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588A -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588A
KR19990020588A KR1019970044050A KR19970044050A KR19990020588A KR 19990020588 A KR19990020588 A KR 19990020588A KR 1019970044050 A KR1019970044050 A KR 1019970044050A KR 19970044050 A KR19970044050 A KR 19970044050A KR 19990020588 A KR19990020588 A KR 19990020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vibration
longitudinal
later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499B1 (ko
Inventor
유병삼
김문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44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49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방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진동이 크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에 의한 소음이 심해 탑승자로 하여금 승차의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로우프로부터 2개의 풀리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의 반력을 극복하도록 상기 2개의 풀리 축 사이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수단과;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과 함께 상기 풀리에 작용하는 종방향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의 반력을 극복하도록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을 크로스 헤드에 지지시키는 종방향 지지수단과;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으로 전달되는 횡진동 및 종진동을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과 종방향 지지수단 사이에서 절연시키는 진동절연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소음 개선과 함께 탑승자로 하여금 보다 쾌적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동력으로 사람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탑재되는 승강차를 상.하로 운반하는 기계로서, 이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측 크로스 헤드(1A)와 방진고무(1C)가 깔려진 하부측 프레임(1B) 사이를 슬링(1D)으로 연결하고, 이의 내부에는 사람이 직접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는 케이지(1E)가 구비되어 승강차(1)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차(1)의 상부측 크로스 헤드(1A)에는 별도의 기계실에서 발생된 동력을 승강차(1)로 전달하기 위한 로우프(2)를 감아 걸기 위해 2개의 풀리(3)를 회전가능하게 직렬로 축설시킨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풀리 축(3A)은 회전하지 않는 고정축으로 상기 축상에 풀리(3)가 베어링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풀리 축(3A)과 크로스 헤드(1A)는 U볼트(미도시됨)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헤드(1A)의 밑면에는 상기 풀리 축(3A)의 미끄럼짐에 의한 횡방향 이동을 저지시키는 스토퍼(4)가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엘리베이터는 주로 1개의 풀리를 갖는데, 상기에서와 같이 2개의 풀리를 갖는 엘리베이터는 비교적 탑승인원 및 화물을 많이 적재할 수 있는 대형 엘리베이터로서, 이 엘리베이터는 승강차(1)의 풀리(3)에 걸어진 로우프(2) 전동으로 기계실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승강차(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승강차 운전시 기계실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로우프를 통해 승강차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승강차 내의 소음과 함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의 진동은 로우프를 통해 풀리로 전달되고, 다시 상기 풀리 축을 거쳐 크로스 헤드 및 슬링 그리고 승강차의 하부측 프레임까지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각 부재들의 고유 진동수와 가진 주파수가 근접하여 소음을 유발시키게 된다. 실제로 상기에서와 같은 2개의 풀리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경우는 승강차 내부공간이 크게 설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차를 구성하는 측판, 바닥판, 천정판, 도어패널 등의 판재들의 면적이 커서 상기 각 부재들의 저차 모드의 고유진동수와 구동부의 모터 및 감속기에서 발생하는 가진 주파수가 근접하여 저주파 소음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 내에서 실내 음향 공동에서의 공명 주파수와 가진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진동이 크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에 의한 소음이 심해 승차감 저하는 물론 탑승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계실 구동부에서 로우프를 통해 승강차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승차감을 갖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a,도 2b,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평면도,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커버부재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횡방향 지지수단 10A,20A:블록
10B:철(凸)부 10C:밑면살
10D,50C:스토퍼 20:종방향 지지수단
20B:요(凹)부 30:진동절연수단
30A:종진동 방진부재 30B:횡진동 방진부재
40,50:고정수단 40A:체결공
40B:U볼트 40C:너트
50A:커버부재 50B:연장부
상기의 목적은 로우프로부터 2개의 풀리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의 반력을 이겨내도록 상기 2개의 풀리 축 사이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수단과; 상기 횡방향 힘과 함께 상기 풀리에 작용하는 종방향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의 반력을 이겨내도록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을 크로스 헤드에 지지시키는 종방향 지지수단과;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으로 전달되는 횡진동 및 종진동을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과 종방향 지지수단 사이에서 절연시키는 진동절연수단으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로우프로부터 풀리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에 대한 반력과 횡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안한 것은, 1개의 풀리를 갖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풀리와 로우프의 접촉이 원주의 1/2로 상기 로우프로부터 풀리에 