483 A KR 1019970044483A KR 19970044483 A KR19970044483 A KR 19970044483A KR 19990020990 A KR19990020990 A KR 19990020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audio signal
input
recording
refere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990A/ko
Publication of KR1999002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990A/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은 오디오신호 기록시 입력오디오신호의 소스의 레벨이 높거나 낮게 변하더라도 기록(녹음)레벨을 일정 기준레벨 즉,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준레벨로 조정하여 오디오신호를 기록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기록매체 및 마이크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레벨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모든 오디오신호를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기록할 수 있도록 선택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고, 증폭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한가를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판단결과 증폭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 레벨차이값을 계산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본 발명은 오디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기록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일정한 기준레벨로 조절하여 기록하는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은 먼저, 모드를 기록모드로 전환하고, 마이크(MIC)를 통해 임의의 오디오신호를 입력한다.
이렇게 입력된 오디오신호는 기록증폭기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후 기록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디오신호를 녹음기 또는 오디오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하는데 있어 예를들면 연설회장에서 연설하게 되는 내용을 사용자가 녹음하기 위하여 카세트를 이용하여 녹음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연설회장에서 연설자가 연설하는 오디오의 레벨은 거의 일정하지 않게 된다. 즉, 높은음으로 말하는 부분과 낮은음으로 말하게 되는 부분이 꼭 있게 마련이다.
이렇게 높은음과 낮은음을 혼합하여 연설하는 경우의 오디오신호를 녹음하여 추후에 재생하게 되면 높은음으로 연설하는 부분은 아무런 지장없이 사용자가 알아들을수 있도록 재생되는데 낮은음으로 연설하게 되는 부분을 재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연설자가 어떠한 말을 하였는지를 쉽게 분석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신호를 기록할 때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로 보상하여 사용자가 추후에 재생할 때 쉽게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오디오신호 기록장치는 오디오 입력소스의 레벨이 낮은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게 되는 경우 추후 재생시에 사용자가 쉽게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확인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디오 입력소스의 레벨이 낮은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게 되는 경우 추후 재생시에 사용자가 쉽게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확인할 수 없게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볼륨레벨을 일일이 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신호 기록시 입력오디오신호의 소스의 레벨이 높거나 낮게 변하더라도 녹음레벨을 일정 기준레벨 즉,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준레벨로 조정하여 오디오신호를 기록할수 있는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디오입력부 11 : 증폭부
12 : 비교부 13 : 제어부
14 : 키 입력부 15 : 레벨조정부
16 : 기록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장치의 특징은기록매체 및 마이크를 구비한 오디오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레벨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모든 오디오신호를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기록할 수 있도록 선택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에서 증폭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제공되는 키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결과의 레벨차이값을 계산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조정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와; 상기 레벨조정부에서 조정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로 구성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의 기록방법의 특징은 기록매체 및 마이크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레벨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모든 오디오신호를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기록할 수 있도록 선택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고, 증폭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한가를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판단결과 증폭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 레벨차이값을 계산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오디오입력부(10)와, 증폭부(11)와, 비교부(12)와, 제어부(13)와, 키 입력부(14)와, 레벨조정부(15) 및 기록부(16)로 구성된다.
오디오입력부(10)는 일반적인 마이크(MIC)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하는 것이고, 증폭부(11)는 오디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비교부(12)로 출력한다.
비교부(12)는 증폭부(11)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제어부(13)내의 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그 비교값을 제어부(13)로 제공한다.
제어부(13)는 키 입력부(14)의 키 입력신호에 따라 비교부(12)에서 제공되는 입력오디오신호의 레벨과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의 비교값을 분석하여 레벨조정부(15)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레벨조정부(15)는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동일하게 조정하여 기록부(16)로 출력하여 오디오신호가 기록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키 입력부(14)는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에 관계없이 기준레벨과 동일하게 모든 오디오신호를 기록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특수키 이다. 상기 특수키를 구비한 이유는 음악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기록할 때에는 음의 높낮이가 중요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오디오소스 그대로 기록하여야만 하고, 연설과 같은 경우에는 음의 높낮이와는 관계없이 연설자의 내용만 정확하게 전달되면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사용자가 연설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14)를 선택하여 특수기록키 입력신호를 제어부(13)로 제공한다.
이어, 오디오입력부(10)를 통해 기록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증폭부(11)는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비교부(12)로 출력한다. 비교부(12)는 제어부(13)내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레벨에 대한 데이터를 리드하여 증폭부(1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과 비교하게 된다.
