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832A -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832A
KR19990019832A KR1019970046053A KR19970046053A KR19990019832A KR 19990019832 A KR19990019832 A KR 19990019832A KR 1019970046053 A KR1019970046053 A KR 1019970046053A KR 19970046053 A KR19970046053 A KR 19970046053A KR 19990019832 A KR19990019832 A KR 1999001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saving
lid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진
Original Assignee
김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진 filed Critical 김택진
Priority to KR101997004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832A/ko
Publication of KR1999001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832A/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막과 절수뚜껑으로 형성된 수세식(동·서양변기이하 생략) 화장실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화장실의 변기의 경우, 사이펀관에 의하여 변등의 오물이 방출되는데 이 경우, 사이펀관의 작동을 원활하게하기 위하여는 많은 물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관계로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출한 것으로, 변기의하부 배수관을 기존의 사이펀관에서 'ㄱ'자 형태로 하고, 절수막을 배수관의 수평부분에 두고 절수뚜껑을 수직부분에 두며 전달체를 전달구멍을 통하여 밸브의 하부의 내부에 연결하여 된 것으로, 오물의 배출과 악취방지등의 기능을 원활히 하면서도 물의 흐름이 중력의 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흐르도록하여, 사이펀관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물이 필요 없어,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도 1은 기존 수세식 화장실의 예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단면도
도 3은 도2의 상세단면도
도 4는 도3의 작동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수관 2 : 홈
3 : 작은구멍 4 : 절수막
5 : 밸브 6 : 전달구멍
7 : 전달체 8 : 절수뚜껑
9 : 변기 10 : 손잡이
본 발명은 절수막과 절수뚜껑으로 형성된 수세식(동·서양 수세식 이하 생략)화장실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화장실의 변기의 경우, 사이펀관에 의하여 변동의 오물이 방출되는데 이 경우, 사이펀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는 많은 물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관계로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출한 것으로, 변기의 하부 배수관을 기존의 사이펀관에서 'ㄱ'자 형태로 하고, 절수막을 배수관의 수평부분에 두고 절수뚜껑을 수직부분에 두며 전달체를 전달구멍을 통하여 기존 밸브의 하부의 내부에 연결하여 된것으로, 오물의 배출과 악취방지등의 기능을 원활히 하면서도 물의 흐름이 중력의 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흐르도록하여, 사이펀관을 작동시키데 필요한 물이 필요 없어, 물의 낭비등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ㄱ'자 형태의 배수관(1)의 수평부분의 홈(2)에 작은구멍(3)들이 하단에 위치한 절수막(4)을 결합하고, 밸브(5) 하부의 내부에 전달구멍(6)이 돌출 밀착되며, 전달구멍(6)의 내부에 밸브(5)와 연결된 전달체(7)에 의하여 연결되는 절수뚜껑(8)이 배수관(1)의 수직부분의 상부에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배설물 등의 오물이 변기(9)에 위치하는 경우에, 손잡이(10)를 작동시키면, 밸브(5)가 열리면서, 전달체(7)를 통하여 절수뚜껑(8)이 상부로 열리고, 절수뚜껑(8) 하부의 배수관(1)으로 물이 빠지면서, 절수막(4)의 변기부분에 있는 물과 오물이 절수막(4)을 밀면서 흐르게 되며, 물의 흐르는 힘은 절수막(4)을 계속 열리게 하고, 절수막(4)의 바깥부분이 절수뚜껑(8)의 바깥부분과 서로 마주 부딪치게 위치하여, 절수막(4)과 마주 부딪친 절수뚜껑(8)은 계속 열린 상태에서, 덩치가 큰 오물이 절수막(4)의 좌측과 절수뚜껑(8)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도록하여 절수막(4)과 절수뚜껑(8)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물과 오물이 절수막(4)과 절수뚜껑(8)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한편, 절수막(4)은 배수관(1) 상부에, 좌측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우측이 돌출된 홈(2)에 결합되고, 우측이 돌출된 홈(2)은 각종 오물 등의 배출물이 배출될 때 절수막(4)의 회전부분과 충돌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며, 절수막(4)의 하단 작은구멍(3)은 절수막(4)과 절수뚜껑(8)이 닫힐 때, 흐르는 물과 오물의 압력에 대하여 원활하게 닫히게 하여, 배수막(4)과 배수뚜껑(8)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며, 배수관(1)의 입구 지름은 절수막(4)과 절수뚜껑(8)이 작동한 경우의 지름보다 좁게 형성하여 배수관(1)의 입구를 통과한 오물이 절수막(4)과 절수뚜껑(8)에 걸리지 않도록하며, 절수뚜껑(8)과 배수관(1) 사이에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절수뚜껑(8)의 가장자리에는 배수관(1)과 닿는 부분을 넓게 형성하며, 물탱크(9)에서의 물의 방출량은 배수관(1)에서 배수되는 양보다 적게 하고, 일정량 이하의 물의 흐름에는 절수막(4)과 절수뚜껑(8)의 중력이 물의 흐름보다 더 강하게하여, 배수중 일정량 이하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절수막(4)과 절수뚜껑(8)의 중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여, 배수관(1) 하부의 악취 등의 방출을 방지하면서 절수뚜껑(8)과 절수막(4)에 처음의 위치인 절수뚜껑(8)이 닫히게 되어, 물탱크(9)에서 방출된 물이 고이게 하며, 밸브(5)가 닫히면서 밸브(5) 내부 하단과 전달구멍(6)의 상부는 밀착되며, 절수막(4)의 하단 작은구멍(3)에서 방출된 물은 절수뚜껑(8)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절수뚜껑(8)을 배수관(1)에 밀착시키며, 밸부(5), 전달구멍(6), 절수막(4), 절수뚜껑(8)(상부 물 포함)과 배수관(1)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변기에 고여있는 물의 압력과 평형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최초의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사이펀관울 작동시키기 위한 물이 필요하지 않아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너라 배수관(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그만큼 물의 양을 줄였으며, 배수관(1)의 일정부분 내부를 물이 없는 상태로 하여 절수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등의 특장점을 지닌 것이다.
아울러 변기의 일측에 수리구를 형성하여 수리 및 기타 필요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겠다.

