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982A -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982A
KR19990020982A KR1019970044475A KR19970044475A KR19990020982A KR 19990020982 A KR19990020982 A KR 19990020982A KR 1019970044475 A KR1019970044475 A KR 1019970044475A KR 19970044475 A KR19970044475 A KR 19970044475A KR 19990020982 A KR19990020982 A KR 1999002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andle
door
driver
safet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동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982A/ko
Publication of KR1999002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982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모든 도어가 로크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도어를 오픈하고자 할 때에 먼저 새프티 인너핸들을 조작한 후 인너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오픈시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 도어를 오픈하기 위해 세프티 인너핸들과 인너핸들을 같이 조작해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인너핸들의 조작만으로 세프티 인너핸들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운전석측의 도어를 간단하게 오픈시킬 수 있도록 인너핸들(40)의 배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노브(42)를 돌출 형성하여 세프티 인너핸들(50)의 배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단순히 인너핸들만을 조작하여 도어를 간편하게 오픈시키므로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해진 도어 오픈기능과 잠금기능을 제공하는 등 차량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본 발명은 도어의 인너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프티 인너핸들에 의해 로크된 차량의 도어를 운전자가 간편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어의 잠금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크게 인너핸들과 도어래칫 및 스트라이커로 구비된다.
한편,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는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최근의 대부분의 차량에는 주행중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새프티 인너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세프티 인너핸들은 유아나 어린이가 도어로크를 조작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음으로 운전자는 보다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너패널(11)의 한 부분에 포켓(20)이 고정 설치되고, 이 포켓(20)에는 핀(30)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다.
또한, 핀(30)에는 인너핸들(40)과 세프티 인너핸들(50)이 끼워지며, 인너핸들(40)이 끼워진 부분의 핀(30)에는 복원스프링(41)이 설치되어 인너핸들(40)을 항상 탄성 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인너핸들(40)의 한 부분에는 핸들로드(60)가 설치되며, 이 핸들로드(60)는 도어래칫(80)과 연결 설치된다.
한편, 세프티 인너핸들(50)의 한 부분에는 세프티 핸들로드(70)가 연결 설치되며, 이러한 세프티 핸들로드(70)도 도어래칫(80)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래칫(80)은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90)와 맞물려 도어(10)를 열거나 잠그게 된다.
운전자가 차량의 모든 도어(10)를 로크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도어(10)에 설치되어 있는 세프티 인너핸들(50)을 운전자측으로 약간 당겨주면 세프티 인너핸들(50)은 핀(30)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새프티 핸들로드(70)를 당기게 되어 도어래칫(80)이 작동하여 도어(10)의 로크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며, 또한 다른 도어(10)의 로크상태도 해제시키게 된다.
반면에 운전자가 차량의 모든 도어(10)를 로크시키고자 할 때에는 세프티 인너핸들(50)을 포켓(20) 방향으로 눌러주므로 모든 도어(10)가 로크된다. 즉, 운전자에 의해 눌려지는 세프티 인너핸들(50)은 핀(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프티 핸들로드(70)를 밀게되므로 도어래칫(80)이 작동하여 스트라이커(90)와 맞물리게 되어 차량의 모든 도어(10)가 로크된다.
한편, 인너핸들(40)은 운전석의 도어(10)를 오픈시킬 때에 사용되며, 인너핸들(40)을 운전자측으로 당기는 순간 도어(10)가 오픈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모든 도어(10)가 로크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도어(10)를 오픈하고자 할 때에 먼저 세프티 인너핸들(50)을 조작한 후 인너핸들(40)을 조작하여 도어(10)를 오픈시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 도어(10)를 오픈하기 위해 세프티 인너핸들(50)과 인너핸들(40)을 같이 조작해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상술하면, 운전자는 세프티 인너핸들(50)을 이용하여 차량의 모든 도어(10)를 잠근 상태에서 운전석측의 도어(10)를 오픈시킬 때에는 우선적으로 세프티 인너핸들(50)을 조작하여 도어(10)의 로크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인너핸들(40)을 이용하여 운전석측의 도어(10)를 오픈시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도어(10)를 오픈시키기 위해 세프티 인너핸들(50)과 인너핸들(40)을 함께 조작할 수밖에 없는 등 도어(10)를 오픈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동작이 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너핸들의 조작만으로 세프티 인너핸들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운전석측의 도어를 간단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너핸들이 적용되는 도어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너핸들이 적용되는 도어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너핸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11; 인너패널
20; 포켓 30; 핀
40; 인너핸들 41; 복원스프링
42; 노브 50; 세프티 인너핸들
60; 핸들로드 70; 세프티 핸들로드
80; 도어래칫 90; 스트라이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은 세프티 인너핸들의 배면과 접촉되도록 인너핸들의 배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노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너핸들이 적용되는 도어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너핸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너패널(11)의 한 부분에는 포켓(20)이 고정 설치되고, 이 포켓(20)에는 핀(30)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핀(30)에는 인너핸들(40)과 세프티 인너핸들(50)이 동일 수직선상으로 끼워지며, 이러한 인너핸들(40)은 배면 일측부에 노브(42)가 윗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인너핸들(40)이 끼워진 부분의 핀(30)에는 복원스프링(41)이 설치되어 인너핸들(40)을 항상 탄성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인너핸들(40)의 한 부분에는 핸들로드(60)가 설치되며, 이 핸들로드(60)는 도어래칫(80)과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세프티 인너핸들(50)의 한 부분에는 세프티 핸들로드(70)가 연결 설치되며, 이러한 세프티 핸들로드(70)도 도어래칫(80)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래칫(80)은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90)와 맞물려 도어(10)를 열거나 잠그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주행 안전을 위해 세프티 인너핸들(50)을 작동시켜 차량의 모든 도어(10)를 잠근 상태에서 차량을 정차시킨 후,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도어(10)를 오픈시킬 때에는 단순히 인너핸들(40)을 운전석측으로 당기므로 세프티 인너핸들(50)에 의해 로크된 도어(10)가 오픈된다.
