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544Y1 -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544Y1
KR200151544Y1 KR2019970016834U KR19970016834U KR200151544Y1 KR 200151544 Y1 KR200151544 Y1 KR 200151544Y1 KR 2019970016834 U KR2019970016834 U KR 2019970016834U KR 19970016834 U KR19970016834 U KR 19970016834U KR 200151544 Y1 KR200151544 Y1 KR 200151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uphill
assembly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240U (ko
Inventor
김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5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브레이크(60)의 외주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60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60a)에 삽탈되는 포올(100)이 너클 어셈블리(13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너클 어셈블리(130)에는 각 센서(70, 80)와 연결된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포올(100)을 회전시키는 제 1, 2 솔레노이드(110, 120)가 설치됨으로써, 수동변속기의 차량이 오르막길에서일시 정지한 다음 출발하려할 때, 차량이 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변속기의 차량이 오르막길에서일시 정지한 다음 출발하려할 때, 차량이 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주행중의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공기 중으로 방산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가 널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식 브레이크는 크게 드럼식과 디스크식으로 분류되는데, 차량의 고속화에 따라 드럼식 보다는 성능이 뛰어난 디스크 브레이크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 제동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답력을 전달받는 브레이크 페달(10)과, 푸시로드(20)를 통해 전달된 브레이크 페달(10)의 답력을 유압으로 변환시키는 마스터 실린더(30)와, 마스터 실린더로(30)부터 유압을 받아 패드(41)로 밀어붙이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40)와, 마스터 실린더(30)의 브레이크액을 브레이크 어셈블리(40)에 전달하는 브레이크 파이프(50)와 브레이크 어셈블리(40)에 물리는 디스크 브레이크(60)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자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10)의 답력은 마스터 실린더(20)로 전달되고, 상기 답력을 전달받은 마스터 실린더(30)는 브레이크액을 브레이크 파이프(50)를 통해 브레이크 어셈블리(40)로 압송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어셈블리(40)에 전달된 브레이크액은 다시 브레이크 어셈블리(40)내에 설치된 실린더(42)로 유입되고, 상기 실린더(42)로 유입된 브레이크액의 유압은 실린더(42)내의 피스톤(43)을 밀어낸다. 이때, 피스톤(42)에 부착된 패드(41)는 디스크(60)를 압축시켜 브레이크 작용을 함으로써, 차량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제동 장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정지시키지만, 수동변속기의 차량이 오르막길에서일시 정지한 다음 출발하려할 때,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에 밟았던 발을 떼는 즉시, 엑슬 페달을 밟아야 하는데, 만약 그 시간이 조금이라도 지체되면, 엔진의 동력은 순간적으로 자체의 하중과 바퀴의 구동력에 의해 상실됨으로써, 차량은 엔진의 동력이 다시 바퀴에 전달될 때까지 오르막길에서 후진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변속기의 차량이 오르막길에서일시 정지한 다음 출발하려할 때, 엔진의 동력은 순간적으로 자체의 하중과 바퀴의 구동력에 의해 상실됨으로써, 차량이 오르막길에서 후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브레이크의 외주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삽탈되는 포올이 너클 어셈블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너클 어셈블리에는 각 센서와 연결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포올을 회전시키는 제 1, 2 솔레노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제동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계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계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페달 20 : 푸시로드
30 : 마스터 실린더 40 : 브레이크 어셈블리
50 : 브레이크 파이프 60 : 디스크 브레이크
60a : 걸림홈 70 : 속도검출센서
80 : 스로틀 포지션 센서 90 : 제어부
100 : 포올 110 : 제 1 솔레노이드
120 : 제 2 솔레노이드 130 : 너클 어셈블리
130a : 힌지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의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계략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정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너클 어셈블리(130)에는 힌지공(130a)이 형성되되, 상기 힌지공(130a)에 삽입되는 돌기(101)를 갖는 포올(100)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포올(100)의 외주에는 받침판(102)이 형성되되, 상기 받침판(102)을 변속기의 속도 검출 센서(70)와 스로틀 바디의 스로틀 포지션 센서(80)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는 제어부(9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포올(10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포올(100)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제 1 솔레노이드(110)와 제 2 솔레노이드(120)가 너클 어셈블리(130)에 설치된다. 