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528A -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528A
KR19990019528A KR1019970042915A KR19970042915A KR19990019528A KR 19990019528 A KR19990019528 A KR 19990019528A KR 1019970042915 A KR1019970042915 A KR 1019970042915A KR 19970042915 A KR19970042915 A KR 19970042915A KR 19990019528 A KR19990019528 A KR 19990019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ata
mpeg
compressed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528A/ko
Publication of KR1999001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528A/ko

Links

Landscapes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는, 다수 개의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들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들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엠펙 인코더, 디지탈 영상 데이타 또는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엠펙 인코더에 압축을 실행할 픽쳐 타입을 명령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엠펙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엠펙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고, 전송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변환된 직렬 데이타를 전송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엠펙(Moving Picture Experts Group:MPEG)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데이타 전송 장치를 디지탈 방식으로 구현하는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은행이나 빌딩 관리를 위해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보안 시스템은 아날로그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한 것이 보편화되었으며 그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감시를 위한 적절한 준비 상태를 유지한다. CCD카메라로부터 감시 물체에 대한 영상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데이타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전송라인을 통하여 감시장치로 전송된다. 전송된 영상 정보들은 비디오 테입 레코더(Video Tape Recorder:VTR)에 의해서 자동으로 저장되고, 보안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VTR 테이프를 교환하여 관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은 정보에 대한 관리가 VTR 테입으로 이루어지는등 수작업에 의존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지탈 시스템과 비교할 때 데이타 베이스의 관리가 어려우며, VTR 테입의 질에 따라 화질 저하 현상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타를 압축하는 상용 MPEG 인코더를 이용하여 데이타 전송 장치를 디지탈 방식으로 구현한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전송 장치의 엠펙 인코더과 중앙 처리부 간의 데이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는, 다수 개의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들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들을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엠펙 인코더, 디지탈 영상 데이타 또는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엠펙 인코더에 압축을 실행할 픽쳐 타입을 명령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엠펙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엠펙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고, 전송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변환된 직렬 데이타를 전송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방법은, 다수 개의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 데이타를 감시 장치로 전송하고, 전송된 영상 데이타를 모니터링하는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단계, 디지탈 변환된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타를 엠펙 데이타로서 생성하는 단계, 전송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전송 요구가 있으면, 엠펙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 요구가 없으면, 전송 요구가 있을 때까지 엠펙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스피치 인코더(100), EEPROM(120),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30), MPEG 인코더(140), 비디오 램(150), 디램(160), 중앙 처리부(CPU), 직렬 인터페이스부(180), 디지탈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DSP)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MPEG인코더(140)는 영상 압축 처리부(142)와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로 이루어지고, 참조 번호 115는 DSP(190)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의 전송라인을 나타내고, 125는 중앙 처리부(170)에서 출력되는 제어 명령들이 전송되는 라인을 나타내고, 135는 영상 압축 처리부(142)에서 전송되는 압축된 영상 데이타의 전송 라인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MPEG인코더(140)와 중앙 처리부(170) 및 직렬 인터페이스부(180)간의 데이타 및 제어 명령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스피치 인코더(100)는 입력 단자 IN1을 통하여 CCD카메라에 녹음된 오디오 데이타를 입력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한다.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타는 DSP(190)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는 중앙처리부(170)로 입력된다. EEPROM(120)은 도 1에 도시된 보안 시스템의 비밀 번호 및 ID(식별 데이타)등을 저장하고, 초기 동작을 위한 그 밖의 데이타들을 저장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30)는 입력 단자 IN2를 통하여 복수 개의 CCD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영상 데이타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엠펙 인코더(140)의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입력하여 비디오 램(1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공간적 리던던시를 제거한 압축된 영상 데이타 즉, I픽쳐를 생성한다. 