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687U -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687U
KR19990019687U KR2019970033059U KR19970033059U KR19990019687U KR 19990019687 U KR19990019687 U KR 19990019687U KR 2019970033059 U KR2019970033059 U KR 2019970033059U KR 19970033059 U KR19970033059 U KR 19970033059U KR 19990019687 U KR19990019687 U KR 19990019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air induction
induction part
engin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학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3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687U/ko
Publication of KR19990019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687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음기 몸체(10)의 일측으로 가스배출용 배출파이프(11)가 형성되어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소음기 몸체(10)의 하단에 전반부는 넓고 후반부는 좁은 공기유도부(12)를 형성하고, 공기유도부(12)의 끝단에는 소음기 내부와 연통된 배출파이프(11)를 연통형성하되, 공기유도부(12)의 끝단과 배출파이프(11)의 사이에는 감압부(13)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여 소음기의 소음감소효율을 유지하면서 엔진의 배압을 낮춰주어 엔진성능의 향상 효과 및 연료소비량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기를 통한 배기가스의 배출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여 소음기의 소음감소효율을 유지하면서 엔진의 배압을 낮춰주어 엔진성능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자동차는 엔진의 연속적인 연소동작에의해 동력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엔진의 연소동작에 의해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그 온도가 높음은 물론이고 엔진에서의 폭발음까지 포함하고 있어 소음이 매우 크다.
따라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자동차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있는 폭발음을 감소시기키 위한 다양한 구조의 소음기가 제공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소음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음기 몸체(1)의 일측으로 배기 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파이프(2)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 파이프(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음기 몸체(1)의 내부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있는 폭발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흡음판(4)의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음기는 유입파이프(2)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가 소음기 몸체(1)의 내부에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되어있는 흡음판(4)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폭발음이 감소된다.
이와같이, 다수의 흡음판(4)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감소된 배기가스는 배출파이프(3)를 통해 대기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도 1 에 도시된 소음기 구조는 일반적인 소음기 구조를 도시한 것인데, 실제로는 소음을 최소한으로 줄이기위해 보다 복잡한 구조의 소음기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소음기 구조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있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음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흡음수단의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배기가스의 배출효율이 감소되어 결국에는 엔진의 배압이 높아져 엔진의 성능이 하락함은 물론이고 연료소비량이 증가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고안은 소음기 몸체의 하단에 그 전반부는 넓고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공기유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도부의 끝단에 소음기의 내부와 연통된 배출파이프를 연통형성하여 배출파이프를 통한 배기가스의 배출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므로서, 소음기의 소음감소효율을 유지하면서 엔진의 배압을 낮춰주어 엔진성능의 향상 효과 및 연료소비량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소음기를 보인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소음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배출계를 상세히 보인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음기 몸체
11 : 배출파이프
12 : 공기유도부
13 : 감압부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소음기 몸체의 일측으로 가스배출용 배출파이프가 형성되어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소음기 몸체의 하단에 전반부는 넓고 후반부는 좁은 공기유도부를 형성하고, 공기유도부의 끝단에는 소음기 내부와 연통된 배출파이프를 연통형성하되, 공기유도부의 끝단과 배출파이프의 사이에는 감압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와 도 3 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2 와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는 본 고안의 소음기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감압부를 보인 상세도 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소음기 구조는 공기유도부(12)와 감압부(13)로 대별 구성된다.
소음기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으로 유입파이프(2)가 형성되어있고, 소음기 몸체(10)의 내부에는 다수의 흡음판(4)이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되어있다.
상기 공기유도부(12)는 소음기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전반부는 넓고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하였으며, 그 끝단에는 도 3 에서와 같이 감압부(13)를 돌출 형성하여 공기유도부(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감압부(13)를 통과하면서 그 유속은 증가하고 공기압은 감소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감압부(13)의 후단에는 일측이 소음기 몸체(10) 내부와 연통된 배출 파이프(11)의 타측을 연통시켜 배출파이프(1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감압부(13)에 의해 공기압이 낮아진 곳으로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가 주행을 시작하면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파이프(2)를 통해 유입되어 소음기 몸체(10) 내부에 형성되어있는 다수의 흡음판(4)을 통과하면서 소음이 감소된 후 배출파이프(1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소음기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되어있는 공기유도부(12)를 통해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는데, 상기 공기유도부(12)를 통해 유입된 다량의 공기는 공기유도부(12)의 후반부가 점점좁아짐에 따라 그 유속이 점점증가하게 되고, 결국에는 감압부(13)를 지나면서 그 유속은 최대가 됨과 동시에 공기압은 최소가 된다.
상기 감압부(13)를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최대가 됨에 따라 배출파이프(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감압부(13)를 지나는 공기에 빨려들다시피 매우 빠르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파이프(11)를 통해 배기가스가 매우 빠르게 배출됨으로서, 엔진에 가해지는 배압이 감소되어 엔진의 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소음기 몸체의 하단에 그 전반부는 넓고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공기유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도부의 끝단에 소음기의 내부와 연통된 배출파이프를 연통형성하여 배출파이프를 통한 배기가스의 배출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므로서, 소음기의 소음감소효율을 유지하면서 엔진의 배압을 낮춰주어 엔진성능의 향상 효과 및 연료소비량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이다.

Claims (1)

  1. 소음기 몸체(10)의 일측으로 가스배출용 배출파이프(11)가 형성되어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소음기 몸체(10)의 하단에 전반부는 넓고 후반부는 좁은 공기유도부(12)를 형성하고, 공기유도부(12)의 끝단에는 소음기 내부와 연통된 배출파이프(11)를 연통형성하되, 공기유도부(12)의 끝단과 배출파이프(11)의 사이에는 감압부(13)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KR2019970033059U 1997-11-20 1997-11-20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KR19990019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059U KR19990019687U (ko) 1997-11-20 1997-11-20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059U KR19990019687U (ko) 1997-11-20 1997-11-20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687U true KR19990019687U (ko) 1999-06-15

Family

ID=6969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059U KR19990019687U (ko) 1997-11-20 1997-11-20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6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711B1 (ko) * 2002-03-14 2005-01-06 김수원 자동차용 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711B1 (ko) * 2002-03-14 2005-01-06 김수원 자동차용 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657B2 (en) Engine exhaust muffler with exhaust emission control function
US5218817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urifying exhaust ga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SE9602506D0 (sv) Catalyst muffler system
DE60108685D1 (de) Kraftfahrzeug mit Verbrennungsmotor mit Abgasstrang und vor dem Motor angeordnetem Reinigungssystem
KR19980049083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9990019687U (ko) 자동차용 소음기 구조
CN106285874A (zh) 一种车辆用复合消声器
JP3344968B2 (ja) 自動車の排気管装置
CN2441980Y (zh) 端盖装消音材料的发动机消声器
CN2693961Y (zh) 超微型四轮车用二级消声器
KR100340104B1 (ko) 엔진의 아이들 구동시의 저주파 부밍소음 저감을 위한머플러장치
KR100398206B1 (ko) 자동차의 배기시스템
RU2117777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0149401B1 (ko) 자동차 엔진의 배기장치
JPH0137147Y2 (ko)
KR19990030496U (ko) 차량용 머플러
KR199800438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JPH0238005Y2 (ko)
KR200210043Y1 (ko) 차량용 머플러
CN2806785Y (zh) 排气消声器的尾管
KR20020083033A (ko) 자동차용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일체형 소음기
JP3134889B2 (ja) 走行車輌搭載用内燃機関のマフラー
KR19990010815A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구조
KR19980061316A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
KR19980045900U (ko) 배기 가스 배출이 용이한 자동차용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