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680U - 엔진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9680U KR19990019680U KR2019970033052U KR19970033052U KR19990019680U KR 19990019680 U KR19990019680 U KR 19990019680U KR 2019970033052 U KR2019970033052 U KR 2019970033052U KR 19970033052 U KR19970033052 U KR 19970033052U KR 19990019680 U KR19990019680 U KR 1999001968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discharge
- engine oil
- drain plug
- oil pa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 오일팬의 오일을 교환하고자 할 때 드레인 플러그를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도 배출되는 오일의 양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체나 불필요한 부위로 배출되는 엔진오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엔진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 오일팬(10)의 저부에 형성되어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오일팬(10)의 저부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배출구(20))와; 상기 배출구의 하단으로 다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오일을 유출시키는 유출공(21)과; 상기한 배출구(20)의 암나사에 조립되고 드레인 플러그(30)와; 상기 드레인 플러그(30)의 끝단부의 외주면에는 배출공(31)이 형성되며, 볼트머리에서 끝단의 배출공(31)까지 축방향으로 긴 홈으로 형성하여 연통시킨 배출홈(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 오일팬의 오일을 교환하고자 할 때 드레인 플러그를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도 배출되는 오일의 양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체나 불필요한 부위로 배출되는 엔진오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엔진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오일팬 외측에는 오일필터와 드레인(drain) 플러그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 플러그는 오일교환시 오일팬에 들어 있는 오일을 배출하는 장치로서 종래의 오일배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팬(100)의 배출구에 나사조립되는 드레인 플러그(101)에 가스켓(102)을 개재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같은 구조로 된 종래 기술은 오일교환시 오일팬(100)에 들어 있는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드레인 플러그(101)을 나사풀림하여야 하는데, 상기 드레인 플러그(101)를 배출구에서 나사풀림할 때 오일이 새어나오게 되며, 이렇게 새어나오는 오일은 비산되면서 작업자의 신체에 묻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엔진오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엔진오일을 배출하려 할 때에는 상기 드레인 플러그(101)의 나사풀림을 완료한 다음 일정량의 엔진오일을 배출시킨 후 다시 드레인 플러그를 나사조립해야 하므로 정확한 양의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드레인 플러그를 여러번 분해 조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를 개선하여 평상시(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는 오일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오일교환시에는 드레인 플러그를 일정위치까지 돌려 주는 간편한 작업으로 오일팬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이 작업자의 신체나 불필요한 장소까지 비산되거나 누출되지 않도록 배출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엔진오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엔진 오일팬의 저부에 형성되어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오일팬의 저부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하단으로 다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오일을 유출시키는 유출공과; 상기한 배출구의 암나사에 조립되고 드레인 플러그와; 상기 드레인 플러그의 끝단부의 외주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볼트머리에서 끝단의 관통구멍까지 축방향으로 긴 홈으로 형성하여 연통시킨 배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잠김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열림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팬
20 : 배출구
21 : 유출공
30 : 드레인 플러그
31 : 배출공
32 : 배출홈
40 : 고무링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잠김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열림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10은 오일팬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오일팬(10)은 도면상 저부 일부만 표현한다.
상기 오일팬(10)의 오일배출위치에는 배출구(20)가 오일팬(10)의 내부로 상향으로 돌설되며, 상기한 배출구(20)의 하단에는 오일을 유출시킬 수 있는 유출공(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드레인 플러그(3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한 드레인 플러그(30)의 끝단부에는 상기한 배출구(20)에서 엔진오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유출공(21)과 같은 크기로 다수개의 배출공(31)이 형성되고, 볼트머리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보링가공하여 상기한 배출공(31)과 연통되도록 배출홈(32)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40은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엔진오일의 교환시기가 되어 엔진오일을 교환하고자 할 때 혹은 차량의 정비를 위하여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하여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통상 외부로 노출된 드레인 플러그(30)를 공구를 사용하여 돌리게 된다.
