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932U - 차량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932U
KR19990037932U KR2019980003818U KR19980003818U KR19990037932U KR 19990037932 U KR19990037932 U KR 19990037932U KR 2019980003818 U KR2019980003818 U KR 2019980003818U KR 19980003818 U KR19980003818 U KR 19980003818U KR 19990037932 U KR19990037932 U KR 199900379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eceiving groove
cup holder
accommod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노정웅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웅,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노정웅
Priority to KR2019980003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932U/ko
Publication of KR19990037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932U/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차량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컵 홀더(1)의 수용할 수 있도록 그 틀체를 이루고 있는 외곽틀체(10)와, 상기 외곽틀체(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지는 컵홀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표면상에는 컵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용홈(30)과, 상기 수용홈(30)의 저면에는 컵등이 수용되어질때,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컵등의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받침대(21)와, 수용홈(30)에 수용된 컵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용홈(30)의 일측면에 컵등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2)로 구성되어진 컵 홀더(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0)은 원형의 컵과, 캔류등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수용홈(30a)과, 우유팩등과 같은 다각형의 컵등을 수용할 수 있는 각형수용홈(30b)이 함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컵홀더 본체(20)의 표면상에 성형된 수용홈(30)이 원형수용홈(30a)과 각형수용홈(30b)이 일체로 성형됨으로 캔류와 같은 원형의 용와 우유팩과 같은 사각의 용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상품성을 향상시킨 매우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
본 고안은 차량용 컵 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컵이나 음료수의 용기를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및 승차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홀더는 승용차의 내부에 운전자 위주로 편의 시설이 되어 있는 인스트루 먼트 판넬 전면에 탬퍼를 이용하여 수납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컵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컵 홀더의 구성은 컵등을 수용할수 있도록 면상에 관통부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수용홈(30)과, 상기 수용홈(30)에 컵등을 보관할때, 그저면에 컵등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21)와, 컵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용홈(30)의 일측면에 컵등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부(22)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컵 홀더(1)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외곽틀체(10)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컵 홀더는 주행중 운전자가 음료수를 보관 하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컵이나 기타 캔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장치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컵 홀더는 수용홈이 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컵이나 캔등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그 형상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즉, 사각의 우유팩등과 같은 것은 일반적으로 컵 홀더의 수용홈의 직경보다 크기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컵 홀더는 그 사용에 있어서 용기의 형상에 따라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그 형상에 관계없이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컵 홀더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함으로 그 편의 및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컵홀더의 형상 및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 홀더 10 - 외곽틀체
20 - 본체 21 - 받침대
22 - 고정부 23 - 스프링
30 - 수용홈 30a - 원형수용홈
30b - 각형수용홈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컵 홀더(1)의 수용할 수 있도록 그 틀체를 이루고 있는 외곽틀체(10)와, 상기 외곽틀체(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지는 컵홀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표면상에는 컵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용홈(30)과, 상기 수용홈(30)의 저면에는 컵등이 수용되어질때,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컵등의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받침대(21)와, 수용홈(30)에 수용된 컵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용홈(30)의 일측면에 컵등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2)로 구성되어진 컵 홀더(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0)은 원형의 컵과, 캔류등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수용홈(30a)과, 우유팩등과 같은 다각형의 컵등을 수용할 수 있는 각형수용홈(30b)이 함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전면에 설치되는 수용홈(30)에 원형수용홈(30a)과 각형수용홈(30b)이 함께 형성됨으로 컵등의 형상에 관계없이 보다 포괄적인 형태의 컵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린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형상 및 받침대와 고정부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컵 홀더가 열려진 상태에서 받침대의 위치 및 고정부의 설치상태를 보인 열려진 상태와, 원형수용홈과 각형수용홈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고안의 컵 홀더가 외곽틀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받침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되어 컵 홀더의 저면에 밀착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일부절결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각도 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곽틀체(10)와, 그내부에 수용되는 본체(20)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컵 홀더는 수동식과 자동식이 있는데, 수동식은 사용자가 필요시 외곽틀체(10)로 부터 컵홀더 본체(20)를 직접 분리 시키고, 사용 후 이를 다시 수용함에 밀어 넣게 된다.