그리고 너클 어셈블리(130)에 부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30)의 외주에는 포올(100)을 삽탈시키는 걸림홈(13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운자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10)의 답력은 마스터 실린더(20)로 전달되고, 상기 답력을 푸시로드(20)를 통해 전달받은 마스터 실린더(20)는 브레이크액을 브레이크 파이프(50)를 통해 브레이크 어셈블리(40)로 압송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어셈블리(40)에 전달된 브레이크액은 다시 브레이크 어셈블리(40)내에 설치된 실린더(42)로 유입되고, 실린더(42)로 유입된 브레이크액의 유압은 실린더(42)내의 피스톤(43)을 밀어냄과 동시에, 피스톤(43)에 부착된 패드(41)가 디스크 브레이크(60)를 압축시켜 차량은 오르막길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변속기의 속도검출센서(70)가 차량이 정지됨을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부(90)는 신호를 판별하여 제 1, 2 솔레노이드(110, 120)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므로, 제 1 솔레노이드(110)내의 샤프트(110a)는 너클 어셈블리(130)에 힌지결합된 포올(100)의 받침판(102)을 밀면서 돌출하고, 반대로 제 2 솔레노이드(120)의 샤프트(120a)는 들어간다. 그러므로 포올(100)은 디스크 브레이크(60)의 걸림홈(60a)에 삽입되면서 회전하고, 회전하는 포올(100)의 받침판(102)은 곧 제 2 솔레노이드(120)에 닫게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60)는 걸림홈(60a)에 삽입된 포올(100)에 의해 회전하지 못함으로써, 차량은 오르막길에서 후진하지 않는다.
또한, 운전자 엑셀 페달을 밟아 차량이 일시 정지 상태에서 출발하면, 스로틀 바디의 스로틀 포지션 센서(80)가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90)는 신호를 판별하여 제 2 솔레노이드(120)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제 2 솔레노이드(120)내의 샤프트(120a)는 너클 어셈블리(130)에 힌지결합된 포올(100)의 받침판(102)을 밀면서 돌출하고, 반대로 제 1 솔레노이드(110)의 샤프트(110a)는 들러간다. 그러므로 포올(100)은 디스크 브레이크(60)의 걸림홈(60a)에서 탈거되면서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포올(100)의 받침판(102)은 곧 제 1 솔레노이드(110)에 닫게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따라서 포올(100)이 디스크 브레이크(60)의 걸림홈(60a)에서 탈거되어 디스크 브레이크는 다시 회전하게 되므로, 차량은 주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동변속기의 차량이 오르막길에서일시 정지한 다음 출발하려할 때, 운전자는 브레이크를 밟았던 발을 떼는 즉시, 엑슬 페달을 밟지 않아도, 너클 에셈블리에 힌지결합된 포올이 디스크 브레이크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오르막길에서 차량이 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있어서,
    디스크 브레이크(60)의 외주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60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60a)에 삽탈되는 포올(100)이 너클 어셈블리(13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너클 어셈블리(130)에는 각 센서(70, 80)와 연결된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포올(100)을 회전시키는 제 1, 2 솔레노이드(110, 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올(100)은 돌기(101)와 받침판(10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KR2019970016834U 1997-06-30 1997-06-30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KR200151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34U KR200151544Y1 (ko) 1997-06-30 1997-06-30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34U KR200151544Y1 (ko) 1997-06-30 1997-06-30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240U KR19990003240U (ko) 1999-01-25
KR200151544Y1 true KR200151544Y1 (ko) 1999-07-15

Family

ID=1950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834U KR200151544Y1 (ko) 1997-06-30 1997-06-30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5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240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4190A3 (en) Electric brake device
KR101265951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2364687A (ja) 電子制御ブレーキ装置
KR200151544Y1 (ko) 차량의 오르막길 밀림 방지장치
JPH08312701A (ja) 電気作動ブレーキ装置
KR100268090B1 (ko)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20100030010A (ko) 주차 제동 기능을 갖춘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100383933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230206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킹 시스템
KR100489054B1 (ko) 자동차의 비상제동장치
KR20030018594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9980060222U (ko) 자동차의 과속 방지장치
KR200143286Y1 (ko) 자동차의 주브레이크를 이용한 주차브레이크 장치
KR20060016691A (ko) 차량의 자동 일시 제동 장치 및 방법
KR100387796B1 (ko)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0192280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0135328Y1 (ko) 볼을 이용한 휠 브레이크장치
KR19990019127U (ko) 제동거리 단축을 위한 보조브레이크장치
KR19980032788U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의 제동력향상구조
KR19990029733U (ko) 전동식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5815A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
JPH0653486B2 (ja) ブレ−キ装置
KR19980066187U (ko)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914304A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19980053522U (ko) 브레이크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