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923A -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923A
KR19990019923A KR1019970043362A KR19970043362A KR19990019923A KR 19990019923 A KR19990019923 A KR 19990019923A KR 1019970043362 A KR1019970043362 A KR 1019970043362A KR 19970043362 A KR19970043362 A KR 19970043362A KR 19990019923 A KR19990019923 A KR 1999001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door
door
luggage compartment
connecting memb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석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923A/ko
Publication of KR1999001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23A/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는 핀 삽입공(1,2)을 갖는 함몰부(5)를 형성시키고, 상기한 함몰부(5)의 양측으로는 수하물실 도어(100)와의 결합을 위해 브래킷(6)을 각각 형성시킨 도어 연결부재(10)와;
상부에 형성한 브래킷(15)에 의해 차체(200)의 배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측면 일측과 상부에는 핀 삽입공(11,12)을 각각 형성시킨 차체 연결부재(20)와;
선단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핀(21,22)에 의해 도어 연결부재(10)와 차체 연결부재(20)간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정면에는 판 스프링(25)이 부착된 장방형의 평행 링크(30)로 이루어져 수하물실 도어(100)의 개방시 판 스프링(25)의 탄성과 평행 링크(30)의 작용에 의해 상기한 수하물실 도어(100)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하물실 도어(100)의 지지구조를 단순화 하는 한편,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본 발명은 버스용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하물실 도어와 차체간의 사이에 개재되는 힌지의 내부에 평행 링크와 함께 판 스프링을 결합시켜 수하물실 도어의 개방시 판 스프링의 탄성과 평행 링크의 작용에 의해 수하물실 도어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하물실 도어의 지지구조를 단순화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로어 패널과 차체의 최저면을 이루는 로우어 패널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관계로,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버스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수하물실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실내에 보관할 수 없는 중량물이나 대형의 화물을 보관하게 되며, 이러한 수하물실의 양측으로는 내부의 수하물을 보호하기 위해 다수의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버스의 수하물실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하물실 도어(15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하물실 도어(150)의 상부 양측과 차체의 연결부위에는 힌지(60)가 각각 고정부착되어 있고, 수하물실 도어(150)의 배면 하단으로는 차체에 부착되어 수하물실 도어(15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드라이브 샤프트 조립체(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드라이브 샤프트 조립체(70)의 일측으로는 수하물실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하물실 도어(150)의 자중에 의한 회동을 방지하도록 스테이 댐퍼(80)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한 스테이 댐퍼(80)의 대향면으로는 가이드 암(90)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수하물실 도어(150)는 수하물의 인출이나 적재를 위해 수하물실 도어(150)를 개방할 경우, 상기한 수하물실 도어(150)의 배면 하단과 연결된 드라이브 샤프트(75)와 수하물실 도어(150)의 배면 상단에 연결된 가이드 암(90)이 드라이브 샤프트 조립체(70)로부터 회동하여 수하물실 도어(150)를 지지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스테이 댐퍼(80)의 작용에 의해 드라이브 샤프트(75)의 양측을 가압시킴에 따라 차체로부터 수하물실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며, 이와 반대로 수하물실 도어(150)를 닫을 경우에는 수하물실 도어(150)의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스테이 댐퍼(80)가 압축되는 동시에, 드라이브 샤프트(75) 및 가이드 암(90)이 드라이브 샤프트 조립체(70)의 후방으로 역회전하여 초기의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수하물실 도어(150)가 차체와 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하물실 도어(150)에서는 상부 양측을 통해 차체와 연결된 힌지(60)가 수하물실 도어(150)의 정면에 부착된 관계로 힌지(60)가 수하물실 도어(150)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버스의 측면에 대한 외관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으며, 이와 함께 수하물실 도어(150)의 지지를 위해 드라이브 샤프트 조립체(70)를 비롯하여 스테이 댐퍼(80) 및 가이드 암(90)과 같은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는 한편, 제작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하물실 도어와 차체간의 사이에 개재되는 힌지의 내부에 평행 링크와 함께 판 스프링을 결합시켜 수하물실 도어의 개방시 판 스프링의 탄성과 평행 링크에 의해 상기한 수하물실 도어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하물실 도어의 지지구조를 단순화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수하물실 도어와 차체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로부터 수하물실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힌지에 있어서,
내측에는 핀 삽입공을 갖는 함몰부를 형성시키고, 상기한 함몰부의 양측으로는 수하물실 도어와의 결합을 위해 브래킷을 각각 형성시킨 도어 연결부재와;