또한, 필요할 때마다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에 움직임 예측 요구 신호(REQ_PRED)를 전송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는 영상 압축 처리부(142)에서 생성된 압축 영상(I픽쳐)을 디램(160)에 저장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타로부터 예측되는 미래의 예측 인코딩 영상(P픽쳐)을 구하여 다시 디램(160)에 저장한다. 또한,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는 I픽쳐와 P픽쳐로부터 예측되는 쌍방향 인코딩 영상(B픽쳐)를 구하여 디램(160)에 저장한다. 즉, 압축된 영상 신호와 다른 시간의 미래 영상 신호치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구하고, 구해진 벡터로부터 압축된 예측 영상을 생성한다.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는 I픽쳐로부터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 결과(END_PRED) 즉, P픽쳐와 B픽쳐를 영상 압축 처리부(12)에 전달하고, 움직임 예측이 완료된 데이타즉, I픽쳐를 다음의 예측을 위해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데이타(RECONST)를 다시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에 재전송한다.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I픽쳐, P픽쳐 및 B픽쳐로부터 RLC(Run Length Code) 인코딩이 완료된 비트스트림 데이타(RLC DATA)를 중앙 처리부(170)로 전송한다. 중앙처리부(170)는 비트스트림 데이타(RLC DATA)로부터 허프만 인코딩(Huffman encoding) 방식을 이용하여 한번더 압축을 실시하고, 시작 비트, 명령 및 주소들을 부가하고, DSP(190)에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와 동기하여 완료된 압축 데이타 즉, MPEG 데이타(MPEG_DATA)를 생성하고, 전송 요구가 있으면, MPEG데이타(MPEG_DATA)를 직렬 인터페이스부(180)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170)에서는 시스템이 초기화될 때 압축시의 데이타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명령(RATE_CON) 즉, 데이타 전송 속도를 1.5Mbps, 1.4Mbps 또는 64Kbps로 할 것인지를 영상 압축 처리부(142)에 전달하고, 입력된 영상의 픽쳐 타입을 결정하는 명령 신호(PIC_TYPE)를 전달한다. 직렬 인터페이스부(180)는 감시부(미도시)에서 전송 요구가 있을때 MPEG 비트스트림 데이타를 전송선을 통하여 감시 장치로 출력한다. 또한, 직렬 인터페이스부(180)는 시스템의 초기 준비 상태에서 감시 장치로부터 중앙 처리부(170)로 제어 명령(CMD_CON)을 전달한다. 즉, 스피치 인코더(100) 또는 엠펙 인코더(140)를 제어하여 인코딩 동작을 시작/중지하도록 하거나, 압축 완료된 데이타의 전송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다수 개의 CCD 카메라로부터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를 입력하여 디지탈로 변환하는 단계(제301단계), 디지탈 변환된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타를 엠펙 데이타로서 생성하는 단계(제303단계), 전송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전송 요구가 있으면 전송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엠펙 데이타를 전송하고, 전송 요구가 없으면, 전송 요구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엠펙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제305~309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MPEG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의 동작 및 전송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MPEG인코더(140)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는 초기에 감시 장치에서 입력되는 제어 명령(CMD_CON)에 따라 중앙 처리부(170)는 스피치 인코더(104), MPEG인코더(140) 등 내부의 구성 블럭을 초기화시키고, CCD 카메라를 제어하여 감시 영상의 촬영을 위한 준비 단계에 들어간다. 여기에서 MPEG인코더(140)의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압축을 위한 코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모든 준비 작업이 완료되면, 중앙처리부(170)는 제어 명령 라인(125)를 통하여 시작 명령을 전달하고, MPEG인코더(140)에 픽쳐 타입을 결정하는 명령(PIC_TYPE)을 전달한다. 따라서, CCD카메라는 감시를 위한 영상 데이타을 촬영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에서는 영상 데이타 뿐 아니라 오디오 데이타를 함께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디오 데이타를 이용하는 것은 선택적인 기능으로 부가한다.
일반적으로 CCD카메라는 8~16대를 이용하고, 각 CCD카메라에서는 1/30초 간격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한다. 즉, 복수 개의 CCD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30)에서 디지탈 영상 데이타로 변환되고, 오디오 데이타는 스피치 인코더(100)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제301단계). 변환된 디지탈 영상 데이타는 MPEG인코더(140)의 영상 압축 처리부(142)에 입력되어 압축된 영상 데이타로서 생성된다. 또한, 오디오 데이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DSP(190)에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타를 압축하고,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와 영상 데이타를 동기하여 하나의 MPEG데이타를 생성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MPEG 인코더(140)는 동영상을 압축하는 장치로서, 동영상에 대한 압축은 시간적으로 인접한 두 영상 사이에 상당히 많은 중복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MPEG인코더(140) 및 그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PEG인코더(140)는 압축된 영상을 얻기 위해서 세 가지 형태의 픽쳐 타입을 갖는다. 즉, I픽쳐, P픽쳐 및 B픽쳐로 이루어지는데 I픽쳐는 현재 영상을 압축한 방식으로 프레임 내 인코딩 영상(Intra picture)을 나타낸다. P픽쳐는 예측 인코딩 영상(Predictive picture)을 나타내고, I픽쳐 또는 P픽쳐로부터 예측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영상으로서 움직임 벡터라 불리는 값을 이용하여 전영상으로부터 현영상을 구성한다. B픽쳐는 쌍방향 예측 부호화 영상(Bidirectional predictive picture)을 나타내며, 과거 영상으로부터 순방향을 예측하거나, 미래 영상으로부터 역방향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압축 영상이다. 즉, 입력된 영상의 화면 전체를 인코딩한 것이 I픽쳐이고, I픽쳐와 P픽쳐는 원영상과 같은 순서로 인코딩되고, B픽쳐는 I픽쳐와 P픽쳐를 먼저 처리한 후 곧 그 사이에 삽입되는 B픽쳐를 인코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PEG인코더(140)의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중앙처리부(170)로부터 압축을 실행할 데이타가 I픽쳐인지 P픽쳐인지를 통보받고, 필요한 경우에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로 움직임 예측 요구 신호(REQ_PRED)를 전송한다.