즉, 운전자가 로크된 도어(10)를 오픈시키기 위해 인너핸들(40)을 운전석측으로 당기는 경우에 인너핸들(40)의 배면에 돌출된 노브(42)가 세프티 인너핸들(50)의 배면과 접촉되면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프티 인너핸들(50)을 운전석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세프티 인너핸들(50)을 핀(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세프티 인너핸들(50)과 연결 설치된 세프티 핸들로드(70)가 당겨지므로 도어래칫(80)에 의해 잠겨진 도어(10)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세프티 인너핸들(50)을 회전시키는 인너핸들(40)은 핸들로드(60)에 의해 도어래칫(80)을 작동시키므로 도어(10)를 오픈시키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의 모든 도어(10)를 로크시키고자 할 때에는 세프티 인너핸들(50)을 포켓(20) 방향으로 눌러주므로 모든 도어(10)가 로크된다. 즉, 운전자에 의해 눌려지는 세프티 인너핸들(50)은 핀(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프티 핸들로드(70)를 밀게되므로 도어래칫(80)이 작동하여 스트라이커(90)와 맞물리게 되어 차량의 모든 도어(10)가 로크된다.
이때, 인너핸들(40)은 복원스프링(41)에 의해 항상 원래 위치로 복귀되므로 운전자는 단순히 세프티 인너핸들(50)을 도어(10)측으로 밀어주므로 차량의 모든 도어(10)가 로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너핸들(40)의 조작에 의해 오픈되는 도어(10)의 인너핸들(40)은 세프티 인너핸들(50)에 의해 잠겨진 도어(10)를 운전자가 단순히 인너핸들(40)을 조작하므로 도어(10)가 간편하게 열리므로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해진 도어(10) 오픈기능과 잠금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인너핸들의 배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노브가 돌출 형성하여 인너핸들 조작시 세프티 인너핸들도 함께 작동되어 도어가 오픈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단순히 인너핸들만을 조작하여 도어를 간편하게 오픈시키므로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해진 도어 오픈기능과 잠금기능을 제공하는 등 차량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인너패널에는 포켓이 고정 설치되고 이 포켓에는 축이 설치되며 이러한 축에는 세프티 인너핸들과 인너핸들이 설치되어 세프티 핸들로드와 핸들로드에 의해 도어래칫을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로크 및 해제시키 것에 있어서,
    상기 세프티 인너핸들(50)의 배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핸들(40)의 배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노브(4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KR1019970044475A 1997-08-30 1997-08-30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KR19990020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475A KR19990020982A (ko) 1997-08-30 1997-08-30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475A KR19990020982A (ko) 1997-08-30 1997-08-30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82A true KR19990020982A (ko) 1999-03-25

Family

ID=6603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475A KR19990020982A (ko) 1997-08-30 1997-08-30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9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482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인너핸들을 이용한 자동차 도아 록킹 자동 해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482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인너핸들을 이용한 자동차 도아 록킹 자동 해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3670B2 (ko)
JPH0726818A (ja) ドアロック装置
JPH06272442A (ja) トランク用扉のロック装置
JPH0347085Y2 (ko)
KR19990020982A (ko) 차량용 도어의 인너핸들
JP3143586B2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
JP2529567Y2 (ja) ドアロックのケーブル連結構造
JP2565196Y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ロック装置
JPS6242067Y2 (ko)
JPH0617960Y2 (ja) 自動車用ロック装置
JPH0345504Y2 (ko)
JPS6140860Y2 (ko)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JPH0364673B2 (ko)
JP3134579B2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ノブ構造
KR970004325Y1 (ko)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glove box)편심로킹 장치
KR0171782B1 (ko) 자동차의 어린이 보호용 도아록크구조
KR100380449B1 (ko) 자동차의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36110B1 (ko)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JPH0544455Y2 (ko)
JPS644945B2 (ko)
JPS5831960Y2 (ja) ドアロツク装置
JPH063119Y2 (ja) 車両のドアロック装置
KR20017540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JPH03339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