상부에 형성한 브래킷에 의해 차체의 배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측면 일측과 상부에는 핀 삽입공을 각각 형성시킨 차체 연결부재와;
선단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핀에 의해 도어 연결부재와 차체 연결부재간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정면에는 판 스프링이 부착된 장방형의 평행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1,12 : 핀 삽입공 5 : 함몰부
6,15 : 브래킷 10 : 도어 연결부재
20 : 차체 연결부재 21,22,23,24 : 고정핀
25 : 판 스프링 30 : 평행 링크
100 : 수하물실 도어 200 : 차체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50)는, 수하물실 도어와 차체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로부터 수하물실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것으로, 양측에 형성한 브래킷(6)에 의해 수하물실 도어의 배면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 연결부재(10)와, 상부에 형성한 브래킷(15)에 의해 차체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차체 연결부재(20)와, 상기한 도어 연결부재(10) 및 차체 연결부재(20)간의 사이에 개재되는 장방형의 평행 링크(30)를 주요 구성으로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도어 연결부재(10)는, 양측에 형성된 브래킷(6)간의 사이에 판 스프링(25)을 포함한 평행 링크(30)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도록 함몰부(5)가 형성되며, 상기한 함몰부(5)의 내측으로는 핀 삽입공(1,2)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고정핀(21,22)에 의해 판 스프링(25)과 함께 평행 링크(30)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평행 링크(30)를 개재하여 상기한 도어 연결부재(10)의 대향면에 결합되는 차체 연결부재(20)는 상부에 형성한 브래킷(15)에 의해 차체의 배면에 결합되며, 측면 일측 및 상부에는 핀 삽입공(11,12)이 형성됨으로써 고정핀(23,24)에 의해 도어 연결부재(10)가 결합된 평행 링크(3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한 도어 연결부재(10) 및 차체 연결부재(20)간의 사이에 개재되는 평행 링크(30)는, 선단 양측이 고정핀(21,22,23,24)에 의해 도어 연결부재(10) 및 차체 연결부재(20)와 각각 연결되어 4절 링크의 역할함에 따라 차체 연결부재(20)로부터 도어 연결부재(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차체 연결부재(20)로부터 도어 연결부재(10)가 직각인 상태로 위치할 경우에는 선단이 각각 밀착되어 삼각 트러스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한 평행 링크(30)의 선단 일측에는 차체 연결부재(20)로부터 도어 연결부재(10)의 회동각도를 고려하여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도어 연결부재(10)가 차체 연결부재(20)로부터 일정한 각도 이내에서 규칙적인 회동을 하도록 하며, 정면으로는 평행 링크(30)의 동작을 탄성에 의해 규제하도록 한 판 스프링(25)이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판 스프링(25)은, 평행 링크(30)와 같이 고정핀(21)에 의해 도어 연결부재(10)와 차체 연결부재(20)간의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 일측으로는 상기한 도어 연결부재(10) 및 차체 연결부재(20)와 같이 굴곡부(25A)가 형성되며, 차체 연결부재(20)로부터 도어 연결부재(10)가 직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평행 링크(30)를 가압하여 밀착시킴으로써 도어 연결부재(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며, 이와 반대로 수하물실 도어(10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도어 연결부재(10)의 복귀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5A 및 30A는, 평행 링크(30) 및 판 스프링(25)의 선단을 각각 원형으로 만곡시킴으로써 고정핀(21,22,23,24)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 핀삽입구이고, 부호 6A 및 15A는 도어 연결부재(10) 및 차체 연결부재(20)의 브래킷(6,15)에 각각 형성한 볼트 삽입공이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50)는 차체와 수하물실 도어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로부터 수하물실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버스에 적용할 경우에는 먼저, 통상의 힌지 결합요령과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차체 연결부재(20)를 볼트의 체결에 따라 수하물실이 형성된 차체의 배면 양측에 각각 부착시키고, 계속해서 수하물실 도어(100)의 배면 양측으로는 전술한 과정과 같이 볼트의 체결에 따라 도어 연결부재(10)를 부착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수하물실이 형성된 차체(200)와 수하물실 도어(100)간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수하물실 도어(100)를 차체(200)와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버스의 수하물실로부터 수하물을 인출하거나 적재를 위해 수하물실 도어(100)를 개방할 경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연결부재(10)를 지지하는 평행 링크(30)의 선단이 상부로 작용하는 판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각각 밀착됨으로써 삼각 트러스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평행 링크(30)는 차체 연결부재(20)로부터 도어 연결부재(10)의 회동이 일정한 궤적을 갖도록 도어 연결부재(10)의 회동각도를 규제하는 동시에, 판 스프링(25)의 작용에 따라 삼각 트러스 구조로 전환됨에 따라 도어 연결부재(10)를 고정시켜 수하물실 도어(100)가 수평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50)는, 수하물의 인출이나 적재가 완료됨에 따라 차체(200)로부터 수평상태로 개방된 수하물실 도어(100)를 판 스프링(25)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가압할 경우, 평행 링크(30)의 선단이 각각 이격되어 4절 링크의 구조로 전환됨에 따라 차체 연결부재(20)로부터 도어 