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859A -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859A
KR19990020859A KR1019970044335A KR19970044335A KR19990020859A KR 19990020859 A KR19990020859 A KR 19990020859A KR 1019970044335 A KR1019970044335 A KR 1019970044335A KR 19970044335 A KR19970044335 A KR 19970044335A KR 19990020859 A KR19990020859 A KR 1999002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vehicle
inclination ang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중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859A/ko
Publication of KR1999002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859A/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하부에 경사감지 센서를 장착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와이어로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는 모터로 감을 수 있는 구조로하여,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경사가 감지되면 모터를 작동시켜 와이어에 의해 브레이크 패달을 당김으로써 확실한 브레이크 동작으로 파킹이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본 발명은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하부에 경사감지 센서를 장착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와이어로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는 모터로 감을 수 있는 구조로하여,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경사가 감지되면 모터를 작동시켜 와이어에 의해 브레이크 패달을 당김으로써 확실한 브레이크 동작으로 파킹이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 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제동장치에는 주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service brake)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가 있으며, 그리고 통상 주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발로 조작하며, 주차 브레이크는 손으로 조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풋 브레이크는 유압식을 사용하고 주차 브레이크는 기계식을 사용하고 있는바, 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는 매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와, 그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붙여 제동력을 발생케하는 휘일 실린더(wheel cylinder)와, 유로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 및, 호스 등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 구조중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 레버(70)와 연결되는 파킹 케이블(50)이 브레이크 슈 레버(52)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슈 레버(52)는 일 측의 브레이크 슈(54a)와 힌지(56) 연결되며, 스트럿 바(58)가 브레이크 슈 레버(52)와 반대측 브레이크 슈(54b)와 연결되어 파킹 레버(70)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작동하여 이와 연동되는 스트럿 바(58)가 일 측의 브레이크 슈(54b)를 동작시켜 파킹되게 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54a)(54b) 사이에 리턴스프링(60)을 설치하여 파킹 레버(70)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슈(54b)를 복귀시켜 파킹이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는 파킹시 파킹 레버(70)를 당기면 파킹 케이블(50)과 연결된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힌지(56)를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슈 레버(52)와 연동하는 스트럿 바(58)가 도면에서 보면 좌측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일 측의 브레이크 슈(54b)를 앵커 핀(62)을 중심으로 확장시켜 이 브레이크 슈(54b)에 부착된 라이닝(64)이 브레이크 드럼(66)을 압압하여 파킹이 이루어진다.
이후 당겼던 파킹 레버(70)를 복귀시키면 리턴스프링(60)의 리턴 작용에 의해 파킹 케이블(50)과 연결된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힌지(56)를 중심으로 이동 복귀하게 됨과 동시에 스트럿 바(58)와 브레이크 슈(54b)가 복귀하여 브레이크 드럼(66)을 압압하고 있던 라이닝(64)이 떨어져 파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8은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동작되어 제동력을 가하는 휠 실린더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킹 브레이크를 사용할 경우 기계적인 동작만으로 브레이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사로나 언덕에 주차할 때 충격이나 브레이크 시스템의 문제로 인하여 굴러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풋브레이크를 이용하면 유압이 제공되는 휠 실린더에 의해 강한 제동력이 발생하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면 단순히 케이블을 잡아당겨 라이닝(64)과 브레이크 드럼(66)을 압압하여 파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서 브레이크 작동이 풀릴 위험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고 언덕에 주차시킨 차량이 아래로 굴러 일어나는 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는 것도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서 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경사감지 센서를 탑재하여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일정각 이상 차가 기울어지면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브레이크 장치의 파킹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본 발명은 차량의 경사각을 센싱하는 경사각 측정센서와, 상기 경사각 측정센서의 신호와 시동오프 신호를 조합하여 이를 만족할 경우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합산기와, 상기 합산기의 신호가 출력되면 배터리의 전압을 유도하는 제너레이터와, 상기 제너레이터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서보 모터와, 일측이 상기 서보 모터의 축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브레이크 암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의한 브레이크 암의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작용으로 차량을 파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사각 감지센서 2: 시동 오프 감지센서
3: 합산기 4: 제너레이터
5: 서보 모터 5a : 축부
6: 플렉시블 와이어 7: 브레이크암
