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867A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867A
KR19990018867A KR1019970042147A KR19970042147A KR19990018867A KR 19990018867 A KR19990018867 A KR 19990018867A KR 1019970042147 A KR1019970042147 A KR 1019970042147A KR 19970042147 A KR19970042147 A KR 19970042147A KR 19990018867 A KR19990018867 A KR 19990018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in body
pack
fixed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867A/ko
Publication of KR1999001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867A/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용하는 컵 또는 팩을 재치시키기 위해 콘솔(1)에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것으로써,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면(11a), 제 1측면(12) 및 제 2측면(13)에 의해 장방형으로 형성된 수용부(11)를 지니며, 상기 각각의 측면(12,13)에는 가이드홈(14,15) 및 수용홈(16,17)이 상호 대향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의 일측 개구부로 통해 왕복동되며 재치된 컵 또는 팩에 접하며, 양 측면에 체결편(21a,21b)이 돌출 형성되는 플레이트(21), 상기 각각의 체결편(21a,21b)에 고정되며 수축 및 전개가능한 길이조절로드(22,23), 및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길이조절부재(22,23)에 고정되며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의 가이드홈(14,15)의 종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24,25)을 구비하는 제 1고정부재(2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의 타측 개구부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고 재치될 컵 또는 팩에 접하며 양 측면에 체결편(22,23)이 형성된 고정판(21), 및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체결편(22,23)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수용홈(16,17)의 종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34,35)을 구비하는 제 2고정부재(30),로 구성되며, 컵 또는 팩을 고정시키기 위한 길이 및 면적을 가변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컵 또는 팩의 크기뿐 아니라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컵 또는 팩을 보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의 형태와 관계없이 컵을 안정적으로 보지 시킬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장기간의 주행중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식수 또는 음료수를 필요로 하며, 이같은 식수 또는 음료수는 컵 또는 캔에 담겨져 제공된다.
이같은 컵 또는 캔을 자동차에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컵홀더가 제공되어 있다.
이같은 컵홀더는 승용자동차의 경우 콘솔 또는 전방시트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최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컵홀더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1)에는 컵홀더(2)가 왕복동식 또는 푸쉬버튼식으로 장착되는 바, 이같은 컵홀더(2)의 상부에는 컵삽입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삽입부(3)에는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를 위해 2개의 삽입구(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같은 삽입구(4,5)는 컵을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좌/우로 탄성이동 가능한 고정체(4a,5a)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컵삽입부(2)의 하부에는 컵(C)의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6)이 제공되어 있다.
이같은 컵홀더(2)에는 단지 원형의 컵(C) 또는 캔(can)만을 지지할 수 있는 바, 이는 컵홀더(2)의 삽입부(3)에 형성된 삽입구(4)가 원형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부분의 음료수 또는 식음료가 사각형 팩에 담겨져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 바, 전술된 바와같은 컵홀더에는 이같은 팩을 재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같은 컵홀더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컵을 재치시킬 수 없어 대형컵을 이용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치되는 용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용기를 보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용기를 동시에 보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용기를 보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용하는 컵 또는 팩을 재치시키기 위해 콘솔에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면, 제 1측면 및 제 2측면에 의해 장방형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지니며, 상기 각각의 측면에는 가이드홈 및 수용홈이 상호 대향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의 일측 개구부로 통해 왕복동되며 재치된 컵 또는 팩에 접하며, 양 측면에 체결편이 돌출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각각의 체결편에 고정되며 수축 및 전개가능한 길이조절로드, 및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길이조절부재에 고정되며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의 가이드홈의 종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 1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의 수용부의 타측 개구부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고 재치될 컵 또는 팩에 접하며 양 측면에 체결편이 형성된 고정판, 및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체결편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의 수용홈의 종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 2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로드는 안테나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제 1고정부재의 플레이트 및 제 2고정부재의 고정판은 상기 수용부에 컵 또는 팩이 재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각각의 측벽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제 1고정부재
21 : 플레이트 22, 23 : 길이조절로드
30 : 제 2고정부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본체(10), 제 1 고정부재(20) 및 제 2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는 장방형 입방체로 형성되어 콘솔(1)에 대해 왕복동식 또는 푸쉬버튼식으로 장착되며, 컵 지지면(11a)을 구비한 컵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컵 수용부(11)는 장방형이며 양측에는 제 1측면(12) 및 제 2측면(13)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바, 즉 상기 제 1측면(12)에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측면(13)에는 가이드홈(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측면(12)에는 수용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측면(13)에는 수용홈(17)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14,15)과 각각의 수용홈(16,17)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14,15)은 상기 본체(10)의 일측면(10a)을 향해 또한 상기 수용홈(16,17)은 타측면(10b)을 향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본체(10)에는 손잡이(18)가 제공되며, 또한 홀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가제공될 뿐 아니라, 상기부의 측면(10a,10b)에는 가이드레일(10c)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바, 이같은 부품은 통상적인 것으로서,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10)의 컵수용부(11)의 일측에는 제 1고정부재(20)가 왕복동식으로 장착되는 바, 상기 제 1고정부재(20)는 양 측면에 고정편(21a,21b)이 각각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21)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21)의 각각의 고정편(21a,21b)에는 길이조절로드(22,23)가 