연결부재(1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도어 연결부재(10)에 결합된 수하물실 도어(100)는 5b와 같이 차체(200)와 밀착된 상태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부로 작용하는 판 스프링(25)의 탄성력이 내측으로 작용하게 되어 도어 연결부재(10)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수하물실 도어(100)를 닫을 수 있게 되며, 이와 함께 수하물실 도어(100)를 차체(200)에 밀착시킴으로써 별도의 도어 고정장치 없이도 버스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수하물실 도어(10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50)는, 브래킷(6,15)에 의해 수하물실 도어(100)의 배면에 부착되는 도어 연결부재(10) 및 차체(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차체 연결부재(20)간의 사이에 평행 링크(30)와 판 스프링(25)을 결합시킴으로써 수하물실 도어(100)의 개방시 판 스프링(25)의 탄성과 평행 링크(30)에 의해 수하물실 도어(100)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하물실 도어(100)의 지지구조를 단순화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50)가 외부로부터 은폐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함께 수하물실 도어(100)를 닫은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수하물실 도어(100)를 차체(200)와 밀착시킴에 따라 버스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수하물실 도어(100)의 유동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수하물실 도어(100)와 차체(200)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로부터 수하물실 도어(10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힌지에 있어서,
    내측에는 핀 삽입공(1,2)을 갖는 함몰부(5)를 형성시키고, 상기한 함몰부(5)의 양측으로는 수하물실 도어(100)와의 결합을 위해 브래킷(6)을 각각 형성시킨 도어 연결부재(10)와;
    상부에 형성한 브래킷(15)에 의해 차체(200)의 배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측면 일측과 상부에는 핀 삽입공(11,12)을 각각 형성시킨 차체 연결부재(20)와;
    선단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핀(21,22)에 의해 도어 연결부재(10)와 차체 연결부재(20)간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정면에는 판 스프링(25)이 부착된 장방형의 평행 링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KR1019970043362A 1997-08-30 1997-08-30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KR19990019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62A KR19990019923A (ko) 1997-08-30 1997-08-30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62A KR19990019923A (ko) 1997-08-30 1997-08-30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23A true KR19990019923A (ko) 1999-03-25

Family

ID=6603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362A KR19990019923A (ko) 1997-08-30 1997-08-30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9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350B1 (ko) * 1999-07-24 2006-03-17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힌지장치
KR101104392B1 (ko) * 2009-12-09 2012-01-16 대우버스(주) 러기지 도어용 힌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350B1 (ko) * 1999-07-24 2006-03-17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힌지장치
KR101104392B1 (ko) * 2009-12-09 2012-01-16 대우버스(주) 러기지 도어용 힌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977B2 (en) Integrated torsion bar liftgate
KR100388094B1 (ko) 차량의 도어 유리 수납 고정장치
US20010005920A1 (en) Hinge structure o trunk lid for automobile
KR19990019923A (ko) 버스의 수하물실 도어용 힌지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JP2002178764A (ja) バックドア用のヒンジ構造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KR100368358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9980034155A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10048379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271687B1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고정 브래킷과 밸런스 스프링간의 간섭 방지 구조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100199494B1 (ko) 버스 폴딩 도어의 가이드 롤러 지지구조
KR1003981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용 토션바
KR1003683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20040090609A (ko) 경사구조가 적용된 도어 힌지조립체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200145034Y1 (ko) 자동차 도어의 단계식 개방장치
KR0118551Y1 (ko) 도어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KR0117752Y1 (ko) 냉장고 도어의 결합구조
KR19990005051A (ko)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KR19980040199A (ko)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힌지스토퍼장치
CN111910998A (zh) 扣盒式插销及防盗门
KR200192673Y1 (ko) 가스 스프링 텔게이트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