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887U -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0887U KR19990020887U KR2019970034375U KR19970034375U KR19990020887U KR 19990020887 U KR19990020887 U KR 19990020887U KR 2019970034375 U KR2019970034375 U KR 2019970034375U KR 19970034375 U KR19970034375 U KR 19970034375U KR 19990020887 U KR19990020887 U KR 1999002088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tank
- fuel
- guide
- width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탱크 유동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 탱크 하우징을 마운팅 스트랩으로써 차량의 하부에 채결시 정확한 위치에 가이드 되도록, 연료 탱크 체결홈에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연료 탱크 가이드 홈(6)의 끝단 중앙에 연료 탱크 가이드 홈(6)의 너비(T1)보다 적고 마운팅 스트랩(5)의 너비(T2) 보다는 약간 큰 너비(T3)를 갖는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운팅 스트랩(5)이 연료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따라 차량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연료탱크 유동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 탱크 하우징을 마운팅 스트랩으로써 차량의 하부에 채결시 정확한 위치에 가이드 되도록, 연료 탱크 체결홈에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는 모든 운전 조건하에서 엔진에 필요한 혼합기를 가장 연소하기 쉬운 상태로 공급하는 장치로써, 그 기능은 엔진의 성능, 특히 출력이나 경제성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이 장치의 주요부는 기화기 또는 연료분사장치로 여기에서 연료와 공기를 적절히 혼합시켜 엔진에 공급한다.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연료속에 있는 수분과 먼저 등을 제거하는 연료필터,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 등이 있으며, 이들은 연료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연료계통에서 가솔린 증기가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콜 캐니스터 등을 이용한 연료 증발가스 배출 억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탱크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탱크 본체, 주입구 파이프, 연료 게이지의 센더 유니트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주행중 연료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몇장의 세퍼레이터(격리판)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탱크 내면은 녹슬지 않도록 방청처리 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 캡에는 탱크속에 부압이 만들어져 기화기나 연료분사 장치에 연료가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압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입구 안쪽에는 원통형의 가는 금속망을 집어넣어 주입되는 가솔린의 여과와 바깥으로부터 탱크 안으로의 인화를 방지한다. 또한 연료 에미션 파이프는 탱크와 차콜 캐니스터 간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탱크속에 발생한 증기를 차콜 캐니스터에 흡수시키는 통로로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연료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차량의 연료 주입구(1)에서 연료 탱크(2)까지는 고무재질의 연료 흡입용 파이프(3)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료 흡입용 파이프(3)를 통해 연료를 주입시 발생하는 공압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 벤트 호스(4)가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연료 흡입용 파이프(3)는 연료탱크(2)의 하부로 투입되고, 에어 벤트 호스(4)는 연료탱크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에어 벤트 호스(4)는 연료 탱크(2)의 약 3/4 위치에 고정시키는바, 이는 연료를 연료탱크 내부에 꽉 채웠을 경우 여름철이나 고온시 연료부피가 늘어나거나 증발가스의 과압으로 연료탱크가 터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료탱크(2) 하우징은 내부 조립작업을 미리 마친뒤에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는바, 이때 도시한 바와같이 연료탱크(2)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마운팅 스트랩(5)을 차량에 조립시 일단을 차량의 리어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연료 탱크(2)를 차량에 결합시에 연료 탱크를 차량의 하부에 위치시킨후 상기 연료 탱크 고정용 마운팅 스트랩(5)의 다른 일단을 연료탱크의 홈(6)을 통해 들어 올려 고정점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연료탱크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6)은 연료탱크(2)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탈 되는 것을 막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작업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상기 연료탱크 가이드 홈(6)의 너비(T1)를 마운팅 스트랩(T2)의 너비에 비해 상당히 크게 제작되고 있는바, 따라서 연료 탱크 가이드 홈(6)의 너비(T1)와 마운팅 스트랩(5)의 너비(T2) 차이만큼 연료탱크가 오조립 되어 장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도 2를 통해 도시함).
