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510Y1 -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10Y1
KR200226510Y1 KR2020010001390U KR20010001390U KR200226510Y1 KR 200226510 Y1 KR200226510 Y1 KR 200226510Y1 KR 2020010001390 U KR2020010001390 U KR 2020010001390U KR 20010001390 U KR20010001390 U KR 20010001390U KR 200226510 Y1 KR200226510 Y1 KR 200226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engine
converter
pipe membe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성파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성파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성파이프
Priority to KR2020010001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10Y1/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배출관을 인발가공하여 이중으로 구성하여 그 이중관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층에 의해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온도가 배기관의 구성 일부인 컨버터에 도달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게 하여 컨버터에서의 유독가스 제거에 효율을 상승시키고, 엔진에서의 연소로 폭발되는 배출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이중관에 의해 일부 소진되지만 이중관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소진율을 높이고자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기관부재{An exhaust pipe appendage for vehicles}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기관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온도를 배기관의 구성 일부인 컨버터에 도달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보온과, 배기관에서 매연의 발생으로 일어나는 소음 및 그 소음에 의해 배기관 전체가 진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자동차용 배기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엔진의 피스톤 작동으로 자동차가 구동하게 되고, 엔진의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매연은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기관은 엔진에 바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엔진에 바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배기관부재가 있고, 그 후미에 엔진의 유격을 감안하여 주름지게 구성된 벨로우즈관이 있으며, 이와 연동되게 배기관부재를 연결하면서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매연의 유독가스를 걸러주는 컨버터가 있으며, 상기 컨버터의 후방에 매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소음기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기관에 구성되어 있는 컨버터에서는 외부로 배출되는 매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독가스를 걸러주기 때문에 컨버터에 도달하게 되는 매연가스의 온도가 엔진에서 발생되는 온도정도로 유지되지 않고 떨어지게 되면 컨버터의 특성상 매연에 함유되어 있는 유독가스를 걸러주지 못하기 때문에 매연가스의 온도가 컨버터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에서 발생되는 온도로 반드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온도를 컨버터에 도달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기관부재를 이중으로 하는 등과 같은 방법으로 온도를 유지해 주고는 있으나 배기관부재의 소재가 금속으로 되어 있어 열전달력이 높은 이유로 외부와의 심한 온도차로 매연가스의 내부온도가 외부로 전달되어 컨버터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온도를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애로사항 때문에 배기관부재를 이중으로 만들어 제공되어 효율이 다소 상승하기는 했으나 그래도 내부의 온도가 외기의 온도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열의 손실이 있어 콘버터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에서 발생되는 그 온도를 유지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열의 손실이 예방되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배출로 인하여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고, 그 소음은 엔진에서 최종 배기통에 이르러면서 서서히 감소시켜 주고는 있으나 완전하게 소진되지 않아 그 소음으로 인하여 배기관 전체에 떨림을 주게 되고, 그로 인하여 배기관을 장착한 부분에 균열이 발생되어 심지어는 배기관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엔진에 바로 연결되는 부분과 엔진에 근접되어 있는 배기관부재에서부터 소음을 최소로 줄여 소음에 따른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기관을 장착한 부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엔진에 연결되는 배기관부재와 엔진에 근접된 배기관부재를 이중관으로 형성하되, 상기 내외측관 사이에 보온력과 방음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공기층을 형성하여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온도가 컨버터에 전달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고, 매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상기 공기층에서 소진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매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에 연결되는 배기관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부재를 내측관 외경에 외측관을 인발가공으로 끼워서 구성하되, 상기 내측관을 플렉시블타입으로 구성하여 상기 내외측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배기관부재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부재의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부재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의 일례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배기관 2. 자동차의 엔진
3. 벨로우즈 4. 컨버터
5. 소음기 10. 배기관부재
11. 내측관 12. 외측관
20. 공기층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에 의해 구현된 배기관부재는 자동차의 엔진과 배기관의 컨버터 사이에 설치되며, 즉 그 사이의 벨로우즈의 양측에 설치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온도를 삼원촉매장치인 컨버터에 도달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매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례에 의하여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부재의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부재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의 일례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2)과 배기관(1)의 컨버터(4)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관부재(10)는 내측관(11) 외경에 외측관(12)을 인발가공하여 끼우도록 한다.