그래서 도 1에서와 같이 배출구가 잠김 상태에서 도 2에서처럼 오일팬(10) 안의 오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 플러그(30)의 끝단에 형성된 배출공(31)과 오일팬 배출구(20)의 유출공(21)과 일치될 때 까지 돌리게 되면 오일팬(10) 안의 오일이 배출구(20)의 유출공(21)과 드레인 플러그(30)의 배출공(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오일팬(10)의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새로운 엔진오일을 주입시키기 위해서는 드레인 플러그(30)를 잠김 상태로 돌리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오일팬(10)의 유출공(21)과 드레인 플러그(30)의 배출공(31)이 서로 어긋나도록 되고 실링을 하기 위해 장착된 고무링(40)이 압축되게 되면서 잠김 상태가 되므로 엔진오일을 주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엔진오일을 교환하고자 할 때 드레인 플러그를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 일정량만 돌려 오일팬의 유출공과 드레인 플러그의 배출공의 위치만 일치시켜 주므로서 차량정비시 누구든지 쉽게 엔진오일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오일교환시 배출되는 오일이 양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오일이 한꺼번에 외부로 비산되어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복에 묻게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엔진 오일팬(10)의 저부에 형성되어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장치에 있어서,상기 엔진 오일팬(10)의 저부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배출구(20)와;상기 배출구(20)의 하단으로 다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오일을 유출시키는 유출공(21)과;상기한 배출구(20)의 암나사에 조립되고 드레인 플러그(30)와;상기 드레인 플러그(30)의 끝단부의 외주면에는 배출공(31)이 형성되며, 볼트머리에서 끝단의 배출공(31)까지 축방향으로 긴 홈으로 연통시켜 형성된 배출홈(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3052U KR19990019680U (ko) | 1997-11-20 | 1997-11-20 | 엔진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3052U KR19990019680U (ko) | 1997-11-20 | 1997-11-20 | 엔진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9680U true KR19990019680U (ko) | 1999-06-15 |
Family
ID=6969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3052U KR19990019680U (ko) | 1997-11-20 | 1997-11-20 | 엔진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9680U (ko) |
-
1997
- 1997-11-20 KR KR2019970033052U patent/KR1999001968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64883B2 (en) | Valve for mounting in a cylinder wall | |
US4530397A (en) | Oil saving apparatus for use with well pump polish rod | |
KR19990019680U (ko) | 엔진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 | |
RU188646U1 (ru) |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950004729B1 (ko) | 드레인 플러그(Drain Plug) | |
RU1828977C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пуска жидкости | |
JP2501557Y2 (ja) | 点火プラグのシ―ル構造 | |
KR200209388Y1 (ko) |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 |
KR19980033393U (ko) | 자동차용 오일탱크의 드레인 콕 | |
RU2027868C1 (ru) | Сливная пробка | |
KR200180746Y1 (ko) | 수격 흡수기 | |
KR100405442B1 (ko) |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체결장치 | |
KR200269035Y1 (ko) | 가스 실린더의 안전 장치 | |
SU1265360A1 (ru) | Заправочный пистолет дл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стоек | |
KR200159444Y1 (ko) | 누유방지구조를 갖는 리저버탱크 구조 | |
KR950009329Y1 (ko) |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SU1255168A1 (ru) | Фильтр | |
JPH0979394A (ja) | 水抜栓の弁構造 | |
RU2157456C2 (ru) | Картерная полость со сливным болтом | |
KR0121287Y1 (ko) | 암반균열장치 | |
KR200325514Y1 (ko) | 유수압기기의 오일 드레인 기구 | |
KR200371508Y1 (ko) | 오일필터용 하우징과 캡간의 결합 구조 | |
JPH074326Y2 (ja) | 油圧シリンダ | |
KR900000922Y1 (ko) | 베어링의 오일 주유장치 | |
KR100334875B1 (ko) | 엔진 오일 배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