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879U -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879U
KR19990020879U KR2019970034367U KR19970034367U KR19990020879U KR 19990020879 U KR19990020879 U KR 19990020879U KR 2019970034367 U KR2019970034367 U KR 2019970034367U KR 19970034367 U KR19970034367 U KR 19970034367U KR 19990020879 U KR19990020879 U KR 199900208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teering
head lamp
vehicle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879U/ko
Publication of KR19990020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879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의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 램프를 차량의 조향에 따라서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커브길에서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헤드 램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램프 수납공간(21)을 형성하고 저면에 회전축 삽입구멍(22)과 이 삽입구멍에서 소정의 반경으로 안내장공(23)을 갖는 헤드 램프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20)의 램프 수납공간(21)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3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 삽입구멍(2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 회전축(31)과 상기 안내장공(23)에 가이드되는 안내축(32)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램프(30)의 회전축(31)에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치형을 갖는 섹터기어(4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섹터기어(40)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0)를 스텝모터(60)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하고, 차량의 롱지 프레임(70) 일측에 조향바퀴(80)의 조향각을 검출해내는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를 설치하고, 상기 조향바퀴(80)에서 검출된 조향바퀴(80)의 조향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스텝모터(60)의 출력축 회전을 제어하는 헤드램프 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 램프를 차량의 조향에 따라서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커브길에서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헤드 램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에 안전한 주행을 확보하기 위해서 헤드 램프(전조등), 미등, 및 안개등이 설치되어 있다.
미등은 차폭등으로서도 이용되는 것으로 야간운전시 후방차량에게 자신의 차량을 알리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고, 안개등은 안개가 많이 끼거나 우천시 시야가 좋지 않은 도로상황에서 중앙선 반대편 차선에서 달려오는 차량에게 자신의 주행상태를 확인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헤드 램프는 차량이 주행하게 되는 차선을 확인시켜 줌과 동시에 차선의 굽어진 상황 등을 판단하고 또, 도로에 장애물이 있은지의 유무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야간운전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헤드램프, 안개등, 차폭등 또는 미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야간운전을 위해서 차량에 구비된 램프외에 도로의 중앙선에는 황색등이 설치되어 있고 또, 굽어진 도로에는 차량의 안전한 커브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시선유도장치(델리네이터), 점멸등 등이 보조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의 주행방향이 원주방향(또는 곡선방향)을 이루는 커브길에서는 차량의 진행방향(화살표 A방향)과 헤드램프의 조사방향(화살표 B방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는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상황에서는 중앙선 반대편에서 달려오는 상대방의 차량 운전자에게도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서로가 차량 확인을 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정면충돌도 피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커브가 이루어진 도로에서는 이에 따른 헤드 램프의 조상방향도 일치해야 함이 요구된다.
즉, 운전자의 차량 조향에 따른 헤드 램프의 조향이 조절되면 이를 해결하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헤드 램프를 차량의 조향에 따라서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커브길에서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헤드 램프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내부에 램프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에 회전축 삽입구멍과 이 삽입구멍에서 소정의 반경으로 안내장공을 갖는 헤드 램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의 램프 수납공간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구멍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 회전축과 상기 안내장공에 가이드되는 안내축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램프의 회전축에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치형을 갖는 섹터기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섹터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스텝모터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하고, 차량의 롱지 프레임측에 조향바퀴의 조향각을 검출해내는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조향바퀴에서 검출된 조향바퀴의 조향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스텝모터의 출력축 회전을 제어하는 헤드램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차량의 조향바퀴가 조향되면, 이를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가 감지하여 헤드램프 제어장치로 송출하고,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입력된 데이터값을 비교값과 비교판단하여 스텝모터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로 인해 스텝모터가 헤드 램프 하우징에 설치된 헤드 램프를 조향바퀴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조향조절된다.
따라서 야간에 커브진 도로상에서 주행하는 경우에 주행방향과 헤드램프의 조사빔의 방향이 일치하게 되고, 가시거리가 멀어져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헤드 램프가 고정된 차량의 차량 진행방향과 헤드램프의 조사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의 주행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헤드 램프 하우징 21 : 안내구멍
22 : 회전축 삽입구멍 30 : 헤드 램프
31 : 회전축 32 : 안내축
40 : 섹터기어 50 : 피니언기어
60 : 스텝모터 70 : 롱지 프레임
80 : 조향바퀴 90 :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
100 : 헤드 램프 제어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램프 하우징(20)은 내부에 램프 수납공간(21)을 형성하고 저면에 회전축 삽입구멍(22)과 이 삽입구멍에서 소정의 반경으로 안내장공(2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20)의 램프 수납공간(21)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3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 삽입구멍(2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 회전축(31)과 상기 안내장공(23)에 가이드되는 안내축(32)을 구비하고 있다.
즉, 헤드 램프(30)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헤드램프(30)의 안내축(32)이 헤드램프 하우징(20)의 안내장공(23)에서 안내된다.