작용하는 힘은 주로 수직방향의 힘만 작용됨과 아울러 진동도 종진동 형태로만 전달되므로 이때의 방진장치는 오직 수직방향의 방진대책만 요구되는 반면에, 전기한 바와같이 2개의 풀리를 갖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풀리와 로우프의 접촉이 원주의 1/4로 상기 로우프로부터 풀리에 작용하는 힘은 수직방향과 횡방향이 동시에 작용됨과 아울러 진동도 종진동과 횡진동이 동시에 전달됨으로써 수직방향의 방진대책과 함께 횡방향의 방진대책도 함께 요구되는데 기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도 2b,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평면도,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커버부재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 2개의 풀리를 갖는 엘리베이터는 통상에서와 같이 상부측 크로스 헤드(1A)와 방진고무(1C)가 깔려진 하부측 프레임(1B) 사이를 슬링(1D)으로 연결하고, 이의 내부에는 사람이 직접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는 케이지(1E)가 구비되어 승강차(1)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차(1)의 상부측 크로스 헤드(1A)에는 별도의 기계실에서 발생된 동력을 승강차(1)로 전달하기 위한 로우프(2)를 감아 걸기 위해 2개의 풀리(3)를 회전가능하게 직렬로 축설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2개의 풀리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 본 발명은 도 2a,도 2b,도 2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20)과 횡방향 지지수단(10)을 상.하 블록(20A)(10A)으로 형성하되,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20A) 하부측에 최소한 2개 이상의 요(凹)부(20B)를 형성하고,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 상부측에는 상기 요부(20B)와 대응되게 철(凸)(10B)부를 형성하여 상호 형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은 2개의 풀리 축(3A) 상에 고정되어 로우프(2)로부터 2개의 풀리(3)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3A)의 반력을 극복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때 고정수단(40)은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 중간부를 전.후방측으로 트여지게 하여 형성된 밑면살(10C) 양측에 한 쌍으로 체결공(40A)을 형성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과 풀리 축(3A)을 상기 체결공(40A)에 양단이 삽입되어 너트(40C)로 체결되는 U볼트(40B)로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 밑면에는 상기 풀리 축(3A)의 미끄러짐을 걸림으로 저지시킬 수 있는 스트퍼(10D)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은 승강차(1)의 상부측 크로스 헤드(1A)의 밑면에 상면이 접하도록 하여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20A) 하부측 요부(20B)에 상부측 철부(10B)가 형합된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을 지지하여 로우프(2)로부터 풀리(3)에 작용하는 종방향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3A)의 반력을 이겨내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과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20A)의 요철부(20B)(10B) 사이에는 상기 풀리 축(3A)을 통해 횡방향 지지수단(10)에서 종방향 지지수단(2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시키기 위한 수평방향의 종진동 방진부재(30A)와 수직방향의 횡진동 방진부재(30B)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종진동 방진부재(30A)와 횡진동 방진부재(30B)의 풀리 축(3A)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50)이 구비되는데, 이 고정수단(50)은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20A) 전.후면에 각각 판체로 구비되는 전.후 커버부재(50A)로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과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20A)의 요철부(20B)(10B) 사이에 개재된 수평방향의 종진동 방진부재(30A) 및 수직방향의 횡진동 방진부재(30B)는 상기 커버부재(50A)로 가려져 걸림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커버부재(50A)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을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 하부측으로 연장하여 그 연장부(50B) 사이를 봉체로 연결시킨 스트퍼(50C)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50C)는 풀리(3) 또는 로우프(2) 교체작업 등으로 상기 로우프(2)의 장력을 일정시간 해제할 경우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과 풀리 축(3A)이 불시에 승강차(1) 천정부로 낙하하여 발생될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승강차(1)의 상부측 2개의 풀리(3)에는 로우프(2)로부터 횡방향의 힘과 함께 종방향의 힘이 동시에 작용되어 상기 풀리 축(3A)에 횡방향 및 종방향 반력이 생기게 되고, 이 반력은 각각 횡방향 지지수단(10)과 종방향 지지수단(20)에 의해서 극복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우프(2)로부터 상기 2개의 풀리(3)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힘에 대한 반력은 상기 풀리 축(3A) 상에 블록(10A)으로 된 횡방향 지지수단(10)이 고정되어 상기 풀리 축(3A) 사이를 지지하므로 극복될 수 있고, 상기 로우프(2)로부터 상기 2개의 풀리(3)에 작용하는 종방향 힘에 대한 반력은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을 승강차(1)의 상부측 크로스 헤드(1A)의 버팀력으로 지지하는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10B)에 의해서 극복된다. 이와함께 상기 풀리(3)에는 상기 로우프(2)를 통해 횡진동 및 종진동이 동시에 전달되고, 이 진동은 다시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으로 전달된 진동은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과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20A)의 요철부(20B)(10B) 사이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개재된 진동절연수단(30)의 종방향 방진부재(30A) 및 횡방향 방진부재(30B)에 의해서 흡수 및 차단되어 패널의 고유진동수나 승강차(1) 실내의 음향 공동에서의 공명주파수와 근접하더라도 그 크기를 대폭 감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방진부재(30A) 및 횡방향 방진부재(30B)는 종방향 지지수단(20)의 블록 전.후면에 판체로 구비된 고정수단(50)의 커버부재(50A)에 의해서 차단되어 걸림으로 고정됨으로써 풀리 축(3A)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0A)의 일측 연장부(50B) 사이를 봉체로 연결시킨 스토퍼(50C)는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블록(10A)과 풀리 축(3A)을 연결하는 U볼트(40B)의 파단 또는 상기 풀리(3) 및 로우프(2)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으로 상기 로우프(2)의 장력을 일정시간 해제 할 때, 불시에 낙하되는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10)의 불록(10A)을 걸림으로 저지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로우프로부터 2개의 풀리에 작용하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힘에 대한 반력을 감안하면서 상기 로우프를 통해 풀리 및 승강차의 각 부재로 전달되는 횡진동 및 종진동을 절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차의 각 부재의 고유진동수가 구동부의 가진 주파수와 근접하여 발생하는 공진현상 및 케이지 내부 음향 공동에서의 공명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 개선과 함께 탑승자로 하여금 보다 쾌적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9)