10: 브레이크 패달 11: 힌지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로써, 차량의 경사각을 센싱하는 경사각 측정센서(1)와, 상기 경사각 측정센서(1)의 신호와 시동오프 감지센서(2)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여 이를 만족할 경우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합산기(3)와, 상기 합산기(3)의 신호가 출력되면 배터리의 전압을 유도하는 제너레이터(4)와, 상기 제너레이터(4)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서보 모터(5)와, 일측이 상기 서보 모터(5)의 축부(5a)에 설치되고 타측이 브레이크 암(7)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와이어(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경사각 측정센서(1)를 차량의 저면에 설치하는데, 상기의 경사각 측정센서(1)는 경사각의 변화량을 센싱하는 것으로 기준 경사변화량을 초과하면 출력신호를 인가토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사각 측정센서(1)로부터 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동시에 시동 오프 감지센서(2)로부터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합산기(3)에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일정각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밑으로 구를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제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합산기(3)에 연결된 제너레이터(4)가 작동하여 배터리 전원을 일정시간동안 서보모터(5)에 제공하게 하며, 상기 서보모터(5)와 브레이크암(7) 사이에는 플렉시블 와이어(6)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서보모터가(5) 회전하여 와이어(6)를 잡아당기면 브레이크암(7)이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브레이크를 패달(10)을 밟은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와이어(6)는 플렉시블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주행상태에서는 발로 브레이크를 온오프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주차시에는 브레이크가 오프된 상태이기 때문에 서보모터(5)의 회전으로 팽팽하게 당길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자적인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발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차량을 경사각에 주차시 경사각 측정센서(1)에서 이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브레이크암(7)을 작동시키켜 유압에 의한 브레이크 제동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종래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파킹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브레이크 제동이 풀리면서 차량이 구르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경사가 감지되면 모터를 작동시켜 와이어에 이해 브레이크 패달을 당김으로써 확실한 브레이크 동작으로 파킹이 이루어 지도록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경사각을 센싱하는 경사각 측정센서(1)와, 상기 경사각 측정센서(1)의 신호와 시동오프 감지센서(2)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여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이 경사진 경우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합산기(3)와, 상기 합산기(3)의 신호가 출력되면 배터리의 전압을 유도하는 제너레이터(4)와, 상기 제너레이터(4)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서보 모터(5)와, 일측이 상기 서보 모터(5)의 축부(5a)에 설치되고 타측이 브레이크 암(7)에 연결되어 서보모터(5)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 암(7)을 잡아당겨 마스터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플렉시블 와이어(6)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KR1019970044335A 1997-08-30 1997-08-30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KR19990020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335A KR19990020859A (ko) 1997-08-30 1997-08-30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335A KR19990020859A (ko) 1997-08-30 1997-08-30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859A true KR19990020859A (ko) 1999-03-25

Family

ID=6603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335A KR19990020859A (ko) 1997-08-30 1997-08-30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195B1 (ko) * 2004-12-09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동식 자동브레이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195B1 (ko) * 2004-12-09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동식 자동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5249A1 (en) Brake control
KR101265951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9990020859A (ko) 경사로 주차시 차량 롤링 방지장치
JPH0217967Y2 (ko)
KR20070083303A (ko) 전동식 주차브레이크 및 그 제어방법
KR10118257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24391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19990030463U (ko) 경사로 주차시 자동 제동장치
KR20030018594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1159506B1 (ko) 전동식 제동장치의 제어방법
KR100405528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장치
KR0173764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00405526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00230206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킹 시스템
KR19990070755A (ko) 차량의 주차 제동력 경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151544Y1 (ko)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KR19980058900U (ko) 자동차의 비상용 제동 장치
KR19990015760U (ko) 보조브레이크장치
KR20060016691A (ko) 차량의 자동 일시 제동 장치 및 방법
KR19980035804A (ko) 배기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KR100341910B1 (ko)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KR19980051532U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9990031019U (ko) 도로의 경사도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구조
KR19980066187U (ko)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90029733U (ko) 전동식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