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852U -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852U
KR19990020852U KR2019970034340U KR19970034340U KR19990020852U KR 19990020852 U KR19990020852 U KR 19990020852U KR 2019970034340 U KR2019970034340 U KR 2019970034340U KR 19970034340 U KR19970034340 U KR 19970034340U KR 19990020852 U KR19990020852 U KR 199900208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uffler
condensate
outlet pip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852U/ko
Publication of KR19990020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852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렛 파이프를 밴딩하지 않는 구조로 제작하고, 이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해 아웃렛 파이프의 일단에 응축수 배출용 튜브를 설치하여 하부면에 연장시킴으로써, 아웃렛 파이프를 밴딩하지 않는 구조에서도 응축수의 효과적인 배출이 가능토록하여 머플러의 내부구조 제작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본 고안은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렛 파이프를 밴딩하지 않는 구조로 제작하고, 이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해 아웃렛 파이프의 일단에 응축수 배출용 튜브를 설치하여 하부면에 연장시킴으로써, 아웃렛 파이프를 밴딩하지 않는 구조에서도 응축수의 효과적인 배출이 가능토록하여 머플러의 내부구조 제작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 있어 머플러는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기 전에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엔진의 일반적인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배기파이프(50)의 단부에 엔진의 진동 전달을 차단시키는 벨로우즈관(60)이 연결되고, 이 벨로우즈관(60)을 통해 차례로 유해 가스의 방출을 억제시키는 카탈레틱 컨버터(catalytic converter) (70)와,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하는 프런트 머플러(80) 및 센터파이프(90)를 통해 테일파이프(102)를 갖는 리어 머플러(100)가 설치되어 배기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리어 머플러(100)는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몸체(104)의 내부에 설치된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가 설치되고 이 아웃렛파이프(112)를 통해 테일파이프(10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기 시스템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 가스가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배기파이프(50)를 통해 벨로우즈관(60)을 거쳐 카탈레틱 컨버터(70)에서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된 유해 가스가 환원되어 프런트 머플러(80)와 센터파이프(90) 및 리어 머플러(100)로 배기되면, 리어 머플러(100)에서는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 및 이들 파이프(110)112)에 천공된 구멍(110a)(112a)을 거치면서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가 저하되고 급격한 팽창과 폭음이 억제되어 대기와 노출된 테일파이프(10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엔진이 작동중에는 상기 리어 머플러(100) 내부는 상당히 고온을 유지하고 있고,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에는 급격히 온도가 하강 하는바, 따라서 응축수가 머플러 하단면에 고이게 된다.
그래서 아웃렛 파이프(112)의 입구는 하단면으로 구부러져 하단면과의 거리를 약 3mm정도로 유지한다.
이러한 아웃렛 파이프(112)의 응축수 배출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엔진이 동작후 정지하게 되면 고온 팽창되었던 내부 공기가 급격히 수축되면서 응축수가 발생하고, 여기서 발생한 응축수는 머플러(100) 바닥면에 고이게 된다.