또, 자동식은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항상 분리되려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수용함에 이를 밀어 넣으면 외곽틀체(10)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래칫에 의하여 컵홀더 본체(20)가 외곽틀체(10)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개폐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외곽틀체(10)의 내부와 컵홀더 본체(10)의 소정위치에 슬라이드돌기(11)가 형성되어 본체(20)가 돌출 및 삽입될 때, 이를 안내하게된다.
그리고, 본체(20)와 외곽틀체(10)사이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그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외곽틀체(10)로 부터 돌출되는 컵홀더 본체(20)는 표면상에한개 이상의 수용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30) 저면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1)와 고정부(2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21)는 수용홈(30)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컵등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며, 일측이 힌지로 고정되어 있어 외곽틀체(10)로 컵홀더 본체(20)가 삽입될때에는 본체(20)에 밀착되어지도록 일정각을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고정부(22)는 컵홀더 본체(20)의 하부에 스프링(23)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컵등이 수용홈(30)에 놓여 있을때 그 일측이 수용홈(3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이 주행중 진동에 의하여 컵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컵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수용홈(30)은 그 형상이 종래에는 원형으로 원형의 컵등만을 수용할 수 있는 제한적인 것이었으나, 본 고안의 수용홈(30)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수용홈(30a)과 각형수용홈(30b)의 형상을 같이 성형함으로 우유팩과 같이 사각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그 사용범위를 넓힌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컵홀더 본체(20)의 표면상에 성형된 수용홈(30)이 원형수용홈(30a)과 각형수용홈(30b)이 일체로 성형됨으로 캔류와 같은 원형의 용와 우유팩과 같은 사각의 용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상품성을 향상시킨 매우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컵 홀더(1)의 수용할 수 있도록 그 틀체를 이루고 있는 외곽틀체(10)와, 상기 외곽틀체(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지는 컵홀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표면상에는 컵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용홈(30)과, 상기 수용홈(30)의 저면에는 컵등이 수용되어질때,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컵등의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받침대(21)와, 수용홈(30)에 수용된 컵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용홈(30)의 일측면에 컵등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2)로 구성되어진 컵 홀더(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0)은 원형의 컵과, 캔류등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수용홈(30a)과, 우유팩등과 같은 다각형의 컵등을 수용할 수 있는 각형수용홈(30b)이 함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KR2019980003818U 1998-03-16 1998-03-16 차량용 컵 홀더 KR199900379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818U KR19990037932U (ko) 1998-03-16 1998-03-16 차량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818U KR19990037932U (ko) 1998-03-16 1998-03-16 차량용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32U true KR19990037932U (ko) 1999-10-15

Family

ID=6971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818U KR19990037932U (ko) 1998-03-16 1998-03-16 차량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93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8209C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JP4895550B2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5598999A (en)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SK16795A3 (en) Device for holding of drinking containers, vessels for drinking
KR20030026857A (ko) 음료수 용기용 홀더
JP3802421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KR10074735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H1086734A (ja) 缶飲料またはコップ類のホルダー
KR19990037932U (ko) 차량용 컵 홀더
JP3579523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KR200227359Y1 (ko) 포켓형컵홀더
JP3036277B2 (ja) 自動車用容器支持装置
KR017892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9980068295U (ko) 승용차용 컵 홀더 구조
KR950006471Y1 (ko) 자동차용 음료용기 홀더
JP2572744Y2 (ja) カップホルダ
KR10040589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0133111Y1 (ko) 코인 홀더를 구비한 컵 홀더
KR20040048024A (ko) 차량의 컵홀더 구조물
JPH07277059A (ja) カップホルダー兼用小物入れ
KR19980033215U (ko) 자동차용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