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하나의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된 1/30초의 영상 즉,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비디오 램(150)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타로부터 데이타 압축을 실행한다. 즉, I픽쳐는 하나의 화면 전체를 압축하는 것이며, 따라서 영상 내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환을 적용한다. 하나의 화면에는 직류 성분을 포함한 낮은 주파수에서 교류 성분의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갖는 화소 블럭이 존재하는데 DCT 변환을 실행하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고 저주파 성분에 편중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DCT방식을 이용하여 공간 영역의 리던던시를 제거함으로써 영상 압축을 수행한다.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압축된 영상인 n비트의 I픽쳐를 비디오 램(150)에 저장한다.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는 영상 압축 처리부(142)의 움직임 예측 요구에 응답하여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비디오 램(150)으로부터 n비트의 I픽쳐를 독출하고, 독출된 I픽쳐를 다시 디램(160)에 저장한다.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는 디램(160)에 저장된 I픽쳐로부터 예측을 수행하여 k비트의 P픽쳐를 생성하고, 생성된 P픽쳐를 디램(160)에 저장한다. 즉, 전화면 영상인 I픽쳐를 토대로 하여 움직임이 예측되는 부분의 이동량을 (x,y)의 좌표로 표시하여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움직임이 예측되는 부분의 영상만을 가져오는 움직임 보상 과정을 거쳐서 P픽쳐를 생성한다. 상술한, I픽쳐가 공간적 리던던시를 제거함으로써 압축을 수행한 데이타라면, P픽쳐는 시간적 상관 관계에 따른 압축 즉, 시간적 리던던시를 제거한 데이타이다. 또한,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는 I픽쳐와 P픽쳐로부터 움직임을 예측하고, 쌍방향 예측에 의한 B픽쳐를 생성한다.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는 예측된 결과로서 생성된 P픽쳐와 B픽쳐를 영상 압축 처리부(142)에 전달한다.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다음의 픽쳐에 대한 예측을 위하여 움직임 예측이 완료된 I픽쳐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I피쳐즉, 원래의 영상에 가까운 영상 데이타를 재구성된 신호(RECONST)로서 움직임 예측 처리부(144)에 재전송한다.
여기에서,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공간적 리던던시가 제거된 I픽쳐, 시간적 리던던시가 제거된 P픽쳐 및 B픽쳐들로부터 다시 RLC인코딩을 수행한다. 즉, DCT방식을 적용한 후 0이 아닌 계수들을 효과적으로 인코딩하기 위해 계수들을 지그재그로 주사하여 일렬로 배열하는데, 이러한 순서에 의해 나열된 DCT계수는 선행하는 계수 0의 개수(RUN)와 0아닌 계수의 값(LEVEL)을 조합해서 이차원 가변장(Variable Length Code)코드를 생성하는데 이것을 RLC(Run Length Code) 인코딩이라 한다. 즉, 런(RUN), 레벨(LEVEL)의 한 쌍의 데이타에 VLC를 할당하는 방식을 말한다.
영상 압축 처리부(142)는 이러한 RLC 인코딩까지 완료된 m비트의 데이타(RLC DATA)를 중앙처리부(170)에 전송하고, 중앙 처리부(170)는 인코딩된 데이타(RLC DATA)로부터 허프만 인코딩(Huffman encoding)을 수행한다. 즉, 허프만 인코딩은 압축 과정을 거쳐서 발생 빈도 수가 많은 데이타를 가장 짧은 코드로 표현하는 방식을 말한다. 중앙 처리 장치에서 허프만 인코딩이 완료되면, 중앙 처리부(170)는 시작 비트, 명령 및 주소들을 부가하여 하나의 완료된 압축 데이타 즉, MPEG 비트스트림 데이타를 생성하고, DSP(190)로부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와 동기하여 하나의 MPEG데이타(MPEG_DATA)를 생성한다(제303단계). 중앙 처리부(170)는 전송 요구가 있으면(제305단계), 생성된 MPEG 데이타(MPEG_DATA)를 직렬 인터페이스부(180)로 전송한다(제307단계). 만약, 전송 요구가 없으면, 중앙 처리부(170)는 생성된 MPEG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가 전송 명령이 인가되면, 직렬 인터페이스부(180)에 전송한다(제309단계). 직렬 인터페이스부(180)는 감시 장치로부터 전송 명령이 있을 때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감시장치의 서버로 전송한다. 감시장치에서는 입력된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VTR로 재생하거나 하나의 저장용 칩에 압축하여 저장하게 되므로 VTR테입으로 저장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용량의 데이타를 오랫 동안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는 MPEG인코더의 영상 압축 처리부/움직임 예측 처리부를 MPEG1 인코더 또는 MPEG2인코더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데이타 전송 장치에 이용되는 모든 블럭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선명한 재생 화질을 얻을 수 있으며, 영상 데이타를 압축한 후 저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타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데이타 분류및 검색이 가능하고, 영상 데이타의 편집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타 전송 장치를 하나의 칩으로 구현하면, 주변 회로의 보강에 따른 문제와 시스템 레벨에서의 많은 비용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 개의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들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를 디지탈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상기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엠펙 인코더;
    상기 디지탈 영상 데이타 또는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상기 엠펙 인코더에 압축을 실행할 픽쳐 타입을 명령하고,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엠펙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엠펙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고, 전송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된 직렬 데이타를 전송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펙 인코더는,
    상기 픽쳐 타입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영상 압축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압축 처리부로부터 인가된 움직임 예측 명령에 응답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고, 예측된 결과를 출력하는 움직임 예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는,
    상기 보안 시스템의 비밀 번호 및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롬;
    상기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에서 출력된 오디오 데이타를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타를 출력하는 스피치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타를 압축하고, 압축된 상기 오디오 데이타를 상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장치.