이후 엔진을 재동작 시키게 되면 엔진의 배출가스가 전술한 바와같이 인렛 파이프(110)를 통해 머플러 내로 유입된후 아웃렛 파이프(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바, 이때 빠른 속도로 외부로 배출될시 바닥면에 고여 있던 응축수가 아웃레 파이프(112)를 통해 동시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머플러(100)를 설계시 아웃렛 파이프(112)의 입구 구조는 바닥면으로 일정각도 휘어 지도록 설계함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응축수 배출을 위해 아웃렛 파이프(112)를 휘어지도록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머플러 공정의 자동화가 어렵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아웃렛 파이프의 형상을 직경으로 유지하되 응축수 배출수단을 부가하여 머플러의 제작공정에서 파이프를 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머플러 내부구조 제작시 자동화 공정으로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아웃렛 파이프의 형상을 직선으로 유지하고, 또한 응축수의 무난한 배출을 위해 아웃렛 파이프의 출구 지점에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를 장착하여 바닥면으로 연장시킨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 차량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배기 파이프 60: 벨로우즈관
70: 카탈레틱 컨버터 80: 프런트 머플러
90: 센터 파이프 100 : 리어 머플러
102 : 테일파이프 110 : 인렛파이프
112 : 아웃렛파이프 114: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몸체(104)의 내부에 설치된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 및 테일파이프(102)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되는 리어 머플러(100)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 파이프(112)의 형상을 직선으로 유지하고, 또한 응축수의 무난한 배출을 위해 아웃렛 파이프(112)의 출구 지점에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114)를 장착하여 바닥면으로 연장시킨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도 1과 같이 엔진의 배기 가스가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배기파이프(50)를 통해 벨로우즈관(60)을 거쳐 카탈레틱 컨버터(70)에서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된 유해 가스가 환원되어 프런트 머플러(80)와 센터파이프(90) 및 리어 머플러(100)의 테일파이프(10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가스가 센터파이프(80)를 통해 리어 머플러(100)로 유입되면, 배기 가스는 인렛파이프(110)로 유입되면서 인렛파이프(110)에 천공된 구멍(110a)을 통해 배기되고 다시 머플러 몸체(104) 내부로 빠져나와 직선 구조로 이루어진 아웃렛파이프(112)의 구멍(112a)과 일 측 개구부(112b)를 통해 배기되어 이와 연결된 테일파이프(10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아웃렛 파이프(112)를 배기가스가 빠른 속도로 통과할 때 아웃렛 파이프(112) 출구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114) 내부는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바닥면에 고여있는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114)의 내부관을 따라 이동한후 아웃렛 파이프(112)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아웃렛 파이프(112)를 직선형으로 바꾸어도 아웃렛 파이프 출구에 위치한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114)에 의해 머플러 바닥면에 고여 있는 응축수를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하여, 아웃렛 파이프를 직선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아웃렛 파이프를 밴딩하지 않는 구조로 제작하고, 이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해 아웃렛 파이프의 일단에 응축수 배출용 튜브를 설치하여 하부면에 연장시킴으로써, 아웃렛 파이프를 밴딩하지 않는 구조에서도 응축수의 효과적인 배출이 가능토록하여, 머플러 내부 제작공정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유도함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머플러 몸체(104)의 내부에 설치된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 및 테일파이프(102)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되는 리어 머플러(100)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 파이프(112)를 직선 형상으로 제작하고, 머플러 바닥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해 아웃렛 파이프(112)의 출구 지점에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114)를 장착하되 바닥면으로 연장시킨 구조를 갖도록하여, 아웃렛 파이프(112)를 배기가스가 통과할시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114)에 부압을 발생시켜 응축수의 배출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KR2019970034340U 1997-11-28 1997-11-28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KR199900208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340U KR19990020852U (ko) 1997-11-28 1997-11-28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340U KR19990020852U (ko) 1997-11-28 1997-11-28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852U true KR19990020852U (ko) 1999-06-25

Family

ID=6967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340U KR19990020852U (ko) 1997-11-28 1997-11-28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8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911B2 (en) Muffler for an engine
KR100957147B1 (ko) 차량의 소음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 장치
EP2894311B1 (en) Muffler
EP2193260B1 (en) Exhaust silenc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20852U (ko)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용 파이프
KR100321361B1 (ko) 자동차의 배기음 저감장치
US3495680A (en) Exhaust silencing system
US3447629A (en) Automotive exhaust system and muffler therefor
KR100261416B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S595138Y2 (ja) 排気浄化器兼用消音器
JPS62291413A (ja) 排気消音器
KR200171218Y1 (ko) 특정 주파수 감쇄용 분기관을 구비한 소음기
JP2008128197A (ja) 車両用マフラの排水構造
KR200226510Y1 (ko)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JP2005330830A (ja) 消音器
KR200187361Y1 (ko) 사이클론식 소음기
JP2006307719A (ja) 車両用消音器
JPS6113699Y2 (ko)
KR100368639B1 (ko) 유연 연료를 사용하는 브이6 엔진용 배기 소음기
KR19990003252U (ko)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KR0137764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JPH10205324A (ja) 触媒付排気装置
CN111350564A (zh) 用于汽车的排气消声器
KR100337503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배기 매니폴드 조립체
RU11155U1 (ru) Система выпуска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