제공되는 바, 상기 각각의 길이조절로드(22,23)는 안테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컵수용부(11)의 각각의 측부(12,13)에 형성된 가이드홈(14,15)에 전개 및 수축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로드(22,23)의 각각의 단부에는 스프링(24,25)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24,25)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홈(14,15)의 종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컵수용부(1)의 타측에는 상기 제 1고정부재(20)에 대향하는 제 2고정부재(30)가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제 2고정부재(30)는 상기 제 1고정부재(20)의 플레이트(21)에 대향하는 고정판(3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31)의 양고정편(32,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편(32,33)에는 각각 스프링(34,35)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34,35)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컵수용부(11)의 양 측부(12,13)에 형성된 수용홈(16,17)의 종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34,35)의 크기는 정상상태 즉, 컵홀더가 콘솔(1)내로 복귀될 때 상기 고정판(31)이 상기 본체(10)의 측면(10b)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으 사용방식에 의하면, 먼저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컵 또는 팩을 재치시키기 위해 컵홀더의 손잡이(18)를 잡아 당기면 본체(10)가 차량의 실내쪽으로 이동되며 컵 수용부(11)가 노출된다. 이상태에서 예컨대, 팩(P)을 재치시킬 때 상기 팩의 크기가 컵수용부(11)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 1고정부재(20)의 플레이트(21)를 팩(P)을 향해 즉, 컵 수용부(11)의 내측으로 밀면 그 플레이트(21)의 각각의 고정편(21a,21b)에 고정된 길이조절로드(22,23)가 수축되어 상기 플레이트(21)가 팩(P)에 접하게 됨으로써 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컨대 하나의 컵(C)을 컵수용부(11)에 재치시킬 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상기 컵수용부(11)의 크기를 초과하는 팩(P')을 컵홀더에 재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 1고정부재(20)의 플레이트(21)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길이조절로드(22,23)를 전개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제 2고정부재(30)의 고정판(31)을 외측으로 잡아 당긴 후 팩(P')을 수용부(11)에 재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21) 또는 고정판(31)을 놓으면 스프링(24,25,34,35)에 의해 플레이트(21) 및 고정판(31)이 팩(P')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되어 팩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보지시킬 수 있다.
이같은 방식은, 예컨대 작은 크기의 컵 또는 팩을 다수개 재치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컵홀더를 콘솔(2)내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부에 재치된 컵 또는 팩을 제거하면, 각각의 고정부재(20,30)가 본체의 각각의 측면(10a,10b)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컵홀더가 간섭없이 용이하게 콘솔(1)내로 복귀되어 폐쇄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에 의하면, 컵 또는 팩을 고정시키기 위한 길이 및 면적을 가변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컵 또는 팩의 크기뿐 아니라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컵 또는 팩을 보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하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용하는 컵 또는 팩을 재치시키기 위해 콘솔(1)에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면(11a), 제 1측면(12) 및 제 2측면(13)에 의해 장방형으로 형성된 수용부(11)를 지니며, 상기 각각의 측면(12,13)에는 가이드홈(14,15) 및 수용홈(16,17)이 상호 대향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의 일측 개구부로 통해 왕복동되며 재치된 컵 또는 팩에 접하며, 양 측면에 체결편(21a,21b)이 돌출 형성되는 플레이트(21), 상기 각각의 체결편(21a,21b)에 고정되며 수축 및 전개가능한 길이조절로드(22,23), 및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길이조절부재(22,23)에 고정되며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의 가이드홈(14,15)의 종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24,25)을 구비하는 제 1고정부재(2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의 타측 개구부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고 재치될 컵 또는 팩에 접하며 양 측면에 체결편(22,23)이 형성된 고정판(21), 및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체결편(22,23)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수용홈(16,17)의 종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34,35)을 구비하는 제 2고정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로드(22,23)는 안테나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20)의 플레이트(21) 및 제 2고정부재(30)의 고정판(31)은 상기 수용부(11)에 컵 또는 팩이 재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각각의 측벽(10a,10b)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KR1019970042147A 1997-08-28 1997-08-28 차량용 컵홀더 KR19990018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147A KR19990018867A (ko) 1997-08-28 1997-08-28 차량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147A KR19990018867A (ko) 1997-08-28 1997-08-28 차량용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867A true KR19990018867A (ko) 1999-03-15

Family

ID=6603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147A KR19990018867A (ko) 1997-08-28 1997-08-28 차량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7187A (zh) * 2018-01-03 2019-07-09 捷安特(昆山)有限公司 自行车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7187A (zh) * 2018-01-03 2019-07-09 捷安特(昆山)有限公司 自行车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669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for vehicle
EP0733510B1 (en) Automotive cup holder
KR100569342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지지구조
US7213793B2 (en) Invertible storage compartment divider
US7354086B2 (en) Cup holder structure for vehicles
KR100322919B1 (ko) 차량용회전인출식용기홀더조립체
US5655742A (en) Beverage holder
US6883692B2 (en) Sauce holder for fold out arm rest
US6715726B1 (en) Surface mounted expandable cupholder
KR19990018867A (ko) 차량용 컵홀더
JP3579523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GB2471357A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such as a cup in a receptacle
KR10033090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293546B1 (ko) 컵홀더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KR0113794Y1 (ko) 수납식 드링크홀더
KR20020040169A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100295815B1 (ko) 측벽용컵홀더
KR0135661Y1 (ko)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한 컵 홀더
KR950006471Y1 (ko) 자동차용 음료용기 홀더
KR0136709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0132040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0166282B1 (ko)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KR19990037932U (ko) 차량용 컵 홀더
KR920001937Y1 (ko) 컵걸이겸 사물함으로 혼용되는 승용차 뒷좌석용 팔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