  4. 다수 개의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 데이타를 감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타를 모니터링하는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타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탈 변환된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데이타를 엠펙 데이타로서 생성하는 단계;
    전송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구가 있으면, 상기 엠펙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구가 없으면, 상기 전송 요구가 있을 때까지 상기 엠펙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방법.
KR1019970042915A 1997-08-29 1997-08-29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KR19990019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915A KR19990019528A (ko) 1997-08-29 1997-08-29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915A KR19990019528A (ko) 1997-08-29 1997-08-29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528A true KR19990019528A (ko) 1999-03-15

Family

ID=6603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915A KR19990019528A (ko) 1997-08-29 1997-08-29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5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704B1 (ko) * 2002-08-14 2004-08-16 (주)선양디지털이미지 무선통신 단말기용 촬상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화상처리장치
KR100712959B1 (ko) * 2005-09-16 2007-04-30 (주)서광시스템 지역방범 추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3501B1 (ko) * 2001-04-17 200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376A (ja) * 1995-05-12 1996-11-29 Maitetsuku:Kk 監視装置
KR19980020366A (ko) * 1996-09-07 1998-06-25 김영한 감시영상정보 저장방법
KR19980085702A (ko) * 1997-05-30 1998-12-05 박정옥 화상 감시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84048A (ko) * 1997-05-21 1998-12-05 윤종용 Mpeg 비디오 압축 기술을 이용한 멀티 카메라 보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376A (ja) * 1995-05-12 1996-11-29 Maitetsuku:Kk 監視装置
KR19980020366A (ko) * 1996-09-07 1998-06-25 김영한 감시영상정보 저장방법
KR19980084048A (ko) * 1997-05-21 1998-12-05 윤종용 Mpeg 비디오 압축 기술을 이용한 멀티 카메라 보안 시스템
KR19980085702A (ko) * 1997-05-30 1998-12-05 박정옥 화상 감시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01B1 (ko) * 2001-04-17 200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KR100444704B1 (ko) * 2002-08-14 2004-08-16 (주)선양디지털이미지 무선통신 단말기용 촬상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화상처리장치
KR100712959B1 (ko) * 2005-09-16 2007-04-30 (주)서광시스템 지역방범 추적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3233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EP14979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quantizer parameters in a video coding system
JPH11225329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画像復号化装置及び方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及び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EP08405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ve coding and decoding
JPH08154249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式
US20050226327A1 (en) MPEG coding method, moving picture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H06225279A (ja) 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KR20040048289A (ko) 트랜스코딩 장치 및 방법, 이에 사용되는 타겟비트할당 및픽처 복잡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9990019528A (ko) 엠펙 인코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JP3748234B2 (ja) Mpegデータ記録方法
US6430221B1 (en) Transmitter, receiver,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JP2004521547A (ja) ビデオ符号化器及び記録装置
JP4306035B2 (ja) 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
JP2003189308A (ja) 動画像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復号化装置、復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列伝送方法
KR100385620B1 (ko) 개량된 엠펙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276402A (ja) 画像記録装置
JPH06276481A (ja) 画像信号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141149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4408600B2 (ja) 画像圧縮装置
JP3952926B2 (ja) 映像符号化装置及び映像符号化方法
RU2191483C2 (ru) Видеокамера
JP2007060498A (ja) Jpeg圧縮装置
JPH08186791A (ja) ビデオ記録装置
US20110096831A1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ing system
JP4148200B2 (ja) Mpeg画像データ記録装置及びmpeg画像データ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