  1. 로우프로부터 2개의 풀리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의 반력을 극복하도록 상기 2개의 풀리 축 사이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수단과;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과 함께 상기 풀리에 작용하는 종방향 힘에 대한 상기 풀리 축의 반력을 극복하도록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을 크로스 헤드에 지지시키는 종방향 지지수단과;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으로 전달되는 횡진동 및 종진동을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과 종방향 지지수단 사이에서 절연시키는 진동절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을 하부측에 최소한 2개 이상의 요(凹)부를 갖는 상부측 블록으로 형성하고,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을 상부측에 철(凸)를 갖는 하부측 블록으로 형성하여 상호 형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의 블록을 2개의 풀리 축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의 블록 중간부를 전,후방측으로 트여지게 하여 형성된 밑면살 양측에 한 쌍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의 블록과 2개의 풀리 축을 상기 체결공에 양단이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U볼트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의 블록 밑면에는 풀리 축의 미끄러짐을 걸림으로 저지시키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의 블록과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의 블록의 요철부 사이에 수평방향의 종진동 방진부재와 수직방향의 횡진동 방진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진동 방진부재 및 횡진동 방지부재를 풀리 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종방향 지지수단의 블록 전.후면에 판체로 구비되는 커버부재로 구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을 횡방향 지지수단의 블록 하부측으로 연장하여 그 연장부 사이를 봉체로 연결시켜 스토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KR1019970044050A 1997-08-30 1997-08-30 엘리베이터의방진장치 KR100259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050A KR100259499B1 (ko) 1997-08-30 1997-08-30 엘리베이터의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050A KR100259499B1 (ko) 1997-08-30 1997-08-30 엘리베이터의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88A true KR19990020588A (ko) 1999-03-25
KR100259499B1 KR100259499B1 (ko) 2000-07-01

Family

ID=1951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050A KR100259499B1 (ko) 1997-08-30 1997-08-30 엘리베이터의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09B1 (ko) * 2008-09-05 2009-02-11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무소음·무진동용 방진장치가 부착된 로프식 화물용 엘리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62B1 (ko) * 2005-11-23 2007-03-02 한진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101093191B1 (ko) * 2011-04-25 2011-12-13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의 냉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09B1 (ko) * 2008-09-05 2009-02-11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무소음·무진동용 방진장치가 부착된 로프식 화물용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499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1764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0688735B1 (en) Elevator machinery and its installation
EP2334583B1 (en) Elevator car assembly comprising a vibration damper
EP1471026B1 (en) Elevator device
US9457994B2 (en) Method of assembling an elevator machine frame
JP5411931B2 (ja) つり下げ式エレベータかご構造
KR100259499B1 (ko) 엘리베이터의방진장치
WO2011155109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2001199659A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綱車装置
CA1195624A (en) Symmetrically arranged elevator drive apparatus
CN211496514U (zh) 一种曳引机布置结构
CN113460834A (zh) 一种无机房主机布置结构
JP2521415B2 (ja) エレベ―タ―の乗りかご装置
KR100218386B1 (ko)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진동 저감 장치
JP2003221177A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装置
JP3636966B2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取付構造および防振支持機構の交換方法
EP0547547B1 (en) Guide seat for an elevator car
EP1571113B1 (en) Elevator equipment
JP2004338927A (ja) エレベータのカーシーブ支持装置
KR20010011800A (ko)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의 진동 및 소음 저감장치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CN216549127U (zh) 一种无机房主机布置结构
KR20040024094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200401035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292404Y1 (ko)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