상기 헤드 램프(30)의 회전축(31)에는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치형을 갖는 섹터기어(4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섹터 기어(40)의 치형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섹터 기어(40)의 반경거리를 증가시키게 되면 치형갯수의 이물림 숫자에 따른 섹터기어(40)의 회전각이 작아지므로 정밀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섹터기어(40)의 원주상에는 이 섹터기어(40)와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50)가 위치되고, 이 피니언 기어(50)는 스텝모터(60)의 출력축(6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차량의 롱지 프레임(70) 일측에는 조향바퀴(80)의 조향각을 검출해내는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는 헤드램프 제어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헤드램프 제어장치(100)는 상기 조향바퀴(80)에서 검출된 조향바퀴(80)의 조향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스텝모터(60)의 출력축(61) 회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즉,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가 조향바퀴(80)와의 거리를 파형으로 검출해내면, 검출파형의 피크치를 헤드램프 제어장치(100)가 입력된 데이타 값과 비교,판단하여 필요한 제어값을 상기 스텝모터(60)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조향바퀴(80)가 롱지 프레임(70)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조향바퀴(80)와의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이럴 경우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로부터 입렵받은 데이터 값은 "0(제로)"로 판독되어 스텝모터(60)에는 어떠한 제어신호도 들어오지 않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선회하기 위해 조향바퀴(80)를 좌측으로 회전각도(-θ)만큼 선회시키게 되면 조향바퀴(80)와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의 거리는 가까워지게 된다.
이같이 조향바퀴(80)와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이에 비례하여 헤드램프 제어장치(100)는 스텝모터(60)의 출력축(61)을 시계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50)에 치합된 섹터기어(40)가 헤드램프(30)의 회전축(31)을 좌측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조향축 바퀴(80)의 회전방향에 비례하여 헤드램프(30)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좌측으로 회전하는 진행방향과 헤드 램프(30)의 조사방향은 일치하게 된다.
한편, 차량이 우측으로 선회하기 위해 조향바퀴(80)를 우측으로 회전각도(θ)만큼 선회시키게 되면 조향바퀴(80)와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의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이같이 조향바퀴(80)와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이에 비례하여 헤드램프 제어장치(100)는 스텝모터(60)의 출력축(61)을 반시계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50)에 치합된 섹터기어(61)가 헤드램프(30)의 회전축(31)을 우측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조향축 바퀴(80)의 우회전방향에 비례하여 헤드램프(30)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우측으로 회전하는 진행방향과 헤드 램프(30)의 조사방향은 일치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를 우측의 조향바퀴(80)에 대해 그 측정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좌측의 조향바퀴측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조향바퀴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이를 감지시켜 헤드램프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졀가능하게 함으로써 야간에 커브진 도로에서의 주행시 가시거리가 멀리까지 확보되어 안전한 주행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램프 수납공간(21)을 형성하고 저면에 회전축 삽입구멍(22)과 이 삽입구멍에서 소정의 반경으로 안내장공(23)을 갖는 헤드 램프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20)의 램프 수납공간(21)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3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 삽입구멍(2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 회전축(31)과 상기 안내장공(23)에 가이드되는 안내축(32)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램프(30)의 회전축(31)에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치형을 갖는 섹터기어(4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섹터기어(40)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0)를 스텝모터(60)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하고, 차량의 롱지 프레임(70) 일측에 조향바퀴(80)의 조향각을 검출해내는 조향바퀴 포지션 센서(90)를 설치하고, 상기 조향바퀴(80)에서 검출된 조향바퀴(80)의 조향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스텝모터(60)의 출력축 회전을 제어하는 헤드램프 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 램프 조향장치.
KR2019970034367U 1997-11-28 1997-11-28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KR199900208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367U KR19990020879U (ko) 1997-11-28 1997-11-28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367U KR19990020879U (ko) 1997-11-28 1997-11-28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879U true KR19990020879U (ko) 1999-06-25

Family

ID=6969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367U KR19990020879U (ko) 1997-11-28 1997-11-28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8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268A (ko) * 2003-05-14 2004-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혼의 좌우 회전각도 조절장치
WO2016122101A1 (ko) * 2015-01-30 2016-08-04 이종목 자동차 핸들의 회전각도에 따라 반응하는 코너램프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268A (ko) * 2003-05-14 2004-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혼의 좌우 회전각도 조절장치
WO2016122101A1 (ko) * 2015-01-30 2016-08-04 이종목 자동차 핸들의 회전각도에 따라 반응하는 코너램프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51B1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70074238A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치
JP2011255826A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そ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KR980008783A (ko) 자동차 후진시의 코너링 보조장치와 그 작동방법
KR19990020879U (ko) 차량의 헤드램프 조향장치
US20040264209A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430667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3833822B2 (ja) 車両前照灯制御装置
KR100228105B1 (ko) 가변 리플렉터가 장착된 차량용 헤드램프
KR200492433Y1 (ko) 자동차용 선회전조등
KR200171900Y1 (ko) 조향각도에 따른 헤드램프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KR0178664B1 (ko) 자동차의 좌우조향용 보조라이트
US6309082B1 (en) Automatic turning head light structure
KR100387836B1 (ko) 자동차의 전방물체 감지장치
KR19980045704A (ko) 자동차의 조향방향에 따른 헤드램프의 점등장치
KR0123499Y1 (ko) 방향 지시등 자동점멸 장치
KR200154218Y1 (ko)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장치
KR0143921B1 (ko) 광파이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헤드램프 조사각 자동 조정장치
KR19980085490A (ko)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른 전조등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KR0151805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KR100212797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자동조절장치
KR19980072711A (ko) 자동차의 좌/우유동 전조등
KR0153319B1 (ko) 자동차의 야간 운전시 측면 시계 확보 장치
KR0113599Y1 (ko) 자동차의 스티러링휠의 작동시 안개등 연동장치
KR19990004077A (ko) 주행상태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