Claims (1)

  1. 'ㄱ'자 형태의 배수관(1)의 수평부분의 홈(2)에 작은구멍(3)들이 하단에 위치한 절수막(4)을 결합하고, 밸브(5) 하부의 내부에 전달구멍(6)이 돌출 밀착되며, 전달구멍(6)의 내부에 밸브(5)와 연결된 전달체(7)에 의하여 연결되는 절수뚜껑(8)이 배수관(1)의 수직부분의 상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KR1019970046053A 1997-08-28 1997-08-28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KR19990019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53A KR19990019832A (ko) 1997-08-28 1997-08-28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53A KR19990019832A (ko) 1997-08-28 1997-08-28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832A true KR19990019832A (ko) 1999-03-15

Family

ID=6604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053A KR19990019832A (ko) 1997-08-28 1997-08-28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8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594B1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JP2002201690A (ja) 補助封水供給機構を備えたトラップ装置
KR200403172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19990019832A (ko)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장치
KR100453128B1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100458200B1 (ko) 절수형 양변기
JPH1143975A (ja) 浴室ユニットの浴槽排水構造
KR20010008334A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0196519Y1 (ko) 소변기의 악취 차단구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KR200209258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절수기 가이드구조
KR20010015995A (ko) 절수형 양변기
CN213508786U (zh) 防臭快冲下水管
JPS6227584Y2 (ko)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JPH0718713A (ja) ユニット形排水トラップ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KR200331938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27204Y1 (ko) 양변기와 재래변기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KR200360419Y1 (ko) 수세식 변기의 역류방지장치
JP2004251085A (ja) 水洗式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