이렇게 비교부(12)에서 비교된 비교값은 제어부(13)로 출력되고, 제어부(13)는 입력된 오디오신호의 입력레벨이 기 설정된 오디오 기준레벨값보다 클 경우에는 레벨조정부(15)로 레벨조절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낮추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벨조정부(15)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하게 조절되면 조절된 입력오디오신호를 기록부(16)의 기록동작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부(12)의 비교결과 입력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한 경우에는 레벨조절부(15)의 레벨조정없이 바로 기록부(16)의 기록동작에 따라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부(12)의 비교결과 입력된 오디오신호의 입력레벨이 기 설정된 오디오 기준레벨값보다 작을 경우 레벨조정부(15)로 레벨조절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레벨조정부(15)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보상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레벨조정부(15)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하게 조절되면 조절된 입력오디오신호를 기록부(16)의 기록동작에 따라 기록매체에 기록되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장치의 동작에 상응하는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오디오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한다(S101).
이어, 오디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증폭부(11)에서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비교부(12)로 출력한다(S102).
이와 같이 증폭부(12)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입력오디오신호의 레벨을 제어부(13)내에 기 저장된 기준레벨과 동일한가를 비교판단하게 된다(S103). 비교판단결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입력레벨이 기 저장된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레벨조정없이 바로 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S104).
그러나, 상기 비교판단결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입력레벨이 기 저장된 기준레벨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 저장된 기준레벨보다 작은레벨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05).
판단결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입력레벨이 기 저장된 기준레벨보다 작은레벨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그 차이만큼 레벨조정부(15)에서 레벨을 조정하고(S106) 조정이 되면 다시 조정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저장된 기준레벨과 동일한가를 판단한 다음(S103) 동일하게 조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기록매체에 조정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S104).
한편, 상기 S105단계에서 판단결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입력레벨이 기 저장된 기준레벨보다 큰 레벨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그 차이만큼 레벨조정부(15)에서 레벨을 낮추어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조정한 다음(S106) 조정이 되면 다시 조정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저장된 기준레벨과 동일한가를 판단한다(S103). 판단결과 동일하게 조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기록매체에 조정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S10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은 사용자의 키입력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오디오신호의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그 차이만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조정한 한 다음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함으로서, 낮은레벨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그 레벨을 높혀 기록하기 때문에 추후 재생시 오디오신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기록매체 및 마이크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레벨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모든 오디오신호를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기록할 수 있도록 선택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고, 증폭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한가를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판단결과 증폭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 레벨차이값을 계산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판단하는 단계에서의 비교판단결과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준레벨과 동일하게 보상하는 단계와;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높은 경우에는 기준레벨과 동일학 낮추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하는 단계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동일한 경우에는 레벨의 조정없이 바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KR1019970044483A 1997-08-30 1997-08-30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KR19990020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483A KR19990020990A (ko) 1997-08-30 1997-08-30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483A KR19990020990A (ko) 1997-08-30 1997-08-30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90A true KR19990020990A (ko) 1999-03-25

Family

ID=66038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483A KR19990020990A (ko) 1997-08-30 1997-08-30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342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US8121307B2 (en) In-vehicle sound control system
KR20050089187A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스피커 특성 보상장치 및 방법
KR19990020990A (ko) 오디오신호 기록방법
JPH11145857A (ja) 雑音低減装置
KR100490409B1 (ko)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JP2988358B2 (ja) 音声合成回路
JPH09116362A (ja) 自動音量制御装置
KR20080007957A (ko) 가라오케 시스템에서의 출력 음성 보정장치 및 방법
KR20020089884A (ko) 오디오 출력 레벨 자동 조절 방법
US20070078547A1 (en) Sound output system and method
JP3243737B2 (ja) 音量調整回路装置
JPS61108294A (ja) 自動音場補正装置
KR100198297B1 (ko) 씨디 음압 레벨 자동 보상장치와 방법
KR100744345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070064961A1 (en) Audio control system and audio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40547A (ko) 오디오 기기에서 음원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03037650A (ja) 携帯電話機
KR10057579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앰프의 이득 제어 장치와방법
JPH07235850A (ja) オーディオ装置
JPH0575366A (ja) オーデイオ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回路
KR20000043635A (ko) 브이 씨 알의 오디오 증폭이득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8427A (ko)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자동 음량 조절 장치
JP2001077645A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処理方法
KR0118001Y1 (ko) 배경음악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