만약에 여기서 오조립이 발생하면 연료탱크 장착시 리어 시트쪽에 오도록 설계되어 있는 서비스 홀을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연료튜브 등의 눌림 현상이 나타나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없는 현상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연료 탱크 가이드 홈의 끝단에 연료 탱크 가이드 홈의 너비보다 적고 마운팅 스트랩의 너비보다는 약간 큰 너비를 갖는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를 설치토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작업 속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연료탱크가 장착될 위치에 정확히 결착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단이 차량의 하부 리어에 미리 결합되어 연료탱크 마운팅시 연료탱크 가이드 홈을 따라 타단을 업시켜 결합시키는 마운팅 스트랩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 가이드 홈의 끝단에 연료 탱크 가이드 홈의 너비보다 적고 마운팅 스트랩의 너비보다는 약간 큰 너비를 갖는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료 탱크의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연료 탱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연료 탱크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형성한 상태의 연료탱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료 주입구 2: 연료 탱크
3: 연료 흡입용 파이프 4: 에어 벤트 호스
5: 마운팅 스트랩 6: 가이드 홈
7: 유동 방지 가이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연료 탱크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형성한 상태의 연료탱크 사시도로써, 일단이 차량의 하부 리어에 미리 결합되어 연료탱크(2) 마운팅시 연료탱크 가이드 홈(6)을 따라 타단을 업시켜 결합시키는 마운팅 스트랩(5)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 가이드 홈(6)의 끝단 중앙에 연료 탱크 가이드 홈(6)의 너비(T1)보다 적고 마운팅 스트랩(5)의 너비(T2) 보다는 약간 큰 너비(T3)를 갖는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운팅 스트랩(5)이 연료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따라 차량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은 먼저 마운팅 스트랩(5)의 일단을 차량의 리어 하부에 결합시키고, 이후 연료탱크(2)를 조립시 연료 탱크(2)가 차량 하부로 위치하면 마운팅 스트램(5)의 끝과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맞춘 상태에서 마운팅 스트랩(5)의 타단을 차량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를 종래와 비교하여 보면, 종래에는 단순히 연료탱크 가이드 홈(6)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운팅 스트랩(5)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탱크 가이드 홈(6)을 따라 차량에 고정시 가이드홈(6)의 너비(T1)와 마운팅 스트랩(5)의 너비(T2) 차이만큼 오조립이 발생할 수 있어, 만약에 여기서 오조립이 발생하면 연료탱크 장착시 리어 시트쪽에 오도록 설계되어 있는 서비스 홀을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연료튜브 등의 눌림 현상이 나타나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없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가이드 홈(6)의 너비(T1)보다 작고 마운팅 스트랩(5)의 너비(T2)보다 큰 홈을 갖는 연료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연료탱크 가이드 홈(6) 끝단에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연료 탱크 가이드 홈(6)에 결합시키면서 마운팅 스트랩(5)의 끝단을 연료탱크 유동 방지 가이드(7)에 맞추면 되므로 조립성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오조립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연료 탱크 하우징을 마운팅 스트랩으로써 차량의 하부에 채결시 정확한 위치에 가이드 되도록, 연료 탱크 체결홈에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연료탱크의 오조립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 일단이 차량의 하부 리어에 미리 결합되어 연료탱크(2) 마운팅시 연료탱크 가이드 홈(6)을 따라 타단을 업시켜 결합시키는 마운팅 스트랩(5)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연료 탱크 가이드 홈(6)의 끝단 중앙에 연료 탱크 가이드 홈(6)의 너비(T1)보다 적고 마운팅 스트랩(5)의 너비(T2) 보다는 약간 큰 너비(T3)를 갖는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운팅 스트랩(5)이 연료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7)를 따라 차량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4375U KR19990020887U (ko) | 1997-11-28 | 1997-11-28 |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4375U KR19990020887U (ko) | 1997-11-28 | 1997-11-28 |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0887U true KR19990020887U (ko) | 1999-06-25 |
Family
ID=6967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4375U KR19990020887U (ko) | 1997-11-28 | 1997-11-28 |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0887U (ko) |
-
1997
- 1997-11-28 KR KR2019970034375U patent/KR19990020887U/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17851B2 (en) |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 |
KR19990020887U (ko) | 연료 탱크 유동 방지용 가이드 | |
KR100220417B1 (ko) | 차량의 연료 가스 누출 방지장치 | |
KR19990030561U (ko) | 스트랩을 이용한 연료탱크 결합부재 | |
KR100205996B1 (ko) | 자동차용 연료 공급 장치 | |
KR100251212B1 (ko) |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설치 구조 | |
JPS60199729A (ja) | 車両用燃料タンク | |
KR20000043115A (ko) | 차량의 연료 탱크 도어 체결구조 | |
KR19990005687U (ko) | 연료 증발 가스 방출 억제 구조가 구비된 연료 탱크 | |
KR19990020892U (ko) | 연료 흡입 파이프의 가스켓 형상 구조 | |
KR100436967B1 (ko) | 통합밸브장치 | |
KR0140500Y1 (ko) |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연료증발가스 유도구조 | |
KR19990020894U (ko) | 연료탱크의 에어 벤트 호스 고정용 리테이너 구조 | |
KR101271909B1 (ko) |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리저버컵 장착구조 | |
KR19990049574A (ko) | 자동차용 연료필터 착탈장치 | |
KR0138402B1 (ko) | 차량용 연료 주입튜브 조립구조 | |
KR19980074250A (ko) | 안전성을 향상시킨 대형 캐니스터 | |
KR19980020797U (ko) | 연료 증발 방지용 연료 탱크 | |
KR19990019558U (ko) | 캐니스터의 연료유입 차단장치 | |
KR960002944Y1 (ko) | 자동차의 연료탱크 | |
KR100418612B1 (ko) | 자동차 연료탱크용 콘트롤밸브 | |
KR19990031022U (ko) | 자동차용 연료필터와 캐니스터 퍼지 솔레노이드를 동시에 장착하는 브라켓 | |
KR19980037850U (ko) | 자동차의 연료 탱크 | |
KR19990006531U (ko) | 자동차 연료 탱크의 프랩 타입 체크 밸브 | |
KR19980030713U (ko) | 대기오염 방지용 자동차 연료 주유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C193 |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