그러나 내측관(11)은 플렉시블타입으로 구성하여 이를 외측관(12)에 인발가공되어도 외측관(12)의 내경에 내측관(11)의 외경이 닿는 면적이 적게 되고, 따라서 내측관(11)의 외경 표면이 외측관(12)의 내경에 닿지 않는 부분에는 공기층(20)이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부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기관부재(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과 배기관(1)의 컨버터(4) 사이에 설치하게 되는 바, 엔진(2)에 바로 연결되는 부분과, 엔진(2)의 진동으로 소음기(5)의 흔들림을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된 벨로우즈(3)의 후방과 삼원촉매장치인 컨버터(4)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에서 엔진(2)으로부터 발생되는 매연가스는 배기관부재(10)를 경유하여 벨로우즈(3)를 거쳐 또 다시 배기관부재(10)를 통하여 컨버터(4)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컨버터(4)에 도달된 매연가스는 상기 컨버터(4)에 의해 매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유독가스를 걸러주게 되고, 유독가스를 걸러 준 매연가스는 소음기(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엔진(2)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는 실린더에서 폭발행정에 따른 배기가스이므로 상당하게 고온의 상태로 배출하게 되고, 이러한 매연가스는 컨버터(4)에까지 그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여야 컨버터(4)에서 매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독가스를 걸러주게 된다.
따라서 엔진(2)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가 컨버터(4)에까지 도달하기 전에는 본 고안의 배기관부재(10)에 의해 그 온도를 유지하여 주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의 배기관부재(10)의 내측관(11)을 경유하게 되는 고온의 매연가스는 내측관(11)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어 고온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다시 이중으로 된 외측관(12)에 의해 고온의 온도가 유지되지만 내측관(11)과 외측관(12) 사이의 공기층(20)에 의해 내측관(11)에서 외측관(12)으로 전달되려는 복사열을 차단하여 주게 되므로 열의 손실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관(11)에서 외측관(12)으로 전달하게 되는 매연가스의 열, 외측관(12)에서 내측관(11)으로 전달하게 되는 대기온도 등이 복사되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줄 뿐만 아니라 공기층(20) 자체의 공기에 의해 차단되게 하므로 열의 손실이 더더욱 예방되어 컨버터(4)에서의 유독가스 제거율을 상승시켜 주게 된다.
한편, 엔진(2)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가 배기관부재(10)의 내측관(11)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의 파장을 내측관(11)과 외측관(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20)에 의해 서서히 소진하게 되므로 소음이 최소로 줄어들 뿐만 아니라 소음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지 않아 배기관(1)을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자재는 균열의 발생없이 오랫동안 원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배기관부재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유독가스의 제거에 효율을 상승시켜 주게 되고, 또한 매연가스의 폭발로 인한 소음이 최소로 줄어 자동차의 배기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로 줄게 되는 특징과 그로 인하여 진동이 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배기관부재에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가스의 열이 컨버터에까지 그대로 흐르게 되는 보온력이 있어 외부로 배출되는 매연의 유독가스 제거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엔진에서의 연소로 폭발되는 배출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이중관에 의해 일부 소진되지만 이중관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소진율을 높여주게 되는 특징과 소음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던 배기관의 진동이 해소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매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에 연결되는 배기관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부재를 내측관 외경에 외측관을 인발가공으로 끼워서 구성하되, 상기 내측관을 플렉시블타입으로 구성하여 상기 내외측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KR2020010001390U 2001-01-18 2001-01-18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KR200226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90U KR200226510Y1 (ko) 2001-01-18 2001-01-18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90U KR200226510Y1 (ko) 2001-01-18 2001-01-18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510Y1 true KR200226510Y1 (ko) 2001-06-15

Family

ID=7306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390U KR200226510Y1 (ko) 2001-01-18 2001-01-18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57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아트닉스 실시간 자화수 생성 및 자화수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57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아트닉스 실시간 자화수 생성 및 자화수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852B2 (ja) 内燃機関の触媒コンバータに組み込まれたサイレンサ
US4368799A (en) Straight-through flow muffler
JP2916987B2 (ja) 模様化されたエヤ−ギャップ付エンジン排気コンヂット
JP2005084693A (ja) 吸音装置
WO2003044336A1 (fr)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et d'insonorisation pour le traitement des gaz d'echapp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2008138608A (ja) 車両の排気消音装置
KR200226510Y1 (ko)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KR200226509Y1 (ko)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JP4709682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200226508Y1 (ko)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JPS5857017A (ja) 自動車の排気装置
KR20020061822A (ko)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US11698008B2 (en) Exhaust device
KR20020061821A (ko) 자동차용 배기관부재
JP3141637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S595138Y2 (ja) 排気浄化器兼用消音器
JP2001073755A (ja) 内燃機関のエキゾーストパイプ及び排気系
JP4084448B2 (ja) 自動車用排気マフラ
JP2006220089A (ja) 車両用消音器
KR20030050236A (ko) 차량용 다단 배기 시스템
KR100261416B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2003172121A (ja) 排気浄化装置
CN208502874U (zh) 一种汽车排气管用消音装置
JPH04262013A (ja) 消音装置
US20230122518A1 (en) Exhaus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